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7130Y1 - 차량냉,난방시스템의오염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냉,난방시스템의오염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7130Y1
KR200247130Y1 KR2019980007180U KR19980007180U KR200247130Y1 KR 200247130 Y1 KR200247130 Y1 KR 200247130Y1 KR 2019980007180 U KR2019980007180 U KR 2019980007180U KR 19980007180 U KR19980007180 U KR 19980007180U KR 200247130 Y1 KR200247130 Y1 KR 2002471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heating system
cooling
mode
damp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71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0653U (ko
Inventor
박우식
Original Assignee
황한규
만도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한규, 만도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황한규
Priority to KR20199800071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7130Y1/ko
Publication of KR199900406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06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71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7130Y1/ko

Links

Landscapes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냉, 난방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을 시에 차량용 냉, 난방 시스템을 차량의 내, 외부로부터 기류와 함께 유입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는 차량의 냉, 난방 시스템 오염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은 냉, 난방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는 기후인 경우에도 내외기 유입 댐퍼(12)는 내측/외측 공기 변환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서 (a) 또는 (b)위치 중 한곳에 고정되어야 하므로, 항시 기류가 내외기 유입 댐퍼(12)가 단속적으로 제어하는 내기 유입구, 외기 유입구 중의 하나로 유입되며, 또한, 모드 변환 스위치를 조작하여도 제 1, 제 2, 제 3 토출 댐퍼(24 26, 28) 중에 적어도 하나의 댐퍼는 열려 있기 때문에 차량 내부에서 냉, 난방 시스템 내부로 먼지 등의 오염물질을 함유한 기류가 유입되어 냉, 난방 시스템 내부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는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차량의 냉방 시스템 또는 난방 시스템이 사용중이 아닌 경우에 모든 댐퍼를 닫아 차량의 외부 및 내부에서 냉난방 시스템의 덕트(312) 내로 기류와 함께 유입되는 먼저 등의 이물질의 유입을 막음으로서, 차량 내의 냉방기 및 난방기의 작동 시에 차량 내부의 기류의 오염을 막는다.

