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9070Y1 - 낚시용 베일아암 이동방식 레바브레이크 겸용 스피닝 릴 - Google Patents

낚시용 베일아암 이동방식 레바브레이크 겸용 스피닝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070Y1
KR200239070Y1 KR2020000027674U KR20000027674U KR200239070Y1 KR 200239070 Y1 KR200239070 Y1 KR 200239070Y1 KR 2020000027674 U KR2020000027674 U KR 2020000027674U KR 20000027674 U KR20000027674 U KR 20000027674U KR 200239070 Y1 KR200239070 Y1 KR 2002390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reel
fishing
spoo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76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규
Original Assignee
김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규 filed Critical 김일규
Priority to KR20200000276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0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0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070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낚시용 스피닝 릴에 있어서 스풀이 왕복운동 하지 않고, 베일아암이 왕복운동하여 정지해 있는 스풀의 권취부에 낚시줄을 고르게 하는 구조에 관한것이다. 이 구조에서는 전방 드라그가 필요없게 되고, 릴바디 내부에 드라그 장치를 할수있게 된다. 메인샤프트가 전,후진 하지않기 때문에, 그 메인샤프트 후방(바디내부)에 디스크드럼을 장착하고, 그 드럼을 라이닝 링이 마찰하면서 스풀의 회전을 제어할수 있게하고, 그 라이닝은 라이닝 슬라이드에 체결되어, 그 라이닝 슬라이드를 전,후진 시키면 드라그의 조임과 풀림조정은 물론, 스풀회전 브레이크까지 가능해진다. 그 라이닝 슬라이드 작동은, 릴바디 후방에서는 드라그 레버를 위로 밀어주고, 아래로 당겨 내리고 하여, 조종할수 있고, 릴 전방에서는 브레이크 레버(LB)를 설치하여, 그 LB를 인지로 잡아당겨 드라그 풀림에서 정지까지를 조종할수 있게되고, 그 두 레버가 바디 전,후방에서 독립적으로 라이닝 슬라이드를 작동할수 있게 되어, 전방의 LB가 없이도, 릴 사용이 가능해져서, LB를 사용자가 필요에따라 탈,부착 할수있게 하여서된 브레이크 레버 겸용 베일아암 이동방식의 스피닝 릴이 개시 된 것이다.

Description

낚시용 베일아암 이동방식 레바브레이크 겸용 스피닝 릴{FISHING BAILARM MOTION LEVER BRAKE SPINNING REEL}
본 발명은 낚시용 브레이크 스피닝 릴에 관한것으로, 특히 베일아암(BAIL ARM)이 왕복운동 하는 것과, 브레이크 레버(L.B)를 탈부착 할수 있게 된것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인 낚시용 스피닝 릴은, 낚시줄이 스풀에 고르게 권취되는 기능이,스풀의 왕복운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스풀왕복운동장치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상세한 설명을 위해서 제 7도(a)와 (b)에 기존의 LB스피닝 릴의 간략도가 도시되어 있다.그 도시된 제 7도(a)에서, 메인샤프트(10)에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관 형상의 피니언축(41)에 메인샤프트(10)가 길이방향으로 관통하게 되고,그 메인샤프트는 회전할수 없게 되어져 있고, 화살표 A방향으로, 메인샤프트 전방에 장착된 스풀(12)이 전진했다가, 화살표A'방향으로 후진하는,왕복운동만 할수있게 장치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는 메인샤프트와 피니언 길이방향 접점량이 E + F가 됨으로써 그 접점량은 메인샤프트에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피니언에,많은 회전력 손실을 가져오게 됨으로써,회전체로서는 기계적 결함을 갖게된다.
또, 상기와 같은 기존의 스피닝 릴을 사용하여,낚시행위를 할때,낚시에 물고기가 걸려,릴로 낚시줄을 감아들일때에 있어서,제 7도(a)(b)에 도시된 화살표G방향으로 낚시줄이 당겨지면서,라인롤러를 통과하면서,스풀의 중심회전축과 수직방향으로,낚시줄 방향이 전환되어 당겨지게 된다.
이때, 화살표 B B'방향으로 반작용 하는 힘이 발생하게 되고,이 반작용하는 힘으로 인하여, 스풀(12)과 베일아암(14)의 간격이 좁아지면서,메인샤프트(10)가 베일아암(14)방향으로 휨 현상이 나타나게 되고,그 휨현상으로 인하여 피니언(41)과 메인샤프트(10)의 최종 접점지점 E부분에, 낌현상에 의한 마찰이 생겨지고, 메인샤프트에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피니언에는 브레이크 작용으로 나타나게 됨으로써, 낚시에 걸린 물고기의 무게에 정비례하게, 낌현상이 많이 발생하여 피니언의 회전을 정지 시킬수도 있게 된다.
그리고 스풀(12)의 위치가 제 7도(a)상태의 지점(하사점)에 있을때보다, 제 7도(b)상태의 지점(상사점)에 있을때가, 지렛대 작용의 원리로, 더욱더 브레이크 작용의 힘이 커지게 되어져서, 낚시줄을 감아들일때 많은 힘이 소모되는, 치명적인 결함을 갖게된다.
그리고, 제 7도(a)와(b)를, 도면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하로 비교해 보면 기구본체의 길이가,길어졌다 짧아지는 것을 알수 있게 되고, 릴 전체비중의 약30%를 차지하는 스풀(12)이 가느다란 메인샤프트에 매달려, 전,후방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릴 전체의 무게중심이 흔들려 정숙한 릴링(회전)을 할수 없게 되고, 릴 전체에서의 무게중심이 변화하게 되어서, 릴바디의 설계시 낚시대 장착부(족부)의 위치를 설정하기 어렵게 되어지고, 외관상 기구의 전체길이와 부피가 유동성이 있게되면, 단일기구로서는 비합리적인 구조라는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위에서 열거한 바와 같이 여러가지의 결점을 지니고 있는, 기존 스피닝릴 권취장치를 다른방향에서 접근하여, 스피닝릴에서 가장 중요한 기능인, 로타의 회전을 보다 더 원활히 할수도 있으면서, 낚시줄 권취를 고르게 할수 있는, 스피닝릴 권취장치를 개발하는데 큰 목적이 있고, 아울러 스피닝릴의 외관상, 그 기구 전체의 길이와 부피가 변화하지 않는 새로운 디자인의 스피닝릴을 개발하는데도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기존의 레바브레이크 방식 스피닝릴에 있어서, 여러가지의 구조적인 문제점을 발생시켜, 사용하는데 많은 불편함을 느끼고 있다.
레바 브레이크(이하 LB로 표시하여 서술함)방식 스피닝릴의 주용도는, 흘림낚시 행위시, 보다 가볍고, 보다 부드러운 낚시대에, 가능한한 가느다란 낚시줄을 사용하여, 대물을 낚시에 걸었을때, 낚시줄을 순간순간 풀어주고 감아들이고, 또 여의치 못하면, 다시 풀어주고 하여, 물고기의 반항하는 힘을 지치게 만들면서, 낚시인의 손맛을 최대로 만끽할수 있게, 만들어진 릴 시스템이다. 그런데 LB방식 스피닝릴에서는, 낚시줄을 풀어주는 방법에서, 두가지의 큰 문제점이 있다.
그 첫째 문제점은, 낚시에 물고기가 걸려 LB를 사용할때, 낚시줄 풀림의 강,약 조정이 불가능하고, 다만 낚시줄 풀림과, 풀림정지의 두가지 동작밖에 할수 없다는 문제점이다. 그 일 실시예를 보면, 낚시에 물고기가 걸려들면, 일단 LB를 꽉 잡고 릴링(핸들을 정상방향으로 회전하여 낚시줄을 감아들이는 행위)을 하게 된다. 이때, 걸린 고기의 저항하는 힘이, 일정하지를 않고, 갑자기 드세지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낚시줄의 인장력이 견디지 못한다고 느끼면, 꽉 잡고 있던 LB를 놓아주는데, LB를 놓아버려도, 이미 릴 자체에서 지정되어 있는 드라그(낚시줄이 물고기가 당기는 힘에 의하여 풀려나갈때, 그 풀림저항을 조정하는 장치)조임 만큼, 일정한 풀림저항 압력을 받고 있는 로타가, 역회전 하면서, 낚시줄이 일정한 저항력을 지닌채, 풀려나가게 된다. 물고기의 저항이 강해지면, 로타의 일정하게 고정된 저항력을 풀어주면서 낚시줄이 부드럽게 빨리 풀려 나갈수 있게 하여야만, 낚시줄의 끊어짐을 방지할수 있으나, 그 저항력을 순간순간 조정할수 있는 장치가 없어서, 물고기의 반항하는 힘이 갑자기 커지는 경우에는, 속수무책으로 낚시줄이 끊어져버리게 된다.또한, 지정된 LB드라그의 힘에, 저항하는 고기의 힘이 미치지 못하는 고기가 걸려들었을 때는, LB의 기능이 무용지물로 되어, 거추장스러운 기구로 치부되어 왔다.
