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2554Y1 - 집수장치용 스트레이너 - Google Patents

집수장치용 스트레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2554Y1
KR200242554Y1 KR2019990008056U KR19990008056U KR200242554Y1 KR 200242554 Y1 KR200242554 Y1 KR 200242554Y1 KR 2019990008056 U KR2019990008056 U KR 2019990008056U KR 19990008056 U KR19990008056 U KR 19990008056U KR 200242554 Y1 KR200242554 Y1 KR 2002425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ap
strainer
welded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80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0696U (ko
Inventor
김현택
Original Assignee
김현택
주식회사 현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택, 주식회사 현서 filed Critical 김현택
Priority to KR20199900080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2554Y1/ko
Publication of KR200000206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6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25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2554Y1/ko

Links

Landscapes

  • Filtration Of Liquid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수처리시설 등의 여과지에서 여과사층과 그 하부의 압력실 사이에 설치되는 집수블럭에 설치되어 여과수의 집수 및 역세척수의 분배기능을 갖는 스트레이너에 관한 것으로, 상기 스트레이너 몸체의 용접대접부 상면에 역세시 캡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역세수의 와류 방향을 나사결합된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유도부와; 집수블록에 설치되는 지지부의 주플렌지부 외주연에는 캡 및 몸체의 용접대접부가 커버될 수 있도록 상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커버부를 일체로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장치용 스트레이너를 제공함으로써, 역세척시에 역세수가 캡의 슬릿으로 부터 비산되기 전에 내부에서 발생되는 와류의 수압으로 인해 몸체가 지지부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캡의 슬릿 부분이 집수블럭의 상면과 직접 맞닿을 수 있도록 하여 여과수의 퇴적물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집수장치용 스트레이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집수장치용 스트레이너{A strainer of the filtering equipment}
본 고안은 정수처리시설 등의 여과지에서 여과사층과 그 하부의 압력실 사이에 설치되는 집수블럭에 설치되어 여과수의 집수 및 역세척수의 분배기능을 갖는 스트레이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역세척시에 역세수가 캡의 슬릿으로 부터 비산되기 전에 내부에서 발생되는 와류의 수압으로 인해 몸체가 지지부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캡의 슬릿 부분이 집수블럭의 상면과 직접 맞닿을 수 있도록 하여 여과수의 퇴적물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집수장치용 스트레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수장치용 스트레이너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정수처리시설 등의 여과지에서 여과사층과 그 하부의 압력실 사이에 설치되는 집수블럭에 설치되어 여과수의 집수 및 역세척수의 분배기능을 갖는 것으로, 국내 실용신안공고 제 90-119호, 제89-2202호와, 일본 실용신안공보 소54-105979호 및 본 출원인 출원한 특허출원 제 95-26645호, 제 96-8603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양한 스트레이너가 안출된 바 있다.
상기한 여러 스트레이너 중에서 본원에서는 본 출원인 출원한 특허출원 제 96-8603호에 기재된 '집수장치용 스트레인너'를 일예로 설명한다.
도 4는 종래 집수장치에 사용되는 스트레이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서, 슬릿(51)이 원주면(52) 전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하부에는 용접대접부(55)의 높이가 전체 높이 1/5∼1/3이 되도록 형성된 캡(50)과, 긴중공봉체의 구조로서 상부에 상기한 캡(50)의 용접대접부(55)와 동일한 지름과 높이를 갖는 용접대접부(550)를 형성시킨 몸체(500)와 상기한 캡(50)과 몸체(500)를 용접대접부(55)(550)의 접촉부만을 표면융융시켜 용융상태를 유지한 채 압착한 다음 냉각경화시켜 용접하며,
상기한 일체화된 몸체(500)의 상부에 형성된 수나사부(552)와 대응되게 내주면 상단에 나사체결가능토록 암나사부(62)가 형성되고 상단부에 주플렌지부(64)를 넓게 형성하며 그 하부측으로 갈수록 지름을 크게 하여 깔대기 형태로 벌어지도록 구성하되, 보조플렌지(65) 까지는 직선의 무요양이며 보조플렌지(65) 부터 중플렌지부(66), 하플렌지부(67) 까지 보강테(68)를 교차토록 형성한 지지부(60)를 와셔(70)를 중간에 두고 상기한 캡(50)과 몸체(500)의 일체구조물 하부에 나사 고정체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결합되어 사용되는 스트레이너(1)는 도 5에서와 같이 집수블럭(80)에 결합되어 사용된다.