Description

차량 냉, 난방 시스템의 오염 방지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THE POLLUTION TO THE COLLER AND HEATER IN A VEHICLE}
본 고안은 차량내 냉, 난방 시스템의 오염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냉, 난방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을 시에 차량용 냉, 난방 시스템을 차량의 내, 외부로부터 기류와 함께 유입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는 차량의 냉, 난방 시스템 오염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냉, 난방 시스템은 차내, 외의 기류를 공조기로 보내 계절에 맞도록 온도를 조절한 다음 덕트를 통해 필요한 장소로 공급하게 되어 있다. 또한, 덕트에는 복수개의 댐퍼가 설치되어 있고, 이 댐퍼는 운전석 옆에 구비된 모드 변환 스위치 및 내측/외측 공기 변환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단속적으로 기류의 흐름을 제어하게 되며, 이로써 각각의 스위치에 따른 기능에 따라 차량 내의 필요한 장소 및 유입되는 기류를 선택하여 공급 또는 토출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에서의 냉, 난방 시스템의 오염 방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먼저, 여름철에 냉방시스템을 가동시키면, 증발기(20)가 가동되면서 내외기 유입댐퍼(12)가 운전자에 의한 내측/외측 공기 변환 스위치의 전환에 따라, 내부 유입 댐퍼 모드와, 외부 유입 댐퍼 모드 중의 하나로 선택된다. 내기 유입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내외기 유입 댐퍼(12)가 (a)위치로 변경되어 외기의 유입 통로를 막고 내기를 유입 받으며, 외기 유입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내외기 유입 댐퍼(12)가 (b)위치로 변경되어 내기의 유입 통로를 막고 외기를 유입 받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외기 댐퍼(12)가 (a)위치 또는 (b)위치로 선택적으로 전환됨으로써, 내기 또는 외기의 통로 중 한쪽의 통로는 열리고 한쪽의 통로는 닫혀 외기 또는 내기 중 하나의 기류를 유입 받는다.
내기 또는 외기의 기류를 유입받고 구동모터(16)의 힘을 전달받은 송풍기(14)내 블레이드(도시 안됨)의 회전 운동에 의해 덕트(18)로 흡입된 기류가 냉풍 열교환기인 증발기(20)를 통과하면서 찬 기류로 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가열기(22)는 작동하지 않는다.
제 1, 제 2, 제 3 토출 댐퍼(24, 26, 28)는 증발기(20)에 의해 차거워진 찬 기류를 사용자의 모드 변환 스위치(도시안됨)의 선택에 따라 도시되지 않은 얼굴측 기류 배출구, 서리 제거용 배출구, 바닥측 배출구 등으로 선택적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냉방기능이 차량 내부에 균등하게, 또는, 차량 내부의 원하는 부위에만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겨울철에 난방시스템을 가동시킬 경우에는, 내외기 유입댐퍼(12)가 개방되어지고, 따라서, 송풍기(14)내 블레이드의 회전 운동에 의해 덕트(18)로 흡입된 기류가 가열기(22)를 통과함으로써 따듯한 기류로 바뀌게 되는 것이다. 이때, 증발기(20)는 작동하지 않는다.
상술한 따듯한 기류는 찬기류와 동일하게 운전자가 모드 변환 스위치를 조작하여 제 1, 제 2, 제 3 토출 댐퍼(24, 26, 28) 중 원하는 토출 댐퍼를 통하여 얼굴측 기류 배출구, 서리 제거용 배출구, 바닥측 배출구 등으로 선택적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난방 기능이 수행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은 냉, 난방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는 기후인 경우에도 내외기 유입 댐퍼(12)는 내측/외측 공기 변환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서 (a) 또는 (b)위치 중 한곳에 고정되어야 하므로, 항시 기류가 내외기 유입 댐퍼(12)가 단속적으로 제어하는 내기 유입구, 외기 유입구 중의 하나로 유입되며, 또한, 모드 변환 스위치를 조작하여도 제 1, 제 2, 제 3 토출 댐퍼(24 26, 28) 중에 적어도 하나의 댐퍼는 열려 있기 때문에 차량 내부에서 냉, 난방 시스템 내부로 먼지 등의 오염물질을 함유한 기류가 유입되어 냉, 난방 시스템 내부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는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차량용 냉, 난방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을 때, 먼지 등의 이물질의 유입으로 시스템 내부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의 냉, 난방 시스템 오염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복수개의 유입구 및 토출구를 구비된 덕트와, 상기 덕트에 구비된 유입구 및 토출구의 개폐를 제어하는 스위치인 모드 스위치를 구비한 차량의 냉, 난방기 시스템의 오염 방지 장치에 있어서, 냉방기 또는 난방기가 동작중이 아닌 경우 모드 스위치의 오프 모드(off mode)에 의해 폐쇄되어지는 내기 유출 댐퍼와, 냉방기 또는 난방기가 동작중이 아닌 경우 모드 스위치의 오프 모드에 의해 폐쇄되어지는 외기 유출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냉, 난방 시스템의 오염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통상적인 차량에서의 냉, 난방 시스템의 오염 방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에서의 모드 스위치와 덕트에 설치된 댐퍼들간의 연결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에서의 냉, 난방 시스템의 오염 방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모드 스위치 202 : 연동 수단
204, 206 : 내, 외기 유입 댐퍼
218, 220, 222 : 제 1, 제 2, 제 3 토출 댐퍼
302: 차체 308 : 송풍기
310 : 구동 모터 312 : 덕트
314 : 증발기 316 : 가열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차량에서의 모드 스위치와 덕트에 설치된 댐퍼들간의 연결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모드 스위치(200)는 3가지의 모드, 즉, 내기 모드, 외기 모드 및 오프 모드로 구분되어 운전자에 의해 설정된다. 일 예로, 모드 스위치(200)의 형태는 바(bar) 형태와 로터리(rotary) 형태로 구성 가능하다.
