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2766Y1 - 몸체와 일체형인 뚜껑겸용 공기인입구를 갖는 프라스틱용기 - Google Patents

몸체와 일체형인 뚜껑겸용 공기인입구를 갖는 프라스틱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2766Y1
KR200242766Y1 KR2020010004569U KR20010004569U KR200242766Y1 KR 200242766 Y1 KR200242766 Y1 KR 200242766Y1 KR 2020010004569 U KR2020010004569 U KR 2020010004569U KR 20010004569 U KR20010004569 U KR 20010004569U KR 200242766 Y1 KR200242766 Y1 KR 2002427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let
container
lid
handle
inc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45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남승
Original Assignee
정남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남승 filed Critical 정남승
Priority to KR20200100045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27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27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2766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상 용 프라스틱 용기의 공기인입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히는 용기 내 액체의 순조로운 토출을 위하여 토출구 이외에 또 하나의 구멍을 몸체와 일체형으로 구성하는 뚜껑겸용 공기인입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프라스틱 용기 내용물이 토출 시 용기 내 진공상태가 야기됨으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용기에 형성하는 별도의 공기인입구를 프라스틱 용기 제작 시 몸체와 일체형으로 절개형 뚜껑으로 사용되는 공기인입구를 형성하여 내용물을 토출시킬 때에 공기인입구를 손으로 쉽게 절개 개방하여 액상 내용물의 토출을 순조롭게 하며, 또한 토출 후 용기 내 잔존물이 있거나 이동이 필요할 때 공기인입부위 중 절개 취출된 절개손잡이를 닫아 뚜껑으로 활용함으로서 별도로 제작된 뚜껑이 필요하지 않으며 기존의 뚜껑과 같이 재사용도 가능하게 한 몸체와 일체형의 뚜껑겸용 공기인입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스틱 용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몸체와 일체형인 뚜껑겸용 공기인입구를 갖는 프라스틱 용기 {Plastic Containers with a Air Hole and Cap as a one body}
본 고안은 본체와 일체형으로 성형된 뚜껑 겸용 공기인입구를 가진 프라스틱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와 같은 용기는 중공성형으로 제작되는바, 몸체(300) 제작 시 몸체와 일체형으로 뚜껑겸용이 되는 공기인입구부위(10)를 중공성형으로 형성하고, 사용 시 손으로 쉽게 절개개방하여 외부와 통기를 시키며, 또한 용기의 재사용을 위하여 절개된 절개손잡이(11)를 몸통 상부로 개방된 공기인입구본체(14) 위로 막아 내용물과 외부를 차단하는 뚜껑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몸통과 일체형의 뚜껑겸용 공기인입구를 가진 프라스틱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프라스틱 용기는 공기구멍을 날카로운 금속으로 뚫어서 쓰는 초보적인 것부터, 별도의 공기인입구를 형성한 프라스릭 용기등 다양하나 공기인입구를 몸체에 형성한 후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하고 외부와 차단을 위한 뚜껑을 별도공정으로 제작하여 닫아야 함으로서 별도의 금형과 공정이 필요하여 이에 별도로 소요되는 재료비, 인건비 및 시간은 프라스틱 용기의 생산비를 높이게 되고 사용상 번거로움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프라스틱 용기의 중공성형(中空成型) 시 용기몸체와 동시에 필요한 공기인입구부위를 성형함에 있어서 공기인입구가 쉽게 절개개방되기 위하여 절개되는 부위의 두께를 얇게 성형하여야 하는데, 중공성형 공정에서 성형두께는 수직면에 비하여 수평면이 얇아지는 특성을 이용하여 절개면을 몸체와 공기인입구의 절개부 사이 연결접면을 수직면으로 설계하여 개방이 쉬운 절개면으로 되도록 형성하며 또한 절개취출된 부위를 뚜껑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몸체에 절개한 후 남아있는 수직 공기인입구 위로 씌울 수 있는 구조로 하는 몸체와 일체형인 뚜껑겸용 공기인입구를 갖는 프라스틱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정면도(A)와 평면도(B)
도 3은 본 고안의 뚜껑의 절개개방과 재 결착의 실시도
A : 몸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공기인입구부위
B : 절개손잡이를 절개개방한 상태도
C : 절개된 분분을 다시 뚜껑으로 덮었을 때의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공기인입구부위의 상세도
A : 공기인입구부위의 단면도
B : 공기인입구부위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식음료 용 용기에 적용한 실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공기인입구 부위 11 : 절개손잡이
12 : 손잡이 내공 13 : 절개면
14 : 공기인입구 본체 15 : 몸체 결착부
16 : 공기인입 통로 17 : 절곡부
18 : 훅크 돌기
20 : 토출구 21 : 토출구 뚜껑
100 : 몸체 손잡이 200 : 윗 손잡이
300 : 몸체 400 : 상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뚜껑겸용의 공기인입구부위가 프라스틱용기 몸체와 일체로 구성되는바, 이하 첨부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기인입구를 가진 통상의 프라스틱 용기는 용기몸체에는 액상 내용물을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와 토출 시 용기 내에 발생하는 진공상태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른 한편에 공기인입구가 있고 운반과 토출작업을 위하여 몸체손잡이가 있고 용기의 크기에 따라서는 윗손잡이로 구성된다.
