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5614B1 - 낚시용 릴의 구동 기어 및 낚시용 릴의 피니언 기어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의 구동 기어 및 낚시용 릴의 피니언 기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5614B1
KR102225614B1 KR1020140139583A KR20140139583A KR102225614B1 KR 102225614 B1 KR102225614 B1 KR 102225614B1 KR 1020140139583 A KR1020140139583 A KR 1020140139583A KR 20140139583 A KR20140139583 A KR 20140139583A KR 102225614 B1 KR102225614 B1 KR 102225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waveform
drive gear
adjustment unit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9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9997A (ko
Inventor
테츠오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50069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9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ears, Cams (AREA)

Abstract

[과제] 핸들에 전해지는 낚시용 릴의 회전 필링(feeling)을 한층 더 향상시킨다.
[해결 수단] 스피닝 릴(100)의 구동 기어(11)는, 피니언 기어(12)에 맞물린다. 구동 기어(11)는, 기어 본체(11a)와 복수의 구동 기어 톱니(11b)와 파형(波形) 조정부(16)를 구비한다. 기어 본체(11a)는 구동축(10)에 설치된다. 복수의 구동 기어 톱니(11b)는, 기어 본체(11a)의 외주(外周) 측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피니언 기어(12)에 맞물린다. 파형 조정부(16)는, 복수의 구동 기어 톱니(11b) 중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고, 맞물림에 있어서 발생하는 진동의 파형(WS)이 불균일하게 되도록 조정한다. 파형 조정부(16)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어 톱니(11b)와 나머지의 구동 기어 톱니(11b)와의 사이에서, 압력각(PA), 피치(pitch)(PE), 비틀림각(TA), 치형(齒形) 형상(TS), 및 톱니줄 형상(TLS)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하여, 파형(WS)이 불균일하게 되도록 조정한다.

Description

낚시용 릴의 구동 기어 및 낚시용 릴의 피니언 기어{FISHING REEL DRIVE GEAR AND FISHING REEL PINION GEAR}
본 발명은, 기어, 특히, 낚시용 릴의 구동 기어 및 구동 기어에 맞물리는 낚시용 릴의 피니언 기어에 관한 것이다.
낚시용 릴에는, 핸들의 회전에 의하여 낚싯줄을 스풀에 감기 위한 회전 전달 기구가 설치된다. 회전 전달 기구는, 핸들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구동 기어와, 구동 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를 가진다. 예를 들어, 회전하는 스풀로 낚싯줄을 감는 양 베어링 릴에서는, 핸들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 가능한 구동축에 드래그 기구를 통하여 연결되는 구동 기어가 알려져 있다. 또한, 구동축에 일체적(一體的)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동 기어도 알려져 있다. 구동 기어는, 스풀을 회전시키기 위한 피니언 기어에 맞물린다. 구동 기어 및 피니언 기어는, 서로 맞물리는 직선 톱니 또는 경사 톱니의 기어 톱니를 가진다.
로터에 의하여 낚싯줄을 스풀에 감는 스피닝 릴에서는, 핸들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구동축에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한 구동 기어가 알려져 있다. 구동 기어는, 복수의 페이스 기어 톱니를 가지고, 피니언 기어는, 페이스 기어 톱니에 맞물리는 경사 톱니를 가진다.
낚시용 릴의 구동 기어에 있어서, 핸들을 돌려 낚싯줄을 감을 때의 핸들에 전해지는 회전 필링(feeling)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종래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종래의 낚시용 릴에서는, 구동 기어 및 피니언 기어의 모듈을 작게 하여 구동 기어의 톱니 수를 늘리고, 핸들에 전해지는 진동의 주기를 짧게 하여 회전 필링을 향상시킨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2012-120444호
종래의 낚시용 릴의 구동 기어에서는, 구동 기어의 모듈을 작게 하여 진동의 주기를 짧게 하여 회전 필링을 향상시킨다. 이 때문에, 진동의 주기가 핸들의 회전 속도에 대하여 일정하게 되고, 핸들에 전해지는 진동이 단조롭게 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핸들에 전해지는 낚시용 릴의 회전 필링을 한층 더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구동 기어는, 낚시용 릴의 구동축에 설치되고,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는 기어이다. 구동 기어는, 원판상(圓板狀)의 기어 본체와, 복수의 구동 기어 톱니와, 파형(波形) 조정부를 구비한다. 기어 본체는 구동축에 설치된다. 복수의 구동 기어 톱니는, 기어 본체의 외주(外周) 측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피니언 기어에 맞물린다. 파형 조정부는, 복수의 구동 기어 톱니 중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고, 피니언 기어와의 맞물림에 있어서 발생하는 진동의 파형이 불균일하게 되도록 조정한다. 파형 조정부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어 톱니와 나머지의 구동 기어 톱니와의 사이에서, 압력각, 피치(pitch), 비틀림각, 치형(齒形) 형상, 및 톱니줄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하여, 파형이 불균일하게 되도록 조정한다.
본 구동 기어에 의하면, 파형 조정부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어 톱니와 나머지의 구동 기어 톱니와의 사이에서, 압력각, 피치, 비틀림각, 치형 형상, 및 톱니줄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다르게 한다. 이 때문에, 핸들에 전해지는 진동이 복잡한 진동의 조합이 된다. 이것에 의하여, 실크 또는 벨벳 등의 섬유의 표면을 덧그리는 듯한 텍스처(texture) 진동을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핸들에 전해지는 낚시용 릴의 회전 필링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파형 조정부는, 적어도 압력각을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하여, 파형이 불균일하게 되도록 조정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비교적 용이하게 파형을 불균일하게 할 수 있다.