연동 수단(202)은 모드 스위치(200)의 위치에 따라 해당 각각의 댐퍼(204, 206, 218, 220, 222)들을 열거나 닫도록 하는 동력을 전달하여 해당 댐퍼(204, 206, 218, 220, 222)로 하여금 기류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한다.
내기 유입 댐퍼(204)는 모드 스위치(200)가 내기 모드에 위치한 경우에 연동 수단(202)로부터 동력을 받아 열리도록 하며, 외기 모드 및 오프 모드에서는 연동 수단(202)로부터 동력을 받아 폐쇄되어 덕트내로 유입되는 기류의 흐름을 막는다.
외기 유입 댐퍼(206)는 모드 스위치(200)가 외기 모드에 위치한 경우에 연동 수단(202)로부터 동력을 받아 열리도록 하며, 내기 모드 및 오프 모드에서는 연동 수단(202)로부터 동력을 받아 폐쇄되어 덕트 내로 유입되는 기류의 흐름을 막는다.
그리고, 각각의 제 1, 제 2, 제 3 토출 댐퍼(218, 220, 222)는 내기 모드 또는 외기 모드에 따라 외기 또는 내기를 받아들인 덕트의 차량의 내부측에 위치하여 운전자가 모드 변환 스위치(도시 안됨)를 조작함에 따라 제 1, 제 2, 제 3 토출 댐퍼(218, 220, 222) 중 선택된 토출 댐퍼를 통하여 각각 얼굴측 기류 배출구, 서리 제거용 배출구, 바닥측 배출구 중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통하여 차량의 내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모드 스위치(200)가 오프 모드인 경우에는 연동 수단(202)로부터 동력을 받아 제 1, 제 2, 제 3 토출 댐퍼(218, 220, 222) 중 모드 변환 스위치에 의해 열려진 덕트로 유입 가능한 기류의 입구를 모두 폐쇄되도록 함으로써 냉, 난방 시스템이 사용중이 아닌 경우에는 기류와 함께 유입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냉, 난방 시스템의 덕트 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냉, 난방 시스템의 오염 방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차량 냉, 난방 시스템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외양을 이루는 차체(302)에는 차량 외부로부터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 유입구(301)와, 외기 유입구(301)의 측면에 위치하며, 덕트(312)의 차체(302)측에 가까운 홈을 통하여 내기가 유입되도록 한 내기 유입구(30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덕트(312)로 유입되는 내기 또는 외기를 운전석에 설치된 모드 스위치(200)를 조작하는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내기 유입구(303) 또는 외기 유입구(301)를 개폐하여 내기 또는 외기의 유입을 단속하는 내기 유입 댐퍼(204) 및 외기 유입 댐퍼(206)와, 내기 또는 외기를 받아 경우 냉, 난방 시스템의 덕트(312) 내부로 블레이드의 회전력으로 형성된 기류를 차량의 내부측에 가까운 덕트로 공급하는 송풍기(308)와, 송풍기(308)에게 동력을 공급하여 블레이드가 회전하도록 하는 구동 모터(310)와, 송풍기(308)로부터 유입된 기류를 받아 냉매를 증발시켜 찬 기류를 발생시키는 증발기(314)와, 송풍기(308)로부터 받은 기류를 유입 받아 따듯한 기류를 발생시키는 가열기(316)와, 모드 스위치(200) 및 모드 변경 스위치를 운전자가 조작함에 따라 연동하여 개폐되며, 차량 내부측의 덕트(312)에 연결되어 상술한 따듯한 기류 또는 찬 기류를 차량의 내부의 각 부위로 공급하도록 하는 제 1, 제 2, 제 3 토출 댐퍼(218, 220, 222)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내기 유입 댐퍼(204) 및 외기 유입 댐퍼(206)가 별도로 구성되며, 외기 모드, 내기모드 및 오프 모드의 3가지 모드로 설정하였기 때문에, 운전자가 운전석에 설치된 모드 스위치(200)를 조작하여 외기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내기 유입 댐퍼(204)를 폐쇄시키고 외기 유입 댐퍼(206)를 통하여 외기가 유입되도록 하고 운전자에 의해 조작된 모드 변환 스위치를 통하여 제 1, 제 2, 제 3 토출 댐퍼(218, 220, 222) 중 적어도 하나의 댐퍼를 통하여 토출 되도록 하며, 운전자가 운전석에 설치된 모드 스위치를 조작하여 내기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외기 유입 댐퍼(206)를 폐쇄시키고 내기 유입 댐퍼(204)를 통하여 내기가 유입되어 운전자에 의해 조작된 모드 변환 스위치를 통하여 제 1, 제 2, 제 3 토출 댐퍼(218, 220, 222) 중 적어도 하나의 댐퍼를 통하여 토출 되도록 한다. 또한, 냉, 난방 시스템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 운전자가 운전석에 설치된 오프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외기 및 내기와 함께 유입되는 먼지 등의 오염물질을 막기 위하여 외기 유입 댐퍼(206) 및 내기 유입 댐퍼(204)를 폐쇄키고, 제 1, 제 2, 제 3 토출 댐퍼(218, 220, 222) 중 운전자가 조작한 모드 변환 스위치에 의해 열린 해당 댐퍼를 모두 폐쇄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오염 방지 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송풍기(308)는 냉, 난방 시스템 작동 스위치와 강약을 조절하는 스위치를 겸용하는 스위치와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하며, 구동 모터(310)에서 동일축을 통하여 전달받은 동력에 따른 회전운동을 내부에 구비한 블레이드로 전달하여 내기, 외기 유입 댐퍼(204, 206)측의 덕트(312)에서 형성된 기류를 차량의 내부의 각 부위로 통하는 차량 내부에 가까이 위치한 덕트(312)로 보낸다.
구동 모터(310)는 동일축을 통하여 송풍기(308)로 동력을 전달하여 송풍기(308)기로 하여금 블레이드로 회전운동을 전달하도록 한다.
증발기(314)는 덕트(312)내에서 송풍기(308)를 통하여 유입된 기류의 온도를 떨어뜨려 찬 기류를 발생시킨다.
또한, 가열기(316)도 덕트(312) 내에서 송풍기(308)를 통하여 유입된 기류의 온도를 높여 따듯한 기류를 발생시킨다.
운전자는 증발기(314)에 의해 차거워진 찬기류 및 가열기(316)에 의해서 따듯해진 따듯한 기류를 받아 차량의 내부측에 가깝게 위치한 덕트(312)의 토출구를 단속하는 제 1, 제 2, 제 3 토출 댐퍼(218, 220, 222) 중 원하는 토출 댐퍼를 선택하여 차량의 각 부위로 유입되는 도시되지 않은 얼굴측 기류 배출구, 서리 제거용 배출구, 바닥측 배출구로 선택적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냉방, 또는, 난방 기능이 수행되어지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차량의 냉방 시스템 또는 난방 시스템이 사용중이 아닌 경우에 모든 댐퍼를 닫아 차량의 외부 및 내부에서 냉난방 시스템의 덕트(312) 내로 기류와 함께 유입되는 먼저 등의 이물질의 유입을 막음으로서, 차량 내의 냉방기 및 난방기의 작동 시에 차량 내부의 기류의 오염을 막는다.

