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9180Y1 - 도로시설물에 설치하는 충격흡수장치 - Google Patents

도로시설물에 설치하는 충격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180Y1
KR200239180Y1 KR2020010009848U KR20010009848U KR200239180Y1 KR 200239180 Y1 KR200239180 Y1 KR 200239180Y1 KR 2020010009848 U KR2020010009848 U KR 2020010009848U KR 20010009848 U KR20010009848 U KR 20010009848U KR 200239180 Y1 KR200239180 Y1 KR 2002391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absorbing device
shock absorbing
bridg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98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송
남현우
박영준
엄태학
Original Assignee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098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1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1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180Y1/ko

Links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원형고무관을 특수고무로 제작된 커버의 내부에 삽입하여 차량의 충돌방향으로 설치함으로서 차량의 충돌시 특수고무로 이루어진 커버의 내부에 설치된 원형고무관이 자동차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운전자의 충격 및 시설물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도로의 교량 입구에 설치하는 충격완화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충격흡수장치는 교량의 교각에 인접하는 곳에 설치하며, 수납공간을 갖는 고무커버를 고정지지대에 장착되는 고정틀에 설치하고, 상기 고무커버에는 고무스폰지 및 원형고무관을 내재시킨다. 상기 원형고무관에는 공기흡입구가 구비되어 차량의 충돌시 공기흡입구에 존재하는 공기가 배출되면서 원형고무관이 고무스폰지와 함께 충격을 흡수한다. 상기 원형고무관 및 고무스폰지는 충격이 해소되면 원상태로 복원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충격흡수장치를 유지하고 관리하는 비용을 최대한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도로시설물에 설치하는 충격흡수장치{Collision absorbing apparatus for a road}
본 고안은 도로의 터널, 교량 입구 및 교각의 하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수고무로 형성된 커버의 내부에 원형고무관을 삽입함으로써 차량의 충돌시 원형고무관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와 원형고무관의 특성에 의해 차량으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시설물에 설치하는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의 입구 및 교량의 교각에는 자동차와 교각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충격흡수시설을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교각에는 충돌방지 페인트를 칠하거나 폐타이어를 교각의 주위에 설치하는 등 여러종류의 시설이 설치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교량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심의 교량(30)의 교각(34)에는 하부에 도로가 형성되는 경우가 많은데, 상기 교각(34)에는 인접한 곳에 차량(38)과 교각(34)의 충돌시 인명사고 및 차량(38)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폐타이어 적재물(40)이 설치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일반적인 교각의 인접한 곳에 설치되는 충격흡수장치는, 차량과 폐타이어 적재물이 충돌하는 경우 발생되는 충격력이 대부분 차량에 전해지기 때문에 차량의 파손이 심하게 일어나면서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교각의 충격흡수장치는 차량의 파손과 동시에 그 충격력이 그대로 차량의 운전자 및 승객에게 전해지기 때문에 대형의 인명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터널의 입구 또는 교량의 교각에 인접하여 설치하여 차량과 교각의 충돌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인명사고 및 차량의 파손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시설물에 설치하는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로에 설치되는 교량의 교각 또는 교량의 난간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장치는 지면에 콘크리트로 고정되는 두 개의 고정지지대; 상기 고정지지대의 양측단에 근접하면서 지면과 일치하도록 착설되는 받침대; 상기 고정지지대에 체결볼트로 체결되며, 디귿자 형상을 갖는 고정틀; 상기 고정틀에 체결볼트에 의해 고정되며, 받침대의 상면에 위치하며, 내부에 수납공간을 갖는 고무커버; 상기 고무커버의 수납공간에 내설되며, 여러개의 칸막이를 구비하는 칸막이고무상자; 상기 칸막이고무상자와 함께 고무커버에 내설되며, 상기 칸막이고무상자보다 전면에 설치되는 고무스폰지; 상기 칸막이고무상자의 내부에 삽입되는 원형고무관; 그리고 상기 고정틀에 착설되며, 고무커버의 상부면을 덮는 덮개로 이루어지는 도로시설물에 설치하는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교량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가 교각의 인접지역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가 교량 입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에 차량이 충돌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를 구성하는 원형고무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를 구성하는 칸막이상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c는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를 구성하는 고무스폰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d는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를 구성하는 고무커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e는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를 구성하는 고정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f는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를 구성하는 고정지지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g는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를 구성하는 덮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h는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를 구성하는 받침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50 : 교량 52 : 교각
54 : 난간 56 : 충격흡수장치
58 : 위험 표식 60 : 차량
62 : 콘크리트 64 : 고정지지대
66 : 고정틀 68 : 체결볼트
70 : 받침대 72 : 고무커버
74 : 고무스폰지 76 : 칸막이고무상자
78 : 원형고무관 80 : 공기흡입구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가 교각의 인접지역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가 교량 입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에 차량이 충돌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를 구성하는 원형고무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를 구성하는 칸막이상자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c는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를 구성하는 고무스폰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d는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를 구성하는 고무커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e는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를 구성하는 고정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f는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를 구성하는 고정지지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g는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를 구성하는 덮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h는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를 구성하는 받침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에서, 교량(50)의 교각(52) 또는 교량의 난간(54)에 인접하여 충격흡수장치(56)가 설치되는데, 상기 교각(52)의 하부에는 위험 표식(58)이 페인트칠로 표시된다.
