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8611Y1 - 주전자 수주구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주전자 수주구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8611Y1
KR200238611Y1 KR2020010009253U KR20010009253U KR200238611Y1 KR 200238611 Y1 KR200238611 Y1 KR 200238611Y1 KR 2020010009253 U KR2020010009253 U KR 2020010009253U KR 20010009253 U KR20010009253 U KR 20010009253U KR 200238611 Y1 KR200238611 Y1 KR 2002386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kettle
closing
cover
closing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92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미
Original Assignee
김수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미 filed Critical 김수미
Priority to KR20200100092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86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86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8611Y1/ko

Links

Landscapes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전자 수주구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주전자의 수주구(4)에 설치된 덮개(5)와 주전자 손잡이(6)에 별도장착된 개폐조절구(7)간에 이음줄(10)을 연결함으로서 주전자 손잡이(6)의 개폐조절구(7)을 작동시켜 주전자의 수주구덮개(5)가 자유로이 개폐됨으로서 주전자의 수주구덮개(5)를 간편하게 개폐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 수주구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주전자 손잡이(6)에 장착된 개폐조절구(7)의 작동에 의해 상기의 개폐조절구(7)와 이음줄(10)로 연결된 주전자 수주구덮개(5)를 개폐가능할 수 있음으로서 개폐조절구(7)의 조작으로 주전자 수주구덮개(5)를 자유롭고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는 기능으로, 즉 전반부에 체결고리(8)가 형성되어 있는 주전자 수주구덮개(5)는 핀을 이용하여 주전자 주둥이(3)끝의 수주구(4)부분에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며, 개폐조절구(7)는 주전자 손잡이(6)부분의 전면상단부에 핀으로서 강제장착 하되 자체의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하며 특히 개폐조절구(7)의 전방의 마무리부분은 수주구덮개(5)와 연결되어지는 이음줄(10)이 연결될 수 있기 위한 체결고리(8)를 별도로 형성되어 지면 그 구성이 완료되며, 본 고안의 개폐장치는 주전자(1)의 내용물을 먼지등의 유해물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형성된 수주구덮개(5)를 내용물을 컵, 그릇에 따를 때 손잡이 부분에 장착된 개폐장치를 조작함으로서 수주구덮개(5)를 개폐할 수 있는 간편하면서도 실용적인 효과에 중점을 둔 고안이라 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전자 수주구의 개폐장치{omitted}
본 고안은 주전자의 수주구덮개(5)와 주전자 손잡이(6)에 별도 장착된 개폐조절구(7)간에 이음줄(10)을 연결하여 개폐조절구(7)를 작동시켜 주전자(1)의 수주구덮개(5)가 자유로이 개폐됨으로서 주전자의 수주구덮개(5)를 간편하게 개폐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 수주구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먼지등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주전자 수주구에 덮개를 장착한 기능성 주전자의 종류는 다양하나, 그 중에서 주전자의 수주구에 덮개만 장착이 되어 내용물을 따를 때 그 내용물이 나오는 힘으로 덮개가 열려 내용물이 나올수 있게금 하는 형태의 주전자가 주류를 이루는 바, 상기의 방법은 내용물의 양을 조절하기가 쉽지 않고, 핀등으로 된 수주구덮개의 연결부분에 녹이라도 슬면 작동이 잘 되지 않는 단점이 있어 개선 및 보완의 필요성이 있었다.
또한, 덮개부분을 효과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있으나 효과에 비해 제조비용이 많이들어 실제로 활용되기가 어려운 점이 문제인바, 큰 비용없이 간편하면서도 실용적인 덮개의 개폐장치의 필요성이 시급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주전자 수주구덮개(5)의 개폐를 함에 있어서 주전자 손잡이(6) 부분에 장착된 개폐조절구(7)를 작동시켜 손쉽게 수주구덮개()를 개폐가능하게 함으로서, 덮개의 개폐를 보다 간편하면서도 손쉽게 할 수 있는 실용적인 면에 고안에 기술적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주전자 수주구의 개폐장치의 전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개폐조절구의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주전자 2:동체
3:주둥이 4:수주구
5:수주구덮개 6:손잡이
7:개폐조절구 8:체결고리
9:요입홈 10:이음줄
11:체결구슬 12:덮개고리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주전자 수주구의 개폐장치의 전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사용상태 사시도로서, 이하 본 고안을 상기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주전자 수주구(4)의 개폐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주전자는 내용물이 담겨있는 동체(2) 및 동체상단의 뚜껑,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회동가능한 손잡이(6)부분, 주둥이(3), 주둥이끝부분의 수주구(4)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인 바, 본 고안에서는 상기의 수주구덮개(5)부분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개량하였다.
즉,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주전자 손잡이(6)의 전면상단에 핀으로 연결되어 강제장착하되 자체의 상하이동이 가능할 정도로 장착된 개폐조절구(7)와 핀으로 주전자 주둥이(3)의 상단에 열림가능하게 수주구(4)를 덮는 형식으로 장착되는 수주구덮개(5)와 장기의 개폐조절구(7)와 수주구덮개(5)를 연결하여 주는 미관상 다수의 체결구슬(11)을 끼운 이음줄(10)로서 구성이 되어지는바, 개폐조절구(7)의 전반부에는 이음줄(10)이 연결되는 체결고리(8)가 형성되고 후반부에는 손잡이(6)와 개폐조절구(7)를 한손으로 잡았을 때 손쉬운 조작이 가능하기위한 원통형의 손잡이(6)부분이 자연스럽게 삽입가능할 수 있도록 U자형의 요입홈(9)이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수주구덮개(5)는 이음줄(10)이 연결될 수 있는 체결고리(8)를 형성하며 수주구(4)의 원통측면과 덮개의 결합은 수주구(4)의 원통측면의 고정간과 수주구덮개(5)의 연결구를 핀으로 연결시켜 착설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주전자(1)의 결합을 살펴보면, 주전자의 동체(2), 손잡이(6), 뚜껑, 수주구(4)가 있는 일반적인 주전자에 있어서 갈고리형태의 전반부의 끝부분에 체결고리(8)가 형성되는 개폐조절구(7)를 주전자 손잡이의 전면상단에 핀을 이용하여 자체의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강제 장착하고 또한 핀을 이용하여 주전자 수주구(4)부분에 개폐가능하게 수주부덮개(5)를 장착하여 미관상 체결구슬(11)을 촘촘히 끼운 이음줄(10)을 개폐조절구(7)의 체결고리(8)와 수주부덮개(5)의 덮개고리(12)에 팽팽하게 연결, 결합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사람이 주전자손잡이에 장착된 개폐조절구(7)를 주전자손잡이(6)와 함께 잡게되면 자연스럽게 개폐조절구(7)가 당겨져 수주구덮개(5)는 열리게 되어 주전자내의 내용물이 자연스럽게 수주구(4)를 통해 유출되게 되고, 반대로 잡고있던 주전자손잡이(6)를 놓게되면 당겨져 있던 개폐조절구(7)가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수주구덮개(5)는 수주구(4)를 덮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주전자 수주구의 개폐장치는 개폐조절구(7)와 수주구덮개(5)를 줄로 연결시켜 개폐조절구(7)를 작동함으로서 수주구덮개(5)를 개폐할수 있음으로 수주구덮개(5)만 장착되어져 있는 기존의 주전자와는 달리 개폐조절구(7)를 조작하여 수주구덮개(5)를 자유롭게 개폐가능함으로서 주전자내용물을 아무런 문제없이 컵, 그릇등에 따를수 있는 보다 간편하고 실용적인 다수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주전자의 동체(2) 및 수주구(4)가 형성된 주둥이(3), 손잡이(6)등으로 구성된 주전자(1)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수주구덮개(5)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전자손잡이(6)에는 전반부에 체결고리(8)가 형성되고 후반부에 U자형의 길이방향으로 요입홈(9)이 형성되어 상하조절이 가능하게 핀으로 장착된 개폐조절구(7)와;
    상기의 개폐조절구(7)의 체결고리(8)와 수주구덮개(5)의 덮개고리(12)에 상호 연결되어지는 다수의 체결구슬(11)이 장착된 이음줄(1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 수주구의 개폐장치.
KR2020010009253U 2001-03-28 2001-03-28 주전자 수주구의 개폐장치 KR2002386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253U KR200238611Y1 (ko) 2001-03-28 2001-03-28 주전자 수주구의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253U KR200238611Y1 (ko) 2001-03-28 2001-03-28 주전자 수주구의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8611Y1 true KR200238611Y1 (ko) 2001-10-10

