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753Y1 - 보온병용 속뚜껑 - Google Patents

보온병용 속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753Y1
KR970000753Y1 KR2019940015753U KR19940015753U KR970000753Y1 KR 970000753 Y1 KR970000753 Y1 KR 970000753Y1 KR 2019940015753 U KR2019940015753 U KR 2019940015753U KR 19940015753 U KR19940015753 U KR 19940015753U KR 970000753 Y1 KR970000753 Y1 KR 9700007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thermos
lid
cap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57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0392U (ko
Inventor
정형근
Original Assignee
정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형근 filed Critical 정형근
Priority to KR20199400157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0753Y1/ko
Publication of KR9600003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3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7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7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05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comprising a single opening for filling and dispensing provided with a stopper
    • A47J41/0027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comprising a single opening for filling and dispensing provided with a stopper the stopper incorporating a dispensing device, i.e. the fluid being dispensed through the st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3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ottle, jar or like contain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보온병용 속뚜껑
제1도는 보온병에 결합되는 본 고안의 속뚜껑을 일실시예로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속뚜껑을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
제3도(a)(b)는 본 고안의 덮개가 개폐됨에 따라 하부의 밀폐판이 개폐작동되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물유통로
12 : 지지관 20 : 밀폐판
21 : 지주봉 22 : 탄지편
23 : 고정핀 30 : 작동구
31 : 괘지공 40 : 캡
41 : 배출구 50 : 덮개
60 : 덮개판 70 : 가이드체
본 고안은 보온병의 속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온병에 결합된 속뚜껑을 보온병에서 분리하지 않고서도 보온병속의 물을 간편하게 딸아 마실 수 있는 보온병용 속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온병은 외통속에 진공유리병을 설치하였거나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외통과 내통사이를 진공시켜서 구성하고 있는데 현재에는 후자의 제품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상기한 보온병의 입구에는 주로 나합식 속뚜껑을 결합한 다음 그 위로 물컵을 겸한 겉뚜껑을 다시 겸한 겉뚜껑을 다시 결합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보온병은 주로 야외에 놀이를 갈때 또는 학생이나 회사원들이 여름철이나 겨울철에 도시락을 싸가지고 다니면서 마시기 위한 물을 휴대할 때 주로 외부의 공기 온도에 관계없이 내통속에 유입된 물을 뜨거운 상태로 보온을 시키거나 또는 차가운 상태 그대로 냉장을 시키는데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종래의 보온병은 물을 딸아 마시려면 보온병의 입구에 결합되어 있는 속뚜껑을 완전히 분리해야만 물을 딸을 수가 있으므로 물을 딸아 마실때마다 속뚜껑을 보온병으로 부터 완전히 빼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음은 물론 어린이들의 경우 분리한 속뚜껑의 보관을 소홀히 하여 분실하는 경우가 허다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속뚜껑의 상단 외주면에 배출구룰 환설한 다음 표면에 설치된 푸쉬버튼을 눌르면 속뚜껑의 하단에서 스프링으로 탄지되는 개폐구가 속뚜껑 중앙의 물 유통로를 개폐함에 따라 속뚜껑을 보온병의 입구에 그대로 결합한 상태에서 물을 딸아 마실수 있도록 한 것이 있었다.
그러나 이는 속뚜껑의 상단 외주면 환설된 배출구가 항시 외부에 개방된 상태에 있으므로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점과 배출구에 먼지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없어서 위생상 불결한 점이 있고, 배출구가 둥글게 환설된 것이므로 배출구를 열어서 물을 딸을 때 물이 넓게 퍼져서 나옴에 따라 물을 컵 외부에 흘리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특히 상기한 속뚜껑은 물을 딸은 후 겉뚜껑을 끼우지 전에 속뚜껑 표면의 푸쉬버튼을 일일이 다시 눌러서 개폐구를 닫아주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겉뚜껑을 닫더라도 열려있는 속뚜껑의 배출구를 통해 물이 배출되어 있다가 겉뚜껑을 열때 배출되어 있던 물이 쏟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속뚜껑의 배출구를 별도의 덮개로 개폐할수 있도록 하여 배출구로 먼지 등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속뚜껑의 배출구와 덮개가 설치되는 표면이 다양한 색채의 칼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조립하므로서 제품의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하여 상품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속뚜껑의 덮개를 열어놓은 상태에서 겉뚜껑을 그대로 결합하더라고 속뚜껑의 덮개가 저절로 닫히도록 하여 물의 쏟아짐을 방지하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구성 및 구성에 의해 나타나는 작용효과를 첨부된 실시예의 도면에 의해 나타나는 작용효과를 첨부된 실시예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유통로(11)가 구획 형성된 본체(10) 중앙의 지지관(12) 저면으로는 외주면에 탄지편(22)이 형성된 밀폐판(20)의 지주봉(21)을 끼우고, 지지관(12) 상부로는 스프링(32)으로 탄지된 상태에서 상기 탄지편(22)에 끼워지도록 괘지공(31)이 형성된 작동구(30)를 끼운 다음 지주봉(21) 속에 고정핀(23)을 박으면 상기 괘지공(31)에 끼워진 탄지편(22)의 지주봉(21)속으로 압축됨을 제어할 수가 있으므로 본 고안은 일단 고정핀(23)을 박기만 하면 상기와 같이 결합된 작동구(30)와, 지주봉(21)의 분해가 어려울 정도로 그 결합이 상당히 견고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상측에 결합되는 캡(40)은 링형으로 형성하되 그 일측에는 배출구(41)을 형성하고, 그 중앙에는 상기 배출구(41)용 덮개(50)가 핀(61)과의 거리가 상이한 2단 접지면(51)(52)에 의해 개폐상태를 유지하도록 핀설된 덮개판(60)을 탄성있는 돌기(42)(62)들에 의해 착탈되게 설치한다.