파형 조정부는, 적어도 피치를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하여, 파형이 불균일하게 되도록 조정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 피치의 변화에 의하여, 진동의 주기 및 진폭을 변화시켜 파형을 불균일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파형 조정부는, 적어도 비틀림각을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하여, 파형이 불균일하게 되도록 조정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비틀림각의 변화에 의하여, 진동의 주기 및 진폭을 변화시켜 파형을 불균일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파형 조정부는, 적어도 치형 형상을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하여, 파형이 불균일하게 되도록 조정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치형 형상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진동의 주기 및 진폭을 변화시켜 파형을 불균일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파형 조정부는, 적어도 톱니줄 형상을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하여, 파형이 불균일하게 되도록 조정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톱니줄 형상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진동의 주기 및 진폭을 변화시켜 파형을 불균일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구동 기어 톱니는, 기어 본체의 외주 측의 측면에 형성되는 페이스 기어 톱니를 포함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스피닝 릴의 핸들에 전해지는 회전 필링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구동 기어 톱니는, 기어 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직선 톱니 및 경사 톱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양 베어링 릴의 핸들에 전해지는 회전 필링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피니언 기어는, 낚시용 릴의 스풀축이 관통 가능하고, 구동축에 설치되는 구동 기어의 구동 기어 톱니에 맞물리는 낚시용 릴의 피니언 기어이다. 피니언 기어는, 통상(筒狀)의 기어 본체와, 복수의 피니언 기어 톱니와, 파형 조정부를 구비한다. 기어 본체는 스풀축이 관통 가능하다. 복수의 피니언 기어 톱니는, 기어 본체의 외주면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구동 기어 톱니에 맞물린다. 파형 조정부는, 피니언 기어 톱니 중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고, 구동 기어와의 맞물림에 있어서 발생하는 진동의 파형이 불균일하게 되도록 조정한다. 파형 조정부는, 적어도 하나의 피니언 기어 톱니와 나머지의 피니언 기어 톱니와의 사이에서, 압력각, 피치, 비틀림각, 치형 형상, 및 톱니줄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하여, 파형이 불균일하게 되도록 조정한다.
본 피니언 기어에 의하면, 파형 조정부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피니언 기어 톱니와 나머지의 피니언 기어 톱니와의 사이에서, 압력각, 피치, 비틀림각, 치형 형상, 및 톱니줄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다르게 한다. 이 때문에, 핸들에 전해지는 진동이 복잡한 진동의 조합이 된다. 이것에 의하여, 실크 또는 벨벳 등의 섬유의 표면을 덧그리는 듯한 텍스처 진동을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핸들에 전해지는 낚시용 릴의 회전 필링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 기어와 피니언 기어의 맞물림에 있어서, 발생하는 진동의 파형이 불균일하게 된다. 이 때문에, 핸들에 전해지는 진동이 복잡한 진동의 조합이 된다. 이것에 의하여, 실크 또는 벨벳 등의 섬유의 표면을 덧그리는 듯한 텍스처 진동을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핸들에 전해지는 낚시용 릴의 회전 필링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채용된 스피닝 릴의 측면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절단면선 II-II에 의하여 절단한 배면 단면도.
도 3은 로터 구동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로터 구동 기구의 평면도.
도 5a는 스피닝 릴의 구동 기어의 파형 조정부의 평면 모식도.
도 5b는 스피닝 릴의 구동 기어의 파형 조정부의 측면 모식도.
도 6은 핸들을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의 파형의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채용된 양 베어링 릴의 평면도.
도 8은 그 평면 단면도.
도 9는 회전 전달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10a는 양 베어링 릴의 구동 기어의 파형 조정부의 측면 모식도.
도 10b는 양 베어링 릴의 구동 기어의 파형 조정부의 평면 모식도.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낚시용 릴의 일례)(100)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1)과, 핸들(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릴 본체(2)와, 로터(3)와, 스풀(4)을 구비한다. 로터(3)는, 릴 본체(2)의 전부(前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풀(4)은, 낚싯줄을 외주면에 감는 것이고, 로터(3)의 전부에 전후(前後)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덧붙여, 핸들(1)은 릴 본체(2)의 좌우 어느 쪽에도 장착 가능하다.
핸들(1)은, 핸들축(1a)과, 핸들축(1a)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핸들 암(1b)과, 핸들 암(1b)의 선단(先端)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핸들 손잡이(1c)를 가진다.
<릴 본체의 구성>
릴 본체(2)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부가 개구(開口)하는 수납 공간을 내부에 가지는 릴 보디(2a)와, 릴 보디(2a)의 수납 공간을 막기 위하여 릴 보디(2a)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되는 덮개 부재(2b)(도 2)를 가진다. 또한, 릴 본체(2)는, 릴 보디(2a) 및 덮개 부재(2b)의 후부(後部)를 덮는 본체 가드(26)를 가진다.
릴 보디(2a)는, 예를 들어, 마그네슘 합금이나 알루미늄 합금 등의 경합금제의 것이고, 상부(上部)에 전후로 연장되는 T자형의 장대 취부(取付) 다리(2c)가 일체 형성된다. 릴 보디(2a)의 수납 공간 내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 구동 기구(5)와, 오실레이팅 기구(6)가 설치된다.
<로터 구동 기구의 구성>
로터 구동 기구(5)는, 핸들(1)의 회전을 로터(3)에 전달하는 것이고, 핸들(1)의 회전에 연동하여 로터(3)를 회전시킨다. 로터 구동 기구(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1)의 핸들축(1a)이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구동축(10)과 함께 회전하는 구동 기어(11)와, 이 구동 기어(11)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2)를 가진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 기어(11)는, 구동축(10)과 일체 또는 별체(別體)(본 실시예에서는 일체)로 형성된다. 구동축(10)은, 나사 결합 또는 비원형 계합(係合)(본 실시예에서는 나사 결합)에 의하여 일체 회전 가능하게, 핸들축(1a)에 연결된다. 구동축(10)은, 덮개 부재(2b)에 장착된 베어링(27a) 및 릴 보디(2a)에 장착된 베어링(27b)에 의하여,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동축(10)의 양단(兩端)의 내주면에는, 핸들축(1a)에 나합(螺合)하는 왼암나사부(10a) 및 오른암나사부(10b)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구동 기어(11)에 가까운 측의 왼암나사부(10a)는 왼나사이고, 구동 기어(11)로부터 멀어진 측의 오른암나사부(10b)는 오른나사이다. 따라서 핸들축(1a)은, 오른나사용과 왼나사용의 2종류의 것이 준비된다.