한편 기존의 스피닝릴에서는, 스풀이 회전하면서 낚시줄이 풀려나가게 되어있고, 전세계적으로 가장 합리적인 드라그 방식으로 정립되어져 있다. 이렇게 정립되어 아무런 문제가 없는 '스풀회전 낚시줄 풀림방식'스피닝릴의 구조에, LB를 접목하여 스풀이 회전하는 드라그 기능을 작동할수 없게 해버리게 만들어 진것이 기존의 LB방식 스피닝릴이다. 스풀의 회전을 제어하는 LB를 장치하지 않고, 위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불합리한 로타의 회전을 제어하는 LB장치를 고집한 이유가 있다. 그 이유는, 기존의 스피닝릴의 구조에 있는데,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지적한다면, 제 7도(a) 에서, LB(5)의 위치에서는 스풀(12)에 LB(5)의 기능을 전달할수 있는 통로가, 로타(6)에 가로막혀 LB의 동작을 스풀(12)까지 전달할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회전제어 가능한 위치에 있는 로타의 회전을 제어하는, LB방식이 채택되어, 일본에서 최초로 만들어져, 국내에도 아무 거스름 없이 일반화 되어져 가고 있다. 그리고, 로타가 역회전 하면서, 낚시줄을 풀어주게 되면, 또 한가지 큰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 문제점은, 로타가 역회전하여 낚시줄이 풀려져 나가게 되면, 핸들이 따라서 역회전하게 되어져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핸들을 손으로 잡고 있으면, LB를 놓아버려도 낚시줄이 풀려 나가지를 않는다는 것이다. 별로 큰 문제점이 아니라고 볼수가 있겠으나 다음 실시예를 보면 아주 큰 결함으로 나타나게 됨을 알수있다. 기존의 LB스피닝릴을 사용하여 낚시 행위를 할 때, 낚시에 대물(물고기)이 걸려들면, 한손으로 LB스피닝릴이 장착된 낚시대를 힘있게 잡고, 낚시대를 수표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세우면서, 낚시대 잡은손의 인지를 LB에 걸고, 다른 한손으로는 릴의 핸들 손잡이를 잡고, 핸들을 회전시켜 낚시줄을 감아들이게 되는데, 결과적으로 양손의 힘이 동시에 낚시대에 주어지어, 안정된 릴링을 할수 있게 된다. 이때 낚시에 걸린 물고기의 발악하는 힘이 커지게 되면, 낚시대 잡은 손의 인지에 걸려있던, LB를 살짝 놓아주어서, 물고기와 낚시줄이, 서로당기는 힘으로 대치하지 않도록, 낚시줄이 풀려나가게 하여 주었다가, 잠시후 다시 LB를 꽉 잡고, 릴링을 하고, 또다시 여의치 못하면, LB를 놓아주면서 낚시줄을 풀어주고, 하는 동작을 계속 반복하여, 고기가 지치게 만들어 잡아들이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LB를 살짝 놓아주면서, 핸들을 잡고 있던 손도, 핸들을 완전히 놓아주어야만, 낚시줄이 풀려나가게 되어있고, 만약 고기가 반항하며 당기는 힘이 더욱 커져서, 낚시대를 세우고 있지 못할 정도 일때는, 낚시인은 심리적으로 핸들을 잡고 있던 손을 쉽게 놓아주지 못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낚시대 잡은 손 하나만으로, 그 고기가 당기는 힘에 저항하면서 낚시대를 세우고 있어야 하고, 그나마 낚시대 잡은 한 손마저 인지를 살짝 놓아주어야만 하기 때문에, 손아귀의 힘을, 제대로 발휘할수 없기 때문이다. 만약 핸들 잡은 손을 놓아주지 못하면, 낚시줄이 풀려나갈수 없게되고 낚시에 걸린 물고기는 낚시바늘에 더 큰 통증을 느끼면서, 더욱더 발악하며 달아나려는 힘이 탄력을 받아 낚시줄을 끊어 버리게 된다. 결과적으로 위와 같은 일실시예를 볼때, 물고기의 저항하는 힘이 클때, LB를 사용하게 되는데, 오히려 그 상황에서는 한손만으로 낚시대를 세우고 있어야 하고, 또한 릴을 조종해야 하는등, 이렇게 불합리한 점이 기존의 LB스피닝릴의 결점으로 널리 알려져 왔다.
본 발명에서는 낚시줄이 풀려나갈때, 핸들이 역회전 하지도 않으면서 낚시줄이 풀려나가고, 또한 풀려나가는 낚시줄의 저항력을 순간순간 간단히 조정할수도 있고, 또한 LB가 필요없는 낚시행위에는 간단히 LB만 분리 시킬수도 있는, LB장치를 개발하여, 상기 낚시줄 권취장치 개발과 아울러 전혀 새로운 LB스피닝릴을 제작하여 전 세계 낚시인에게 널리 보급하는데 전체 고안의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서는 기존의 LB스피닝릴의 기본 골격을 유지해야만, 새로운 스피닝릴로서 태어날수 있게되고, 만약 기존의 스피닝릴과 비교하여, 사용법이나 그 기능이 많이 바뀌게 되면 스피닝릴이 아닌 다른 형식의 릴로 분리되어지고, 그것은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스피닝릴이 손에 익은 낚시인들의 외면을 받게되어 시장성을 잃어버리게 되는 큰 과제가 있다. 그리하여 핸들→드라이브기어→피니언→로타 까지의 동력전달 체계와 구성요소는, 기존의 스피닝릴 기본골격으로써 결함이 없고 다만, 피니언과 메인샤프트의 관계에서의 상술한 바와 같은 기계적 결함이 발견되었다. 그 기계적 결함을 정밀분석 해 보면 다음과 같은 과제를 얻을수 있다. 제7도(a)에 도시된 기존 스피닝릴의 구조를 참고하여 보면, 피니언(41)은, 그 자체가 회전축 중심을 가진 독립된 회전체인데, 그 회전축 피니언(41)은 후방단부에, 피니언(41)외경보다 적은 외경을 가진 단차를 형성하여, 바디(1)내부의 돌출부에 삽입하여 지지하여 회전할수 있는 구조로 되어져 있고, 그 피니언(41)의 전방단부에서 피니언 외경을 내경으로 한 베어링을 게재하여, 바디(1)의 전면 플렌지 부위에 그 베어링이 나사로 바디에 고정지지 되어서, 독립된 기계적 회전체로서 아무런 결함이 없다. 그러나 그 피니언(41)회전축 중심을 길이방향으로 메인샤프트(10)가 관통하여, 왕복으로 미끄러지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기계적인 결함이 발견된다. 이 구조에서는, 피니언(41)의 관형상 길이방향 통공이, 메인샤프트(10)를 지지하게 되고, 또한 메인샤프트의 왕복운동을 인도하는 가이드 역활까지 해야만 한다. 여기서 지지된다는 것은 E + F 만큼의 접촉점이 회전체 피니언(41)에 생긴다는 것인데, 피니언이 회전하는데 큰 방해를 받게된다. 그래서 독립된 회전체 피니언에 관통한 메인샤프트를 간섭하지 않게 독립시켜야만 하고, 그 대안으로 메인샤프트에 볼베어링을 개재하여, 메인샤프트에 상대적으로 피니언의 회전을 원활히 할수는 있으나 메인샤프트가 왕복운동을 하게되면, 메인샤프트에 볼베어링을 개재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세계 각국에서 여러가지 장치개발이 고안되어 특허로 등록된 바가 있으나, 그 중, 미국특허 제 4.416.428호가 있다. 간략히 그 구조를 설명한다면, 메인샤프트에 나선형 워엄을 형성하여, 폴이 로타에 고정되어 로타가 회전할때, 폴은 지정된 위치에서 회전만 하게되고, 그 회전으로 인하여 메인샤프트에 형성된 나선형홈을 이용하여, 메인샤프트를 전후진 왕복시키는 구조로 된것이다. 이런 구조는, 상술한 바와같이, 메인샤프트가, 피니언축에 낌현상으로 나타나서, 로타의 회전을 방해하는 기계적 결함을 피하지 못하게 되었고, 아울러 워엄을 이용한 권취시스템의, 기본조건을 무시해 버린채 기계적인 구조만 고안하다보니, 스풀의 권취부에 낚시줄이 파형으로 권취되는 결과를 보이게되고, 오히려 낚시줄 권취상태를 망쳐놓은 결과를 가져오게 되어,상용화 되지를 못하고 있고, 그 후에도 메인샤프트에 워엄을 형성시켜서 된, 유사한 고안들이 국내에서도 제시되었으나, 모두 다 '워엄방식 권취시스템'의 기본조건을 간과 해버린 고안으로 되어있어, 상용화 되지를 못하였고, 가장 최근에 공개된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188546호가 있는데, 상술한 구조보다는 훨씬 발전한 구조로 되어있으나, 이 또한 워엄의 기본조건을 무시해 버린채 기계적인 구조만 고안하게되어, 업계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문제점인, 상술한 결함을 지적하지 못하고, 그대로 답습하는 결과를 가져와 상용화 시켰지만 일반화되지 못하고 있다. 여기서 '워엄방식 권취시스템'의 구조적 기본조건을 제 7도에 도시된, 기존의 '워엄방식 스피닝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면, 피니언(41)의 회전이 워엄샤프트 기어(39)에 전달되면서, 워엄샤프트(36)가 회전한다. 이때 폴홀더(28)에 매입되어 있는 폴(29)이, 워엄샤프트(36)의 외경에 파여진 나선형의 홈을 따라 움직이면서, 전달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어, 폴홀더(28)에 전달하여, 폴홀더(28)와 나사 체결된, 메인샤프트(11)가 왕복운동하게 된 것인데, 여기서 절대로 간과해서는 안될 기본공식이 하나 있다. 그 공식은 피니언(41)의 회전수와 워엄샤프트 기어(39)의 회전수 비율이 1:1이 아니어야 한다는 것이다. 만약 그 비율이 1:1로 되어져 있으면, 로타의 회전과 스풀이 전후진하는 지점이 매공정마다 일정하게 지정된 장소에서만 만나게되어 낚시줄을 권취하게 됨으로 인하여, 제 9도(a)에 도시된 형상(파형)으로 권취되는 것이다. 그 비율이 1:1이 아니면, 매 공정마다 일정하게 지정된 장소에서 만나지 못하고 비율의 차이만큼 한 공정마다 만나는 지점이 달라지게 되어져서 제 9도(b)와 같이 잘 정리된 권취형상으로 되어지게 되고, 통상의 스피닝릴에서는 그비율을 6:7, 7:8, 8:9 등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상술한 미국특허나 대한민국특허 등은, 둘다 로타의 회전수를 그대로 사용한 것으로써 로타의 회전수는 곧 피니언의 회전수 이기때문에, 결과적으로 1:1의 회전비를 벗어날수 없게되어, 오히려 낚시줄 권취를 흐트려놓는 구조가 된것을 알수 있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메인샤프트와 피니언의 기계적 관계에 대한, 구조적 결함을, 근본적으로 없애고, 상기 기어비의 변화도 줄수있는 구조인 베일아암 왕복운동 권취장치를 고안하게 되었고, 베일아암이 왕복운동을 하면서 낚시줄을, 정지되어 있는 스풀의 권취부에 골고루 감아주게 되는 방법은 가장 바람직한 시스템이 될수는 있으나 왕복운동의 동력을 전달받는 경로가 중요한 과제가 된다. 한편 기존의 LB방식은, 바디의 외부에서 꺽여져 들어온 힘을 로타의 내측을, 그 마찰력으로 제동할수 있게 되어있어서 상술한 바와같은 불합리한 결점이 나타나게 되었으나, 본 고안에서 고안된 권취시스템을 이용하면, 바디외부에서 내부에까지 관통한 메인샤프트의 후방 부위를, 바디의 내부에,외부에서 꺽여져 들어오는 LB의 힘을 이용하여 제동할수 있는 장치를 할수는 있으나, 그 장치가 LB의 꺽여지는 힘의 강약에따라, 강,약으로 드라그 조정기능을 갖추어야하고, 바디외부에 또 하나의 드라그노브를 만들어, LB와 그 드라그노브가, 연동하면서도 각각의 기능을 별도로 사용할수도 있게 하여야만, 상술한 바있는 목적을 달성할수 있는데, 그 연동구조를 편리하게 사용자들이 사용할수 있도록, 구성하는것이 중요 과제가 된다.