이때 지지관(12) 상단에는 물 흐름을 안내하는 가이드체(70)를 결합하고 밀폐판(20)의 지주봉(21)에는 지지관(21)내면에 밀착되는 패킹(24)을 설치하여 물유통로(11)를 통과하는 물이 지지관(12)속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면 스프링(32)의 부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캡(40)과 덮개(50) 및 덮개판(60)은 서로 개별적으로 성형된 후 조립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색상을 서로 달리하여 외관의 컬러를 다양하게 형성하는 것이 상품의 미적 감각을 높힐 수 있어 바람직한다.
그리고 상기 덮개(50)가 접지면(51)(52)에 의해 세워져서 캡(40)의 배출구(41)를 개전한 상태에서 겉뚜껑을 끼울때 겉뚜껑의 내부 상면에 덮개(50)가 약간 눌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덮개(50)는 비스듬히 경사져서 개전되어 있다가 약간 눌리기만 하면 즉시 스프링(32)의 힘에 의해 저절로 회동되어 배출구(41)를 밀폐시키기 때문이며,
도면중 미설명 부호(100)은 보온병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보온병(100)에 결합된 속뚜껑의 덮개(50)가 제3도(a)에서와 같이 핀(61)과의 거리가 짧은 접지면(51)이 작동구(30)의 상면에 접지되어 있을 때에는 덮개(50)가 캡(40)의 배출구(41)를 덮개(50)가 막고 있는 상태에 놓이는 것이고, 이때 스프링(32)으로 탄지되는 작동구(30)는 최대한으로 상승되면서 하단의 밀폐판(20)으로 하여금 본체(10)의 물유통로(11)를 차단시켜 주도록 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이 평소에는 속뚜껑의 배출구(41)를 덮개(50)가 막고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먼지 등이 유입되거나 배출구(41)가 오염될 우려가 별로 없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보온병(100)내의 물을 딸아 마시고자 할때 본 고안은 덮개(50)를 열어 접히면 제3도 (b)에서와 같이 핀(61)은 고정된 상태에서 핀(61)과의 거리가 먼 덮개(50)의 접지면(52)이 작동구(30)의 상면과 접지되면서 그 차이나는 거리만큼 작동구(30)를 눌러서 하강시키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작동구(30)가 하강되면 그 하단의 밀폐판(20)이 함께 하강하면서 본체(10)의 물유통로(11)를 열어주게 된다.
이때 덮개(50)의 접지면(52)은 직선형으로서 작동구(30)와 면접촉되는 것이므로 작동구(30)를 스프링(32)이 탄지하고 있더라도 덮개(50)의 열린상태가 효과적으로 유지되는 것이고, 이러한 상태에서 보온병(100)을 기울이면 보온병(100)내의 물이 개전된 속뚜껑의 물유통로(11)를 통과한 수 열려있는 캡(40)의 배출구(4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인데 본 고안의 배출구(41)는 캡(40)의 일측에만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속뚜껑 둘레 전체에 형성된 배출구처럼 물을 흘리지 않고 보다 효과적으로 딸을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물유통로(11)를 개전하여 물을 딸을 때 지지관(12)의 하단 내주면은 밀폐판(20)의 지주봉(21)에 설치된 패킹(24)이 효과적으로 밀폐하고 있고, 지지관(12)의 상단은 가이드체(70)가 막아서 물이 캡(40)의 배출구(41)로만 배출된 수 있도록 유도하여 주므로 지지관(12)속에 설치된 금속제의 스프링(32)이 부식됨을 최대한 방지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덮개(50)를 열어서 물을 딸아 마신후에 그대로 겉뚜껑을 끼우기만 하면 겉뚜껑의 내부 상면이 덮개(50)의 상단을 약간 눌러 주면서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덮개(50)는 약간만 눌리더라도 작동구(30)를 밀고 있는 스프링(32)의 힘이 곧바로 덮개(50) 후미에 작용됨에 따라 덮개(50)는 다시 핀(61)과의 거리가 가까운 접지면(51)(52)이 작동구(30) 상면에 접면되면서 저절로 신속히 닫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물을 딸은 후 덮개(50)를 일일이 손으로 눌러주지 않더라도 물이 쏟아질 우려가 없는 것이므로 사용상의 간편함과 안전성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의 캡(40)과 덮개(50) 및 덮개판(60)이 서로 개별적으로 성형된 후 조립되는 것이므로 성형시 이들의 색상을 서로 달리하여 성형하면 조립후 보온병(100)에 결합되는 속뚜껑 표면을 보다 다양한 색채로 배합하여 미감적으로 아름답고 멋있게 형성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보온병(100)에 속뚜껑을 결합한 상태에서 덮개(50)만을 개폐함에 따라 물을 간편하고 원활하게 딸아 마실수가 있으면서도 사용을 하지 않을 때에는 속뚜껑의 배출구(41)를 덮개(50)가 항시 덮고 있으므로 배출구의 오염을 최대한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며, 특히 속뚜껑 표면을 서로 다른 색채로 성형된 캡, 덮개판, 덮개의 조립에 의해 다양한 색채로 멋있게 형성할 수가 있으므로 상품가치를 높혀서 경쟁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4)