구동 기어(1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페이스 기어의 형태이다. 구동 기어(11)는, 구동축(10)에 설치되는 원판상의 기어 본체(11a)와, 기어 본체(11a)의 외주 측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피니언 기어(12)에 맞물리는 복수의 구동 기어 톱니(11b)와, 구동 기어 톱니(11b) 중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는 파형 조정부(16)(도 5a 및 도 5b 참조)를 구비한다. 구동 기어 톱니(11b)는, 기어 본체(11a)의 일 측면의 외주 측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페이스 기어 톱니(11c)를 포함한다. 구동 기어(11)는, 구동축(10)과 함께,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을 단조(鍛造)하여 일체 형성된다. 각각의 페이스 기어 톱니(11c)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1)이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피니언 기어(12)에 맞물리는 제1 톱니면(11d)과,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에 피니언 기어(12)에 맞물리는 제2 톱니면(11e)을 가진다. 제1 톱니면(11d)은 톱니줄 방향의 중앙부가 오목한 오목면으로 구성되고, 제2 톱니면(11e)은 톱니줄 방향의 중앙부가 돌출한 볼록면으로 구성된다.
파형 조정부(16)는,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피니언 기어(12)에 접촉하는 제1 톱니면(11d)에 설치된다. 파형 조정부(16)는, 피니언 기어(12)와의 맞물림에 있어서 발생하는 진동의 파형(WS)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불균일하게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다. 파형 조정부(16)는, 통상(通常)은, 복수의 페이스 기어 톱니(11c)의 제1 톱니면(11d)의 형상을 가급적으로 고정도(高精度)로 하는 것과 함께, 기어의 제원(諸元)을 같게 형성하는 것을, 굳이, 적어도 하나의 페이스 기어 톱니(11c)를 나머지의 페이스 기어 톱니(11c)의 기어의 제원과 다르게 하는, 바꾸어 말하면, 제원에 오차를 부여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5a 및 도 5b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형 조정부(16)는, 적어도 하나의 페이스 기어 톱니(11c)와 나머지의 페이스 기어 톱니(11c)와의 사이에서, 기어의 제원으로서의 압력각(PA), 피치(PE), 비틀림각(TA), 치형 형상(TS), 및 톱니줄 형상(TLS)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하여, 파형(WS)이 불균일하게 되도록 조정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파형 조정부(16)는, 페이스 기어 톱니(11c)에 있어서, 치형 형상(TS)을 일부에서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하여 구성된다. 구동 기어(11)의 제원은, 예를 들어, 톱니 수 31, 외경(外徑) 25.9mm, 내경(內徑) 21.4mm, 기준 오프셋 6.5mm이다. 덧붙여, 도 3 및 도 4에는, 톱니 수 등의 제원은 정확하게는 그려져 있지 않다.
피니언 기어(12)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筒狀)의 기어 본체(12a)와, 기어 본체(12a)의 후부 외주면에 형성된 피니언 기어 톱니(12b)를 가진다. 기어 본체(12a)는, 구동축(10)과 어긋나는 축 둘레(스풀축(15) 둘레)에 릴 보디(2a)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기어 본체(12a)는, 피니언 기어 톱니(12b)의 전후에서 전(前) 베어링(14a) 및 후 베어링(14b)에 의하여, 릴 보디(2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기어 본체(12a)의 중심에는, 스풀축(15)이 관통 가능한 관통 구멍(12d)이 형성된다. 기어 본체(12a)의 전단(前端) 외주면에는, 로터(3)를 고정하기 위한 너트(13)가 나합하는 수나사부(12e)가 형성된다. 피니언 기어 톱니(12b)는, 구동 기어 톱니(11b)에 맞물리는 경사 톱니(12c)를 가진다. 피니언 기어(12)의 전부 외주면에는, 로터(3)를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평행한 회전 멈춤 평면(12f)이 형성된다. 구동 기어(11)와 피니언 기어(12)는, 기준 맞물림 높이로 맞물리도록 설계된다. 피니언 기어(12)의 제원은, 예를 들어, 모듈 0.65mm, 압력각 20, 톱니 수 6, 전위 계수 +0.5, 비틀림각 55도이다.
<그 외의 구성>
오실레이팅 기구(6)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4)의 중심부에 드래그 기구(60)를 통하여 연결된 스풀축(15)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풀(4)을 동(同)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스풀축(15)의 하방에 평행으로 배치된 트래버스 캠(traverse cam)축(21)과, 트래버스 캠축(2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릴 보디(2a)에 안내되는 슬라이더(22)와, 트래버스 캠축(21)의 선단에 고정된 중간 기어(23)를 가진다. 슬라이더(22)에는 스풀축(15)의 후단(後端)이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중간 기어(23)는 피니언 기어(12)에 맞물린다.
로터(3)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마그네슘 합금이나 알루미늄 합금제 등의 경합금제이고, 피니언 기어(12)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며, 릴 본체(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로터(3)는, 피니언 기어(12)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통부(30)와, 통부(30)의 후부의 대향하는 위치에 접속되고 통부(30)와 간격을 두고 전방(前方)으로 연장되는 제1 로터 암(31) 및 제2 로터 암(32)을 가진다.