제 3도와 제 4도는 본 고안의 프라스틱 용기몸체(300)와 일체형으로 형성시킨 공기인입구부위(10)의 구성과 작용도로서, 도 3의 A는 중공성형으로 몸체(3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B는 윗손잡이(200)와 일직선상에 타 부위보다 비교적 큰 두께를 가지게 형성된 절개손잡이(11)를 손으로 좌 또는 우측으로 강제회전 시키면 몸체(300)에서 수직으로 형성된 공기인입구본체(14)의 상단과 절개손잡이(11)의 손잡이내공(12)과 수평면으로 맞닿는 절개면(13)이 절개되고 절개손잡이(11)가 절취되면서 공기인입통로(16)가 개방되어 토출작업이 순조롭기 위한 공기가 인입되는 구성이며 , C는 기이 절취된 절개손잡이(11)를 용기의 재사용을 위하여 몸체(300)의 본체결착부(15)로부터 수직으로 오른 공기인입구본체(14)의 절곡부(17)로부터 아래로 밀어내려 하단부에 고정되어 뚜껑효과를 갖는 구성이다.
제 4도로 좀 더 자세히 본 고안의 프라스틱 용기 몸체와 일체형의 공기인입구부위(10)에 관하여 설명하면, 제 4도 A와 B에서, 상단의 절개손잡이(11)는 일정두께를 가지고있어 손으로 돌리는 압력을 이기도록 설계되었고 그 내부에는 손잡이내공(12)이 있고 손잡이내공(12)의 내경에서 그 보다 작은 지름의 공기인입구본체(14) 상단의 절곡부(17) 외경의 끝과 원띠 형상의 절개면(13)으로 맞닿는데 프라스틱의 중공성형 시 절개면(13)이 수평상태임으로 면이 얇게 형성되는 중공성형의 특성이 작용하여 절개면(13)은 절개손잡이(11)와 공기인입구본체(14)보다 두께가 얇아짐으로 절개손잡이(11)에 압력을 주어 돌리면 절개면(13)이 먼저 절개되어 절개손잡이(11)가 떨어져 나오며 공기인입통로(14)가 외부로 개방되어 외부공기가 용기 내로 인입되어 토출작업에 지장요인인 용기 내 진공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용기 내의 잔재된 내용물을 보관하거나 또는 이송 시, 개방되었던 절개손잡이는(11)는 몸체(300)에 상부에 형성되어있으며 본체결착부(15)로부터 시작하여 상단부분의 내경이 좁아진 절곡면(13)에 이르는 공기인입구본체(14)로 손잡이내공(12)이 여유있게 씌워질 수 있으며 절개손잡이(11)에 힘을 가해 누르면 외경이 넓어지면서 내려가다가 공기인입구본체(14) 하단에 띠 쐐기모양의 훅크돌기(18)를 넘어서 후크돌기(18)에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뚜껑 기능을 발휘하는데, 이 때 절개손잡이(11)에 하단 내면에 아직 남아있는 절개면(13)의 일부 절개부분이 씰링역활을 하도록 구성되어 쉽게 절개되고 또한 쉽게 뚜껑으로 닫아 쓸 수 있는 것이 특징인 공기인입구부위(10)를 구성하고 이는 몸통(300)과 한 몸으로 중공성형이 되어 생산비를 낮추게 된다.
제 5도는 본 고안을 일반 식음료(食飮料) 용인 소형 프라스틱 용기(1리터 이하)인 탄산수 류, 쥬스 류, 식혜 류, 드링크 류 등에 적용한 상태도로서, 소형용기에는 토출구와 공기인입구로 2개를 각기 형성할 수 없어 토출구만 형성되는데 대형 프라스틱 용기와 같이 토출구 뚜껑을 별도로 제작하여 씌워야 하고 또 사용 후 내용물이 남아있게 보관할 경우 뚜껑을 용이하게 닫을 수 있는 용기몸체(300)와 일체형으로 본 고안의 절개손잡이(11)를 상단에 형성하고 손잡이내공(12)과 공기인입구본체(14)를 연결하는 절개면(13)을 수평으로 되도록 설계하여 중공성형의 원리에 의하여 주위보다 얇은 면으로 형성시키어 개봉을 용이하게 하고, 내용물이 남아서 용기에 뚜껑을 다시 막아야 하는 경우에 절개손잡이(11)를 공기인입구본체(14) 상단에 구경이 좁아지는 절곡부(17) 위로 가압하여 손으로 누르면 손잡이내공(12)은 절곡부(17) 위로 덥어 씌워지며 프라스틱의 연신성으로 구경이 약간 늘어나며 공기인입구본체(14) 하단으로 내려가 하단 끝 부위에 띠 쐐기 모형으로 형성된 훅크돌기(18)를 넘으면서 절개손잡이(11)는 뚜껑으로서 고정되며 이 때 절개면(13) 일부 잔존부분은 손잡이내공(12)과 공기인입구본체(14) 사이에서 씰링역할을 하며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하여 모든종류의 식음료 용 소형 프라스틱 용기에 적용이 가능하여 식음료 용기의 생산비를 낮춘다.
