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183U - 여과지용 스트레이너 - Google Patents

여과지용 스트레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183U
KR20170000183U KR2020150004422U KR20150004422U KR20170000183U KR 20170000183 U KR20170000183 U KR 20170000183U KR 2020150004422 U KR2020150004422 U KR 2020150004422U KR 20150004422 U KR20150004422 U KR 20150004422U KR 20170000183 U KR20170000183 U KR 201700001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er
water
backwash
cap
fix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44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6344Y1 (ko
Inventor
안창기
이종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거성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거성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거성개발
Priority to KR20201500044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344Y1/ko
Publication of KR201700001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1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3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3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2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provided in an open container
    • B01D24/24Downward filtration, the container having distribution or collection headers or pervious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2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provided in an open container
    • B01D24/22Downward filtration, the filter material being supported by pervious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31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 B01D24/4636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with backwash shoes; with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8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4/4807Handling the filter cake for purposes other than regenerating
    • B01D24/4815Handling the filter cake for purposes other than regenerating for wash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수처리시설 등의 여과지에서 여과사 층과 그 하부의 압력실 사이에 설치되는 집수 블록에 설치되어 여과수의 집수 및 역세척수의 분배기능을 갖는 스트레이너에 관한 것으로, 상기 스트레이너 몸체의 상면에 역세시 캡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역세수의 와류 방향을 나사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유도부와; 캡부의 상부를 보강하도록 이루어지는 보강부(160)를 포함하고, 스트레이너와 스트레이너 고정관에 제2 결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지 집수장치용 스트레이너를 제공함으로써, 역세척 시에 역세수를 스트레이너의 나사 결합 반대 방향으로 분사하여 스트레이너가 스트레이너 고정관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역세수의 압력에 의한 진동에 의하여 스트레이너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집수장치용 스트레이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여과지용 스트레이너{STRAINER FOR FILTER BASIN}
본 고안은 하수처리장, 정수장 등의 여과지에서 여과사 층과, 이 여과사 층 하부의 압력실 사이에 설치되는 하부 집수 블록의 집수공에 나선으로 결합하여서, 여과수의 집수와 역세척수의 분배기능을 갖는 하향식 여과지용 스트레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역세척 시 스트레이너가 역세척수나 역세척 공기의 압력 및 진동에 의하여 집수 블록으로부터 분리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결합구조를 가지는 스트레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과지는 정수장에서 원수를 처리하는 마지막 단계에 해당되는 시설로서, 문제가 발생하는 즉시 수리를 위하여 정수 생산을 중단해야 하는 중요한 시설이므로, 지속적으로 양질의 정수를 생산할 수 있도록 꾸준한 개선이 요구된다.
정수공정에서 주로 사용되는 급속여과공정의 경우, 부유입자가 모래 등의 여재층을 통과하면서 여재의 공극에 포획되거나, 입자표면에 부착됨으로써 정수가 이루어진다. 여과 시간이 흐름에 따라 여재층 내에 포획되거나 부착된 탁질이 증가하여 여과율이 떨어지고 손실 수두가 증가하게 되면, 여과공정을 중단하고 물과 공기를 역류시킴으로써, 여재를 팽창·유동시켜 여재층에 형성된 탁질을 제거하는 역세척 공정을 하게 된다.
그런데 역세척 공정 중에 역세척수 및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진동 등이 발생하여 스트레이너가 파손되거나 집수 블록에서 분리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더욱이 현재의 여과지는 대량 정수를 하기 위하여 집수 블록도 대형화되고 여기에 설치되는 스트레이너도 그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위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다.
