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0414A - 통기수단을 갖는 액체수납용 말통 - Google Patents

통기수단을 갖는 액체수납용 말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0414A
KR20220160414A KR1020210068629A KR20210068629A KR20220160414A KR 20220160414 A KR20220160414 A KR 20220160414A KR 1020210068629 A KR1020210068629 A KR 1020210068629A KR 20210068629 A KR20210068629 A KR 20210068629A KR 20220160414 A KR20220160414 A KR 20220160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neck portion
neck
air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철
Original Assignee
박경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철 filed Critical 박경철
Priority to KR1020210068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0414A/ko
Publication of KR20220160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4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7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polygonal cross-section and all parts being permanently connected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2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물을 배출할 때 용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게 한 통기수단을 갖는 액체수납용 말통에 관한 것으로, 내용물을 수납하기 위한 용기본체의 상단에 운반을 위한 손잡이와 내용물의 주입,배출을 위하여 원통부에 개구홀이 형성된 네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네크부는 손잡이를 중심으로 일측으로는 제1네크부가, 타측으로는 제2네크부가 양측 단부에 이중 배치되며, 상기 제1,2네크부에는 나선체결부가 형성되어 제1네크부와 제2네크부에 각각 마개가 나선구조로 장착되어 밀봉이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제1,2네크부에 장착된 마개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내용물을 주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게 되는 액체수납용 말통에 있어서, 상기 제1네크부와 제2네크부는 원통부의 개구홀 직경이 어느 한쪽이 상대적으로 작고 다른 한쪽은 상대적으로 크게 유로크기를 달리하도록 형성하되, 개구홀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 측의 네크부는 원통부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선체결부에 요철패턴으로 구성된 흡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흡기부는 나선체결부가 형성된 원통부의 외주연 부분 중에서 나선체결부가 수직으로 절단된 구조를 갖도록 내입된 형상의 통기로를 형성하며, 상기 마개는 마개의 조임정도에 따라 완전히 밀봉되거나 용기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흡입량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덮개부 내면에 네크부의 원통부 상단과 맞닿아 통기로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돌출된 구조의 돌기림을 형성하여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배출할 때 꿀렁거림을 방지하도록 마개를 밸브로 활용하여 공기흡입량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기존에 사용하는 액체저장용 말통의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생산공정의 변화 없이 액체 내용물을 배출시킬 때 공기흡입이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함은 물론, 외부공기를 인입시키는 구조가 매우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통기수단을 갖는 액체수납용 말통{Liquid container with ventilation means}
본 발명은 물이나 기름, 액상 제품과 같은 다양한 액체를 보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액체수납용 말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용물을 배출할 때 용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게 한 통기수단을 갖는 액체수납용 말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이나 기름 등의 액체 내용물을 담아서 보관하는 용기 중의 하나로서, 일명 말통이라고 불리는 블로워 성형된 용기가 주로 사용된다.
말통은 곡식이나 액체 등을 한 말(약 18리터 내지 20리터)에 해당하는 분량을 담을 수 있는 수납용기를 말하는 것으로, 용기 상단에는 용기를 운반하거나 내용물을 배출할 때 용기를 기울여서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된다.
특히, 말통 중에서도 물이나 간장 등의 식품, 등유와 같은 액체를 보관하는 액체수납용 말통은 내용물을 배출할 때 유로가 막히면 꿀렁거림이 심하게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고, 목표한 곳에 깨끗이 따라지지 않아서 깔대기를 사용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리고 액체를 배출시킬 때 꿀렁거림 때문에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가 없고, 사용자가 들고 서있는 상태에서 배출시키는 것이 매우 힘이 들며, 용기의 기울어짐에 의하여 유로를 완전히 막아버리게 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액체가 배출구로 배출될 때 공기가 용기 내부로 흡입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액체를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방안이 제시된다.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22554호(1998.05.12.)에서는 손잡이 내측통로를 용기 내부로 연통되게 하고, 액체 유출구에 끼워 맞춤식으로 접속되는 소케트를 마련하여 통기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는 블로워 방식에 의하여 제작되는 액체수납용기의 특성상 제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제품화가 불가능하거나, 제품화가 가능하더라도 생산성이 지나치게 떨어지기 때문에 실용화가 매우 어렵다.
다른 예로, 등록실용신안 제20-040748호(2016.06.27.)에서는 주입구 내경에 내용물이 배출될 때 외부로부터 공기를 용기 내부로 유입시키는 통기부재를 마련하여 내용물이 원활히 배출되게 한 구조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이렇게 별도의 통기부재를 장착하는 구조는 생산성이 떨어지고 반드시 별도의 조립공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제작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여전히 상용화하기는 어려눈 문제가 있다.
