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6301Y1 - 캐리어장치 - Google Patents

캐리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6301Y1
KR200236301Y1 KR2020010008046U KR20010008046U KR200236301Y1 KR 200236301 Y1 KR200236301 Y1 KR 200236301Y1 KR 2020010008046 U KR2020010008046 U KR 2020010008046U KR 20010008046 U KR20010008046 U KR 20010008046U KR 200236301 Y1 KR200236301 Y1 KR 2002363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unit
wheel
carrier plate
auxiliary wheel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80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동
Original Assignee
김성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동 filed Critical 김성동
Priority to KR20200100080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63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63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6301Y1/ko

Links

Landscapes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캐리어판과, 상기 캐리어판의 하부에 진행방향의 가로로 소정 이격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휠유니트를 갖는 캐리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캐리어판의 하부에는 상기 캐리어판의 진행방향의 가로로 상기 휠유니트와 소정 이격되며, 상기 진행방향을 따라 상기 휠유니트와 소정 폭 겹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휠유니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적은 힘을 들이고 계단을 용이하게 승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계단 승강시 유동이 감소되어 적재물의 낙하로 인한 적재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캐리어장치{CARRIOR}
본 고안은 캐리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진행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 폭만큼 겹치는 복수의 휠유니트를 설치함으로써, 계단 승강이 용이하도록 한 캐리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캐리어장치는, 사업현장이나 대형 식당, 물류창고 등에서 하물을 운반하기 위해 사용된다.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나 곤돌라 등이 설치되어 있지 아니한 저층 아파트나 빌라에서 계단을 통해 하물을 운반하는데 사용되며,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는 건물에서도 부피가 크거나 무게가 무거워서 엘리베이터내로 운반하지 못하는 하물을 계단을 통하여 운반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캐리어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물이나 적재물의 적재를 위한 캐리어판(103)과, 캐리어판(103)의 일측에 기립설치된 적재보호대(102)와, 캐리어판(103)의 하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휠유니트(110,111,115,116)를 포함한다. 여기서, 적재보호대(102)는, 캐리어판(103)의 일측 모서리에 기립설치되어 운반하는 하물을 보호하고 하물운반시 손잡이로 사용된다.
한편, 캐리어판(103)의 하부에 설치된 복수의 휠유니트(110,111,115,116)는, 캐리어장치(101)의 진행방향을 따라 소정 이격거리를 두고 전방영역과 후방영역에 설치된 한 쌍의 전방 휠유니트(110,111)와 한 쌍의 후방 휠유니트(115,116)를 포함한다. 각 휠유니트(110,111,115,116)는, 천연고무로 형성된 바퀴(117)와, 바퀴(117)의 회전축을 관통하여 바퀴(117)의 일부 영역을 감싸는 바퀴커버(118)를 포함하며, 바퀴커버(118)는 캐리어판(10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즉,바퀴(117)는 캐스터처럼 바퀴(117)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함과 동시에 바퀴커버(118)의 회전축을 중심으로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캐리어장치(101)에 하물을 적재하고 계단을 승강할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을 한 칸씩 올라갈 때마다 휠유니트(110,111,115,116)가 계단턱에 걸리게 된다. 계단턱을 넘기 위해서는 캐리어장치(101)에 상측방향으로 힘이 가해져야 하므로, 캐리어장치(101)가 계단턱을 넘도록 하기 위해서는 캐리어장치(101)의 무게와 하물의 중량을 포함하는 만큼의 많은 힘이 필요하게 된다. 한편, 계단을 넘어갈 때마다 캐리어장치(101)가 심하게 유동하기 때문에 하물이 떨어져 파손될 수도 있고, 떨어지는 하물에 의해 사용자의 안전에 해를 입힐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계단 승강시 적은 힘을 들이고도 안전하게 승강할 수 있도록 하는 캐리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캐리어장치의 배면도,