이러한 집수 블록에서 스트레이너의 분리방지를 위하여 스트레이너의 역세수를 나사의 조임 방향으로 분사하도록 하는 구성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162305호, 20-0242554호 및 20-0353448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사수방지 및 역세척 기능이 우수한 스트레이너의 형상이 등록특허 10-0367079 및 실용신안등록 제20-0421123호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자는 상기 문헌들의 구성을 더욱 개선한 스트레이너의 분리방지뿐만 아니라, 스트레이너의 내구성을 개선하고 역세 효과를 더욱 향상시킨 여과지용 스트레이너를 특허등록 제10-1128825호로 등록한바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들에는 집수 블록으로부터 스트레이너의 분리방지나 스트레이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는 있으나, 스트레이너를 집수 블록에 고정시 스트레이너 몸체 상단부의 나사에 의하여 스트레이너 고정관에 고정함으로써, 그 고정력이 견고하지 못하여 스트레이너의 몸체가 역세수 및 공기의 압력으로 진동에 의한 떨림 현상으로 인하여, 스트레이너 몸체와 고정관의 충돌 및 마찰이 발생하여 스트레이너의 몸체 및 접합부가 파손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은 여전히 가지고 있다.
KR 200162325 Y1 KR 200242554 Y1 KR 100367097 B1 KR 200421123 Y1 KR 200353448 Y1 KR 101128825 B1
본 고안의 목적은 역세척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역세척 시 역세척수 및 역세척 공기의 압력에 의한 진동으로 스트레이너가 분리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개선된 결합 구조의 스트레이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개선된 결합 구조를 가지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한 스트레이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자의 선등록 실용신안 제10-1128825호를 근거로 이를 더욱 개선한 스트레이너 결합구조를 완성하게 되었다.
종래의 여과지의 집수 블록은 통상 그 두께가 100㎜ 정도이고 스트레이너 몸체의 길이는 250㎜ 정도의 크기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스트레이너는 집수 블록에 형성된 고정관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결합에 의하여 고정되었으며(도 1 참조), 스트레이너의 몸체 하단과 고정관의 하단은 분리된 상태로 역세척 시 역세척수 및 공기의 압력으로 진동이 발생하여 스트레이너의 하단이 고정관의 하단에 충돌하여 파손되거나, 이 진동으로 스트레이너의 캡부의 접합부가 떨어져 나가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였다.
더욱이 현재의 여과지는 대형화하는 추세에 따라 집수 블록도 대형화되고, 이에 따라 집수 블록의 두께도 150 내지 200㎜로 두꺼워지고 스크레이너의 길이도 300㎜ 이상으로 길어지고 있다.
따라서 스크레이너의 파손 위험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자는 이를 해결하고자 고심한 끝에 본 고안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본 출원인의 선등록 실용신안 제10-1128825호에 구성을 기초로 하여 스트레이너 고정관과 스트레이너에 제2의 고정부를 형성하여, 역세척수 및 공기의 압력에 의한 스트레이너와 고정관의 충돌을 방지하고, 이 진동이 캡부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캡 접합부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는 선등록 실용신안 제10-1128825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여과지용 스트레이너는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중공부(111)를 구비하고, 일단부에 플랜지(112)가 형성되는 스트레이너 몸체(110) 및 외주부와 상부가 수직으로 배치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를 덮도록 배치되는 캡(120)을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캡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외주부에서 내주부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유체가 상기 캡의 상부로도 분출될 수 있도록 상기 캡의 상부로 연장되게 관통되고, 상기 외주부를 따라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각각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슬릿(130)과, 상기 복수의 슬릿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내주부로부터 돌출되게 이루어지는 격벽(140)과, 상기 상부의 중심에서 돌출되고 상기 외주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며 유체가 상기 복수의 슬릿을 향해 흐를 수 있게 유체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이루어지는 경사부(150) 및 상기 상부를 덮도록 상기 격벽에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상부를 보강하도록 이루어지는 보강부(16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는 상기 격벽이 형성되는 중공 형상의 제1영역(121) 및 상기 제1영역에 의해 둘러싸이고, 상기 보강부가 형성되는 제2영역(122)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슬릿은 상기 제1영역 내에서 상기 상부로 연장되게 관통된다.
상기 여과지용 스트레이너는 상기 복수의 슬릿에서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상부로 연장되게 관통되는 부분의 일면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로 유체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부(17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의 상기 격벽 사이의 공간은 상기 복수의 슬릿에서 상기 상부로 연장되게 관통되는 부분을 형성한다.