도 3 내지 도 5h에서, 충격흡수장치(56)는 교량(50)의 교각(52) 또는 난간(54)에 근접하는 위치에 지면을 파고 콘크리트(62)로 고정지지대(64)를 설치한다. 상기 고정지지대(64)는 강한 철재로 이루어져 충격에 강하도록 한다. 상기 고정지지대(64)는 두 개가 서로 인접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고정지지대(64)에는 고정틀(66)이 체결볼트(68)로 장착된다. 상기 고정틀(66)은 디귿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틀(66)의 하부에는 고정지지대(64)에 근접하도록 받침대(70)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틀(64)에는 고무커버(72)가 체결볼트(68)에 의해 장착되고, 상기 고무커버(72)는 받침대(70)의 상부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고무커버(72)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수납공간을 갖는다. 상기 고무커버(72)의 전면에는 고무스폰지(74)가 채워지고, 상기 고무스폰지(74)의 후면에는 칸막이고무상자(76)가 설치된다. 상기 칸막이고무상자(76)는 여러개의 칸막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칸막이고무상자(76)에는 여러개의 원형고무관(78)이 내설된다. 상기 원형고무관(78)은 다수개의 공기흡입구(80)가 형성되어 평상시에는 공기가 충진된 상태가 되고, 외부로부터 원형고무관(78)에 충격이 인가되면 원형고무관(78)의 형상이 오그라들면서 공기흡입구(80)에 있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고무커버(72)에 칸막이고무상자(76)와 고무스폰지(74)를 설치하고, 상기 칸막이고무상자(76)에는 원형고무관(78)을 내설시킨 후 고정틀(66)의 상측부에 덮개(82)를 장착시켜 고무커버(72)를 덮도록 한다.
일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면, 차량(60)이 교량(50)의 교각(52) 또는 난간(54)측 방향으로 진입하게 되면 우선적으로 충격흡수장치(56)에 부딪히게 된다. 상기 충격흡수장치(56)에 차량이 부딪히게 되면 고무커버(72)에 내재되어 있는 고무스폰지(74)에서 우선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고, 상기 고무스폰지(74)를 통해 칸막이고무상자(76)의 내부에 내설되어 있는 원형고무관(78)이 수축된다. 상기 원형고무관(78)은 고무스폰지(74)를 통해 인가되는 충격에 의해 오그라들면 원형고무관(74)의 공기흡입구(80)에 있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원형고무관(78)을 형성하고 있는 공기흡입구(80)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면서 차량으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은 모두 흡수된다. 상기 충격흡수장치(56)에 인가된 충격이 해소되면 원형고무관(78)의 공기흡입구(80)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원형고무관(78)은 고무커버(72) 및 고무스폰지(74)와 함께 원상태로 복구된다.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 상태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충격흡수장치는 교량의 교각에 인접하는 곳에 설치하며, 수납공간을 갖는 고무커버를 고정지지대에 장착되는 고정틀에 설치하고, 상기 고무커버에는 고무스폰지 및 원형고무관을 내재시킨다. 상기 원형고무관에는 공기흡입구가 구비되어 차량의 충돌시 공기흡입구에 존재하는 공기가 배출되면서 원형고무관이 고무스폰지와 함께 충격을 흡수한다. 상기 원형고무관 및 고무스폰지는 충격이 해소되면 원상태로 복원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충격흡수장치를 유지하고 관리하는 비용을 최대한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도로에 설치되는 교량의 교각 또는 교량의 난간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장치는 지면에 콘크리트로 고정되는 두 개의 고정지지대; 상기 고정지지대의 양측단에 근접하면서 지면과 일치하도록 착설되는 받침대; 상기 고정지지대에 체결볼트로 체결되며, 디귿자 형상을 갖는 고정틀; 상기 고정틀에 체결볼트에 의해 고정되며, 받침대의 상면에 위치하며, 내부에 수납공간을 갖는 고무커버; 상기 고무커버의 수납공간에 내설되며, 여러개의 칸막이를 구비하는 칸막이고무상자; 상기 칸막이고무상자와 함께 고무커버에 내설되며, 상기 칸막이고무상자보다 전면에 설치되는 고무스폰지; 상기 칸막이고무상자의 내부에 삽입되는 원형고무관; 그리고 상기 고정틀에 착설되며, 고무커버의 상부면을 덮는 덮개로 이루어지는 도로시설물에 설치하는 충격흡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고무관에는 외부로부터 충격이 인가되면 공기가 배출되고, 충격이 해소되면 공기가 다시 충진되는 공기흡입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시설물에 설치하는 충격흡수장치.