또 다른 예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68258호(2013.07.26.)에서는 별도의 중간마개를 마련한 구조로서, 내용물을 배출하고자 하는 경우 중간마개의 통기로를 개방하여 용기내로 공기 흡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액체를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말통이 보급화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중간마개도 역시 기존의 설계를 크게 변경하여야 하고, 중간마개에 조립되는 밸브를 별도로 제작한 후 조립해야 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생산성과 가격경쟁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중간마개를 사용하는 방법은 밸브를 당겨서 사용한 후, 일정량 이상 내용물을 배출시킨 이후에 완전히 개방하여 사용하는데, 이러한 사용법을 사용자들이 잘 알지 못할 뿐만 아니라, 공기흡입을 위하여 확보할 수 있는 유로의 크기가 너무 작기 때문에 처음부터 완전히 개방하지 않는 이상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처음부터 열어서 사용하는 경우 용기의 기울기를 제대로 조절하지 못하면 가득차 있는 내용물이 중간마개를 통하여 흘러내리게 되어 내용물이 유출될 우려가 높고, 특히 중간마개의 위치로 인하여 용기를 조금만 기울이더라도 흘러넘치기 때문에 기울기 조절이 매우 중요하며 사용상 불편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에 사용하는 액체저장용 말통의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생산공정의 변화 없이 액체 내용물을 배출시킬 때 공기흡입이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함은 물론, 외부공기를 인입시키는 구조가 매우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공기가 흡입되는 유로를 충분히 확보하여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내용물을 수납하기 위한 용기본체의 상단에 운반을 위한 손잡이와 내용물의 주입,배출을 위하여 원통부에 개구홀이 형성된 네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네크부는 손잡이를 중심으로 일측으로는 제1네크부가, 타측으로는 제2네크부가 양측 단부에 이중 배치되며, 상기 제1,2네크부에는 나선체결부가 형성되어 제1네크부와 제2네크부에 각각 마개가 나선구조로 장착되어 밀봉이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제1,2네크부에 장착된 마개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내용물을 주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게 되는 액체수납용 말통에 있어서, 상기 제1네크부와 제2네크부는 원통부의 개구홀 직경이 어느 한쪽이 상대적으로 작고 다른 한쪽은 상대적으로 크게 유로크기를 달리하도록 형성하되, 개구홀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 측의 네크부는 원통부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선체결부에 요철패턴으로 구성된 흡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흡기부는 나선체결부가 형성된 원통부의 외주연 부분 중에서 나선체결부가 수직으로 절단된 구조를 갖도록 내입된 형상의 통기로를 형성하며, 상기 마개는 마개의 조임정도에 따라 완전히 밀봉되거나 용기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흡입량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덮개부 내면에 네크부의 원통부 상단과 맞닿아 통기로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돌출된 구조의 돌기림을 형성하여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배출할 때 꿀렁거림을 방지하도록 마개를 밸브로 활용하여 공기흡입량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통기수단을 갖는 액체수납용 말통에 의하면, 액체를 배출할 때 용기 내부와 외기가 연통하여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내,외부의 압력차로 인해 액체가 급격하게 토출되면서 꿀렁거리는 것을 방지하고, 액체가 원활하게 배출되며 안정적인 토출이 가능하다.