상기 여과지용 스트레이너는 상기 제2영역에 배치되고 유체가 상기 캡의 상부로 분출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홀(18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홀은 상기 복수의 슬릿 사이에 배치된다.
본 고안은 상기의 구성에 더하여 집수 블록에 형성된 스트레이너 고정관(200)의 하단에 제2 암나사부(116)을 형성하고, 이에 대향되는 여과지용 스트레이너의 부위에 제2 수나사부(115)를 형성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의하면, 선 등록 실용신안의 효과에 더하여 제2 암, 수 나사부에 의하여 여과지용 스트레이너 몸체가 고정되어 역세수 및 역세공기의 압력에 의한 진동을 방지하여, 여과지용 스트레이너 몸체의 파손을 방지하고, 캡부의 진동 전달을 차단하여 캡부의 접합부위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역세척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개선된 구조를 가지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하고 구성이 간단한 결합구조의 스트레이너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사용되는 여과지의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여과지 스트레이너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여과지 스트레이너가 집수 블록에 설치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스트레이너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스트레이너 고정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스트레이너와 스트레이너 고정관의 결합분리도.
도 7은 본 고안의 스트레이너와 스트레이너 고정관이 집수 블록에 설치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스트레이너 풀림 방지를 위한 도 6의 A-A 슬릿의 구성 단면도.
도 9는 스트레이너 캡의 내부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스트레이너 캡의 다른 실시예 사시도.
이하, 본 고안에 관련된 여과지용 스트레이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종래기술 또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여과지의 단면도이다.
도 1과 같이, 여과지(1)는 여과실(11), 정수로(13) 및 퇴수로(14)를 형성하기 위한 기초 구조물(10)을 포함한다.
여과실(11)의 하부에는 상부의 입수부(18)로부터 유입된 물을 여과시켜 정수로(13)로 보내기 위한 하부 집수시설(20)이 설치된다.
하부 집수시설(20)은 다양한 입도를 갖는 모래 등으로 이루어진 여재층(23), 여재층(23)을 지지하며 여재층(23)에 의하여 여과된 정수를 통과시키는 집수 블록(21), 및 집수 블록(21)을 통과한 정수를 집수시키는 집수정(24) 등을 포함한다.
여재층(23)은 집수블록(21)의 바닥에 입도가 큰 여재가 배치되고, 상부로 갈수록 입도가 작아지도록 배치되도록 3 ~ 4 또는 그 이상의 세부 여재층을 포함한다.
집수 블록(21)은 정수시 여재층(23)을 통과한 정수를 통과시키고, 역세척 시 역세척수 또는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게 형성되는 복수의 스트레이너를 포함한다.
집수 블록(21)은 여재층(23)을 보호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며, 역세척시 역압에 의하여 기초 구조물(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기둥 또는 벽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하부 집수시설(20)은 중앙에 상하로 격리되게 각각 형성되는 퇴수로(14)와 정수로(13)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된다.
정수 시에는 입수부(18)를 통하여 여과실(11)로 유입된 원수가 중력에 의하여 여재층(23)을 통과하며 여과된다.
이 과정에서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탁질은 여재층(23)에 쌓이게 된다. 원수는 여재층(23)을 이루는 각 세부 여재층들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집수 블록(21)의 스트레이너를 통하여 집수정(24)으로 모이게 된다.
집수정(24)의 정수는 중앙의 정수로(13)를 통하여 다음 단계로 흘러 가게 된다.
역세척 시에는 펌프에 의하여 역세척수 또는 공기를 정수로(13)에 공급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정수로(13)에 역압이 걸리면 역세척수 및 역세공기는 집수정(24)으로 역으로 흐르게 된다. 각 집수정(24)에서 역세척수 및 역세공기는 스트레이너를 통하여 솟아오르게 된다.
스트레이너를 통과한 역세척수 및 역세공기는 여재층(23)을 통하면서 여재층(23)을 교란시켜 여재층(23)에 고착된 탁질을 분리시킨다.