로터(3)의 통부(30)는, 전부 내주 측에 원판상의 벽부(30d)를 가지고, 벽부(30d)의 중심부에는, 피니언 기어(12)와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보스부(30e)가 형성된다. 이 보스부(30e)의 내주부를 피니언 기어(12)의 전부가 관통하고, 피니언 기어(12)의 전부에 있는 회전 멈춤 평면(12f)이 보스부(30e)의 내주면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계지(係止)된다. 이 상태로 피니언 기어(12)의 수나사부(12e)에 너트(13)를 비틀어 박는 것에 의하여, 로터(3)가 피니언 기어(12)에 고정된다. 제1 로터 암(31)의 선단의 외주 측에는, 낚싯줄을 스풀(4)에 안내하는 베일 암(44)이 줄 개방 자세와 줄 감기 자세로 요동(搖動) 가능하게 장착된다.
로터(3)의 통부(30)의 내부에는, 로터(3)의 역전(逆轉)을 금지·해제하기 위한 역전 방지 기구(50)가 배치된다. 역전 방지 기구(50)는, 내륜(內輪)이 유전(遊轉)하는 롤러형의 원웨이 클러치(51)와, 원웨이 클러치(51)를 작동 상태(역전 금지 상태)와 비작동 상태(역전 허가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 레버(52)를 가진다. 전환 레버(52)는, 릴 보디(2a)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전환 레버(52)의 선단에는 도시하지 않는 캠이 설치되어 있고, 전환 레버(52)를 요동시키면, 캠에 의하여 원웨이 클러치(51)가 작동 상태와 비작동 상태로 전환된다.
스풀(4)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3)의 제1 로터 암(31)과 제2 로터 암(32)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스풀축(15)의 선단에 드래그 기구(60)를 통하여 장착된다. 스풀(4)은,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줄 감기 몸통부(4a)와, 줄 감기 몸통부(4a)의 후방(後方)에 줄 감기 몸통부(4a)와 일체 형성된 통상(筒狀)의 스커트부(4c)와, 줄 감기 몸통부(4a)의 전단에 설치된 대경(大徑)의 플랜지부(4b)를 가진다.
드래그 기구(60)는, 스풀(4)의 회전을 제동하는 것이고, 스풀축(15)의 선단에 나합하는 드래그 조정 손잡이(61)와, 드래그 조정 손잡이(61)에 의하여 압압(押壓)되어 스풀(4)을 제동하는 제동부(62)를 가진다.
<스피닝 릴의 동작>
이와 같이 구성된 스피닝 릴(100)에서는, 캐스팅(casting) 후에 베일 암(44)을 줄 안내 자세의 상태로 하여, 물고기의 입질을 기다린다. 채비에 어획물이 걸리면, 낚시꾼은 핸들(1)을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그 회전으로 구동 기어(11)가 회전하고, 구동 기어(11)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2)가 회전한다. 이것에 의하여, 로터(3)가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고, 방출된 낚싯줄이 스풀(4)에 감긴다. 이때, 피니언 기어(12)의 톱니 끝이, 구동 기어(11)의 제1 톱니면(11d)에 접촉한다. 이 제1 톱니면(11d)에 파형 조정부(16)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 기어(11)가 피니언 기어(12)를 회전시키면, 맞물림 시의 핸들(1)에 전해지는 진동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기 및 진폭이 다른 복잡한 파형의 진동의 조합이 된다. 이것에 의하여, 파형(WS)이 불균일하게 되고, 실크 또는 벨벳 등의 섬유의 표면을 덧그리는 듯한 텍스처 진동을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낚시꾼은, 핸들(1)에 전해지는 스피닝 릴(100)의 회전 필링이 한층 더 향상하였다고 느낄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1 실시예에서는, 낚시용 릴로서의 스피닝 릴(100)의 구동 기어(11)를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제2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 베어링 릴(낚시용 릴의 일례)(200)의 구동 기어(131)를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채용한 양 베어링 릴(20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트 캐스트용의 소형의 로 프로필(low-profile)형의 릴이다. 양 베어링 릴(200)은, 릴 본체(101)와, 릴 본체(101)의 측방에 배치된 스풀 회전용 핸들(102)과, 핸들(102)의 릴 본체(101) 측에 배치된 드래그 조정용의 스타 드래그(103)를 구비한다.
<릴 본체>
릴 본체(101)는, 프레임(105)과, 프레임(105)의 양 측방에 장착된 제1 측 커버(106a) 및 제2 측 커버(106b)를 가진다. 또한, 릴 본체(101)는, 전방을 덮는 전(前) 커버(107)와, 상부를 덮는 섬 레스트(thumb rest)(108)를 가진다. 나아가, 릴 본체(101)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측 커버(106a)에 나사 멈춤 고정되는 축 지지부(109)를 가진다. 릴 본체(101)의 내부에는 줄 감기용의 스풀(112)이 회전 가능하게 또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프레임(105)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1쌍의 제1 측판(105a) 및 제2 측판(105b)과, 이들의 제1 측판(105a) 및 제2 측판(105b)을 연결하는 도시하지 않는 복수의 연결부를 가진다. 제1 측판(105a)에는, 스풀(112)이 통과 가능한 제1 개구부(105c)가 형성된다.
제1 측 커버(106a)는, 제1 측판(105a) 및 제2 측판(105b)의 후부에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또한 회동(回動)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 측 커버(106a)는 개폐 가능하다.
전 커버(107) 및 섬 레스트(108)는, 프레임(105)에 나사 멈춤 고정된다. 축 지지부(109)는, 바닥이 있는 통상(筒狀)의 부재이다. 축 지지부(109)는, 스풀축(116)의 일단을 지지한다.