즉, 도 5는 도 4에 따른 스트레이너가 집수블록에 설치된 상태의 요부 단면도로서, 상기 몸체(500)가 나사결합되는 지지부(60)는 콘크리트 등이 타설되어 형성되는 집수블럭(80)에 콘크리트 타설시 내장되게 설치한 후, 상기 몸체(500)를 지지부(60)에 나사결합시켜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집수블럭(80)에 매설된 지지부(60)는 그 외측으로 형성된 보조플렌지(65), 중플렌지부(66), 하플렌지부(67) 및 보강테(68)에 의하여 집수블럭(80)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되어 진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스트레이너(1)에서는 여과수를 집수한 후, 다시 역세척을 하고자 할 경우에 나사결합된 지지부(60)의 암나사부(62)와 몸체(500)의 수나사부(552)가 역세척에 따른 역세수가 캡(50)의 슬릿으로 부터 비산되기 전에 캡(50) 내부에서 발생되는 와류의 수압에 의하여 상기 나사결합된 부분에서 몸체(500)가 서서히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그 이격되는 부분을 통하여 여과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여과수가 몸체(500)의 중공부로 직접배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한 집수블럭(80)으로 결합되는 스트레이너(1)의 캡(50)과 몸체(500)의 용접대접부(55)(550)와, 상기 용접대접부(550)와 지지부(60)의 주플렌지부(64) 사이에 결합되는 와셔(70) 및 주플렌지부(64)의 높이 만큼이 집수블럭(80)의 상면에서 돌출되게 결합되는 관계로, 그 돌출된 용접대접부(55)(550)와 와셔(70) 및 주플렌지부(64) 높이 만큼 단차진 부분과 집수블록(80)의 상면 사이에 상기 캡(50)의 슬릿(51)에서 비산되는 역세수의 영향이 미치지 않는 사각지역이 형성되어 그 사각지역으로 여과수의 퇴적물 등이 누적됨으로써, 그 누적된 퇴적물이 부패되어 각종 위생상의 문제점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정수처리시설 등의 여과지에서 여과사층과 그 하부의 압력실 사이에 설치되는 집수블럭에 설치되어 여과수의 집수 및 역세척수의 분배기능을 갖는 스트레이너에서 역세척시 역세수가 캡의 슬릿으로 부터 비산되기 전에 캡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와류의 수압으로 인해 몸체가 지지부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캡의 슬릿 부분이 집수블럭의 상면과 직접 맞닿을 수 있도록 하여 여과수의 퇴적물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슬릿이 원주면 전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하부에는 용접대접부가 형성된 캡과, 긴중공봉체의 구조로서 상부에 상기한 캡의 용접대접부와 상응되는 용접대접부가 형성되고 그 하측으로 수나사부가 형서되어 상기 용접대접부의 접촉부만을 표면융융시켜 압착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수나사부와 대응되게 내주면 상단에 나사체결가능하도록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단부에 주플렌지부를 넓게 형성하며 그 하부측으로 갈수록 지름을 크게 하여 깔대기 형태로 벌어지도록 구성하되, 보조플렌지 까지는 직선의 무요양이며 보조플렌지 부터 중플렌지부, 하플렌지부 까지 보강테를 교차토록 형성한 지지부를 와셔를 중간에 두고 상기한 캡과 몸체의 일체구조물 하부에 나사 고정체결되는 집수장치용 스트레이너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용접대접부 상면에 역세시 캡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역세수의 와류 방향을 나사결합된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유도부와; 상기 지지부의 주플렌지부 외주연에는 캡 및 몸체의 용접대접부가 커버될 수 있도록 상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커버부를 일체로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장치용 스트레이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유도부는 와류의 방향을 나사결된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중공부의 외곽에 끝선이 접하면서 일측방향으로 상기 용접대접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유도판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b는 본 고안 유도부의 유도판이 설치된 요부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본 고안이 결합되어 집수블록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종래 집수장치에 사용되는 스트레이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스트레이너가 집수블록에 설치된 상태의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크레이너 10 : 유도부
