KR200252349Y1 - 사탕 막대 손잡이 - Google Patents

사탕 막대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2349Y1
KR200252349Y1 KR2020010023267U KR20010023267U KR200252349Y1 KR 200252349 Y1 KR200252349 Y1 KR 200252349Y1 KR 2020010023267 U KR2020010023267 U KR 2020010023267U KR 20010023267 U KR20010023267 U KR 20010023267U KR 200252349 Y1 KR200252349 Y1 KR 2002523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dy
sound
candy bar
bar
hand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32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기
Original Assignee
김민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기 filed Critical 김민기
Priority to KR20200100232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23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23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2349Y1/ko

Links

Landscapes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탕을 먹는 것이 편리하도록 함과 동시에 사탕을 먹고 있는 동안 음의 발생이 가능하도록 하여 새로운 것과 특이한 것을 원하는 어린이들의 취향에 부합되고, 사탕을 다 먹은 다음 장난감으로 재활용이 가능한 사탕 막대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표면에 연속 형성된 요철에 의해 소리산이 형성된 사탕 막대와, 사탕 막대가 끼워져 상하 승강이동되고 끼워진 사탕 막대의 일부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노출공이 형성된 손잡이 본체와, 손잡이 본체의 내부에서 노출공을 따라 상하로 승강 이동하면서 요철부를 긁어 소리를 발생시켜 축음기와 같은 재생음을 내게 되며 사탕을 빨아먹을 때 발생된 음이 두부를 통하여 공명현상에 의하여 소리를 느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사탕 막대 손잡이{A holder of candy bar}
본 고안은 사탕 막대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탕을 먹는 것이 편리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탕을 먹는 동안 음을 발생시킬 수 있고 사탕을 다 먹은 다음 장난감으로 재활용이 가능한 사탕 막대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탕은 크기가 적은 경우 비닐 재질로 된 포장재에 포장하여 보관을 하고 있으나 한 입에 넣고 먹을 수 없게 크기가 큰 경우 대개 조금씩 나누어 먹기에 편리하도록 플라스틱 사출물 또는 압축 종이 등의 재질로 된 막대를 이용하여 보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사탕은 성인보다는 어린이들이 주로 애용하는 군것질거리이나 이를 포장하여 보관하는 사탕 막대는 어린이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목적 및 용도 이외에는 별다른 목적 및 용도가 없다.
따라서, 종래 사탕 막대는 사탕의 보관에는 적합하나 사탕을 다 먹은 다음 그대로 폐기하는 문제점이 있고, 새로운 것과 특이한 것을 원하는 어린이들의 취향에 부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사탕을 먹는 것이 편리하도록 함과 동시에 사탕을 먹고 있는 동안 음의 발생이 가능하도록 하여 새로운 것과 특이한 것을 원하는 어린이들의 취향에 부합되고, 사탕을 다 먹은 다음 장난감으로 재활용이 가능한 사탕 막대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사탕 막대 손잡는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해, 표면에 연속 형성된 요철에 의해 소리산이 형성된 사탕 막대와, 사탕 막대가 끼워져 상하 승강이동되고 끼워진 사탕 막대의 일부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노출공이 형성된 손잡이 본체와, 손잡이 본체의 내부에서 노출공을 따라 상하로 승강 이동하면서 요철부를 긁어 소리를 발생시키는 승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사탕 막대 손잡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사탕 막대 손잡이의 횡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사탕 막대 손잡이의 종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사탕 막대 손잡이의 승강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사탕 막대 11 : 요철
20 : 손잡이 본체 30 : 승강부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사탕 막대 손잡이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사탕 막대 손잡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사탕 막대 손잡이의 횡단면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사탕 막대 손잡이의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사탕 막대 손잡이는 표면에 요철(11)이 형성된 사탕 막대(10)와, 사탕 막대가 끼워져 상하 승강이동되고 끼워진 사탕 막대의 일부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노출공(21)이 형성된 손잡이 본체(20)와, 손잡이 본체의 내부에서 노출공을 따라 상하로 승강 이동하면서 요철부를 긁어 소리를 발생시키는 승강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탕 막대(10)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여 봉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외주연에 요철(11)이 형성되도록 사출 성형하여 구성한다.
여기서, 요철(11)은 축음기의 레코드판에 형성되는 소리골에 해당하는 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소리산의 역할을 하게 된다.
손잡이 본체(20)는 양단이 개구된 중공형태의 봉으로 구성되고, 봉의 외주연으로 노출공(21)이 장방향으로 상하 길게 형성되어 손잡이 본체 내부로 꽂혀진 사탕 막대(10)가 외부에 노출된다.
그리고, 손잡이 본체의 개구된 양단을 막는 제1 캡(22)및 제2 캡(23)이 각각 형성되고, 제1캡(22)은 손잡이 본체 내부로 사탕 막대(10)가 꽂혀지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제2캡(23)은 손잡이 본체에 꽂혀진 사탕 막대가 빠지지 않도록 관통공이 형성되지 않는다.
승강부재(30)는 손잡이 본체(20)내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탕 막대(10)가 끼워지게 구멍(32)이 형성된 승강환(31)과, 승강환의 외주연에 결합되되 일단이 손잡이 본체(20)외부까지 돌출되고 타단이 구멍(32)내부로 돌출 형성된 승강날개(33)와, 승강날개의 타단에 형성되어 구멍(32)에 끼워진 사탕 막대의 요철부와 접촉되는 바늘(34)로 구성된다.
즉, 승강부재(30)와 사탕 막대의 요철(11)은 회전하는 레코드판의 소리골과 축음기의 바늘에 의해 소리를 발생시키는 소리재생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레코드판의 소리골 대신 사탕 막대(10)의 표면에 요철(11)을 형성하여 소리산을 형성하고, 축음기의 바늘 대신 승강날개(22)에 바늘(23)을 형성하여 승강환(31)이 사탕막대의 외주연에서 상하로 승강 이동함에 따라 승강 날개의 바늘이 요철부를 긁어 소리가 발생되도록 하여 재생음의 발생을 유도한 것이다.
요철(11)은 사탕 막대(10)의 표면에 상하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사탕 막대(10)가 손잡이 본체(20)에 끼워지면 노출공(2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사탕막대(10)가 승강환(31)에 끼워지면 바늘(34)과 접촉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사탕 막대 손잡이는 사탕 막대가 손잡이 본체에 꽂혀짐으로써 사탕을 오래 먹을 수 있도록 파지하기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손잡이 본체 또는 사탕 막대의 상하 이동에 따라 소리가 발생되어 사탕을 먹는 사람에게 흥미를 유발시키게 된다.
즉, 사탕은 요철(11)이 형성된 사탕 막대(10)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사탕을 오래 먹을 수 있게 되고, 사탕이 부착된 사탕 막대(10)를 승강 부재(30)가 결합된 손잡이 본체(20)의 제1캡(22)으로 꽂으면 승강 부재의 날개(34)에 형성된 바늘(34)과 사탕막대의 요철부가 서로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사람이 사탕을 입에 물고 손잡이 본체(20) 전체를 상하로 이동시키면 이에 연동하여 승강 부재의 바늘(34)이 상하로 이동하게 되고, 바늘이 요철부를 긁어 소리를 발생시키게 되는데 이 소리는 축음기의 소리 재생원리를 이용한 것이며, 발생된 소리는 사탕 막대(10)를 통해 사람의 입으로 전달되어 사람의 두부(頭部)에서 공명(共鳴)된다. 이 공명원리는 축음기의 확성기의 원리와 동일하다.
따라서, 사탕을 물고 있는 사람은 입을 통해 발생된 소리를 느낄 수 있게 되어 흥미가 유발된다.
또한, 사탕을 입에 물은 상태에서 사탕 막대(10)전체를 상하로 이동시켜도 손잡이 본체(2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과 동일하게 바늘(34)이 요철부를 긁어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사탕 막대 손잡이는 사탕을 오래 동안 먹을 수 있도록 사탕을 지지함과 동시에 사탕을 먹고 있는 사람이 바늘과 요철부의 상호 긁힘에 의해 발생되는 소리를 직접 느낄 수 있어 사탕을 먹는 것 이외에 흥미를 느낄 수 있게 된다.
특히 어린이의 경우 사탕을 먹는 동안 발생되는 소리에 의해 새로운 흥미 및 특이함을 더욱더 느낄 수 있게 되고, 사탕을 다 먹은 다음에도 장난감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표면에 연속 형성된 요철(11)에 의해 소리산이 형성된 사탕 막대(10)와;
    상기 사탕 막대가 끼워져 상하 승강이동되고 끼워진 상기 사탕 막대의 일부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노출공(21)이 형성된 손잡이 본체(20)와;
    상기 손잡이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노출공을 따라 상하로 승강 이동하면서 상기 요철부를 긁어 소리를 발생시키는 승강부재(30)로 이루어진 사탕 막대손잡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부재(30)는 상기 사탕 막대(10)가 끼워지는 구멍(32)이 형성된 승강환(31)과;
    상기 승강환의 외주연에 결합되되 일단이 상기 노출공(21)외부으로 돌출되고 타단이 상기 구멍 내부로 돌출 형성된 승강날개(33)와;
    상기 승강날개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구멍에 끼워진 상기 사탕 막대의 요철부와 접촉되는 바늘(34)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사탕 막대 손잡이.
KR2020010023267U 2001-07-31 2001-07-31 사탕 막대 손잡이 KR2002523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267U KR200252349Y1 (ko) 2001-07-31 2001-07-31 사탕 막대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267U KR200252349Y1 (ko) 2001-07-31 2001-07-31 사탕 막대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2349Y1 true KR200252349Y1 (ko) 2001-11-23