제2 측 커버(106b)는, 제2 측판(105b)에 나사 멈춤 고정된다. 제2 측 커버(106b)에는, 제1 보스부(106c)와, 제2 보스부(106d)가 설치된다. 제1 보스부(106c)는, 핸들(102)이 연결되는 후술하는 구동축(130)을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제2 보스부(106d)는, 스풀(112)이 고정되는 스풀축(116)을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프레임(105) 내에는, 스풀(112)과, 스풀(112) 내에 낚싯줄을 균일하게 감기 위한 레벨 와인드 기구(115)와, 서밍(thumbing)을 행하는 경우의 엄지손가락을 대는 부분으로 되는 클러치 조작 부재(117)가 배치된다. 스풀(112)은, 제1 측판(105a)의 제1 개구부(105c)를 통과 가능하다. 또한, 프레임(105)과 제2 측 커버(106b)의 사이에는, 회전 전달 기구(118)와, 도시하지 않는 클러치 기구, 클러치 제어 기구, 및 캐스팅 컨트롤 기구와, 드래그 기구(121)가 배치된다. 회전 전달 기구(118)는, 핸들(102)로부터의 회전력을 스풀(112) 및 레벨 와인드 기구(115)에 전하기 위한 기구이다. 클러치 제어 기구는, 클러치 조작 부재(117)의 조작에 따라 클러치 기구의 계탈(係脫) 및 제어를 행하기 위한 기구이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는, 스풀(112)의 회전 시의 저항력을 조정하기 위한 제동 기구이다. 나아가, 프레임(105)과 제1 측 커버(106a)의 사이에는, 스풀 제동 장치(123)가 배치된다. 스풀 제동 장치(123)는, 캐스팅 시의 백래시(backlash)를 억제하기 위한 장치이다.
스풀(112)은 외주에 낚싯줄이 감긴다. 스풀축(116)은, 제2 측판(105b)을 관통하여 제2 측 커버(106b)의 외방으로 연장된다. 스풀축(116)의 타단(他端)은, 제2 측 커버(106b)에 지지된다.
<회전 전달 기구>
회전 전달 기구(118)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102)이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축(130)과, 구동축(130)에 장착된 구동 기어(131)와, 구동 기어(131)에 나합하는 피니언 기어(132)와, 구동축(130)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기어(133)와, 제1 기어(133)에 맞물리는 제2 기어(134)를 가진다. 제2 기어(134)는, 레벨 와인드 기구(115)를 핸들(102)의 회전에 따라 좌우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하여 설치된다.
구동축(130)은, 릴 본체(101)의 제1 보스부(106c)에 장착된 원웨이 클러치(140)에 의하여 줄 감기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다. 구동축(130)은, 제1 베어링(135a) 및 제2 베어링(135b)에 의하여 릴 본체(10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 베어링(135a)은, 제2 측 커버(106b)의 제1 보스부(106c)에 장착된다. 제2 베어링(135b)은 제2 측판(105b)에 장착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축(130)에는, 드래그 기구(121)의 드래그력을 받는 드래그 받이 부재로서의 래칫 휠(ratchet wheel)(136)이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래칫 휠(136)은, 드래그 받이 부재로서 기능하는 것과 함께, 클러치 기구를 클러치 오프 상태로부터 클러치 온 상태로 되돌리는 클러치 되돌림 기구로서도 기능한다.
또한, 구동축(130)에는, 구동 기어(131)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과 함께, 드래그 기구(121)의 드래그판(137)이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나아가, 구동축(130)에는 스타 드래그(103)가 나합한다. 구동축(130)에는, 핸들(102)이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동 기어(131)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모듈이 1 정도이고 톱니 수가 42매 정도의 원통 톱니바퀴이다. 따라서 피치원 직경(PCD)은, 대략 42mm이다. 도 9에서는, 구동 기어(131)를 작도(作圖)의 사정에 의하여 직선 톱니로 도시하지만, 실제로는, 구동 기어(131)는, 경사 톱니의 원통 톱니바퀴이다. 구동 기어(131)는, 원판상의 기어 본체(131a)와, 기어 본체(131a)의 외주 측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피니언 기어(132)에 맞물리는 복수의 구동 기어 톱니(131b)와, 파형 조정부(119)를 구비한다. 구동 기어(131)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합금을 다이캐스트 가공 또는 전조(轉造) 등에 의하여 형성된다. 구동 기어 톱니(131b)는, 비틀림각(TA)이 20도 이하의 경사 톱니(131c)를 포함한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경사 톱니(131c)는, 핸들(102)이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피니언 기어(132)에 맞물리는 제1 톱니면(131d)과,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에 맞물리는 제2 톱니면(131e)을 가진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형 조정부(119)는, 제1 톱니면(131d)에 설치된다. 파형 조정부(119)는, 피니언 기어(132)와의 맞물림에 있어서 발생하는 진동의 파형(WS)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불균일하게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다. 파형 조정부(119)는, 통상(通常)은, 가급적으로 복수의 경사 톱니(131c)의 제1 톱니면(131d)의 형상을 고정도로 하는 것과 함께, 피치를 같게 형성하는 것을, 굳이, 적어도 하나 경사 톱니(131c)의 형상 또는 피치를 나머지의 경사 톱니(131c)와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0a 및 도 10b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형 조정부(119)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 톱니(131c)와 나머지의 경사 톱니(131c)와의 사이에서, 기어의 제원인 압력각(PA), 피치(PE), 비틀림각(TA), 치형 형상(TS), 및 톱니줄 형상(TLS)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하여, 파형(WS)이 불균일하게 되도록 조정한다.
피니언 기어(132)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축(116)(도 8 참조)이 중심을 관통하는 통상(筒狀) 부재이다. 피니언 기어(132)는, 릴 본체(10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피니언 기어(132)는, 스풀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피니언 기어(132)의 일단에는, 도시하지 않는 클러치 기구의 계합 핀이 계합하는 맞물림 홈(132a)이 직경 상(上)을 따라 형성된다. 피니언 기어(132)의 타단 측에는, 구동 기어(131)의 구동 기어 톱니(131b)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 톱니(132b)가 형성된다. 맞물림 홈(132a)과 피니언 기어 톱니(132b)의 사이에는 잘록부(132c)가 형성된다. 잘록부(132c)에는, 클러치 제어 기구가 계합한다. 클러치 조작 부재(117)가 클러치 오프 위치로 조작되면, 피니언 기어(132)는, 온 위치보다도 도 8 우측(제2 측 커버(106b) 측)의 오프 위치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클러치 기구가 클러치 오프 상태가 된다.