또한, 마개가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는 기존의 말통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고,
기존의 제조공정을 변경하지 않고도 기존의 생산시설을 그대로 유지한 채 그대로 제조가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경제적이고, 저렴한 비용으로 고품질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내용물을 배출할 때 용기본체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공기가 흡입되는 유로가 최상단에 위치하기 때문에 내용물이 넘치거나 흐르지 않으므로 청결하게 사용이 가능하고, 주입마개를 잠그거나 해제하면서 공기흡입량 조절이 이루어지는 직관적인 사용방식이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또한, 마개를 돌려서 닫을 때 적당한 인장력을 주면서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밀폐효과를 향상시키면서도 여러번 반복 사용하더라도 마개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내구성이 향상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마개만을 분리하여 기성제품인 말통 마개를 대체하여 사용하면, 공기흡입량 조절이 가능하게 되므로 매우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액체수납용기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액체수납용 말통의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네크부와 마개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말통의 통기유로가 밀봉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장착구조를 나타낸 상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말통의 통기유로가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장착구조를 나타낸 상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네크부에 마개가 장착된 상태의 평단면도
도 9은 본 발명의 통기유로를 활용한 공기연통구조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0는 도 9의 마개에 의하여 통기유로의 크기 조절이 이루어지는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마개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마개의 A-A'단면구조도
도 13은 본 발명의 마개의 돌기림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개폐구조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액체수납용기는 통기수단이 구비되어 내용물을 배출할 때 꿀렁임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서, 용기본체(100)에 손잡이(120)와, 제1네크부(140a) 및 제2네크부(140b)를 포함하는 네크부(140)가 구비되고, 제1네크부(140a) 및 제2네크부(140b)에는 각각 마개(200)가 장착되며, 마개(200)가 네크부(140)에 장착되는 구조에서 통기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용기본체 내의 내용물을 배출할 때 용기본체 내부로 공기가 연통되어 안정적으로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용기본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을 수납하기 위하여 중공된 구조로 블로우 성형에 의하여 제작되는 것으로, 용기본체(100)의 상단에는 운반 등을 위하여 손잡이(1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용기본체(100)의 하단에는 내용물을 배출시킬 때 사용하는 보조 손잡이(140a)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용기본체(100)의 상단에는 내용물의 주입,배출을 위하여 원통부(142)에 개구홀(144)이 형성된 네크부(140)가 형성되는 것으로, 네크부(140)는 손잡이(120)를 중심으로 일측으로 형성된 제1네크부(140a)와, 손잡이(120)를 중심으로 타측에 형성된 제2네크부(140b)로 구성하여 용기본체(100)의 상단 양 끝부분에 제1네크부(140a)와 제2네크부(140b)가 각각 배치되게 하여 네크부가 이중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2네크부(140a,140b)에는 나선체결부(146)가 형성되어 제1네크부와 제2네크부에 각각 마개(200)가 나선구조로 장착되어 밀봉이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제1,2네크부에 장착된 마개(200)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내용물을 주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네크부(140a)는 개구홀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으면서 토출구로 사용하고, 제2네크부(140b)는 개구홀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주입구로 이루어지도록 설명한다.
그러나 제1네크부(140a)와 제2네크부(140b)는 크기나 용도가 뒤바뀔 수 있으므로 그 용도가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선택이나 필요에 따라서 제1네크부(140a)를 내용물의 주입 또는 배출을 위한 용도로 사용하거나, 제2네크부(140b)를 내용물의 주입 또는 배출을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용기본체(10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제1,2네크부(140a,140b)가 배치되므로 이중으로 개구홀(144)이 형성되어 배출 또는 주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각각의 개구홀(144)에 마개가 결합되며, 그 두 개의 네크부 중 어느 일측의 네크부에는 마개가 장착된 상태에서도 완전히 밀봉되지 않는 이상 통기유로를 통한 공기흡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말통에 담겨진 내용물을 배출할 때 공기 흡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내용물을 안정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개구홀(144) 중에서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게 형성된 개구홀을 내용물을 담기 위한 주입구 용도로 사용하고, 반대로 직경이 작게 형성된 개구홀을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 용도로 사용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때, 상기 네크부(140) 중 상대적으로 작은 제1네크부(140a)의 개구홀(144)에는 마개(200) 이외에도 플랙시블 호스로 이루어지는 토출마개(300)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제2네크부(140b)의 개구홀(144)에는 나선구조로 체결이 이루어지는 마개(200)가 장착된 상태에서 마개(200)를 개폐시킴으로써 통기수단을 연통하거나 차단시킬 수 있다.
이때, 마개(200)를 개폐함에 따라서 외부 공기가 용기본체 내부로 흡입되게 하는 통기수단이 연통되거나 차단되는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크부(140)에 흡기부(160)가 형성되어 통기유로를 형성한다.
상기 흡기부(160)는 개구홀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 제2네크부(140b)의 원통부(142)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선체결부(146)에 요철패턴으로 구성되어 통기유로를 형성하며, 흡기부(160)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 나선체결부(146)가 형성된 원통부의 외주연 부분 중에서 나선체결부가 수직으로 절단된 구조를 갖도록 내입된 형상의 통기로(16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기부(160)는 네크부(140)에 결합되는 마개(200)의 조임정도에 따라 흡기부(160)가 완전히 밀봉되거나 개방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고, 또한 그 개방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용기본체(100) 내부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할 때 용기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흡입량 조절이 이루어지게 하여 내용물을 배출할 때 꿀렁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덮개부(240)는 나선체결부(222)가 형성되는 벽체(220)와 상단의 덮개부(240)로 구성되는데, 덮개부(240)의 내면, 즉 하부면에 네크부(140)의 원통부(142) 상단과 맞닿아 통기로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돌출된 구조의 돌기림(242)을 형성함으로써 네크부(140)와 마개(200)가 체결되는 구조에서 통기로(162)가 형성되더라도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림(242)에 의하여 네크부(140)의 개구홀(144)이 완전히 밀봉될 수 있다.