12 : 유도판 20 : 커버부
50 : 캡 55, 550 : 용접대접부
60 : 지지부 64 : 주플렌지부
80 : 집수블록 500 : 몸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서, 슬릿(51)이 원주면(52) 전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하부에는 용접대접부(55)가 형성된 캡(50)과, 긴중공봉체의 구조로서 상부에 상기한 캡(50)의 용접대접부(55)와 상응되는 용접대접부(550)가 형성되고 그 하측으로 수나사부(552)가 형서되어 상기 용접대접부(55)(550)의 접촉부만을 표면융융시켜 압착결합되는 몸체(500)와, 상기 몸체(500)의 수나사부(552)와 대응되게 내주면 상단에 나사체결가능하도록 암나사부(62)가 형성되고 상단부에 주플렌지부(64)를 넓게 형성하며 그 하부측으로 갈수록 지름을 크게 하여 깔대기 형태로 벌어지도록 구성하되, 보조플렌지(65) 까지는 직선의 무요양이며 보조플렌지(65) 부터 중플렌지부(66), 하플렌지부(67) 까지 보강테(68)를 교차토록 형성한 지지부(60)를 와셔(70)를 중간에 두고 상기한 캡(50)과 몸체(500)의 일체구조물 하부에 나사 고정체결되는 집수장치용 스트레이너(1)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집수장치용 스트레인너(1)에서 본 고안은 상기 몸체(500)의 용접대접부(550) 상면에 몸체(500)의 중공부를 통하여 유입된 역세수가 역세척시 캡(5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역세수의 와류 방향을 나사결합된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유도부(10)와;
상기 지지부(60)의 주플렌지부(64) 외주연에는 캡(50) 및 몸체(500)의 용접대접부(55)(550)가 커버될 수 있도록 상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커버부(20)를 일체로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에서, 유도부(10)는 와류의 방향을 나사결된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중공부의 외곽에 끝선이 접하면서 일측방향으로 상기 용접대접부(550)의 상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유도판(12)을 구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유도판(12)은 상기 용접대접부(550)의 상면으로 융착시켜 설치하던가 또는 유도판(12)을 끼움결합시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판(12)을 평판상으로 형성시킬 수 있음은 물론 역세수의 와류가 더욱더 원활하게 유도될 수 있도록 호형상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도 1b는 본 고안 유도부의 유도판이 설치된 요부 단면도로서, 상기한 용접대접부(550)에 설치되는 상기 유도부(10)의 유도판(12)은 끝선이 상기 중공부의 외곽에 접하면서 일측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본 고안이 결합되어 집수블록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콘크리트 등이 타설하여 성형되는 집수블록(80)을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한 지지부(60)를 필요로 하는 위치에 고정시킨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설치하고 상기 집수블록(80)에 설치된 지지부(60)에 융착된 캡(50)과 몸체(500)를 나사결합시킨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에서, 집수블록(80)에 설치되는 지지부(60)는 콘크리트 타설시 지지부(60) 주플렌지부(64)의 외주연에 상향으로 연장되어 캡(50) 및 몸체(500)의 용접대접부(55)(550)가 커버되도록 형성된 커버부(20)의 상단까지 매입되도록 타설시켜 설치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여과시키려는 여과수의 양에 따라 다수의 집수블록(80)을 연결하여 설치하고 상기 집수블록(80)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필요로 하는 만큼의 스트레이너(1)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집수블록(80)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성형시에 여과시키고자 하는 여과수의 양에 따라 필요로 하는 만큼의 스트레이너(1)를 설치할 수 있도록 지지부(60)를 설치하는 데, 이때 먼저 집수블럭(80)의 성형시에 지지부(60)의 상단으로 형성된 커버부(20)의 상단까지 매입되도록 지지부(60)를 집수블록(80)에 설치한다.