제 1 도는 : 조립된 상태에서의 사시도
제 2 도는 : 조립된 상태에서, 고안의 기능과 동작을 종합하여 설명하기 위한 입체도 (요약서 첨부도면)
제 3 도는 : 고안의 조립된 상태에서, 각 부품의 위치와 중요부분을 설명에 필요한 부분만을 종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종 단면도
제 4 도는 : 고안의 전체외곽 및 부품의 분해조립을 나타내면서 고안에 직간접으로 필요한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 5 도는 : 바디와 로타가 체결된 상태에서,핸들과 스풀 등을 도시생략하고,로타의 측면을 절개하여, 그 로타의 구조와 기능을 입체적으로 도시하여,아암레버가 전,후진 할수 있게된 구조를 설명하는 입체도
제 6 도는 : 브레이크레버와 브레이크의 동작원리를 입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관계없는 부품을 도시생략하고,브레이크 동작을 위한 골격만,간략히 도시한 입체도
제 7 도(a)는 : 통상의 스피닝릴에서 로타와 스풀,메인샤프트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용 일부단면도
제 7 도(b)는 : 제7도(a)와 비교할수 있는 참고용 일부단면도
제 8 도는 : 로타에 고정되는 부품들을 제 4도에서와 다른 각도에서 확대하여 상세히 도시한 입체도
제 9 도는 : 기존의 스피닝릴에서 스풀에 낚시줄이 권취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바디(BODY) 2.바디커버(BODY COVER) 3.핸들
4.스풀레버(SPOOL LEVER) 5.브레이크 레버(LB) 6.로타(ROTOR)
7.안티리브스 레버 8.드라이브 기어 9.드라그 레버
10.메인샤프트 11.베일 12.스풀(SPOOL)
13.베일홀다 14.베일아암 15.베일부쉬
16.라인롤러 17.라인슬라이드 스크류 18.라인슬라이드 스크류너트
19.아암레버 스크류 20.베일홀다 스크류 21.베일홀다 커버
22.베일홀다 커버 스크류 23.아암레버 시트커버 24.아암레버 시트 스크류
25.아암레버 시트 26.아암레버 시트 고정핀 27.아암레버 스프링
28.폴 홀다(PAWL HOLDER) 29.폴 30.폴 부쉬
31.폴 플레이트 32.플레이트 스크류 33.레벨 와이드 가이드
34.폴 홀다 가이드 35.베일트립 레버 36.웜 샤프트
37.베어링 38.레벨 와이드 가이드 볼 39.웜 기어
40.리테이너 41.피니언 42.원 웨이 베어링
43.베어링 44.메인기어 45.메인기어 스크류
46.안티리브스 레버 스프링 47.캠 샤프트 48.브레이크 레버 너트
49.브레이크레버 스크류 50.바디커버 스크류 51.디스크 드럼
52.디스크 스크류 53.라이닝 링 54.라이닝 슬라이드
55.라이닝 슬라이드 스프링 56.레버 스프링 57.사운드 스프링
58.사운드 스프링 스크류 59.안티리브스레버 스크류 60.메인샤프트 베어링
1a.슬라이드 레일부 1b.링요삽 홈 1c.전방 개구부
1d.바디플랜지부 1e.드라그 개구부 1f.LB요삽 개구부
1g.돌출통공 1h.드라이브기어 통공 6a로타 플랜지부
6b.로타프레임부 6c.베일홀다 조립부 6d.폴홀다 개구부
6'.D형홀 6'.레벨와이드가이드 통공 28a.베일아암시트 체결부
28b.폴고정부 28',28'.메탈슬리브 통공
화살표 A.B.C.D ................... 는 설명이 필요한 부위의 진행 또는 회전하는 방향표시
이러한 목적을 과제를 본 고안에서 고안된 LB스피닝릴에서는, 통상의 스피닝릴 바디형상으로 외곽을 구성하고, 그 바디 전방에는 '피니언축 개구부'또 낚시대 장착부위 하측전방으로는 'LB요삽 개구부', 또 후방프래임 부위에는 '드라그 개구부', 또 그 바디 내부상측에는 '슬라이드 레일' 그 레일 후방에는 '링 요삽홈', 또 그 바디 내부 중앙부위에는 피니언 한쪽 끝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돌출통공', 또 드라이브 기어가 회전할수있게 지지되는 '드라이브기어 통공'을 지니는 '릴바디'를 구성하고
상기 릴바디 내부의 돌출통공에 후방단부가 삽입되어, 회전가능토록 지지되며 후방외주에는 피니언이 형성되고, 상기 릴바디 전방개구부를 관통하면서 길이가 연장되어 돌출되는 관형상 '피니언 축', 그 피니언 축에 개재되어 피니언 축을 일방방향으로만 회전할수 있게하는 '원웨이 베어링', 그 원웨이 베어링의 회전을 도와주는 '볼 베어링', 그 볼베어링을 상기 바디 플랜지부에 고정하면서, 상단에는 스퍼기어를 지니는 '메인기어', 그 메인기어를 바리전방에 고정하는 3개의 '나사', 그리고 직사각형의 면판으로 상기 바리내부 슬라이드 레일에 삽입되어 지지되면서, 직선왕복운동 할수 있고, 후술하는 LB 삽입구와 두개의 라이닝 링 상측단부 삽입구와 스프링 삽입구를 지니는 '라이닝 슬라이드', 중심부에 하술하는 메인샤프트가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통공을 지니고, 전방외주에는 메인샤프트 고정홀을 지니고, 후방에는 후술하는 라이닝 링이 감싸여지는 외주홈이 형성된 '디스크 드럼', 그 디스크 드럼의 외주홈을 감싸주는 링형상으로, 상측단부를 벌려서 그 디스크드럼 외주홈에 감싸면서 끼워지고, 상기 라이닝 슬라이드의 라이닝 상측단부 삽입구에 거치되는 '라이닝 링', 상기 바디 후방 드라그 개구부에 끼워져 상,하로 움직일수 있게 되고, 상기 라이닝 슬라이드를 밀고 당길 수 있는 '드라그 레버', 상기 릴바디의 LB삽입 개구부에 삽입되어, 상기 라이닝 슬라이드의 LB삽입구에 거치되는 'LB'상기 라이닝 슬라이드의 왕복운동시 복원을 도와주는 '스프링', LB의 복원을 도와주는 '스프링', 상기 바디 드라이브기어 통공에 삽입되어 회전할수 있게 지지되며 핸들의 회전으로 회전하는 '드라이브기어', 상기 디스크드럼의 외주에 접촉하여 소리를 낼수있는 '사운드 스프링', 상기 바디와는 별도로, 바디의 장착부하측 내외형을 대칭하는 형상으로, 드라이브기어 삽입통공과 3개의 나사체결 홀을 지니는 '바디커버' 상기 바디커버의 드라이브기어 삽입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드라이브기어와 일체로 나사체결되는 '핸들부' 등으로 바디부를 구성하고
한편 상기 피니언축이 삽입되는 D형 홀과, 레벨와이드 가이드 삽입통공을 지니는 플랜지부에, 폴홀다 개구부와 베일홀다 조립부가 성형된 프래임부가 결합하여 컵모양의 형상으로 되어진 '로타', 두개의 메탈슬리브 통공과, ㄱ자형의 베일아암시트 체결부와 폴고정부가 일체로 성형된 '폴홀다', 상기 메탈슬리브 통공에 삽입되고 관형상으로 전방에는 베어링홀이 성형되고, 후방에는 육각 플랜지를 지니며 그 플렌지 내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폴 홀다가이드', 전방단부가 막혀진 관형상으로, 상기 메탈슬리브 통공에 삽입되고, 그 관형상 외주에는 길이방향으로 폴 개구부를 지니고, 후방에는 외주플랜지, 그 플랜지 내주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레벨와이드 가이드', 그 레벨와이드 가이드의 관속으로 삽입되고, 전방단부에는 단차를 형성하고, 후방단부에는 워엄기어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키와 리테이너 홈을 지니고, 그 중심부 외주에는 나선형 홈이 형성된 '워엄샤프트', 상기 폴 홀다의 폴고정부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폴' 그 폴의 회전을 원활히 하는 '폴부쉬' 그 폴과 폴부쉬를 동시에 고정하는 '플레이트'와 '플레이트 스크류', 레벨와이드 가이드를 로타에 고정하고, 내주에는 베어링 삽입홀, 외주에는 숫나사, 그 숫나사 끝부분에는 외주플랜지를 지니는 '레벨와이드가이드 볼트', 상기 레벨와이드가이드 볼트의 내주 베어링 홀에 삽입되는 '베어링', 상기 워엄샤프트 후방단부에 삽입되는 '워엄기어', 그 워엄기어를 고정하는 '리테이너'로 로타부를 구성하고
U자형의 '베일', 그 베일 한쪽 끝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반대측에 나사조임통공을 지니는 '베일홀다', 그 베일의 다른 한쪽 끝에 고정되는 '베일부쉬', 그 베일부쉬와 라인롤러를 고정하는 돌출부와 그 돌출부 내주에 암나사를 형성하고, 그 반대측에 나사조임 통공을 지니는 '베일아암' 그 베일아암이 체결되고, 상기 폴홀다의 베일아암시트 체결부의 체적만큼의 삽입홈이 배면에 형성되고, 그 측면에는 2개의 핀홀이 형성된 '베일아암시트' 상기 베일홀다와 베일아암을 회전가능하게 각 부위에 고정하는 '부쉬 스크류' 등으로 베일부를 구성하고, 전방에는 숫나사부와 스풀의 회전을 고정하는 키 부위를 지니고, 후방에는 상기 디스크 드럼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홀을 지니는 '메인샤프트' 그 메인샤프트 전방으로 부터 삽입되는 통공을 지니고 낚시줄 권취부와 스풀 스커트와 라인스톱 삽입구를 외주에 지니는 '스풀', 그 스풀을 고정하는 암나사가 내주에 형성되고, 두 손가락으로 풀고, 조일수 있는 돌출부를 지니는 '스풀레버', 등으로 스풀부를 구성하여서 된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과 작용을, 첨부된 제 4도에 의거하여, 바디부,로타부,베일부,스풀부 로 구분하여 상세히 설명코져 한다.