도 3은 도 1의 캐리어장치의 계단승강시 Ⅲ-Ⅲ선에 따른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장치의 배면도,
도 5는 도 4의 캐리어장치의 계단승강시 Ⅴ-Ⅴ선에 따른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6은 종래의 캐리어장치의 계단승강시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적재보호대 3 : 캐리어판
10 : 제1전방 휠유니트 11 : 제2전방 휠유니트
15 : 제1후방 휠유니트 16 : 제2후방 휠유니트
17 : 바퀴 18 : 바퀴커버
20 : 제1보조 휠유니트 25 : 제2보조 휠유니트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캐리어판과, 상기 캐리어판의 하부에 진행방향의 가로로 소정 이격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휠유니트를 갖는 캐리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판의 하부에는 상기 캐리어판의 진행방향의 가로로 상기 휠유니트와 소정 이격되며, 상기 진행방향을 따라 상기 휠유니트와 소정 폭 겹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휠유니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휠유니트는, 상기 캐리어판의 전방영역과 후방영역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전방 휠유니트와, 한 쌍의 후방 휠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휠유니트는, 상기 진행방향을 따라 상기 전방 휠유니트의 후방에서 소정 폭 겹치도록 상기 진행방향의 가로로 상기 전방 휠유니트와 소정 이격설치된 제1보조 휠유니트와, 상기 진행방향을 따라 상기 후방 휠유니트의 전방에서 소정 폭 겹치도록 상기 진행방향의 가로로 상기 후방 휠유니트와 소정 이격설치된 제2보조 휠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보조 휠유니트와 상기 제2보조 휠유니트는 상기 진행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 폭 겹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진행방향을 따라 상기 제1보조 휠유니트와 상기 제2보조 휠유니트 사이에는, 상기 제1보조 휠유니트 및 상기 제2보조 휠유니트에 각각 소정 폭 겹치는 제3보조 휠유니트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캐리어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물적재용 캐리어판(3)과, 캐리어판(3)의 일측 판면에 기립설치된 적재보호대(2)와, 캐리어판(3)의 하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휠유니트(10,11,15,16)를 포함한다. 여기서, 적재보호대(2)는, 캐리어판(3)의 일측 모서리에 기립설치되어 하물운반시 손잡이로 사용되는 동시에 운반하는 하물을 보호하게 된다.
캐리어판(3)의 하부에 설치된 복수의 휠유니트(10,11,15,16)는, 캐리어장치(1)의 진행방향을 따라 캐리어판(3)의 전방영역과 후방영역에 소정 이격거리를 두고 설치된 제1 및 제2전방 휠유니트(10,11)와 제1 및 제2후방 휠유니트(15,16)를 포함한다. 각 휠유니트(10,11,15,16)는, 천연고무로 형성된 바퀴(17)와, 바퀴(17)의 회전축을 관통하여 바퀴의 일부 영역을 감싸며 바퀴커버(18)를 포함하며, 바퀴커버(18)는 캐리어판(3)에 바퀴커버(18) 자체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바퀴(17)는 캐스터처럼 바퀴(17)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함과 동시에 바퀴커버의 회전축을 중심으로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제1 및 제2전방 휠유니트(10,11)와 제1 및 제2후방 휠유니트(15,16) 사이에는 제1 및 제2보조 휠유니트(20,25)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보조 휠유니트(20,25)는, 각 휠유니트(10,11,15,16)와 마찬가지로, 바퀴(26)와, 바퀴커버(27)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보조 휠유니트(20,25)는, 제1 및 제2전방 휠유니트(10,11)와 제1 및 제2후방 휠유니트(15,16)중 상호 대각을 이루는 제1전방 휠유니트(10)와 제2후방 휠유니트(16) 사이에 설치되거나, 제2전방 휠유니트(11)와 제2후방 휠유니트(16) 사이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보조 휠유니트(20,25)는 캐리어장치(1)의 측면에서 볼 때, 각 전방 휠유니트(10,11)와 각 후방 휠유니트(15,16) 사이에 캐리어장치(1)의 전후방향을 따라 소정 폭만큼 겹치도록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제1전방 휠유니트(10)와 제2후방 휠유니트(16) 사이에 배치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1보조 휠유니트(20)는 제1전방 휠유니트(10)와 캐리어장치(1)의 전후방향을 따라 제1전방 휠유니트(10)의 후방영역에서 소정 폭만큼 겹치도록 인접하게 설치되어 있고, 제2보조 휠유니트(25)는 제1전방 휠유니트(10)와 대각선상에 배치된 제2후방 휠유니트(16)와 캐리어장치(1)의 전후방향을 따라 제2후방 휠유니트(16)의 전방영역에서 소정 폭만큼 겹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전방 휠유니트(10,11), 제1 및 제2보조 휠유니트(20,25), 후방 휠유니트(15,16)는 순차적으로 상호 소정 폭만큼 겹치도록 배열되며, 이 때, 상호 이웃하는 각 휠유니트간의 바퀴폭의 5/8정도가 바람직하다.