  1. 물유통로(11)가 구획 형성된 본체(10) 중앙의 지지관(12) 저면으로는 밀폐판(20)의 지주봉(21)을 끼우고, 지지관(12) 상부로는 스프링(32)으로 탄지된 상태에서 작동구(30)를 끼워서 승강되게 설치하며, 상기 지지관(12) 상단에는 물 흐름을 안내하는 가이드체(70)를 결합하고 지주봉(21)에는 지지관(12) 내면에 밀착되는 패킹(24)을 설치하여 물유통로(11)를 통과하는 물이 지지관(12) 속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며, 본체(10)의 상측에 결합되는 캡(40)은 링형으로 형성하되 그 일측에는 배출구(41)를 형성하고, 그 중앙의 중공부에는 상기 배출구(41)용 덮개(50)가 핀(61)과의 거리가 상이한 2단 접지면(51)(52)에 의해 개폐 상태를 유지하도록 핀설된 덮개판(60)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병용 속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지주봉(21)의 외주면에는 탄지편(22)을 형성하고 작동구에는 상기 탄지편(22)이 끼워져 걸릴 수 있는 괘지공(31)을 형성한 후 지주봉(21)속으로 고정핀(23)을 박아서 상기 지주봉(21)과 작동구(30)가 견고하게 체결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병용 속뚜껑.
  3. 제1항에 있어서, 서로 조립되는 상기 캡(40)과 덮개(50) 및 덮개판(60)의 색상을 서로 다르게 성형하여 조림된 속뚜껑 표면이 다양한 컬러를 띄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병용 속뚜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50)가 세워져 캡(40)의 배출구(41)를 개전한 상태에서 겉뚜껑을 끼우면 겉뚜껑의 내부 상면에 덮개(50)가 약간 눌리면서 덮개(50)가 저절로 닫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병용 속뚜껑.
KR2019940015753U 1994-06-29 1994-06-29 보온병용 속뚜껑 KR9700007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5753U KR970000753Y1 (ko) 1994-06-29 1994-06-29 보온병용 속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5753U KR970000753Y1 (ko) 1994-06-29 1994-06-29 보온병용 속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392U KR960000392U (ko) 1996-01-17
KR970000753Y1 true KR970000753Y1 (ko) 1997-02-06

Family

ID=19387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5753U KR970000753Y1 (ko) 1994-06-29 1994-06-29 보온병용 속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075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392U (ko) 1996-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2287B1 (en) Splash-proof beverage lid slide closure
US4717051A (en) Check valve for water dispenser bottle
US4690304A (en) Obturating device for tubes, flasks and other containers, the opening and closing of which are controlled through rotation
US6659302B2 (en) Leak proof coffee mug lid
US5680951A (en) Flow control cover for a cup
CA1124684A (en) Lip-openable closure for containers
US20070240581A1 (en) Hot Beverage Brewing Apparatus
KR200409095Y1 (ko) 음료컵용 컵뚜껑
JP5896980B2 (ja) 密封容器
US20110186573A1 (en) Cap for a container
KR970000753Y1 (ko) 보온병용 속뚜껑
US6609630B1 (en) Leak-proof closure apparatus
TWI810569B (zh) 蓋組件與帶蓋容器
JPS5823313Y2 (ja) エア−ポツト
JPS6023Y2 (ja) 電気ポツト
JP2579225Y2 (ja) 液体容器用の栓体
JPH052459Y2 (ko)
JP2002223921A (ja) ティーポット
CN216709940U (zh) 酱油瓶
JPH0331247Y2 (ko)
CA2692059A1 (en) Cap for a container
JP2899201B2 (ja) 液体容器の栓
KR200195551Y1 (ko) 음료용기의 구조
JPS5849725Y2 (ja) 液体保温容器
JP2575719Y2 (ja) 液体容器の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