KR2020010009848U 2001-04-09 2001-04-09 도로시설물에 설치하는 충격흡수장치 KR2002391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848U KR200239180Y1 (ko) 2001-04-09 2001-04-09 도로시설물에 설치하는 충격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848U KR200239180Y1 (ko) 2001-04-09 2001-04-09 도로시설물에 설치하는 충격흡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9180Y1 true KR200239180Y1 (ko) 2001-10-11

Family

ID=73099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9848U KR200239180Y1 (ko) 2001-04-09 2001-04-09 도로시설물에 설치하는 충격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18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050B1 (ko) 2006-11-08 2007-12-04 신성이앤씨 주식회사 도로 분기점용 충격흡수장치
KR200481650Y1 (ko) * 2016-04-07 2016-10-27 (주)제일산업 가이드레일의 처음과 마지막 부분에 장착되는 충격흡수형 단부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050B1 (ko) 2006-11-08 2007-12-04 신성이앤씨 주식회사 도로 분기점용 충격흡수장치
KR200481650Y1 (ko) * 2016-04-07 2016-10-27 (주)제일산업 가이드레일의 처음과 마지막 부분에 장착되는 충격흡수형 단부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68985A1 (ko) 충돌 충격 흡수장치
KR100348707B1 (ko)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KR101344082B1 (ko) 지주 보강 가드레일 및 그 시공방법
KR200239180Y1 (ko) 도로시설물에 설치하는 충격흡수장치
KR100915423B1 (ko) 도로변 시설물용 지주
KR101134563B1 (ko) 가드레일 장치
KR200239182Y1 (ko) 도로시설물에 설치하는 충격흡수장치
KR102185578B1 (ko) 가드레일에 대한 충격흡수 및 승월방지를 위한 가드레일 보강구조
KR101422598B1 (ko) 차량충돌 완충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KR100560732B1 (ko) 회전마찰재를 이용한 충격 흡수장치
KR200321305Y1 (ko) 지하차도 입구용 충격흡수장치
KR200239158Y1 (ko) 도로에 설치하는 충격완화장치
KR20090081600A (ko) 완충용 롤러가 설치된 가이드레일
KR100830950B1 (ko) 충돌완화장치
KR200252858Y1 (ko) 고무판과 슬립 파이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도로시설물
KR200260048Y1 (ko) 도로 터널입구의 자동차 충돌 방지대
KR200320575Y1 (ko) 도로의 중앙분리대용 충격완화장치
KR200228283Y1 (ko) 도로의 차량통행 높이제한틀 충격흡수 안전시설
KR100375134B1 (ko) 도로의 조립식 분리대
KR100560112B1 (ko) 도로용 차량 충돌방지대 설치구조
KR200272026Y1 (ko) 급커브도로 지하차도 옹벽보호를 위한 충격흡수시설
KR200330050Y1 (ko) 중공 칸이 형성된 콘크리트 외피에 피막을 입힌 자동차충돌 완충재
KR200248389Y1 (ko) 폐타이어와 안전덮개 고무판을 이용한 차량의 충격흡수형도로 방호벽
KR200412245Y1 (ko) 중앙분리대용 충격흡수대
KR200239181Y1 (ko) 도로시설물에 설치하는 우레탄고무를 이용한 이동식충격흡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