1) 바디부
·릴바디의 구성
본 고안에서의 릴바디(1)는, 기존의 스피닝릴 바디형상으로 그 외곽을 구성하고, 그 바디(1)전방에는 피니언축(41)이 관통하면서 원웨이 베어링(42)과 메인기어(44)가 삽입되는 2단으로 된 개구부(1c)가 형성되고, 그 릴바디(1)장착부(1g)하측 전방으로는, LB(5)가 삽입되는 LB요삽개구부(1f)가 형성되고, 후방 프래임 부위에는, 드라그레버(9)가 측면으로 끼워지는 ㄷ자 형상의 드라그 개구부(1e)가 형성되고, 또 그릴바디(1) 내부 상측에는, 비스듬한 각도로 된, 라이닝 슬라이드(54)가 측면에서 끼워져 움직일 수 있게, 두개의 돌출부위를 지니는, 슬라이드 레일(1a)이 형성되고, 그 레일(1a) 후방에는, 라이닝 링(53)이 측면으로 끼워지는 링 요삽홈(1b)이 형성되고, 또 그 바디(1)내부 중앙부위에는, 피니언축(41)의 후방단차단부가 삽입되는 통공을 지니는 돌출부가 형성되어서 된 돌출통공(1g)이 형성되고, 그 돌출동공(1g) 상측 중앙부위에는, 드라이브기어(8), 후방축을 지지하며 회전하게 할수있는, 드라이브기어통공(1h)이 형성된 릴바디(1)가 구성된다.
·릴바디 전방부 구성
후방외주에는 피니언이 형성되고, 전방단부에는 숫나사가 형성되고, 그 몸통의 길이가 연장되어 바디플랜지(1d)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길이로된 관형상 피니언 축(41)을, 상기 릴바디 전방 개구부(1c)에 관통하여, 바디내부 돌출통공(1g)에 후방단부 단층부를 삽입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일방방향으로만 피니언축을 회전시키는 원웨이 베어링(42)과 로라(6)의 회전을 도와주는 볼베어링(43)을 상기피니언축(41)에 순서대로 개재하여, 릴바디 플랜지부(1d)에 형성된 2단 개구부(1c)에, 상기 원웨이 베어링(42)의 외주가 삽입되게 삽입하여, 피니언축(41)을 임시로 지지해놓은 뒤, 전방에는 통공을 지닌 스퍼기어가 형성되고, 그 스퍼기어의 내주에는, 상기 볼베어링(43)이 삽입,안착하는 홀을 지니고, 그 홀 외주에는 외주플랜지를 지니며, 그 플랜지 외주를 3등분한 지점에 각각 나사조임 삽입구를 지니는 메인기어(44)를 준비하고, 그 메인기어(44)를, 상기 바디플랜지부(1d)에서 돌출되어 지지되어있는 피니언축(41)을 개재하여 2단개구부(1c)에 삽입한뒤 3개의 나사(45)로 바디플랜지부(1d)에 나사고정하여, 피니언 축(41)이, 바디(1)에서 상대적으로, 일방방향으로만 회전할수 있게하여, 릴바디 전방부를 구성한다.
·릴바디 내부에서 LB와 드라그 레버의 구성
먼저 중심부에 메인샤프트(10)가 삽입되는 요삽통공을 지니고, 2단으로된 회전체로서, 전방 소 외경단 외주상에는 메인샤프트(10)를 나사방법으로 고정하는, 나사부가 형성된 홀을 지니며, 후방 대 외경단 외주상에는 후술하는 라이닝 링(53)이 요삽하는, 원주회전방향의 홈을 지니는데, 그 홈을 형성할때, 전,후방으로 두개의 륜이 만들어지게 되고, 그 두개의 륜중에 전방에 형성된 륜 외주에는, 하술하는 사운드 스프링(57)의 후방 끝부분이 접촉하여 소리를 낼수있는 스퍼기어가 형성되어서 된 디스크 드럼(51)을 구성하여 준비하고, 그 드럼(51)의 후방 대 외경단 외주상에 형성된 홈에 감싸면서 끼워지고, 그 홈의 최대외경과 같은 크기를 내경으로하여, 하측에는 U형의 돌출부를 지니고, 상측은 그 내경을 줄였다,늘였다 할수있는 틈을 지니면서, 길이가 연장되어 절단된 두개의 단부를 지니는 라이닝 링(53)을 성형하여 준비하고, 상기 라이닝 링(53)의 절단된 두개의 단부 사이의 틈을 벌려, 그 라이닝 링(53)의 내경을 키워서, 상기 디스크드럼(51)의 홈에 삽입하여 거치하고, 그 상태에서 직사각형 면판으로 후방에는 길이방향 대각으로 모여지는 각도로 형성된 두개의 레일홀과, 중앙부위에 스프링 홀, 전방에는 사각형 홀을 지니는 라이닝 슬라이드(54)의 후방 두개의 레일홀에, 상기 라이닝 링(51)의 상측 두개의 단부를, 상기 라이닝 슬라이드(54) 후방 두개의 레일홀에, 라이닝슬라이드(54) 면판 배면으로 부터 각각 삽입하여, 조립한 상태로 준비하고, 두개의 돌출부가, 상기 라이닝슬라이드 면판 두께만큼의 간격을 두고, 대각으로 성형되어 구성된 슬라이드레일(1a)과, 라이닝 링 상측단부와 하측 돌출부위만 측면으로 삽입할수있게 파여져 구성된, 링요삽홈(1b)에, 상기 조립된 상태의 라이닝 슬라이드(54)와 라이닝링(53)을 상기 릴바디 측면내부, 바디커버(2)가 열려진 방향에서부터 각각의 위치에 삽입하여 지지하고, 이렇게 지지된 라이닝 슬라이드(54)의 중앙부위 홀에, 준비된 토오션코일 스프링형으로된 라이닝슬라이드 스프링(55) 하측단부를 삽입하여, 그 스프링을 바디내측 벽면에 지지해 둔다.
전방에는 인지가 안착하는형 라운드가 성형되고, 후방에는 라이닝 슬라이드(54)의 전방 사각형 홀에 걸쳐져, 후방 상측에 형성된 홀을 축중심점으로 하는, 회전력에 의해, 라이닝슬라이드(54)를 당길수 있는 부위가 형성되어진 LB(5)를, 상기 릴바디 LB요삽개구부(1f)에 삽입하고, 릴바디 내부로 들어온 LB후방부위를, 상기 바디내부 슬라이드 레일(1a)에 지지되어 있는, 라이닝슬라이드 전방 사각형 홀에 거치하고, LB(5)후방 상측에 형성된 홀과, 바디장착부 하측에 형성된 홀을, 중심맞춤하여 부쉬너트(48)로, 그 맞춰진 상기 홀을 관통하여 삽입 지지하고, 도면상 후방의 스크류(49)로 부쉬너트(48)를 바디(1)에 고정하고, 그 LB(5)의 후방 내측에 토오션 코일스프링 형의 레버스프링(56)을, 바디 내 벽면에 삽입하여서된 브레이크 레버LB장치를 구성한다. 양 측면에, 상기 바디(1)의 프래임 두께만큼의 폭을 가진, 길이방향의 홈을 지니고, 그 홈 전방부위는 바디(1)의 내부에 있게되고, 그 홈 후방부위는 바디(1)의 외부로 돌출되게 되며, 외부로 돌출된 부위에는 미끄럼 방지 주름형상으로 성형하고, 내부로 들어가 있는 부위에는 상기 라이닝슬라이드(54)의 후방단면과 접촉하여, 라이닝슬라이드(54)의 위치를 지정할수 있는 경사면이 형성된, 드라그레버(9)를, 상기 릴바디(1)후방 드라그 개구부(1e)에, 측면에서 삽입하여 지지하는, 드라그레버를 장치하고, 릴바디(1) 내부하측에, 사운드스프링(57)을 나사(58)로 고정하여서 된, LB장치와 그 LB장치와 연동하는 드라그레버장치를 구성한다.