이렇게, 집수블록(80)에 지지부(6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지지부(60)의 암나사부(62)에 상단으로 캡(50)이 융착된 몸체(500)의 수나사부(552)를 사용하여 도 2에서와 같이 나사결합하면 스트레이너(1)의 모든 설치공정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집수블록(80)에 스트레이너(1)의 설치가 완료되면 필요한 공정에 따라 여과수를 여과시키고, 여과과정에서 보다 여과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필요에 따라 역세척을 하게 되는 데, 상기 역세척을 하는 과정에서 몸체(500)의 중공부를 거친 역세수가 캡(50)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유입되는 큰 압력으로 인해 캡(50)의 슬릿(51)으로 비산되기 전에 캡(50)의 내부에서 와류가 발생한다.
이때, 몸체(500)의 용접대접부(550)의 상면으로 형성된 유도부(10)의유도판(12)으로 인하여 즉, 상기 유도판(12)의 끝선이 상기 중공부의 외곽에 접하면서 일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역세수의 와류 방향을 몸체(500)와 지지부(60)가 나사결합된 방향으로 유도시킴으로써, 나사결합되어 있는 몸체(500)와 지지부(60)를 더욱더 긴밀하고 보다 큰 체결력을 갖을 수 있도록 체결시키는 것이다.
다시말해서, 몸체(500)의 중공부에서 유입되는 역세수의 와류가 유도판(12)으로 직접적으로 작용됨에 따라 그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몸체(500)를 지지부(60)에서 더 큰 체결력을 갖도록 조이는 것과 같은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역세척시 종래 집수블록(80)의 상면으로 돌출되었던 캡(50) 및 몸체(500)의 용접대접부(55)(550)와 와셔(70)의 높이로 인해 캡(50)의 슬릿(51)으로 부터 비산되는 역세수가 미치지 않은 사각지역으로 누적되었던 퇴적물은 상기 용접대접부(55)(550)와 와셔(70)가 지지부(60)의 커버부(20) 내로 삽입되고, 상기 커버부(20)는 집수블록(80)의 상면에서 매입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써, 캡(50)의 슬릿(51) 부분의 하단이 집수블록(80)의 상면과 맞닿게 위치됨에 따라 비산되는 역세수의 사각지역이 형성되지 않아 여과시에 발생되는 퇴적물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집수장치용 스트레이너에서 역세척시 역세수에 의해 집수블록에 설치된 지지부에서 몸체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지지부에 몸체가 더욱더 긴밀하게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종래 지지부에서 몸체가 분리되면서 여과되지 않은 여과수가 그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것이다.
또한, 역세척시에 스트레이너와 집수블록 사이에 형성된 사각지역으로 퇴적물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보다 위생적이며 효율적인 여과를 행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 것이다.