제2 기어(134)는, 레벨 와인드 기구(115)의 도시하지 않는 나축(螺軸)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드래그 기구(121)는, 클러치 온 상태 시, 구동 기어(131)를 통하여 스풀(112)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제동하는 것이다. 드래그 기구(121)는, 스타 드래그(103)에 의하여 드래그력이 조정된다. 드래그 기구(121)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웨이 클러치(140)의 내륜(140a)을 통하여 핸들(102)의 회전 및 스타 드래그(103)의 압압력을 전달하여 구동 기어(131)를 미끄러지게 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112)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제동한다. 드래그 기구(121)는, 내륜(140a)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드래그판(137)과, 래칫 휠(136)을 가진다. 드래그판(137)과 구동 기어(131)와의 사이 및 구동 기어(131)와 래칫 휠(136)과의 사이에는, 드래그 작동 시에 구동 기어(131)가 매끄럽게 미끄러지도록 하기 위하여 펠트(felt)제 또는 그라파이트(graphite)제의 제1 드래그 좌금(141a) 및 제2 드래그 좌금(141b)이 장착된다.
<양 베어링 릴의 동작>
다음으로, 양 베어링 릴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낚싯줄을 방출할 때에는, 클러치 조작 부재(117)를 조작하여 클러치 기구를 클러치 오프 상태로 한다. 이 결과, 스풀(112)이 자유 회전 상태가 되고, 캐스팅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112)이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고, 선단에 채비가 장착된 낚싯줄이 스풀(112)로부터 방출된다.
채비가 착수(着水)하면 핸들(102)을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켜 클러치 기구를 온 상태로 한다. 이것에 의하여 핸들(102)과 스풀(112)이 연결된다. 채비에 어획물이 걸리면, 낚시꾼은 핸들(102)을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그 회전으로 구동 기어(131)가 회전하고, 구동 기어(131)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32)가 회전한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112)이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고, 방출된 낚싯줄이 스풀(112)에 감긴다. 이때, 피니언 기어(132)의 톱니 끝이, 구동 기어(131)의 제1 톱니면(131d)에 접촉한다. 이 제1 톱니면(131d)에 파형 조정부(119)가 설치되기 때문에, 구동 기어(131)가 피니언 기어(132)를 회전시키면, 맞물림 시의 핸들(102)에 전해지는 진동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기 및 진폭이 다른 복잡한 파형의 진동의 조합이 된다. 이것에 의하여, 파형(WS)이 불균일하게 되고, 실크 또는 벨벳 등의 섬유의 표면을 덧그리는 듯한 텍스처 진동을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낚시꾼은, 핸들(102)에 전해지는 양 베어링 릴(200)의 회전 필링이 한층 더 향상하였다고 느낄 수 있다.
다음으로, 물고기의 당김 등으로 낚싯줄이 방출될 때에는, 스풀(112)의 회전이 구동 기어(131)에 전달되고, 드래그 기구(121)를 통하여 구동축(130) 및 원웨이 클러치(140)에 전해진다. 원웨이 클러치(140)에서는 구동축(130)의 역전이 금지된다. 물고기의 당김이 약하면, 스풀(112)은 회전하지 않고 낚싯줄이 끌어내어질 것도 없다. 그리고 물고기의 당김이 강해져 스풀(112)의 회전력이 커지면, 전달되는 회전력이 드래그 기구(121)의 설정 회전 저항력을 넘는다. 그러면, 드래그 기구(121)에서 미끄럼이 생기기 때문에, 구동 기어(131)를 포함하는 스풀(112) 측은 회전을 시작한다. 이때, 스풀(112)에는 항상 드래그 기구(121)로부터 일정한 저항력 즉 드래그력이 작용한다.
<다른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특히, 본 명세서에 쓰인 복수의 실시예 및 변형예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합 가능하다.
(a)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는, 구동 기어(11)(또는 131)에 파형 조정부(16)(또는 119)을 설치하였지만, 피니언 기어(12)(또는 132)의 피니언 기어 톱니(12b)(또는 132b)의 줄 감기 시에 구동 기어(11)에 접촉하는 면에 도 5a 및 도 5b(또는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파형 조정부(16)(또는 119)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다만, 피니언 기어(12)(또는 132)는, 구동 기어(11)(또는 131)에 비하여 톱니 수가 적기 때문에, 구동 기어(11)(또는 131)에 비하여 파형(WS)의 변화가 적게 된다. 따라서 톱니 수가 많은 구동 기어(11)(또는 131)에 파형 조정부(16)(또는 119)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파형 조정부(16)(또는 119)가 치형 형상(TS)을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하여 파형(WS)을 조정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파형 조정부(16)(또는 119)는, 적어도 하나의 페이스 기어 톱니(11c)(또는, 경사 톱니(131c))와 나머지의 페이스 기어 톱니(11c)(또는, 경사 톱니(131c))와의 사이에서, 압력각(PA), 피치(PE), 비틀림각(TA), 치형 형상(TS), 및 톱니줄 형상(TLS)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하여, 파형(WS)이 불균일하게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압력각(PA)과 치형 형상(TS)을 조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톱니줄 형상(TLS)과 비틀림각(TA)을 조합하여도 무방하다.
(c) 제2 실시예에서는, 경사 톱니의 원통 톱니바퀴를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이중 경사 톱니 또는 직선 톱니의 원통 톱니바퀴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d) 제1 실시예에서는, 스피닝 릴로서, 프런트 드래그형의 것을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스피닝 릴은, 리어 드래그형, 레버에 의한 로터 제동형, 2종의 제동 기구를 전환 가능한 스피닝 릴 등, 모든 스피닝 릴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e)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낚시용 릴로서 양 베어링 릴(전동 릴을 포함한다)과 스피닝 릴을 예시하였지만, 그 외의 낚시용 릴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기어를 가지는 스핀 캐스트 릴 및 편(片) 베어링 릴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특징>
상기 실시예는 하기와 같이 표현 가능하다.