여재층(23)으로부터 분리된 탁질 또는 탁질과 함께 포함된 가벼운 여재는 역세척수 및 역세공기의 흐름과 함께 수면 방향으로 부상한다.
수면으로 부상한 탁질 및 여재는 중앙의 퇴수로(14) 방향으로 흐름을 형성시키는 입수부(18)의 표면 물흐름에 의하여, 월류벽(15) 쪽으로 이동된 탁질과 여재의 혼합물은 월류벽(15)을 넘어 중앙의 퇴수로(14)에서 모여 흘러나간다.
월류벽(15)의 상단에는 역세척수에 포함되어 있는 여재가 월류벽(15)을 흘러 넘어가지 않도록 차단하는 여재 차단장치(3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종래의 스트레이너의 단면도이다.
도 2을 참조하면, 스트레이너(100)는 몸체(110) 및 캡(120)을 포함한다.
몸체(11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중공부(111)를 구비한다.
몸체(110)의 일단부에는 플랜지(112)가 형성되어 스트레이너(100)가 집수블록(21)의 스트레이너 고정관(200)에 걸쳐질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플랜지(112)와 인접한 위치에는 스트레이너(100)가 스트레이너 고정관(200)에 나사 결합을 통해 고정되도록 수나사부(113)가 형성된다.
캡(120)은 외주부와 상부가 수직하게 배치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플랜지(112)를 덮도록 배치된다. 스트레이너 몸체(110)와 캡(120)은 나사 결합 또는 용융 접합 등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스트레이너 몸체(110)와 캡(120)이 용융 접합 되는 경우, 스트레이너 몸체(110)와 캡(120) 사이에는 스트레이너 몸체(110) 또는 캡(120)이 용융 후 응고되어 형성되는 결합층이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종래 스트레이너가 집수 블록(21)에 결합된 단면도이다.
스트레이너(100)는 집수 블록(21)에 설치된 스트레이너 고정관(200)에 삽입된다.
스트레이너 고정관(200)은 복수 개로 형성되어 집수 블록(21)에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각각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스트레이너 고정관(200)은 집수블록(21)에 매립 고정되며, 상부에는 스트레이너와 결합하기 위한 암나사부(114)가 형성되어 있어 스트레이너(100)와 스트레이너 고정관(200)은 나사 결합에 의하여 결합한다.
이러한 종래의 스트레이너 결합구조는 스트레이너(100)와 스트레이너 고정관(200)이 상부에 형성된 제1 고정 나사부(113, 114)에 의하여 고정되었으나, 하단에는 스트레이너(100)와 스트레이너 고정관(200)이 이격되어 있어, 엑세척시 역세수의 압력에 의하여 진동이 발생하면, 이격 부위(210)에서 스트레이너(100)와 스트레이너 고정관(200)이 진동에 의하여 충돌하면서 스트레이너 몸체부(110)가 파손될 위험이 있으며, 이러한 진동은 상부의 캡부(120)에도 전달되어 접합부가 분리되어 스트레이너를 수시로 교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더욱이 여과지의 대형화에 따른 집수블록도 대형화하여, 그 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 스트레이너의 길이도 길어지는 추세에 따라 이러한 문제점의 발생 빈도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본 고안자는 스트레이너와 스트레이너 고정관을 더욱 밀착 고정하여 역세수 및 역세공기의 압력에도 그 진동으로 인한 떨림을 방지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를 개발하여 본 고안을 완성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개선된 구조의 스트레이너(100) 및 스트레이너 고정관(200)의 구성 및 결합 구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 및 5는 본 고안의 스트레이너 사시도 및 스트레이너 고정관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스트레이너와 스트레이너 고정관의 분해 결합도이며, 도 7은 스트레이너와 스트레이너 고정관이 집수 블록에 설치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스트레이너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역세수의 분출 방향을 나사의 잠김 반대 방향으로 슬릿을 형성한 구성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스트레이너 캡의 내부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의 캡 상부에 관통 홀(180)을 형성하여 역세수 및 역세공기가 여재의 전방위로 분사되도록 구성한 다른 실시예에 대한 캡의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기본적인 스트레이너 구조는 본 출원인의 선등록 특허인 제10-1128825호를 기초로 한 것이다.
