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1631Y1 - 선형강재에대한인장시험용그립 - Google Patents

선형강재에대한인장시험용그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1631Y1
KR200241631Y1 KR2019980016605U KR19980016605U KR200241631Y1 KR 200241631 Y1 KR200241631 Y1 KR 200241631Y1 KR 2019980016605 U KR2019980016605 U KR 2019980016605U KR 19980016605 U KR19980016605 U KR 19980016605U KR 200241631 Y1 KR200241631 Y1 KR 2002416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er
linear steel
tensile
grip
specim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66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5761U (ko
Inventor
유종원
최명진
오용석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20199800166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1631Y1/ko
Publication of KR200000057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7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16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1631Y1/ko

Links

Landscapes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장시험을 하기 위해 선형강재 형상의 시편을 물어주는 그립을 개시한다.
본 고안은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일면에 돌출되어 인장시험기의 일단에 결합되는 시험기 삽입부(20)와, 상기 몸체(10)의 다른면에 'V'자형 홈이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선형강재 시편(1)의 단면을 2점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쐐기부(30)와, 상기 쐐기부(30)의 양면에 시편(1)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톱니부(32)와, 상기 시험기 삽입부(20)를 인장시험기의 일단에 삽입시킨 후 몸체(10)를 시험기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시험기 고정홈(40)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쐐기부(30) 양면에 톱니부(32)를 형성함으로써 선형강재의 돌기부와 마치 지그재그로 톱니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여 고강도 선형강재 시편(1)에 대한 정밀한 측정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선형강재에 대한 인장시험용 그립{TENSILE TEST GRIP FOR STRIP ION MATERIAL}
본 고안은 선형강재의 인장시험을 위해 선형강재를 고정시키는 그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형강재 시편을 강하게 밀착하여 잡아줄 수 있는 쐐기형 홈안에 톱니형상이 마련된 선형강재 인장시험용 그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장시험은 시편을 서서히 인장하여 재료의 항복점, 내력, 인장 강도, 항복 신장, 파단 신장, 단면 수축의 전부, 또는 그 일부를 측정하는 것으로, 시편을 인장하기 위한 인장시험기를 이용해 측정한다.
인장시험기는 시편의 형상에 따라서 시편의 양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다양한 그립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선형강재는 통상적으로 철근 콘크리트 시공 때 보강재료로 콘크리트 속에 넣는 연강재질의 선재로,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철근 외주연에 길이방향의 직각방향으로 돌기부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은 선형강재를 인장시험기에 장착하기 위한 그립(이하 선형강재용 그립으로 약칭함.)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강재용 그립은 사각평판 형상의 몸체(10)와, 몸체(10)의 일면에 원기둥형상으로 돌출되어 인장시험기의 일단에 결합되는 시험기 삽입부(20)와, 몸체(10)의 다른면에 'V'자형 홈이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선형강재를 길이방향으로 잡아줄 수 있도록 형성된 쐐기부(30)와, 시험기 삽입부(20)를 인장시험기의 일단에 삽입시킨 후 그립을 시험기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시험기 고정홈(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선형강재용 그립은 인장시험기의 일단에 서로 대면하도록 설치되어 한조를 이루어 시편의 일단을 압착고정시키고, 동일한 방법으로 인장시험기의 타단에 설치된 한조의 그립이 시편의 타단을 압착고정하여 시편에 인장하중을 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인장시험을 위해서는 4개의 그립이 소요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선형강재용 그립은 선형강재 시편의 외주연은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반면에 시편을 물어주는 그립의 쐐기부(30)는 평면처리되어 있어 고강도 재질의 선형강재를 인장시험하기에는 선형강재용 그립의 물어주는 힘이 약해 그립으로부터 시편이 미끌리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인장율 등의 정밀한 측정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선형강재용 그립의 물어주는 힘을 증가할 수 있도록 시편과 그립의 접촉부 형상을 변경하여 고강도 재질의 선형강재의 인장시험시에도 시편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여 정밀한 측정이 가능한 선형강재에 대한 인장시험용 그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인장시험을 하기 위해 선형강재 형상의 시편을 물어주는 그립에 있어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면에 돌출되어 인장시험기의 일단에 결합되는 시험기 삽입부와, 상기 몸체의 다른면에 'V'자형 홈이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선형강재 시편의 외주연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쐐기부와, 상기 쐐기부의 양면에 시편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톱니부와, 상기 시험기 삽입부를 인장시험기의 일단에 삽입시킨 후 몸체를 시험기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시험기 고정홈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기술되는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선형강재에 대한 인장시험용 그립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선형강재에 대한 인장시험용 그립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 3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선형강재에 대한 인장시험용 그립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20 ; 시험기 삽입부
30 ; 쐐기부 32 ; 톱니부
40 ; 시험기 고정홈 42 ; 헤드 삽입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선형강재에 대한 인장시험용 그립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 2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 3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몸체(10)의 전면에는 평탄한 면이 마련되며, 그 반대면에는 원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시험기 삽입부(20)가 형성된다. 시험기 삽입부(20)는 인장시험기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원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결합부의 형상에 따라 견고하게 삽입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몸체(10)의 평탄한 면에는 그 중앙에 일직선상으로 'V'자형 홈이 오목하게 형성된 쐐기부(30)가 형성된다. 이 쐐기부(30)는 선형강재 시편의 외주연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이 쐐기부(30)의 양면에는 쐐기부(30)의 길이방향 즉, 쐐기부(30)에 고정지지되는 시편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톱니부(32)가 형성된다.
톱니부(32)의 톱니 간격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철근 외주연에 길이방향의 직각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돌기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조정된다.
한편, 시험기 삽입부(20)의 일단에는 몸체(10)를 인장시험기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시험기 고정홈(40)이 형성된다. 이 시험기 고정홈(40)은 톱니부(32)가 형성된 몸체(10)의 전면으로부터 시험기 삽입부(20)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몸체(10)의 전면으로부터 체결수단을 이용해 고저이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시험기 고정홈(40)의 선단부는 체결수단의 헤드부가 몸체(10)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헤드 삽입부(4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선형강재에 대한 인장시험용 그립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선형강재에 대한 인장시험용 그립의 사용상태도로서, 인장시험기의 일단에 한쌍의 그립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상 미도시되어 있으나 인장력을 가할 수 있는 인장시험기의 인장부 일단에는 시험기 삽입부(20)와 반대되는 형상의 삽입부 한쌍이 서로 마주대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삽입부에 각각 시험기 삽입부(20)가 삽입되며, 시험기 고정홈(40)을 통해 체결수단이 체결되어 그립이 견고하게 고정설치된다.
이처럼 고정설치된 한쌍의 그립은 쐐기부(30)가 서로 마주대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쐐기부(30) 사이에는 소정직경의 선형강재가 삽입되며, 그 양단에서 압박하여 쐐기부(30)와 선형강재의 외주연이 강하게 밀착되도록 한다. 이때 선형강재는 외주연이 각각의 쐐기부(30) 면에 지지된다.
특히, 톱니부(32)의 톱니는 선형강재의 외주연에 형성된 돌기부 사이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장시험기의 인장부에 선형강재 시편(1)을 고정시킨 후인장시험을 위해 인장력을 가하면 쐐기부(30)에 의해 선형강재의 외주연이 지지될 뿐만 아니라, 톱니부(32)에 의해 선형강재의 돌기부와 마치 지그재그로 톱니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높은 인장력이 가해지더라도 그립과 시편(1) 사이에서 미끌림 등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당업자는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쐐기부 양면에 톱니부를 형성함으로써 선형강재의 돌기부와 마치 지그재그로 톱니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여 고강도 선형강재 시편에 대한 정밀한 측정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인장시험을 하기 위해 선형강재 형상의 시편을 물어주는 그립에 있어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면에 돌출되어 인장시험기의 일단에 결합되는 시험기 삽입부와;
    상기 몸체의 다른면에 'V'자형 홈이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선형강재 시편의 외주연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쐐기부와;
    상기 쐐기부의 양면에 시편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톱니부와;
    상기 시험기 삽입부를 인장시험기의 일단에 삽입시킨 후 몸체를 시험기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시험기 고정홈;으로 구성된 선형강재에 대한 인장시험용 그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부의 톱니 간격은 선형강재 외주연에 길이방향의 직각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돌기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강재에 대한 인장시험용 그립.
KR2019980016605U 1998-09-02 1998-09-02 선형강재에대한인장시험용그립 KR2002416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605U KR200241631Y1 (ko) 1998-09-02 1998-09-02 선형강재에대한인장시험용그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605U KR200241631Y1 (ko) 1998-09-02 1998-09-02 선형강재에대한인장시험용그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761U KR20000005761U (ko) 2000-04-06
KR200241631Y1 true KR200241631Y1 (ko) 2001-11-16