Family

ID=73106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3267U KR200252349Y1 (ko) 2001-07-31 2001-07-31 사탕 막대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234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21835A (en) Sound producing straw
US6692330B1 (en) Infant toy
US5681200A (en) Toy telephone with integral lollipop holder
CN206851706U (zh) 一种两次成型的宠物玩具
US20070065792A1 (en) Dental hygiene tutorial toy
GB2250209A (en) Puzzle toy
CA2687252C (en) Novelty candy device
KR200252349Y1 (ko) 사탕 막대 손잡이
JPS59501447A (ja) おしゃべり人形玩具
ATE153901T1 (de) Universaldübel
US5163863A (en) Action toy
KR200382580Y1 (ko) 유아용 칫솔
KR200250920Y1 (ko) 과자 포장용기
US3859029A (en) Snow molding apparatus
KR20080042605A (ko) 완구용 착탈식 기능성 젓가락
JP3091779U (ja) 玩具用積木
TWM606698U (zh) 附糖果串的飲料容器
JP3041528U (ja) 教材玩具
JP2572836Y2 (ja) スタンプ玩具
JP2534391Y2 (ja) 手投げ玩具兼用の応援用具
JP3104212U (ja) 縫いぐるみ玩具
JPH0626312Y2 (ja) ジグソーパズル玩具
JPH0348077Y2 (ko)
JPS6135055Y2 (ko)
CN108245910A (zh) 一种儿童拼字积木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1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