이상과 같은 대형 프라스틱 용기 몸체에 일체형으로 뚜껑 역활을 겸하도록 구성된 공기인입구 또는 소형 프라스틱 식음료 용기의 개봉 마구리를 본 고안으로 적용하면, 몸체 성형 시 같이 성형된 뚜껑 역활 겸용 공기입입구 또는 마구리를 제공하게 됨으로서 용기뚜껑을 별도로 제작하여 덮을 필요가 없게되어 인건비, 금형비, 생산공정의 단축 등의 효과가 있으며 용기의 사용자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프라스틱 용기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액상 내용물 용 대형 프라스틱 용기에 토촐구(20) 이외에 공기인입구 부위(10)를 용기 몸체(300)가 일체형으로 형성함에 있어서 절개손잡이(11)와 손잡이 내공(12)을 형성하여 본체결착부(15)에서 공기인입구본체(14)가 수직으로 상승하여 절곡부(17)에서 구경을 좁힌 후 절개손잡이(11) 하단과 맞닿는 면을 얇게 형성되게 수평으로 구성하여 절개손잡이(11)를 강제회전 시킬 때 쉽게 절개되는 절개면(13)을 형성하고 개방되면 외부공기 인입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며, 용기의 재사용을 위하여 절개된 부위를 공기인입구본체(14) 위로 덮어 가압하면 하단부로 내려와 공기인입구본체(14) 하단에 띠 쐐기상태로 형성된 훅크돌기에 절개손잡이(11) 하단이 물리어 쉽게 빠지지 않으며 내용물이 밖으로 유출되지 않게 뚜껑역활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별도로 제작되는 뚜껑이 필요하지 않는 몸체(300)와 일체형의 뚜껑겸용 공기 인입구부위(10)를 갖는 약품 및 식음료용 프라스틱 용기
  2. 청구항2는 삭제 되었습니다.
KR2020010004569U 2001-02-21 2001-02-21 몸체와 일체형인 뚜껑겸용 공기인입구를 갖는 프라스틱용기 KR2002427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569U KR200242766Y1 (ko) 2001-02-21 2001-02-21 몸체와 일체형인 뚜껑겸용 공기인입구를 갖는 프라스틱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569U KR200242766Y1 (ko) 2001-02-21 2001-02-21 몸체와 일체형인 뚜껑겸용 공기인입구를 갖는 프라스틱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2766Y1 true KR200242766Y1 (ko) 2001-10-06

Family

ID=73096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4569U KR200242766Y1 (ko) 2001-02-21 2001-02-21 몸체와 일체형인 뚜껑겸용 공기인입구를 갖는 프라스틱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276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2230A (en) Carbonated beverage bottle
US3524566A (en) Straw slot for container closure
EP1947024B1 (en) Container for food and beverage
US20110049169A1 (en) Vented closure for container
US4520936A (en) Blow moulded plastic containers
US7506784B2 (en) Spout assembly with vertically movable spouting guide member
KR200242766Y1 (ko) 몸체와 일체형인 뚜껑겸용 공기인입구를 갖는 프라스틱용기
KR20220160414A (ko) 통기수단을 갖는 액체수납용 말통
KR200271146Y1 (ko) 혼합주를 제조하기 위한 이중용기구조의 캔
JP4316201B2 (ja) 注出栓及び該注出栓を使用した容器
JP2999950B2 (ja) 注出キャップ
JP2007062780A (ja) 吐出キャップ
KR200292087Y1 (ko) 맥주캔
JP3330943B2 (ja) 流体収納容器
WO2002032777A1 (fr) Contenant de liquide et procede de remplissage de liquide de remplissage dans ledit contenant
JP3922743B2 (ja) 容器蓋
KR200383177Y1 (ko) 절취 마개를 갖는 용기 뚜껑
JP2001114307A (ja) チューブ容器一次成形品およびチューブ容器
JP2022031100A (ja) 注出キャップ
KR200190565Y1 (ko) 내용물 배출이 용이한 캔
KR200280845Y1 (ko) 용기 뚜껑
JP2016120938A (ja) 小出し可能な複合液出しキャップ
KR200194244Y1 (ko) 밀폐용기용 이중뚜껑
KR20040111284A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뚜껑
KR200258382Y1 (ko) 하부 토출구를 구비한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