도 4 내지 9를 참조하면, 캡(120)은 복수의 슬릿(130), 격벽(140), 경사부(150) 및 보강부(160)를 포함한다.
복수의 슬릿(130)은 캡(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캡(120)의 외주부에서 내주부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복수의 슬릿(130)은 외주부를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각각 이격되게 배치되며, 슬릿(130)의 횡단면은 노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외주부의 슬릿(130)의 폭이 내주부의 슬릿(130)의 폭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조로 인하여 정수 과정에서 내주부로 이물질이 끼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고, 역세척 과정에서 노즐 효과를 통해 역세척수 및 역세공기의 분출 압력 및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외주부에 형성되는 슬릿(130)은 역세척수가 상부로도 분출될 수 있도록 캡(120)의 상부로 연장되게 관통되며, 상부 슬릿(130)의 종단면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노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역세척수 및 역세공기는 상부에 형성되는 슬릿(130)을 통해 분출되어 상부의 여재층(23)을 유동화시키며, 여재 간 상호충돌, 마찰, 수류전단력에 의해 부착된 탁질을 분리시킨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슬릿(130)이 외주부에만 형성될 경우, 캡(120)의 상부에는 역세척수 및 역세공기의 공급이 미치지 못하여 충분한 역세척이 이루어질 수 없다.
이처럼 역세척수 및 역세공기가 공급되지 못하는 영역이 있으면 세척 시간이 길어지고, 그만큼 역세척수 및 역세공기가 많이 사용되어 역세척 비용이 증가한다.
그러나 상기 구조에 의하면, 역세척수 및 역세공기가 캡(120)의 외주부 뿐만 아니라 상부로도 분출되므로, 캡(120)의 상부를 포함한 더욱 넓은 영역의 여과재의 역세척이 가능하다.
따라서, 역세척을 위한 시간이 절약되고, 비용이 절감되는 현저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슬릿(130)이 외주부에서 상부로 연장되게 형성되므로, 구조적으로 단순하여 제조비용을 크게 들이지 않고도 상기한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복수의 슬릿(130) 사이에는 격벽(140)이 형성되고, 격벽(140)은 내주부로부터 돌출되게 이루어지고, 점차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격벽(140)은 역세척수 및 역세공기가 슬릿(130)을 통해 분출시 캡(120)이 나사 결합되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갖도록 일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캡(120)의 내부에는 경사부(150)가 형성되어 역세척수 및 역세공기가 복수의 슬릿(130)을 향해 흐를 수 있게, 역세척수 및 역세공기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이루어지고, 경사부(150)는 상부의 중심에서 돌출되고, 외주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경사부(150)가 형성됨으로써, 역세척수 및 역세공기가 복수의 슬릿(130) 각각으로 균등하게 분배될 수 있고, 역세척수 및 역세공기가 캡(120)에 가하는 충격량이 감소할 수 있다.
보강부(160)는 격벽(140)에서 돌출되어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고, 경사부(150)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보강부(160)는 복수의 슬릿(130)이 상부로 연장되게 관통됨으로 인해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는 캡(120)의 외주부와 상부의 연결부분을 보강한다.
따라서, 역세척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개선된 구조를 가지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한 스트레이너(100)가 제공될 수 있다.
상부는 격벽(140)이 형성되는 중공 형상의 제1영역(121) 및 제1영역(121)에 의해 둘러싸이고, 보강부(160)가 형성되는 제2영역(122)을 포함하며, 복수의 슬릿(130)은 제1영역(121) 내에서 상부로 연장되게 관통될 수 있다.
또한, 상부의 격벽(140) 사이의 공간은 복수의 슬릿(130)의 전부 또는 일부에서 상부로 연장되게 관통되는 부분을 형성할 수 있고, 복수의 슬릿(130)에서 상부로 연장되게 관통되는 부분의 종단면은 노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외부의 슬릿(130)의 폭이 내부의 슬릿(130)의 폭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정수 과정에서 내부로 이물질이 끼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고, 역세척 과정에서 노즐 효과를 통해 역세척수 및 역세공기의 분출 압력 및 속도가 증가할 수 있다.
