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0201Y1 - 썬바이져를 이용한 차량내의 먼지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썬바이져를 이용한 차량내의 먼지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0201Y1
KR200240201Y1 KR2020010011759U KR20010011759U KR200240201Y1 KR 200240201 Y1 KR200240201 Y1 KR 200240201Y1 KR 2020010011759 U KR2020010011759 U KR 2020010011759U KR 20010011759 U KR20010011759 U KR 20010011759U KR 200240201 Y1 KR200240201 Y1 KR 2002402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hole
sun visor
dust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17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수
Original Assignee
김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수 filed Critical 김성수
Priority to KR20200100117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02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02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0201Y1/ko

Links

Landscapes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이 주행시 빛물의 유입을 차단시켜 주기위해 도어에 설치한 썬바이져를 통해 차량의 바닥면에 잔류하고 있는 미세한 먼지가 배출될수 있도록 한 썬바이져를 이용한 차량내의 먼지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차량의 도어에 부착될수 있도록 각기 다른 크기와 모양을 갖는 차양판(11) 후면에 일체로 하여 내부에 공간부가 갖추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후단측에 통공(13)이 갖추어진 밀폐판(12)을 형성고, 상기 차양판의 선단부와 후단부측에 각각 공간부와 연통시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됨과 아울러 배출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한 유입공(14)및 배출공(15)으로 형성된 차량용 썬바이져에 있어서, 밀폐판(12)의 통공(13)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결속구(21)가 갖추어지고, 상기 결속구에 선단부가 연결되는 연결호스(22)가 갖추어지며, 상기 연결호스의 후단측에 결합시켜 준 상태에서 차량의 바닥면에 잔류하고 있는 미세한 먼지를 흡입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흡입부(23)로 갖추어진 먼지배출수단(20)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썬바이져를 이용한 차량내의 먼지 배출장치{Discharging device of dust in the vehicle sing sun visor}
본 고안은 썬바이져를 이용한 차량내의 먼지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이 주행시 빛물의 유입을 차단시켜 주기위해 도어에 설치한 썬바이져를 통해 차량의 바닥면에 잔류하고 있는 미세한 먼지가 배출될수 있도록 한 썬바이져를 이용한 차량내의 먼지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인의 선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 160925 호의 썬바이져는 차량의 도어 상단측에 부착될수 있도록 이면에 양면테이프가 갖추어진 차양판 후면에 일체로 하여 내부에 공간부가 갖추어도록 하는 밀폐판을 갖추어준 상태에서 후방측에 공간부와 연통될수 있도록 하는 통공을 뚫고, 차양판의 전,후단측에는 공간부와 연통되도록 한 상태에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과 배출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는 유입공및 배출공을 뚫어준 구성으로서, 상기의 차양판이 차량의 도어에 부착시켜 차량을 운행하다가 차문을 완전히 열지않고 차양판의 높이만큼만 창문을 열어준 상태에서 운행할 경우 차양판의 전방측에 갖추어진 유입공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공간부내로 유입되어 일부는 열려진 창문을 통해 차량의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되지 않은 공기는 공간부를 통해 후방측으로 흐르다가 후단측에 갖추어진 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의 공간부를 통해 후방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공기의 유속력에 의해 실내에 잔류하고 있던 실내공기가 밀폐판의 후단측에 갖추어져 있는 통공을 통해 공간부내로 빨려들어가 배출공을 거쳐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므로서, 실내의 탁한 공기를 순환시켜 줄수 있게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썬바이져는 차량의 내부에 떠다니는 탁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주므로서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켜 주게되는 효과는 있으나, 차량 내부의 바닥면에 깔려있는 미세한 먼지까지는 배출시켜 주지 못하였던 것이다.