Claims (2)

  1. 슬릿이 원주면 전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하부에는 용접대접부가 형성된 캡과, 긴중공봉체의 구조로서 상부에 상기한 캡의 용접대접부와 상응되는 용접대접부가 형성되고 그 하측으로 수나사부가 형서되어 상기 용접대접부의 접촉부만을 표면융융시켜 압착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수나사부와 대응되게 내주면 상단에 나사체결가능하도록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단부에 주플렌지부를 넓게 형성하며 그 하부측으로 갈수록 지름을 크게 하여 깔대기 형태로 벌어지도록 구성하되, 보조플렌지 까지는 직선의 무요양이며 보조플렌지 부터 중플렌지부, 하플렌지부 까지 보강테를 교차토록 형성한 지지부를 와셔를 중간에 두고 상기한 캡과 몸체의 일체구조물 하부에 나사 고정체결되는 집수장치용 스트레이너에 있어서, 상기 몸체(500)의 용접대접부(550) 상면에 역세척시 캡(5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역세수의 와류 방향을 나사결합된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유도부(10)와; 상기 지지부(60)의 주플렌지부(64) 외주연에는 캡(50) 및 몸체(500)의 용접대접부(55)(550)가 커버될 수 있도록 상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커버부(20)를 일체로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장치용 스트레이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10)는 와류의 방향을 나사결된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중공부의 외곽에 끝선이 접하면서 일측방향으로 상기 용접대접부(550)의 상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유도판(12)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장치용 스트레이너.
KR2019990008056U 1999-05-12 1999-05-12 집수장치용 스트레이너 KR2002425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056U KR200242554Y1 (ko) 1999-05-12 1999-05-12 집수장치용 스트레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056U KR200242554Y1 (ko) 1999-05-12 1999-05-12 집수장치용 스트레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696U KR20000020696U (ko) 2000-12-05
KR200242554Y1 true KR200242554Y1 (ko) 2001-09-25

Family

ID=54762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8056U KR200242554Y1 (ko) 1999-05-12 1999-05-12 집수장치용 스트레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255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7097B1 (ko) * 2000-01-10 2003-01-14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집수장치용 스트레이너
KR100502182B1 (ko) * 2002-09-10 2005-07-20 주식회사 한힘테크놀러지 집수장치용 스트레이너
KR20170000183U (ko) 2015-07-01 2017-01-12 주식회사 거성개발 여과지용 스트레이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0262B1 (ko) * 2002-05-23 2006-01-16 문병실 하부집수장치의 보수구조 및 보수방법
KR100572352B1 (ko) * 2004-08-24 2006-04-24 (주)삼동비엔에프 하부집수장치의 개량보수구조 및 개량보수방법
KR101128825B1 (ko) * 2011-03-30 2012-03-23 허방련 여과지용 스트레이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7097B1 (ko) * 2000-01-10 2003-01-14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집수장치용 스트레이너
KR100502182B1 (ko) * 2002-09-10 2005-07-20 주식회사 한힘테크놀러지 집수장치용 스트레이너
KR20170000183U (ko) 2015-07-01 2017-01-12 주식회사 거성개발 여과지용 스트레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696U (ko) 2000-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1005485A1 (en) Oil filter assembly having a removable filter member
KR200242554Y1 (ko) 집수장치용 스트레이너
JPH1066804A (ja) カートリッジ式濾過器
US4217667A (en) Drain lint separator and strainer
JPH101992A (ja) シンクの排水口構造
CN212494442U (zh) 一种清洗机排水结构
JP2845924B2 (ja) フィルターエレメント
JP2003321860A (ja) 排水トラップ
JPH0712459Y2 (ja) 排水桝装置
CN218220117U (zh) 一种污水箱及具有其的清洁机器人
JPS603176Y2 (ja) 排水トラツプ
JPH0418643Y2 (ko)
CN218094515U (zh) 一种带排污活接减压阀
CN219343440U (zh) 一种防堵型排水过滤机构
CN211328473U (zh) 一种便于安装的长毛滤芯
CN211621832U (zh) 一种新型给水排水监控设备
CN215026523U (zh) 一种便于使用的污水处理设备
CN112675593B (zh) 过滤组件、原水箱、水箱组件和净水设备
JPH07216954A (ja) ごみ漉し具
CN210048593U (zh) 一种雨水过滤回收装置
JP2019070267A (ja) 排水口メッシュ部材
JPH086140Y2 (ja) 床用排水枡
KR20170117853A (ko) 바닥배수구 및 이의 시공방법
JPH0141833Y2 (ko)
JPS633510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