복수의 슬릿(130)에서 상부로 연장되게 관통되는 부분을 형성하는 일면은 가이드부(170)를 형성할 수 있으며, 가이드부(170)는 경사부(150)로부터 연장되고, 상부로 역세척수 및 역세공기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가이드부(170)는 상부를 기준으로 예각 범위 내의 경사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부(170)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 역세척수 및 역세공기의 분출 속도로 인해 역세척수 및 역세공기의 대부분은 상부에 형성되는 슬릿(130)으로 분출되지 못하고 외주부에 형성되는 슬릿(130)을 향하여 흐르게 된다.
그러나 상기 구조에 의하면, 가이드부(170)는 역세척수 및 역세공기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이루어지므로, 상부에 형성되는 슬릿(130)으로 분출되는 역세척 수 및 역세공기의 양이 증가할 수 있다.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스트레이너 캡부의 다른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와 관련된 스트레이너는 캡(120)의 제2영역(122)에 내부에서 외부로 관통되는 홀(180)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스트레이너(1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홀(180)은 역세척수 및 역세공기가 캡(120)의 상부로 분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그 형상은 본 도면에서는 원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직사각형의 긴 형상일 수도 있다.
홀(180)의 외부 폭은 홀(180)의 내부 폭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조에 의하면, 정수 과정에서 내부로 이물질이 끼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고, 역세척 과정에서 노즐 효과를 통해 역세척수 및 역세공기의 분출 압력 및 속도를 증가시켜, 스트레이너 상부의 사수지역(오니적체)에 역세척수 및 역세공기를 분출함으로써 세척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초기 탁도 누출현상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홀(180)은 상부로 연장되는 복수의 슬릿(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구조에 의하면, 상부로 공급되는 역세척수 및 역세공기의 양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스트레이너 상부의 보다 충분한 역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홀(180)의 개수는 복수의 슬릿(130)으로 분사되는 역세척수 및 역세공기 압력을 감안하여 적정한 수로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선등록 특허를 근거로 스트레이너와 스트레이너 고정관에 제2의 고정부를 형성하여 스트레이너가 역세수 및 역세공기의 압력에 의한 진동을 방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에서는 스트레이너 고정관(200)의 하단부에 제2 암나사부(116)와 이와 대향되는 스트레이너(100) 부위에 제2 수나사부(115)를 형성하여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에 의하여 스트레이너(100)와 스트레이너 고정관(200)을 결합 고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합 구성에 의하여 종래의 스트레이너와 스트레이너 고정관의 하부에 형성된 이격된 공간을 해소하고 결합력을 더욱 견고하게 하여, 역세수 및 역세공기의 진동에 의한 스트레이너의 떨림을 최소화함으로써 스트레이너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여과지용 스트레이너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21 : 집수 블록
100 : 스트레이너
110 : 스트레이너 몸체
111 : 스트레이너 중공부
112 : 플랜지
113 : 제1 수나사부
114 : 제1 암나사부
115 : 제2 수나사부
116 : 제2 수나사부
120 : 캡
121 : 제1영역
122 : 제2영역
130 : 슬릿
140 : 격벽
150 : 경사부
160 : 보강부
170 : 가이드부
180 : 홀
200 : 스트레이너 고정관
210 : 이격 부위

Claims (2)

  1. 여과지의 집수블록에 고정된 스트레이너 고정관에 스트레이너가 결합되는 여과지용 스트레이너에 있어서,
    스트레이너 고정관의 상단에 제1 고정부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제2 고정부가 형성되며, 이에 대향되는 스트레이너에도 동일한 구성의 제1 고정부 및 제2고정부가 형성된 결합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지용 스트레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는 나사결합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지용 스트레이너.