Family

ID=73064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9253U KR200238611Y1 (ko) 2001-03-28 2001-03-28 주전자 수주구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861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1525A (en) Liquid soap dispenser
US6311877B1 (en) Container structure containing water, beverage or the like therein
US9155285B2 (en) Portable water feeder for pets
USD424442S (en) Twist top closure
KR200238611Y1 (ko) 주전자 수주구의 개폐장치
JPS597448B2 (ja) 魔法瓶における注出口開閉装置
JP3760271B2 (ja) 注出構造
CN108338618B (zh) 一种防喷溅的安全杯盖
JP4269276B2 (ja) 注出栓
CN211155342U (zh) 一种真空保温壶的壶盖结构
JPH0454139Y2 (ko)
JP2009525924A (ja) 容器用の分与閉鎖体
JPH05170256A (ja) 容器の注出口構造
CN219500789U (zh) 一种杯盖及杯子
JPH049341Y2 (ko)
JPH0451167Y2 (ko)
JP4236027B2 (ja) 注出キャップ
JP2579225Y2 (ja) 液体容器用の栓体
JP2005336758A (ja) 埋込式水栓
WO2021155868A1 (zh) 一种自动开闭盖组件
JPH0716609Y2 (ja) ワンタッチキャップ
KR970000753Y1 (ko) 보온병용 속뚜껑
JPH0451183Y2 (ko)
JPH0423812Y2 (ko)
JP3406375B2 (ja) 容器の注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