·LB와 드라그레버의 작용
제 6도에 도시된 상황에서, LB(5)가 화살표 A방향으로 동작하면, H지점에 도시생략된 부쉬너트(48)로 바디에 지지되어 화살표 J방향으로 작동하게 되고, 그 동작으로, 라이닝 슬라이드(54)가, 도시생략된 바디내부의 슬라이드레일(1a)에, 양측 길이방향의 면이 삽입되어 지지되어 있어서, 화살표B방향으로, LB가 화살표 A방향으로 동작한 만큼 비례하여 움직이게 되고, 이때 라이닝 링(53)은 도시생략된 바디내부 링 요삽홈(1b)에, 하측 U형 돌출부와 상측 2개의 단부가 삽입되어, 회전할수도 없고, 전후로 움직일수도 없게 지지되어 있어서, 라이닝 슬라이드(54)가화살표B방향으로 전진하면서, 라이닝슬라이드 후방 두개의 레일홀에 삽입되어 있는 라이닝 링 상측 두개의 단부의 틈이, E간격에서 F간격으로 좁아지게 되고, 고탄성을 지닌 철사로 된, 라이닝 링(53)의 내경이 좁아지면서, 디스크드럼(51)의 외주방향 홈을 조여주게 되어, 화살표D방향으로, 회전할려는 디스크드럼(51)을 정지시키게 되고, 아울러 그 디스크드럼(51)에 나사(52)로 체결된 메인샤프트(10)와 그 메인샤프트에 고정된 스풀(12)의 회전이 멈추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메인샤프트(10)가 화살표D방향으로 회전할때는, 디스크드럼(51) 전방대외경단 외주에 형성된 스퍼기어에, 얇은 강판으로 된 사운드 스프링(57)의 후방단부가 접촉하여 있어, 그 스퍼기어와의 마찰하는 소리가 나게되어, 스풀회전 곧 낚시줄 풀림을 알려주게 되고, 또 화살표A방향으로 작동했던 LB(5)를, 놓아버리면, LB(5)가 스프링(56)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으로 복귀되고, 동시에, 압축압력을 받고있던 스프링(55)이, 라이닝 슬라이드(54)를 화살표C방향으로 복원시키게 되고, 그 라이닝 슬라이드가 복원되면서 라이닝 링(53)상측단부의 틈이 넓어지면서 디스크드럼(51)을 조이고 있던 힘이 없어져, 디스크드럼(51)이 자유로와지고, 물고기의 당기는 힘에 의해서 스풀(12)이 회전할수도 있게된 것이다.
한편 제 6도에 있어서 도시생략된 드라그레버(9)의 작용을, 제 2도에 도시된 상황에서, 제 6도 상황과 연결하여 설명하게 된다. 제 3도에 있어서, 도시된 드라그레버(9)는 중심부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로서, 그 드라그레버(9)의 경사면(9a)과 라이닝슬라이드(54)의 후방단부가 약간의 틈을 지니게 되어있다. 이 상황은 제 6도에 도시된 라이닝 슬라이드(54)의 위치와 같이되게 되고, 제 3도에서의화살표A방향으로, 드라그레버(9)를 밀어주게 되면, 그 드라그레버의 경사면(9a)에, 라이닝슬라이드 후방단부가 접촉하면서, 드라그레버(9)를 밀어주는 만큼의 거리로, 라이닝슬라이드(54)가, 제 6도의 화살표B방향으로 움직에게 되고, 그 동작으로 LB(5)를 화살표A방향으로 당기는 역활과 같은 작용으로 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디스크드럼(51)을 정지할수 있게되고, 드라그레버(9)는 자체복원력이 없기 때문에, 라이닝 슬라이드(54)를 드라그레버(9)가 동작한 만큼의 위치에 고정하고 있는 역활을 하게되고, 이때, LB(5)가 움직이지 않는 상황에서 라이닝슬라이드(54)가, 제 6도에서 화살표B방향으로 이동하면, 라이닝슬라이드(54) 전방부 사각형홀에, LB(5) 후방부위가 삽입된 체적을 제외한, 나머지 간격(공간)만큼만 이동하게 되고, 그 간격은 G만큼에 비례하게 조성되어져 있고, 이것은 곧 디스크드럼(51)이 완전 정지 할수있는 F의 간격으로 설정되어지게 된다. 만약 드라그레버(9)가 화살표B방향으로 움직여서, 어느 위치에 정지해 있을때, LB(5)는 스프링(56)의 탄성으로 지지되어 있어서, 그 LB(5)가 외부에 나타나는 위치는 변동사항 없이 되게되고, 다만, 라이닝슬라이드(54) 전방 사각형홀의 전방부위에 틈(공간)이 있게된다. 그래서, 그 틈만큼 화살표J방향으로의 LB(5)의 유격만 있게되고, 이 상황은 곧 도시생략된 H부분의 나사(48)를 풀어서, LB(5)를 지지되어있던 바디(1)에서, 뽑아버려도 라이닝슬라이드(54)가 드라그레버(9)에 의해, 그 위치에 정지해 있기 때문에, 디스크드럼(51)과 라이닝 링(53)의 마찰에 의한 드라그기능은 지니고 있게되고, 드라그레버(9)를 화살표B방향으로 밀어주어도, 라이닝슬라이드(54)는 제 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로 복원하게 됨으로써, 드라그풀림 기능을 할수있게 되어져서, LB(5)가 없더라도, 드라그레버(9)가 독립적인 드라그 조정기능을 할수있게 된다. 여기서 LB(5)는, 드라그레버(9)가 지정해주는 드라그조임 위치에서 부터 시작하여, 그 드라그 조임을 더 가하여 디스크드럼(51)의 회전을 정지시킬수도 있고, 그 반대로 LB(5)가 최초 시작한 드라그 조임상태까지만 드라그를 풀어줄수 있게 되어 있으며, LB(5)를 필요로 하는 낚시행위시, 드라그레버(9)의 설정위치가 낚시에 걸린 물고기의 당기는 힘에 적당하지 못하다고 판단되면, 손쉽게 드라그레버(9)를 하향 또는 상향 조정하여, LB(5)가 작동하는 범위, 곧 드라그의 힘을 순간순간 간단히 조정할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LB(5)가 필요치 않은 낚시행위에는, LB(5)만 쉽게 분리하여 보관해 두고, 일반 스피닝 릴로써도 사용하는데도 아무런 문제가 없이 된다.
·바디부의 기타 부품구성
한편, LB(5)의 기능과는 별도로 된,캠샤프트(47)는, 상기 릴바디(1) 전방 플랜지부(1d) 하측통공에 관통하여, 안티리브스레버(7)와 나사(59)로 체결되어 회전 가능토록 지지되는, 안티리브스레바, 그 레바로 일방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원웨이 베어링(42)의 키부위를 캠원리로 작동하여, 양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토록 조종하는 작용을 하게 되며, 또 통상의 드라이브기어(8)를, 릴바디(1)의 드라이브 기어통공에 삽입하여, 회전 가능토록 지지하고, 상기 릴바디(1)의 장착부하측, 내,외형의 형상을 대칭하는 형상으로 된, 바디커버(2)를 바디(1)에 덮어서, 3개의 나사(50)로 체결하여 바디(1)와 일체로 하고, 핸들부(3)를 바디(1)의 드라이브 기어 통공에 삽입하여, 릴바디(1) 내부에 매입되어진 드라이브기어(8)와 일체로 체결하여, 릴바디(1)에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토록 하여, 릴 바디부의 구성을 끝낸다.
·바디부의 기타 부품 작용
LB장치와는 별도인, 상기 부품들의 작용을 보면, 기존의 스피닝 릴의 구조에서, 이미 일반화되어 널리 사용되는 장치로써, 간략히 설명한다면, 핸들(3)이 회전하면서, 릴바디(1)내부에 매입되어 회전하게 된 드라이브기어(8)가, 그 핸들의 회전에 의해서 회전하게 되고, 그 드라이브기어(8)는, 상기 피니언축에 형성된 피니언과 기어체결되어 있어서, 나사기어의 원리로 회전축 중심선 방향을 90°전환시켜, 릴바디(1) 전방으로 향하게 하면서, 그 피니언축이 피니언과 드라이브기어(8)의 기어비율에 준하여, 그 회전수가 높아지면서 회전하는 작용을 하게되고, 이때 그 피니언축(41)의 회전방향을, 일방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필요에 따라서 안티리브스 레버(7)를 돌려서 조정하게 되는 것이다.
2) 로타부
·로타 몸체의 구성
제 4도에 도시된 로타(6)의 입체도에서, 로타(6)는 원형으로 된 플랜지부(6a)를 지니며, 그 플랜지부(6a)원형 중심에는 D형홀(6')이 형성되고, 그 D형홀(6')의 회전중심점에서 후술하는 베일홀다(13)방향으로, 상기 메인기어(44)의 스퍼기어 피치원 반경과 후술하는 워엄기어(39) 피치원 반경을 합친 길이만큼의 간격을 둔 지점을 중심점으로 하는, 레벨와이드 가이드 삽입통공(6')을 형성하고, 그 플랜지 외주상에 로타프레임부(6b)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프레임부 외주상에 후술하는 폴홀다(28)의 체결부(28')가 관통하여, 왕복운동 할수있는 길이방향의 개구부(6d)를 형성하고, 그 개구부와 로타프레임부(6b)외주상에, 후술하는 레벨와이드 가이드 통공(6')과, 상기 D형홀(6')을 중심으로 하는, 마주보는 위치에, 베일홀다 체결부(6c)를 형성하여, 그 로타(6) 프레임부(6b)와 일체로 성형하여서 된 로타(6)본체를 구성한다.