(A) 낚시용 릴(스피닝 릴(100) 또는 양 베어링 릴(200))의 구동 기어(11)(또는 131)는, 낚시용 릴의 구동축(10)(또는 130)에 설치되고, 피니언 기어(12)(또는 132)에 맞물리는 기어이다. 구동 기어(11)(또는 131)는, 원판상의 기어 본체(11a)(또는 131a)와, 복수의 구동 기어 톱니(11b)(또는 131b)와, 파형 조정부(16)(또는 119)를 구비한다. 기어 본체(11a)(또는 131a)는, 구동축(10)(또는 130)에 설치된다. 복수의 구동 기어 톱니(11b)(또는 131b)는, 기어 본체(11a)(또는 131a)의 외주 측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피니언 기어(12)(또는 132)에 맞물린다. 파형 조정부(16)(또는 119)는, 복수의 구동 기어 톱니(11b)(또는 131b) 중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고, 피니언 기어(12)(132)와의 맞물림에 있어서 발생하는 진동의 파형(WS)이 불균일하게 되도록 조정한다. 파형 조정부(16)(또는 119)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어 톱니(11b)(또는 131b)와 나머지의 구동 기어 톱니(11b)(또는 131b)와의 사이에서, 압력각(PA), 피치(PE), 비틀림각(TA), 치형 형상(TS), 및 톱니줄 형상(TLS)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하여, 파형(WS)이 불균일하게 되도록 조정한다.
본 구동 기어(11)(또는 131)에 의하면, 파형 조정부(16)(119)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어 톱니(11b)(또는 131b)와 나머지의 구동 기어 톱니(11b)(또는 131b)와의 사이에서, 압력각(PA), 피치(PE), 비틀림각(TA), 치형 형상(TS), 및 톱니줄 형상(TLS)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다르게 한다. 이 때문에, 핸들(1)(또는 102)에 전해지는 진동이 복잡한 진동의 조합이 된다. 이것에 의하여, 실크 또는 벨벳 등의 섬유의 표면을 덧그리는 듯한 텍스처 진동을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핸들(1)(또는 102)에 전해지는 낚시용 릴(스피닝 릴(100) 또는 양 베어링 릴(200))의 회전 필링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B) 파형 조정부(16)(또는 119)는, 적어도 압력각(PA)을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하여, 파형(WS)이 불균일하게 되도록 조정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비교적 용이하게 파형(WS)을 불균일하게 할 수 있다.
(C) 파형 조정부(16)(또는 119)는, 적어도 피치(PE)를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하여, 파형(WS)이 불균일하게 되도록 조정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 피치(PE)의 변화에 의하여, 진동의 주기 및 진폭을 변화시켜 파형(WS)을 불균일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D) 파형 조정부(16)(또는 119)는, 적어도 비틀림각(TA)을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하여, 파형(WS)이 불균일하게 되도록 조정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비틀림각(TA)의 변화에 의하여, 진동의 주기 및 진폭을 변화시켜 파형(WS)을 불균일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E) 파형 조정부(16)(또는 119)는, 적어도 치형 형상(TS)을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하여, 파형(WS)이 불균일하게 되도록 조정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치형 형상(TS)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진동의 주기 및 진폭을 변화시켜 파형(WS)을 불균일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F) 파형 조정부(16)(또는 119)는, 적어도 톱니줄 형상(TLS)을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하여, 파형(WS)이 불균일하게 되도록 조정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톱니줄 형상(TLS)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진동의 주기 및 진폭을 변화시켜 파형(WS)을 불균일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G) 구동 기어 톱니(11b)는, 기어 본체(11a)의 외주 측의 측면에 형성되는 페이스 기어 톱니(11c)를 포함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스피닝 릴(100)의 핸들(1)에 전해지는 회전 필링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H) 구동 기어 톱니(131b)는, 기어 본체(131a)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직선 톱니 및 경사 톱니(131c)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양 베어링 릴(200)의 핸들(102)에 전해지는 회전 필링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10, 130: 구동축
11, 131: 구동 기어
11a, 131a: 기어 본체
11b, 131b: 구동 기어 톱니
11c: 페이스 기어 톱니
12, 132: 피니언 기어
12a: 기어 본체
12b: 피니언 기어 톱니
16, 119: 파형 조정부
100: 스피닝 릴
131c: 경사 톱니
132b: 피니언 기어 톱니
200: 양 베어링 릴
PA: 압력각
PE: 피치
TA: 비틀림각
TS: 치형 형상
TLS: 톱니줄 형상
WS: 파형

Claims (9)

  1. 낚시용 릴의 구동축에 설치되고,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는 구동 기어이고,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는 원판상(圓板狀)의 기어 본체와,
    상기 기어 본체의 외주(外周) 측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는 복수의 구동 기어 톱니와,
    상기 복수의 구동 기어 톱니 중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와의 맞물림에 있어서 발생하는 진동의 파형(波形)이 불균일하게 되도록 조정하는 파형 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파형 조정부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구동 기어 톱니와 나머지의 상기 구동 기어 톱니와의 사이에서, 압력각, 피치(pitch), 비틀림각, 치형(齒形) 형상, 및 톱니줄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파형이 불균일하게 되도록 조정하는, 낚시용 릴의 구동 기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 조정부는, 적어도 상기 압력각을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파형이 불균일하게 되도록 조정하는, 낚시용 릴의 구동 기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 조정부는, 적어도 상기 피치를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파형이 불균일하게 되도록 조정하는, 낚시용 릴의 구동 기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 조정부는, 적어도 상기 비틀림각을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파형이 불균일하게 되도록 조정하는, 낚시용 릴의 구동 기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 조정부는, 적어도 상기 치형 형상을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파형이 불균일하게 되도록 조정하는, 낚시용 릴의 구동 기어.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 조정부는, 적어도 상기 톱니줄 형상을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파형이 불균일하게 되도록 조정하는, 낚시용 릴의 구동 기어.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어 톱니는, 상기 기어 본체의 외주 측의 측면에 형성되는 페이스 기어 톱니를 포함하는, 낚시용 릴의 구동 기어.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어 톱니는, 상기 기어 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직선 톱니 및 경사 톱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낚시용 릴의 구동 기어.