Claims (2)

  1. 복수개의 유입구 및 토출구를 구비한 덕트, 상기 복수개의 유입구 및 토출구의 개폐를 제어하는 스위치인 모드 스위치를 구비한 차량의 냉, 난방기 시스템의 오염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방기 또는 상기 난방기가 동작중이 아닌 경우 상기 모드 스위치의 오프 모드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유입구 중 내기 유입을 위한 유입구를 폐쇄시키는 내기 유출 댐퍼;
    상기 냉방기 또는 상기 난방기가 동작중이 아닌 경우 상기 모드 스위치의 오프 모드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유입구 중 외기 유입을 위한 유입구를 폐쇄시키는 외기 유출 댐퍼를 포함하는 차량 냉, 난방 시스템의 오염 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스위치의 오프 모드는,
    상기 각 토출구에 대응하는 각 토출 댐퍼 중 열린 토출 댐퍼를 모두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냉, 난방 시스템의 오염 방지 장치.
KR2019980007180U 1998-05-04 1998-05-04 차량냉,난방시스템의오염방지장치 KR2002471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7180U KR200247130Y1 (ko) 1998-05-04 1998-05-04 차량냉,난방시스템의오염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7180U KR200247130Y1 (ko) 1998-05-04 1998-05-04 차량냉,난방시스템의오염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653U KR19990040653U (ko) 1999-12-06
KR200247130Y1 true KR200247130Y1 (ko) 2002-03-09

Family

ID=69513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7180U KR200247130Y1 (ko) 1998-05-04 1998-05-04 차량냉,난방시스템의오염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71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26358A3 (en) * 2019-05-03 2020-12-17 Cj 4Dplex Co., Ltd. Special effect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26358A3 (en) * 2019-05-03 2020-12-17 Cj 4Dplex Co., Ltd. Special effec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653U (ko) 1999-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8530B1 (ko) 차량용 공조 장치
EP0823344B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vehicles with continuous flow of refrigerant
CA2335004A1 (en) Air mix damper device and vehicle air conditioner
JP2004352085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247130Y1 (ko) 차량냉,난방시스템의오염방지장치
KR101453361B1 (ko) 자동차 공기조화장치
SK282786B6 (sk) Klimatizačné zariadenie do motorových vozidiel
KR100566804B1 (ko) 환기장치
JPH07276971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40061633A (ko) 차량의 에어컨디셔너 냉기를 이용한 냉장박스
JPH0858358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H09263120A (ja) 自動車用空調装置
KR19980052340U (ko) 차량의 냉난방용 공조시스템
JP2000043538A (ja) 空気調和装置
KR200181124Y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블로워모터 냉각장치
KR20100065877A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475947B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
JP2000238526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821304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JP3325383B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KR20020004123A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히터코어의 워터밸브어셈블리
JP3476043B2 (ja) バスの運転席用空調装置
JP2661035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210610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JPH08132851A (ja) 車両用空調装置および車両用空調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