즉, 미세한 먼지는 공기보다 비중이 무거워 차량의 내부 바닥면에 깔리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바닥면에 깔린 미세한 먼지는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움직일때마다 바닥면에 접하게 되는 발에 의해 날리게 되므로서, 이를 운전자및 동승자가 호흡에 의해 흡입을 하게되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의 바닥면에 깔려있는 미세한 먼지들이 차량의 운행시 썬바이져의 공간부를 통해 흐르는 공기의 유속력에 의해 빨려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므로서, 미세한 먼지들이 차량내에서 날리는 일이 없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의 미세 먼지를 그대로 흡입하는 일이 없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양판의 후면에 갖추어진 밀폐판의 후면 배출공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연결부를 연결시켜 준 상태에서 선단측에는 바닥면에 잔류하고 있는 미세한 먼지들이 흡입될수 있도록 하는 흡입부를 갖추어 차양판의 공간부를 흐르는 공기의 유속력에 의해 바닥면에 잔류하고 있는 먼지가 흡입부를 통해 연결부와 연결되어 있는 공간부를 거쳐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썬바이져 11:차양판
12:밀폐판 13:통공
14:유입공 15:배출공
20:먼지배출수단 21:결속구
22:연결호스 23:흡입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이 적용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로서, 썬바이져(10)는 차량(1)의 도어(2)에 부착될수 있도록 각기 다른 크기와 모양을 갖는 차양판(11) 후면에 일체로 하여 내부에 공간부가 갖추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후단측에 통공(13)이 갖추어진 밀폐판(12)을 형성하고, 상기 차양판의 선단부와 후단부측에 각각 공간부와 연통시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됨과 아울러 배출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한 유입공(14)및 배출공(15)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썬바이져(10)의 밀폐판(12) 후단측에 갖추어진 통공(13)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한 상태에서 차량의 바닥면에 깔려있는 미세한 먼지들이 공간부를 통해 흐르는 공기의 유속에 의해 빨려들어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는 먼지배출수단(20)이 갖추어진다.
상기의 먼지배출수단(20)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밀폐판(12)의 통공(13)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결속구(21)와, 상기 결속구에 선단부가 연결되는 연결호스(22)와, 상기 연결호스의 후단측에 결합시켜 준 상태에서 차량의 바닥면에 잔류하고 있는 미세한 먼지를 흡입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흡입부(23)로 갖추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고안은 먼지배출수단(2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밀폐판(12)의 통공(13)에 결합되는 결속구(21)를 분리시켜 먼지배출수단(20)을 보관시켜 두면되는 것이고, 상기 먼지배출수단(20)을 이용하여 차량의 바닥면에 잔류하고 있는 미세한 먼지들을 제거시켜 주고자할 경우에는 우선 창문을 열어 밀폐판(12) 부분이 창문(3)을 통해 실내와 연통이 이루어어질수 있도록 한다.
이때, 창문은 필요이상으로 많이 열어줄 필요가 없고 밀폐판(12) 후단측에 갖추어진 통공(13)에 먼지배출수단(20)의 결속구(21)가 결속이 이루어질수 있을 정도만 열어주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창문을 열어준 상태에서 먼지배출수단(20)의 결속구(21)를 밀폐판에 갖추어진 통공(13)에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한 다음 상기의 결속구와 연결호스(22)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흡입부(23)를 차량의 바닥면에 접지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차량을 운행시켜 주게 되면 주행속도에 따라 차양판(11)의 전면에 갖추어진 유입공(14)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공간부내로 유입되어 흐르다가 일부의 공기는 결속구(21)가 결속되지 않은 통공(13)을 통해 차량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고, 나머지의 공기는 공간부를 흘러 후단측에 갖추어진 배출공(15)을 통해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공간부를 통해 흐르다가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는 공기의 유속력에 의해 통공(13)에 결속되어 있는 결속구(21)및 이와 연결되어 있는 연결호스(22)내에 잔류하고 있는 공기를 빨아들여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므로서, 차량의 