Family

ID=69520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6605U KR200241631Y1 (ko) 1998-09-02 1998-09-02 선형강재에대한인장시험용그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163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25898B (zh) * 2017-11-30 2024-02-13 浙江福达合金材料科技有限公司 铆钉钉头固定夹具及其铆接式触头元件铆接强度检测方法
CN108195667B (zh) * 2018-01-23 2023-12-29 中国地震局工程力学研究所 一种碳纤维拉压试验用多功能夹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761U (ko) 200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39734A (en) Tensioning device for the screen fabric in silk screen printing frames
US5127763A (en) Clip joint for connection of reinforcing bars and a wedge used therein
KR200241631Y1 (ko) 선형강재에대한인장시험용그립
JP2700268B2 (ja) 炭素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平面板の定着方法及び定着装置
BG64407B1 (bg) Стяга с фиксиран край
SE9404328D0 (sv) Buntningsband
JP3913886B2 (ja) 異形鉄筋引張試験機用固定具
ATE24750T1 (de) Zugkraft absorbierende verankerung in beton.
JPH0621003Y2 (ja) 試験片のチャック装置
JP2568517Y2 (ja) 糸用チャック
JP2001228340A (ja) 光ファイバ固定治具
KR19980065717U (ko) 인장 시험기의 시험편 고정용 그립
RU209751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опалубочных элементов
JPH1123436A (ja) 引張強度測定用補助治具及び引張強度測定方法
CN211453139U (zh) 一种用于测量固件位移的夹具
JP2000064432A (ja) グレーチングの止め金具
JPH0514972Y2 (ko)
JP6544754B1 (ja) 係止具及び係止方法
JPH01266315A (ja) ロープ用クリップ
JPH11100947A (ja) 棒状体の継手
JPH0523842Y2 (ko)
JPS6112408Y2 (ko)
JPH0325160Y2 (ko)
JPH08109705A (ja) Pc鋼材定着用補助具
JP2687609B2 (ja) 緊張材定着具のオスコ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