·로타의 전방 내부구성
제 4도에 도시된 로타내부 부품을 제 8도에서 확대하여, 다른각도에서 볼수있게 하고, 제 8도에서 로타(6) 내부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두개의 메탈슬리브통공(28',28')과, T자형의 베일아암시트 체결부(28a)와, 폴이 지지되는 폴고정부(28b)가 일체로 형성된 폴홀다(28)를 구비하여 준비하고, 상기 두개의 메탈슬리브 통공 중에, 중앙부위에 위치한 통공(28')에는, 상기 관형상 피니언축(41)과 로타(6)를 일체로 고정할수 있는, 육각형 외주플랜지를 후방단부에 지니고, 그 플랜지 내주에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전방단부에는 후술하는 메인샤프트(10)에 개재되어 삽입되는 볼베어링(60)이 안착하는 베어링홀이 형성된 길이방향 통공을 지니는 관형상의 폴홀다가이드(34)를 삽입하고, 또 나머지 한개의 메탈슬리브통공(28')에는, 전방단부가 막혀진 관형상으로, 그 막혀진 부위 중심부에는, 하술하는 워엄샤프트(36)전방을 지지하면서 회전 가능토록하는 홀이 형성되고, 그 관형상의 후방단부에는, 내주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그 관형상의 외주상에 길이방향으로, 하술하는 폴(29)이 관통하여 왕복운동 할수있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 개구부 후방에는, 그 관형상 외경보다 약간 큰 외경을 지니는 플랜지를 형성하여서된, 레벨와이드가이드(33)를 삽입하여 준비하고, 상기 준비되어진 로타본체의 프레임부(6b)에 길이방향으로 된 개구부(6d)에, 상기 조립되어 준비된 폴홀다(28)의 베일아암시트 체결부(28a)를 삽입하여, 로타프레임부(6b)외주의 외부로 베일아암시트 체결부(28a)가 돌출되게 하여두고, 그렇게 조립되어 로타(6)의 프레임부(6b)내부에 위치하게 된 레벨와이드 가이드(33)후방을 로타플랜지부(6a)에 형성된, 레벨와이드 가이드 삽입통공(6')에 삽입하고, 그렇게 레벨와이드 가이드 통공(6')에 삽입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로타(6)의 배면쪽에서, 상기 관형상 레벨와이드가이드(33)의 관속으로, 후술하는 워엄샤프트(36)를, 전방부 부터 삽입하고, 그 워엄샤프트(36)후방단부로 부터 베어링(37)을 개재한 뒤, 중앙에 관통하는 통공을 지니는 볼트형상으로, 전방단부에는 숫나사가 형성되고, 그 숫나사의 내주에는 상기 베어링(37)이 삽입안착되는 베어링 홀이 단차로 형성되고, 후방에는 외주플랜지를 지니고, 그 플랜지 외주면의 양쪽을 대칭하게 평면으로 성형하여서 된, 레벨와이드가이드 볼트(38)로, 로타(6)에 삽입되어 지지되어있는 레벨와이드 가이드(33)후방 내주 암나사에, 나사조임하여, 워엄샤프트(36)가 삽입된 레벨와이드가이드(33)를,로타(6)의 플랜지부(6a)에 고정하면서, 매입된 워엄샤프트(37)가 동시에 지지된 베어링(37)의 기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수 있게되고, 그리하여 레벨와이드 가이드볼트(38)의 통공을 관통하여 돌출된 워엄샤프트(36)후방단부에, 중심부는 D형 홀을 지니고, 그 홀 외주에는 스퍼기어가 형성된 워엄기어(39)를 개재하여, 리테이너(40)로 그 워엄기어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수 있게하고, 또 상기와 같이 조립된 상황에서, 폴홀다(28)의 폴고정부(28b)에, 기존의 스피닝 릴에서 이미 일반화된 장치인, 폴(29)과 폴부쉬(30), 플레이트(31)와 나사(32)로 구성된 폴지지 장치로, 폴홀다(28)를, 폴홀다가이드(34)와 레벨와이드가이드(33)에 지지하여서, 로타내부가 구성된 것이다.
·로타부의 작용
상기와 같이 조립된 로타(6)의 D형홀(6')을, 이미 조립되어 준비된 바디부의 전방에 돌출되어 있는, 피니언축(41)의 전방단부에 삽입하고, 상기 폴홀다가이드(34)의 후방단부 내주에 형성된 암나사로, 피니언축(41)의 전방단부 숫나사에 나사조임 방법으로 조여서, 피니언축(41)과 로타가 일체로 체결되고, 피니언축(41)이 회전할때, 로타(6)도 같이 회전할수 있게 되고,
상기에 조립된 상황을 입체적으로 도시하면, 제 5도와 같이 되고, 제 5도에 도시된 상황에서 각 부품의 작용과 기능을 설명한다. 제 5도에 있어서 도시생략된 핸들을 릴링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바디(1)의 내부에 매입된 드라이브기어가 회전하게 되고, 그 회전으로 피니언축(41)이 화살표A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피니언축(41)에 로타플렌지(6a)의 중앙 D형홀이 삽입되어 피니언축(41) 전방단부의 숫나사와, 폴홀다 가이드(34)후방 육각플랜지 내주 암나사가, 나사체결되어, 로타의 플랜지부(6a)를 피니언축(41)에 일체로 고정하였기 때문에, 그 피니언축(41)의 회전으로 로타(6)몸체가 회전할수 있게 되고, 그 로타(6)몸체가 회전하면, 로타(6)의 내부 플랜지부(6a)에 직립하여 고정된 레벨와이드가이드(33)와 피니언축(41)을 나사체결한 폴홀다가이드(34)가 피니언축 중심을 회전축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게 되고, 두개의 가이드(33,34)에 삽입된 폴홀다(28)도, 일체로서 회전하게 된다. 위와같이 로타 몸체에 고정부착된 부품들이 로타몸체와 함께 화살표A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로타 플랜지부(6a) 뒷면에, 돌출되게 워엄샤프트(36)에 회전 가능토록 체결된 워엄기어(39)가, 바디플랜지(6a)부에 3개의 나사(45)로 고정되어 있는 메인기어(44)에 맞물리게 되어서, 그 고정된 메인기어(44)에 워엄기어(39)가 공전하면서 자전하게 되고, 그 자전으로 생겨지는 워엄기어(39)의 회전으로, 그 워엄기어(39)에 체결된 워엄샤프트(36)를 회전시키게 되고, 그 워엄샤프트(36)가 회전하면, 폴홀다(28) 폴고정부(28b)에 고정된 폴(29)이, 워엄샤프트(36)외주에 형성된 나선형 홈(일명,트래버스 홈)을 따라가며, 워엄샤프트의 회전운동을, 직선왕복 운동으로 바꾸어, 폴홀다(28)가, 레벨와이드가이드(33)와 폴홀다가이드(34)를 가이드로 하여 미끄러지면서 왕복운동 하게되고, 그 폴홀다(28)의 왕복운동은, 로타부를 관통하여 돌출된, 베일아암시트 체결부(28a)를, 로타몸체의 외부에서 왕복운동 할수있게 되고, 그 체결부(28a)에 베일아암시트(25)를 두개의 핀(26)으로 압입고정 (도면에는 설명을 위해 분리됨)하여서 로타의 몸체 프레임(6b)외부에서, 베일아암시트(25)에 지지되는 베일아암(14)이 왕복운동 할수있게 된것이다.
3) 베일부
·베일부 구성
제 5도에 도시된 베일(11)은, 강심재질 철사를 U자형으로 휘어서 된것으로 (도면상에는 잘려져 있음) 그 베일(11)의, 도면상 좌측단부에는, 베일홀다(13)가, 베일(11)을 화살표C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하고, 그 베일홀다(13)를 로타(6)의 베일홀다 체결부(6c)에 부쉬나사로 화살표E방향으로만,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토록 체결하고, 도면상 베일(11)의 우측 단부에는, 베일부쉬(15)가 체결되고, 그 베일부쉬는 라인롤러(16)를 개재하여, 베일아암(14)에 나사(17)로 체결하면서, 화살표D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토록 되어지고, 그렇게 체결된 베일아암(14)은, 부쉬나사(19)로 베일아암시트(25)에 화살표F방향으로만, 상대적으로 회전할수있게 고정하여서 베일부를 구성한다.
·베일부 작용
상술한 로타부의 회전에 의하여, 폴홀다(28)의 체결부(28a)가 제 5도에서 화살표B방향으로 왕복운동 하게되어 있어서, 그 체결부(28a)에 체결된, 베일아암시트(25)에, 베일홀다(14)가 또 체결되어 있어서, 상기 왕복운동은 곧 베일(11)이 체결된, 베일아암(14)이 왕복운동 하게되고, 이때 베일홀다(13)는, 로타(6)에 일체로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왕복운동은 하지않고, 베일(11)이 베일홀다(13)에 상대적으로 화살표 C C'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베일아암이 전진할때는 베일부쉬(15)가, 화살표D'방향으로 회전하고, 또 후진할때는 베일부쉬(15)가 화살표D방향으로 회전하여, 베일아암(14)이 화살표B방향으로 왕복운동 할수있게 된다.