또한, 흡기부(160)는 원통부(142)의 외주연을 따라서 방사상으로 복수의 흡기부(160)가 배열되어 통기유로를 확보하게 함으로써 개구홀(144)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마개(200)를 돌리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림(242)에 의한 밀봉 상태가 해제되고, 통기로(162)에 의하여 네크부(140)에 마개(200)가 장착된 상태에서도 수직으로 흡기부(160)를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크부(140)와 마개(200)의 나선체결부(146,222)가 서로 맞물려 나선 결합된 상태에서도 통기로(162)에 의하여 통기유로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마개(200)에 의한 밀봉상태가 해제되는 순간 통기유로가 연통되면서 용기본체(100) 내부로 공기흡입이 이루어지고, 내용물을 배출할 때 꿀렁임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네크부(140b)에 장착되는 마개(200)를 조절하여 용기본체(1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마개(200) 자체를 밸브로 사용하여 통기유로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면서 공기흡입 여부를 결정하고, 또한 주입마개의 개폐정도에 따라 유량 제어가 가능하게 되므로 매우 간편하게 조작이 가능함은 물론, 추가되는 부속이 필요없이도 기존에 사용하는 액체저장용 말통의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공기 흡입이 이루어지면서 내용물을 안정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특히, 개구홀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더 큰 네크부(제2네크부)에 흡기부(160)를 형성함으로써 공기흡입을 위한 유로확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제1네크부(140a)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배출시킬 때 용기본체(100)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최상단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제2네크부(140b)에 장착되는 마개(200)를 활용하여 통기로의 개폐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내용물이 흘러내리거나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기부(160)는 통기로(162)의 내면이 원통부(142)의 외주연과 마개(200)의 벽체가 상호 맞물려 체결이 이루어지는 접촉단(α)보다 상대적으로 더 내입되게 형성함으로써 네크부(140)에 마개(200)가 나선체결부가 서로 맞물려 체결된 상태에서도 수직방향의 통기유로를 확보하고, 마개(200)를 개폐함에 따라 돌기림(242)의 상하강 작동에 의해서만 통기로의 개폐 또는 통기로의 유량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기부(160)는 원통부(142)의 외주연 둘레를 따라서 2개 이상 복수의 흡기부(160)가 방사상으로 배열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말통을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에 의한 제조시 양개되는 금형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네크부(140)의 나선체결부(146)에 파팅라인에 절개면이 형성될 수 있는데, 그 절개면이 형성되는 경우 절개면과 교차하게 통기로(162)를 복수로 배열함으로써 용기본체(100)를 기울여 내용물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마개(200)가 일부 개방되어 통기로가 확보된 상태에서도 마개(200)가 어느 일측으로 편심되지 않고 공기가 흡입되는 유로가 일정하게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림(242)이 제2네크부(140b)의 원통부(142)에 밀착되면서 밀폐되는 구조는, 돌기림(242)의 외경이 원통부(142)의 내경에 밀착되게 돌기림(242)이 원통부(142)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돌기림(242)의 선단은 마개(200)를 조여서 잠글 때 돌기림(242)이 가압되면서 실링이 이루어짐을 유도하기 위하여 외주연에 경사지게 가이드면(244)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2네크부(140b)에 마개(200)를 장착할 때 돌기림(242)이 가이드면(244)에 의하여 원통부(142)의 정중앙에 안내되어 정확하게 조립이 유도되기 때문에 실링효율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마개(20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크부(140)에 체결되는 구조에서 공기가 연통가능하도록 마개(200)의 내측에 보조 흡기부(260)가 형성될 수 있다.