바닥면에 잔류하고 있는 미세한 먼지들이 공간부를 지나치는 공기의 유속력에 의해 흡입부(23)내로 흡입되어 이와 연결되어 있는 연결호스(22)와 결속구(21)를 통해 공간부내로 빨려들어가게 된 다음 공기와 함께 배출공(15)을 통해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차량이 주행중에 동승자가 흡입부(23)를 자유롭게 이동시켜 주게되면 차량의 바닥면 전체와 시이트 등에 잔류하고 있는 미세한 먼지들이 깨끗히 배출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본인의 선등록되어 있는 실용신안등록 제 160925 호인 썬바이져에 갖추어진 밀폐판의 통공에 창문을 열어준 상태에서 먼지배출수단을 연결시켜 흡입부가 차량의 바닥면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차량을 주행시켜 주게 되면 차양판에 갖추어진 유입공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가 공간부 흐르다가 후단에 갖추어진 배출공으로 배출이 이루어질때 상기 공간부내를 지나는 공기의 유속력에 의해 차량의 바닥면에 깔여있는 미세한 먼지가 먼지배출수단내을 통해 공간부내로 빨려들어가 공기와 함께 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므로서, 차량의 바닥면에 깔려있는 미세한 먼지를 별도로 청소하지 않아도 항상 실내가 깨끗함을 유지시켜 줄수 있게되는 것이고, 이로인해 사람이 차량이 탑승하거나 내릴때 바닥으로 부터 미세한 먼지가 날리지 않아 항상 청결한 상태에서 차량을 운행시켜 줄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차량의 도어에 부착될수 있도록 각기 다른 크기와 모양을 갖는 차양판(11) 후면에 일체로 하여 내부에 공간부가 갖추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후단측에 통공(13)이 갖추어진 밀폐판(12)을 형성고, 상기 차양판의 선단부와 후단부측에 각각 공간부와 연통시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됨과 아울러 배출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한 유입공(14)및 배출공(15)으로 형성된 차량용 썬바이져에 있어서, 밀폐판(12)의 통공(13)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결속구(21)가 갖추어지고, 상기 결속구에 선단부가 연결되는 연결호스(22)가 갖추어지며, 상기 연결호스의 후단측에 결합시켜 준 상태에서 차량의 바닥면에 잔류하고 있는 미세한 먼지를 흡입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흡입부(23)로 갖추어진 먼지배출수단(20)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썬바이져를 이용한 차량내의 먼지 배출장치.
KR2020010011759U 2001-04-24 2001-04-24 썬바이져를 이용한 차량내의 먼지 배출장치 KR2002402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759U KR200240201Y1 (ko) 2001-04-24 2001-04-24 썬바이져를 이용한 차량내의 먼지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759U KR200240201Y1 (ko) 2001-04-24 2001-04-24 썬바이져를 이용한 차량내의 먼지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0201Y1 true KR200240201Y1 (ko) 2001-10-12

Family

ID=73100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1759U KR200240201Y1 (ko) 2001-04-24 2001-04-24 썬바이져를 이용한 차량내의 먼지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020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24028B (zh) 用于车辆驾驶室的自然空气通风系统
JP4033176B2 (ja) ダスト低減装置
US4741256A (en) Vehicular internal ventilating device
KR200240201Y1 (ko) 썬바이져를 이용한 차량내의 먼지 배출장치
ATE281320T1 (de) Luftfiltersystem für fahrzeugkabinen
JPS5931444Y2 (ja) バス等車輛のフレッシュエア−導入装置
JP3712994B2 (ja) サンルーフの排水装置
JP3957160B2 (ja) 車室内換気装置
KR200212201Y1 (ko) 차량용 썬바이저
JPS6337336Y2 (ko)
JP2005081882A (ja) 車両の換気構造
JPS5819965Y2 (ja) 車両用ドア
CN207225310U (zh) 一种除霜系统及具有该系统的车辆
KR100398285B1 (ko) 루프에 부설된 자동차용 세차장치
KR0134512B1 (ko) 자동차 실내로의 청정 공기 공급 장치(The device for providing fresh air into the room of car)
JPS6225366Y2 (ko)
JPS5911916A (ja) 自動車用空気清浄器
JPS5919612Y2 (ja) キヤブオ−バ−型車におけるベンチレ−タ−構造
KR200246862Y1 (ko) 차량용 썬바이져
KR0115727Y1 (ko) 자동차용 환기장치
KR800000990Y1 (ko) 승용차의 환풍 보조기
KR910000339Y1 (ko) 차량용 환기장치
JPH0971121A (ja) 自動車後席用空調装置
JP2004067004A (ja) 室外排気口
KR200145049Y1 (ko) 창문개폐가 불가능한 버스의 환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