4) 스풀의 구성과 작용
제 4도에 있어서 메인샤프트(10)는, 전방단부에 숫나사가 형성되고, 그 외주상에 대칭하는 평면부를 성형하고, 후방에는 디스크드럼(51)을 체결할때, 나사(52)가 관통하는 홀을 지니고, 그 메인샤프트(10)에 삽입되는 통공을 회전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스풀(12)은, 메인샤프트(10)에 삽입될때, 메인샤프트(10)에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못하게하는, D형 통공을 전방부에 형성하여, 스풀(12)이 회전할때는 메인샤프트(10)가 일체로 되어 같이 회전할수 있게 되고, 그 스풀(12)의 후방 스커트부위의 길이를 짧게하고, 그 스커트부 외주상에는 라인스톱이 설치되는 개구부를 지니는 형상으로 되어지고, 그 스풀(12)이 메인샤프트(10)전방단부에 삽입되어 있을때, 후방내주에 암나사가 형성된 스풀레버(4)로, 나사조임하여 메인샤프트(10)와 스풀(12)이 일체로 할수있게 되어지고, 스풀(12)만 분리시킬때는 나사풀림방법으로 스풀레버를 돌려서, 그 스풀레버(4)를 메인샤프트(10)에서 분리 시킨뒤, 스풀(12)을 뽑아낼수 있게 되어지고, 스풀(12)이 외력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메인샤프트(10)가 같이 회전하게 되고, 메인샤프트(10)후방에는, 제 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드럼(51)이 나사(52)로 체결되어져, 메인샤프트(10)가, 바디내부에서 이탈하지 못하게 지지 되어진다.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서술한 바와같이, 베일아암(14)이 왕복운동하여, 낚시줄을 스풀(12)에 고르게 권취하는 기능을 가진 장치와, 그 장치를 이용하여 LB(브레이크레버)를 장치하고, 그 LB를 탈부착 할수있게 장치하고, LB를 분리시켜 일반스피닝 릴로 사용할수 있게 하고, LB를 분리시켜 사용할때, 드라그 조정이 가능토록 하는 장치를 바디후방 하측에 돌출되게 하여서 된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
제 2도에서 완성된 고안의 외관이 도시된다. 제 2도에 있어서, 화살표A방향으로 핸들(3)을 돌려주게 되면, 바디(1)내부에서 드라이브기어가 회전하면서 피니언축을, 화살표 M 반대방향으로 회전축 중심방향을 전환하여 회전시키게 되고, 그 피니언축의 회전으로 로타(6)가 화살표B방향으로 회전하고, 로타(6)가 회전할때는 스풀(12)은 회전하지도 않으면서 전,후진하지도 못하게 된다. 로타(6)가 회전할때, 베일아암(14)은 화살표C방향으로 왕복하며 움직이게 되고, 이때, 베일아암(14)과베일(11)이 도면상 점선표시 위치에서 실선표시 위치까지를 이동하게 되고, 베일부쉬(15)는 화살표F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베일홀다(13)에 베일(11)이, 화살표G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낚시줄(H)을 방출할때는, 일반적인 스피닝릴의 사용법과 같이 베일(11)을 화살표K방향으로 젖혀주면 된다. 또 드라그레버(9)를 화살표E'방향으로 끝까지 내려주면 스풀(12)이 외력(낚시채비무게)에 의해서 화살표M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낚시줄이 방출된다. 물고기가 낚시에 걸렸을때, 물고기가 달아날려고 낚시줄(11)을 잡아당기게 되는데, 그 물고기가 어떤 힘과 중량을 가지고 있는지는 실제로 대처해 봐야만 알수있게 된다. 낚시줄이 견디지 못할 정도라고 판단되면, 낚시줄을 방출해야 하는데, 방출하는 방법은, 드라그레버(9)를 상하로 조정하면 되고, 화살표E'방향으로 밀어 올리면 올릴수록 낚시줄 방출저항이 커지게 되고, 화살표E'방향으로 끌어 내리면 내릴수록 낚시줄 방출저항이 적어지게 된다. 낚시줄이 외력에 의해 방출될때, 스풀이 화살표M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로타(6)의 회전하는 방향(화살표B)과 같은 방향이 되어, 로타(6)가 회전하여도 낚시줄이 스풀(12)에 감겨지지 않게된다. 이때, LB가 스풀(12)의 회전을 정지시킬수 있게되고, LB를 화살표D방향으로 인지를 사용하여 잡아당기면, 스풀이 회전하면서 방출되던 낚시줄은, 스풀(12)회전이 정지되면서 낚시줄 방출이 정지되게 된다. 또 낚시줄을 감아들일 필요가 있을때는, LB를 인지로 당긴상태에서 핸들만 돌려주면 되고, 물고기의 반항하는 힘을 빼기 위해, LB를 당긴채 대처할수도 있고, 갑자기 물고기의 반항이 심해지면, LB를 살짝 놓아주어 낚시줄을 방출할수도 있게 된다. LB는 홀림찌낚시 할때, 주로 사용되는데 다른 낚시 행위에는 LB가 오히려 불편할때가 많이 있다. 그래서 LB만 분리시켜 일반스피닝릴로 사용할수 있게 된다. LB를 릴바디(1)에서 분리시키는 방법은, 브레이크 레버너트(48)를 드라이브로 풀어서 바디(1)에서 뽑아낸 뒤, LB를 바디내부에서 뽑아내면 되고, 브레이크 레버너트(48)는 본래대로 바디(1)에 잠궈 놓으면 된다. LB를 분리하여 일반적인 스피닝 릴로 사용할때는, 일반적인 스피닝릴의 사용법과 동일하고, 다만 드라그레버(9)의 사용법만 알고 있으면 되는데, 드라그레버(9)를 화살표E'와 E'의 중간지점에 위치하게 해놓고 낚시행위를 하다가, 낚시에 걸린 물고기의 반항하는 힘에따라 드라그레버(9)를 상하로 이동하여주면 된다. 일반적인 스피닝릴에서는 전방드라그,후방드라그 하여 두가지의 드라그 장치가 있으나, 그 두가지 모두가 원터치 조정이 불가능 하게되어 있다. 낚시를 시작할때, 지정해놓은 드라그조임을, 실제로 필요한때(물고기와 대처했을때)는, 왠만히 능숙한 사용자가 아니면은 사용할수가 없게되는 불편함이 있다. 그 이유는 두가지 드라그 모두다 나사방법으로 조이고, 풀고 해야하기 때문이다. 한바퀴 또는 두바퀴 또는 세바퀴를 한번으로 돌려주고 풀어주지 못하고, 두번세번 손을 잡았다, 놓았다 해야하고, 그 상황이 물고기와 대처해 있는(낚시대를 세우고 있는 상황)상황에서는 사용하기가 무척 어렵게 되어져있다. 그래서 원터치로 조정할수 있는 드라그레버(9)가 꼭 필요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는 효과
본 고안에서 고안된 LB겸용 스피닝릴을 사용하게 되면
첫째, 피니언축이 메인샤프트의 간섭을 받지않게 되어져서 기존의 스피닝릴에 비교하여, 스피닝릴에서 가장 중요한 기능인 로타의 회전이 원활해져서, 릴링시, 적은 힘으로 큰 중량의 물고기를 끌어낼수가 있게 되는 큰 효과가 있다.
둘째, 원터치로 드라그를 조정할수 있어서, 긴급한 순간순간 낚시줄 방출저항을 조정할수 있게 되어져, 드라그 사용이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셋째, 스풀이 릴바디 전,후방으로 왕복운동 하지않고, 고정되어 있어서 릴전체의 외관이 단정해지고, 릴링시, 릴전체의 흔들림이 없게되어 로타의 회전이 정숙해지는 효과가 있다.
넷째, LB를 탈부착 할수있기 때문에 한개의 릴로 어떠한 낚시행위에도 사용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통상의 일반 LB스피닝릴에 비교하여 많은 량의 부품수를 줄일수 있어서, 제작원가를 낮추어 제품의 경쟁력을 높이 갖추고, 고 부가가치를 낼수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일반 스피닝 릴에 비교하여, 스풀의 스커트가 짧아지고, 스풀 전방에 드라그 와셔를 없애는 등 릴전체 중량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50여년간 변화하지 않았던 기존의 스피닝릴 낚시줄 권취장치를 본 발명에서 많은 장점을 갖게 변화시켜, 그 제품을 세계시장에, 새로운 스피닝릴로 제시하여, 국가적 이익과 동 업계에서 기술적 상위를 인정 받을수 있는 효과가 있다.
.

Claims (9)

  1. 낚시줄이 핸들의 회전으로 스풀(12)에 권취되고, 그 스풀(12)에 권취된 낚시줄이 외력에 의해서 방출될 때 그 스풀(12)이 회전하면서 낚시줄이 방출되고, 그 방출되는 낚시줄을 스풀의 회전을 정지시켜서, 그낚시줄의 방출을 정지 시킬수 있는 LB(5)를 지닌 낚시용 LB 겸용 스피닝 릴에 있어서, 릴바디(1)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핸들(3)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드라이브 기어 ; 그 드라이브 기어(8)에 결속된 핸들(3)의 회전으로 회전토록,외주상에 피니언이 형성된 관형상 피니언 축(41),상기 릴바디(1)의 전방개구(1c)를 관통하여 그 바디 플랜지부(1d)에 돌출되어진 상기 피니언 축(41)에, 그 피니언 축(41)의 회전을 원활히 하는 베어링(43)과, 일방 방향으로만 그 피니언 축(41)을 회전하게 하는 원웨이 베어링(42)을 동시에 개재하여, 그 릴바디 플랜지부(1d)의 전면에 상기 메인기어(44)로 그 베어링(43)을 지지하고, 상기 메인기어 스크류(45)들로 고정되는, 메인기어(44) ; 상기 로타(6)의 플랜지부(6a)전면에 상기 레벨와이드가이드(33)가 직립으로 되게 삽입하고, 그 관형상 레벨와이드 가이드(33) 내부에 상기 웜샤프트(36)가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고 그 웜샤프트(36)후방에 베어링(37)을 개재하여, 그 로타(6)의 플랜지부(6a) 후측에서 상기 레벨와이드 너트(38)로 그 레벨와이드 가이드(33)를 나사조임 방법으로, 그 로타 플랜지부(6a)전면에 직립하도록 고정하면서, 그 웜샤프트(36)는 그 레벨와이드 가이드(33)에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토록 지지되게 되고, 그 레벨와이드가이드 너트(38)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웜샤프트(36) 후방 단부에, 웜기어(39)를 삽입하여 리테이너(40)로 그 웜샤프트(36)에 결속되게 하여 구비하고, 그렇게 구비된 로타(6)를 상기 바디 플랜지부(1d) 전방으로 연장하여 돌출된 피니언 축(41)의 전방으로부터 삽입하여, 상기 관형상 폴홀다 가이드(34)후방의 내측 암나사부를, 상기 피니언 축(41) 전방 숫나사 부위에서, 나사체결 방법으로 조임하여, 상기 피니언 축(41)과 그 로타(6)가 일체로 결속되게 하면서, 그 로타 플랜지부(6a) 후면에 이미 고정되어진, 웜기어(39)와 바디 플랜지부(1d)에 이미 고정된 상기 메인기어(44)가 릴바디 전방 플랜지부(6a)와 그 로타 플랜지부(6a) 후방의 공간에서 맞물려지게 되고, 상기 피니언 축(41)에서 전달된 회전력으로 상기 릴바디(1)에 상대적으로 회전하고, 그 회전력으로 상기 웜기어(39)가 상기 메인기어(44)의 외주상을 공전하면서 자전할수 있는 구조로 된 로타(6) ; 그 로타(6)의 플랜지부(6a)전면에서 직립으로 결속된 레벨와이드 가이드(33)와 폴홀다 가이드(34)에 상기 폴홀다(28)의 두개의 통공(28',28')이 동시에 삽입되면서, 그 로타 프레임부(6b)를 관통하여 그 로타(6)의 체외부로 돌출된 폴홀다(28)의 베일아암시트 체결부(28a)에, 아암레버시트(25)와 베일아암(14)이 결속되고, 그 반대쪽에 형성된 폴고정부(28b)에, 상기 폴(29)을 삽입하여 폴 플레이트(31)와 폴 플레이트 스크류(32)로, 그 폴(29)을 장착할수 있게되며, 그 폴(29)의 작동으로 직선왕복 운동하게 되는 폴홀다(28) ; 상기 관형상 폴홀다 가이드(34)의 전방 내측에 베어링(60)을 삽입하고, 그 베어링(60) 내륜에 개재하여 길이 방향의 후방으로 삽입되어 릴바디 돌출통공(1g)을 관통하여, 후방단부에는 상기 디스크드럼(51)을 나사(52)로 결속하고, 전방에는 상기 스풀(12)을 결속하여 외력에 의해서 상기 스풀(12)이 회전가능토록 지지되는 메인 샤프트(10) ; 그 메인샤프트(10) 후방에 결속된 상기 디스크 드럼(51)의 외주를 감싸게 된 상기 라이닝 링(53) ; 그 라이닝 링(53)을 죄고 풀어주는 상기 라이닝 슬라이드(54), 그 라이닝 슬라이드(54)를 손가락의 힘으로 잡아당길수 있는, 브레이크 레버(LB)(5) ; 그 브레이크 레버(5)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스풀(12)의 낚시줄 풀림을 죄고, 풀어줄수 있게된 릴 바디(1)의 후방 드라그개구부(1e)에 장착된 상기 드라그 레버(9)등을 설치하여, 낚시줄을 감아 들일 때 상기 스풀(12)의 회전축 중심선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상기 웜샤프트(39)에 형성된 나선형 홈의 왕복공정 거리만큼 상기 폴홀다(28)에 결속된 베일아암(14)이 왕복운동 하면서 그 스풀(12)의 몸체에 낚시줄을 고르게 분포하여 권취되게 하고, 외력에 의해서 낚시줄이 풀려나갈 때 상기 스풀(12)의 회전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 LB(5)가 장착되어 낚시줄 풀림의 강약을 조정할수 있게된 것 등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LB 겸용 스피닝 릴.