  9. 낚시용 릴의 스풀축이 관통 가능하고, 구동축에 설치되는 구동 기어의 구동 기어 톱니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이고,
    상기 스풀축이 관통 가능한 통상(筒狀)의 기어 본체와,
    상기 기어 본체의 외주면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구동 기어 톱니에 맞물리는 복수의 피니언 기어 톱니와,
    상기 피니언 기어 톱니 중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 기어와의 맞물림에 있어서 발생하는 진동의 파형이 불균일하게 되도록 조정하는 파형 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파형 조정부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피니언 기어 톱니와 나머지의 상기 피니언 기어 톱니와의 사이에서, 압력각, 피치, 비틀림각, 치형 형상, 및 톱니줄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파형을 불균일하게 하는, 낚시용 릴의 피니언 기어.
KR1020140139583A 2013-12-16 2014-10-16 낚시용 릴의 구동 기어 및 낚시용 릴의 피니언 기어 KR1022256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59045 2013-12-16
JP2013259045A JP6219702B2 (ja) 2013-12-16 2013-12-16 釣り用リールの駆動ギア及び釣り用リールのピニオンギア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997A KR20150069997A (ko) 2015-06-24
KR102225614B1 true KR102225614B1 (ko) 2021-03-12

Family

ID=51932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9583A KR102225614B1 (ko) 2013-12-16 2014-10-16 낚시용 릴의 구동 기어 및 낚시용 릴의 피니언 기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23825B2 (ko)
EP (1) EP2883450B1 (ko)
JP (1) JP6219702B2 (ko)
KR (1) KR102225614B1 (ko)
MY (1) MY168374A (ko)
TW (1) TWI6386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11009B2 (ja) * 2013-03-29 2018-10-24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リール部品
JP6684115B2 (ja) * 2016-03-10 2020-04-22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7436173B2 (ja) * 2019-09-30 2024-02-21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及びその駆動ギア
JP7221846B2 (ja) * 2019-10-30 2023-02-14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7221850B2 (ja) * 2019-11-13 2023-02-14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3276A (ja) 2001-02-06 2002-08-20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2003284472A (ja) 2002-03-29 2003-10-07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US20120097779A1 (en) 2010-10-21 2012-04-26 Shimano Inc. Method of deriving path of contact on face gear, method of manufacturing face gear, face gear and spinning reel rotor drive device
JP2012120444A (ja) 2010-12-06 2012-06-28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回転伝達機構
US20130220050A1 (en) 2012-02-23 2013-08-29 Globeride, Inc. Gear for use in fishing reel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85971A (en) * 1946-10-11 1952-02-19 Goodman Mfg Co Gearing
US5069604A (en) * 1989-06-01 1991-12-03 Al Sabih Adel K Radial piston rotary device and drive mechanism
WO1998014296A1 (fr) * 1996-10-02 1998-04-09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Methode de conception et technique de fabrication d'engrenage, engrenage fabrique par ladite technique
JP2002291383A (ja) * 2001-03-29 2002-10-08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4136957B2 (ja) * 2003-03-25 2008-08-20 住友電工焼結合金株式会社 内接歯車式ポンプ
US7153183B2 (en) * 2004-11-23 2006-12-26 Automotive Components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lapping gears
US20110271780A1 (en) * 2008-09-05 2011-11-10 Masahiro Ikemura Non-transmission-error and non-backlash gear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3276A (ja) 2001-02-06 2002-08-20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2003284472A (ja) 2002-03-29 2003-10-07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US20120097779A1 (en) 2010-10-21 2012-04-26 Shimano Inc. Method of deriving path of contact on face gear, method of manufacturing face gear, face gear and spinning reel rotor drive device
JP2012120444A (ja) 2010-12-06 2012-06-28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回転伝達機構
US20130220050A1 (en) 2012-02-23 2013-08-29 Globeride, Inc. Gear for use in fishing re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68374A (en) 2018-10-31
EP2883450B1 (en) 2017-05-10
JP2015112099A (ja) 2015-06-22
EP2883450A1 (en) 2015-06-17
KR20150069997A (ko) 2015-06-24
TW201526792A (zh) 2015-07-16
JP6219702B2 (ja) 2017-10-25
TWI638603B (zh) 2018-10-21
US9723825B2 (en) 2017-08-08
US20150164056A1 (en) 2015-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02796B2 (ja) 駆動ギア
KR102225614B1 (ko) 낚시용 릴의 구동 기어 및 낚시용 릴의 피니언 기어
JP2014064487A5 (ko)
US7191969B2 (en) Fishing reel
KR101975425B1 (ko) 낚시용 릴의 토크 제한 장치
KR102278086B1 (ko) 양 베어링 릴
KR101942879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핸들 조립체 및 듀얼 베어링 릴
US7798439B2 (en) Fishing reel
JP2015112099A5 (ko)
JP2015057997A5 (ko)
JP6412680B2 (ja) 両軸受リール
JP2014212739A5 (ko)
JP5956799B2 (ja) 両軸受リール及び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操作部材
EP2452556B1 (en) Reel
JP6693921B2 (ja) 駆動ギア
KR102294430B1 (ko) 스피닝 릴
JP3560460B2 (ja) 両軸受リールの発音機構
JP2004049115A (ja) 両軸受リール
JP2012005423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5013155A (ja)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