KR2020150004422U 2015-07-01 2015-07-01 여과지용 스트레이너 KR2004863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422U KR200486344Y1 (ko) 2015-07-01 2015-07-01 여과지용 스트레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422U KR200486344Y1 (ko) 2015-07-01 2015-07-01 여과지용 스트레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183U true KR20170000183U (ko) 2017-01-12
KR200486344Y1 KR200486344Y1 (ko) 2018-05-15

Family

ID=57797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4422U KR200486344Y1 (ko) 2015-07-01 2015-07-01 여과지용 스트레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344Y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1539B1 (ko) * 1992-05-18 1997-07-11 가나이 쯔또무 전자줌 장치
KR200162325Y1 (ko) 1997-12-27 1999-12-15 윤종용 전기집진기
KR20010074656A (ko) * 2001-06-19 2001-08-04 임권신 고속 여과지용 블록 스트레이너
KR200242554Y1 (ko) 1999-05-12 2001-09-25 김현택 집수장치용 스트레이너
KR100367097B1 (ko) 2000-01-10 2003-01-14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집수장치용 스트레이너
KR20040021123A (ko) 2002-09-02 2004-03-10 허수영 보강부재를 구비한 개비온과 그 보강방법
KR200353448Y1 (ko) 2004-03-11 2004-06-29 주식회사 거성개발 상향식 여과지용 스트레이너 장치
KR101128825B1 (ko) 2011-03-30 2012-03-23 허방련 여과지용 스트레이너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1539B1 (ko) * 1992-05-18 1997-07-11 가나이 쯔또무 전자줌 장치
KR200162325Y1 (ko) 1997-12-27 1999-12-15 윤종용 전기집진기
KR200242554Y1 (ko) 1999-05-12 2001-09-25 김현택 집수장치용 스트레이너
KR100367097B1 (ko) 2000-01-10 2003-01-14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집수장치용 스트레이너
KR20010074656A (ko) * 2001-06-19 2001-08-04 임권신 고속 여과지용 블록 스트레이너
KR20040021123A (ko) 2002-09-02 2004-03-10 허수영 보강부재를 구비한 개비온과 그 보강방법
KR200353448Y1 (ko) 2004-03-11 2004-06-29 주식회사 거성개발 상향식 여과지용 스트레이너 장치
KR101128825B1 (ko) 2011-03-30 2012-03-23 허방련 여과지용 스트레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344Y1 (ko) 201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8143B1 (ko) 배관용 스트레이너 구조
WO2014181851A1 (ja) 沈砂池、砂除去方法、移送システムおよび混入物除去方法
EP3946674A1 (en) Slit spiral tube for self-cleaning pressure filters and a slot self-cleaning pressure filter with such a slit tube
JP6168608B2 (ja) 移送システム
IT9048128A1 (it) Complesso a filtro per drenaggio.
KR200486344Y1 (ko) 여과지용 스트레이너
KR101466765B1 (ko) 여과지의 역세척수 배출 방법 및 장치
KR101096864B1 (ko) 유수분리장치
KR102104128B1 (ko) 압축공기용 응축수 제거장치
KR101546462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0367097B1 (ko) 집수장치용 스트레이너
KR200381733Y1 (ko) 고도처리장치용 여과기
KR100720598B1 (ko) 고도처리장치용 여과기
KR101128825B1 (ko) 여과지용 스트레이너
KR101562335B1 (ko) 선회류를 이용한 유체 정화장치 및 방법
KR101800121B1 (ko) 여과필터
KR200415211Y1 (ko) 여과지용 집수 패널 구조체
KR200460809Y1 (ko) 교량용 집수구
KR20170024624A (ko) 유지 제거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오수 정화 장치
JP3755099B2 (ja) ろ過装置
KR101730796B1 (ko) 세척 가능한 필터 장치
JP7203518B2 (ja) プール用ろ過装置
RU2242266C1 (ru) Фильтр для очистки жидких сред
JP7301717B2 (ja) 浄水用ろ過装置
KR101367147B1 (ko) 스트레이너 조립체 및 그 청소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124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315

Effective date: 201803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