  2. 제 1항에 있어서 메인기어(44)는, 그 중심부에 통공을 지니고, 그 통공 외주는 3단으로 단층이 형성되고, 그 3단 단층중 후방 1층은 플랜지로 형성되고, 그 2층은 평치차로 형성되고, 그 평치차 부위의 내주에는 베어링(43)이 삽입되는 베어링 홀이 형성되고, 그 베어링 홀에 삽입된 베어링(43)이 상기 피니언 축(41)을 상기 바디 플랜지부(1d)에 지지할수 있게되고, 그 베어링(43)을 매입한 메인기어(44)의 플랜지 부위를 상기 바디 플랜지부(1d) 전방에서 상기 원웨이 베어링(42) 회전 중심점을 상기 메인기어(44)의 고정 중심점으로 하여 여러개의 나사(45)로 고정 설치한 메인기어(44)를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LB 겸용 스피닝 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홀다 가이드(34)는 중심부에 길이 방향의 통공을 지니는 관형상으로 전방 내주에는 베어링(60)을 지지하는 베어링 삽입구를 형성하고, 후방에는 외주 플랜지를 형성하고 그 플랜지 내주에는 암나사부를 형성하여 그 암나사부가 상기 피니언 축(41)의 전방으로 삽입된 로타(6)를, 피니언 축(41)과 결속시킬수 있게 되고, 동시에 그 폴홀다 가이드(34)는 상기 로타 플랜지부(6a)의 전면에 직립으로 고정되고, 그 직립된 폴홀다 가이드(34)의 회전축 중심지점에서 상기 메인기어(44)의 피치원(P.C.D) 반지름 크기와 상기 웜기어(39)의 피치원(P.C.D) 반지름 크기를 합한 거리만큼을 반지름으로 하는 지점을 반경으로 하는 반경상의 한지점을 중심점으로 하여 형성된 레벨와이드 가이트 통공(6')에 웜샤프트(36)와 베어링(37)을 내장한 레벨와이드 가이드(33)가 상기 로타 플랜지(6a)에서 상기 폴홀다 가이드(34)와 길이 방향을 평행하게, 로타 플랜지부(6a)에 결속된 레벨와이드(33)와 폴홀다 가이드(34)를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LB 겸용 스피닝 릴.
  4. 제 1항에 있어서 메인기어(44)대 상기 웜기어(39)의 기어비율이 1:1이 아닌 비 비율로 된 기어비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LB 경용 스피닝 릴.
  5. 제 1항에 있어서 로타(6)는 컵(CUP) 형상으로 되고, 그 로타 플랜지부(6a) 중심에는 상기 피니언 축(41)의 요삽구인 D형 홀(6')이 형성되고, 그 요삽구 D형홀(6')과 일정 간격을 둔 위치에 레벨와이드 가이드 통공(6')이 형성되고, 로타 프레임부(6b)에는 길이 방향으로 폴홀다(28)의 두께만큼의 폭을 지닌 폴홀다 개구부(6d)가 형성되고 그 폴홀다 개구부의 로타 프레임부(6b)에서 대칭하는 반대측에 베일홀다 조립부(6c)를 그 로타 프레임부(6b)에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지니게 된 로타(6)를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LB 겸용 스피닝 릴.
  6. 제 1항에 있어서 폴홀다(28)는 두 개의 메탈슬리브 통공(28',28')과, 'L'자 형상의 베일아암 시트 체결부(28a)와 폴고정부(28b)를 일체로 형성하여 지니고, 그 메탈 슬리브 통공들(28',28')에 상기 레벨와이드 가이드(33)와 폴홀다 가이드(34)가 개재되어 그 폴홀다(28)에 일체로 형성된 폴고정부(28b)에 고정된 상기 폴(29)의 작용으로 상기 레벨와이드 가이드(33)와 폴홀다 가이드(34)의 길이 방향으로 그 폴홀다 전체가 왕복은동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LB 겸용 스피닝 릴.
  7. 제 1항에 있어서 메인샤프트(10)는 전방단부에 숫나사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디스크 드럼(51)을 메인샤프트(10)와 일체로 나사 체결할 때 필요한 나사 체결구를 지니고 상기 릴바디(1) 전방에서부터 폴홀다 가이드(34)와 피니언 축(41)을 관통하여 릴바디 내부의 돌출통공(1g)에 삽입되며 회전 가능토록 지지되고, 그 메인샤프트(10)의 후방단부로부터 디스크 드럼(51)이 삽입되어 나사(52)로 결속하여 일체로 되게하고, 그 디스크 드럼(51)의 소 외경단부가 돌출통공(1g)의 후방에 밀착되어 메인샤프트(10)가 바디(1)의 전방으로 이탈하지 못하게 되고, 그 메인샤프트(10)의 후방단부가 바디(1)의 후방내벽면에 밀착되어 메인 샤프트가 후진할수 없게 된 메인샤프트(10)를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LB 겸용 스피닝 릴.
  8. 제 6항에 있어서 디스크 드럼(51)은 중심부에 메인샤프트(10)의 삽입통공을 지니고 2단으로 단층이 형성된 회전체로 되고, 2단중 큰 외경단 외주에 회전하는 방향으로 U자형의 홈이 형성되고, 그 U자형 홈 전방륜에는 외주상에 평치차(53a)가 형성되고, 그 U자형 홈은 라이닝 링(53)단면 직경보다 적은 직경을 종점으로 한는 R형상(51b)을 지닌 반타원 형상으로 된 디스크 드럼(51)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LB 겸용 스피닝 릴.
  9. 제 1항에 있어서 LB(5)는 브레이크 레버너트(48)와 브레이크 레버 스크류(49)로 나사조임하여 바디(1)에 고정되고, 그 LB(5)는 사용자가 그 두 개의 나사(48,49)를 드라이브로 풀어서 LB(5)를 분리한 뒤 LB(5) 없이도 릴을 사용할수 있게되고, 사용자가 LB(5)를 탈부착 할수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LB 겸용 스피닝 릴.
KR2020000027674U 2000-09-27 2000-09-27 낚시용 베일아암 이동방식 레바브레이크 겸용 스피닝 릴 KR2002390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674U KR200239070Y1 (ko) 2000-09-27 2000-09-27 낚시용 베일아암 이동방식 레바브레이크 겸용 스피닝 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674U KR200239070Y1 (ko) 2000-09-27 2000-09-27 낚시용 베일아암 이동방식 레바브레이크 겸용 스피닝 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9070Y1 true KR200239070Y1 (ko) 2001-11-24

Family

ID=73089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674U KR200239070Y1 (ko) 2000-09-27 2000-09-27 낚시용 베일아암 이동방식 레바브레이크 겸용 스피닝 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0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15557B2 (en) 2014-10-22 2017-04-11 Doyo Engineering Co., Ltd. Fishing reel equipped with snap lock button for spoo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15557B2 (en) 2014-10-22 2017-04-11 Doyo Engineering Co., Ltd. Fishing reel equipped with snap lock button for spoo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34574B2 (ja) 両軸受リール
EP2347650A1 (en) Dual-bearing reel drag sound producing device
KR20090025152A (ko) 롤러 클러치
TWI607698B (zh) 雙軸承捲線器的牽引機構
TW200522862A (en) Spinning reel sounding mechanism
US6915974B2 (en) Level wind mechanism for a dual bearing reel
JP6412680B2 (ja) 両軸受リール
TWI471092B (zh) 紡車式捲線器的捲筒
JPH09224534A (ja) 魚釣用両軸受型リ−ル
US5863007A (en) Spinning wheel having improved balance during reverse rotation
JP2014212739A5 (ko)
KR102225614B1 (ko) 낚시용 릴의 구동 기어 및 낚시용 릴의 피니언 기어
TWI333834B (en) Rotor for spinning reel
KR200239070Y1 (ko) 낚시용 베일아암 이동방식 레바브레이크 겸용 스피닝 릴
JP2005318865A (ja) 両軸受リール
JP4173387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発音機構
JP2004222559A (ja) 魚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装置
JP3940222B2 (ja) 両軸受リールの発音機構及び両軸受リール
JP2536452Y2 (ja) 釣り用リール
JP2001258438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3450042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6143657B2 (ja) 魚釣用リール
JP3490892B2 (ja) 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操作機構
JP3502276B2 (ja) 魚釣用リ−ル
KR20020017941A (ko) 숨겨진 화스너를 갖춘 베이트캐스트 낚시 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4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