보조 흡기부(260)는 벽체(220)의 내면에 수직방향으로 나선체결부(222)가 일부 형성되지 않은 통기로(262)가 형성되어 공기 흡입이 가능하도록 유로를 형성하며, 네크부(140)와 마개(200)에 이중으로 통기유로를 구비함으로써 통기유로를 더 넓게 확보할 수 있으며, 마개(200)를 조금만 조작하더라도 유로 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이때, 상기 보조 흡기부(260)는 벽체의 내주연을 따라서 방사상으로 복수의 마개 흡기부(260)가 배열되도록 함으로써 통기유로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마개(200)는 마개의 개폐시 논슬립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외주연에 수직으로 돌출보스(280)가 형성되는데, 그 돌출보스(280)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게 보조 흡기부(260)를 방사형으로 배열하면 통기로(262)에 의하여 유로가 확보되는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마개(200)의 전체적인 성형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성형 후 냉각되는 과정에서의 비틀림을 방지하여 성형성을 개선함은 물론, 마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필요한 경우 마개만을 종래의 말통 마개에 대체사용함으로써도 공기흡입이 가능한 구조가 되므로 매우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마개(200)는 미세한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로 돌기림(242)을 이중으로 구성하여 네크부(140)에 마개(200)를 장착할 때 원통부(142) 상단과의 실링이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림(242)을 내측 돌기림(242a)과 외측 돌기림(242b)으로 이중 구성하여 원통부(142)와 이중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네크부(140)와 마개(200)가 나선체결부로 체결된 상태에서 유로가 개방되는 구조를 갖더라도 미세한 누설을 방지하고 완전한 기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내측 돌기림(242a)을 외측 돌기림(242b)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하여 원통부(142)의 내벽에 밀착되게 하는 한편, 외측 돌기림(242b)은 원통부(142)의 상단 또는 외벽에 밀착되게 하여 이중으로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내측 돌기림(242a)의 외주연에 원통부(142)의 내벽에 밀착되게 돌출테를 형성하면, 그 돌출테가 원통부의 내벽을 외측으로 가압하면서 외측 돌기림(242b)과의 기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내,외측 돌기림(242a,242b)이 길이 편차를 가짐으로써 순차적인 밀봉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마개(200)를 닫을 때 내측 돌기림(242a)이 네크부(140)의 내벽에 먼저 끼워져 밀폐가 이루어지고, 그 이후에 외측 돌기림(242b)이 순차적으로 밀착되어 밀폐가 이루어지면서 돌기림이 원통부(142)의 형상에 대응하게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완전히 밀착되며, 마개를 돌려서 닫을 때 적당한 인장력을 주면서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밀폐효과를 향상시키면서도 여러번 반복 사용하더라도 마개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100: 용기본체
120: 손잡이
140: 네크부 140a: 제1네크부 140b: 제2네크부
142: 원통부 144: 개구홀 146: 나선체결부
160: 흡기부 162: 통기로
200: 마개
220: 벽체 222: 나선체결부
240: 덮개부 242: 돌기림 244: 가이드면
260: 보조 흡기부 262: 통기로
280: 돌출보스

Claims (6)

  1. 내용물을 수납하기 위한 용기본체(100)의 상단에 운반을 위한 손잡이(120)와 내용물의 주입,배출을 위하여 원통부(142)에 개구홀(144)이 형성된 네크부(140)가 형성되고,
    상기 네크부(140)는 손잡이(120)를 중심으로 일측으로는 제1네크부(140a)가, 타측으로는 제2네크부(140b)가 양측 단부에 이중 배치되며,
    상기 제1,2네크부(140a,140b)에는 나선체결부(146)가 형성되어 제1네크부와 제2네크부에 각각 마개(200)가 나선구조로 장착되어 밀봉이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제1,2네크부에 장착된 마개(200)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내용물을 주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게 되는 액체수납용 말통에 있어서,
    상기 제1네크부(140a)와 제2네크부(140b)는 원통부(142)의 개구홀(144) 직경이 어느 한쪽이 상대적으로 작고 다른 한쪽은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유로크기를 달리하도록 형성되되,
    개구홀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 측의 네크부는 원통부(142)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선체결부(146)에 요철패턴으로 구성된 흡기부(160)가 형성되고,
    상기 흡기부(160)는 나선체결부(146)가 형성된 원통부의 외주연 부분 중에서 나선체결부가 수직으로 절단된 구조를 갖도록 내입된 형상의 통기로(162)가 형성되며,
    상기 마개(200)는 마개(200)의 조임정도에 따라 완전히 밀봉되거나 용기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흡입량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덮개부(240) 내면에 네크부의 원통부(142) 상단과 맞닿아 통기로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돌출된 구조의 돌기림(242)이 형성되어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을 배출할 때 꿀렁거림을 방지하도록 공기흡입량 조절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수단을 갖는 액체수납용 말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부(160)는 네크부(140)에 마개(200)가 나선체결부가 서로 맞물려 체결된 상태에서도 통기유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통기로(162)의 내면이 원통부(142)의 외주연과 마개(200)의 벽체가 상호 맞물려 체결이 이루어지는 접촉단(α)보다 상대적으로 더 내입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수단을 갖는 액체수납용 말통.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로(162)는 원통부(142)의 둘레를 따라서 방사상으로 복수의 통기로(162)가 배열되어 마개(200) 조작에 의한 유로를 더 확보할 수 있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수단을 갖는 액체수납용 말통.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200)는 네크부(140)에 체결되는 구조에서 공기가 연통가능하도록 마개(200)의 내측에 보조 흡기부(260)가 형성되고, 보조 흡기부(260)는 벽체(220)의 내면에 수직방향으로 나선체결부(222)가 일부 형성되지 않은 통기로(26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수단을 갖는 액체수납용 말통.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200)는 돌기림(242)의 외경이 개구홀(144)에 밀착되게 돌기림(242)이 원통부(142)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되, 돌기림(242)의 선단은 마개(200)를 조여서 잠글 때 돌기림(242)이 가압되면서 실링이 이루어짐을 유도하기 위하여 외주연에 경사지게 가이드면(24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수단을 갖는 액체수납용 말통.
  6. 제 5항에 있어서, 마개(200)는 외주연에 수직으로 돌출보스(280)가 형성되고, 그 돌출보스(280)는 보조 흡기부(260)가 형성된 위치마다 대응하게 방사형으로 배열되어 마개(200)의 성형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도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게 제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수단을 갖는 액체수납용 말통.
KR1020210068629A 2021-05-27 2021-05-27 통기수단을 갖는 액체수납용 말통 KR202201604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629A KR20220160414A (ko) 2021-05-27 2021-05-27 통기수단을 갖는 액체수납용 말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629A KR20220160414A (ko) 2021-05-27 2021-05-27 통기수단을 갖는 액체수납용 말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414A true KR20220160414A (ko) 2022-12-06

Family

ID=84407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629A KR20220160414A (ko) 2021-05-27 2021-05-27 통기수단을 갖는 액체수납용 말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04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13638A (zh) * 2023-07-03 2023-08-01 河北世纪恒泰富塑业有限公司 一种符合连通器原理便于使用的中空容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13638A (zh) * 2023-07-03 2023-08-01 河北世纪恒泰富塑业有限公司 一种符合连通器原理便于使用的中空容器
CN116513638B (zh) * 2023-07-03 2024-03-26 河北回头路科技有限公司 一种符合连通器原理便于使用的中空容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4935B1 (ko) 컨테이너 및 컨테이너를 형성하기 위한 성형체들의 세트
US2545350A (en) Valved pouring attachment for milk bottles
US8403168B2 (en) Cup assembly
KR102134934B1 (ko) 컨테이너 및 컨테이너를 형성하기 위한 성형체들의 세트
KR102111815B1 (ko) 음료를 디스펜싱하기 위한 태핑 어셈블리, 연결 장치와 컨테이너 및 방법
CA2509587A1 (en) Vented dispensing package
KR20150048743A (ko) 음료 디스펜싱을 위한 연결 장치, 태핑 어셈블리, 컨테이너 및 방법
KR100388845B1 (ko) 음료용기
KR20220160414A (ko) 통기수단을 갖는 액체수납용 말통
KR102344980B1 (ko) 액체수납용기의 공기주입용 마개
US7108157B2 (en) Liquid dispensing valve assembly having a unitarily formed base and a vacuum release feature
JP6391487B2 (ja) スクイズ吐出容器
KR100929786B1 (ko) 분할된 수용부를 갖는 용기
JP2019011099A (ja) 注出キャップ
CN1511101A (zh) 带有一体化的换气结构的孔盖
US6422423B1 (en) Cap for liquid containers
CN109963794B (zh) 用于闭合设备中的加压罐的阀装置
KR200265447Y1 (ko) 착탈식 보관용기
JP3221559U (ja) 飲料容器
US20230286722A1 (en) Bag in container and adapter for connecting a bag in container to a tapping device
KR200199480Y1 (ko) 탄산 음료병
RU113518U1 (ru) Клапан для кега (варианты)
KR200242766Y1 (ko) 몸체와 일체형인 뚜껑겸용 공기인입구를 갖는 프라스틱용기
KR20240037086A (ko)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
KR20230135464A (ko)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