한편, 제1 및 제2보조 휠유니트(20,25)는 각 전방 및 후방 휠유니트(10,11,15,16)보다 소정 작은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동시에, 각 전방 휠유니트(10,11) 및 후방 휠유니트(15,16)의 회전축과 동일한 높이에 회전축이 배치되도록 캐리어판(3)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보조 휠유니트(20,25)는 캐리어장치(1)의 평지 안착시 지면으로부터 소정 이격되게 되며, 이 때, 제1 및 제2보조 휠유니트(20,25)와 지면과의 이격폭은 약 4mm 정도가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보조 휠유니트(20,25)가 지면과 소정 이격됨에 따라, 캐리어장치(1)가 평지를 진행할 때는 제1 및 제2전방 휠유니트(10,11)와 제1 및 제2후방 휠유니트(15,16)만으로 운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캐리어장치(1)를 이용하여 계단을 승강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휠유니트(10,11), 제1 및 제2보조 휠유니트(20,25), 후방 휠유니트(15,16)가 상호 바퀴폭의 5/8만큼 겹쳐있으므로, 각 휠유니트(10,11,15,16)의 연속배치로 인해 각 휠유니트(10,11,15,16)에 의해 형성되는 바닥면의 굴곡이 거의 없다. 따라서, 계단 승강시 각 휠유니트(10,11,15,16)의 바퀴가 계단면에 접하지 아니하고, 계단의 계단턱을 타고 승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적은 힘을 들이고도 캐리어장치(1)가 계단을 따라 승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계단 승강시 캐리어장치(1)의 유동이 거의 없으므로, 하물이 낙하하여 손상되거나 사용자의 안전에 해하는 일도 없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전방 휠유니트(10,11)와 후방 휠유니트(15,16) 사이에 제1 및 제2보조 휠유니트(20,25)를 설치하였으나,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휠유니트(60,61)와 후방 휠유니트(65,66) 사이에 제1 및 제2 및 제3보조 휠유니트(8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제1보조 휠유니트(70)는, 일측의 전방 휠유니트(60)와 소정 폭 겹치도록 전방 휠유니트(60)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제2보조 휠유니트(75)는, 전방 휠유니트(60,61)와 후방 휠유니트(65,66) 사이에 제1보조 휠유니트(70)와 소정 겹치도록 설치된다. 이 때, 제2보조 휠유니트(75)는 제1보조 휠유니트(70)가 인접하게 설치된 전방 휠유니트(60)의 대각선 방향에 배치된 후방 휠유니트(66)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제3보조 휠유니트(80)는, 제2보조 휠유니트(75)와 후방 휠유니트(66) 사이에 설치되며, 이 때, 제3보조 휠유니트(80)는 캐리어장치(51)의 가로방향을 따라 제2보조 휠유니트(75)와 후방 휠유니트(66) 사이에 설치할 수도 있고, 캐리어장치(51)의 가로방향을 따라 제1보조 휠유니트(70)와 제2보조 휠유니트(75) 사이에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제3보조 휠유니트(80)가 제2보조 휠유니트(75)와 후방 휠유니트(66) 사이에 설치될 경우, 제3보조 휠유니트(80)의 회전각이 30。를 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3보조 휠유니트(80)에 의해 후방 휠유니트(66)의 진행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 및 도 5에 의한 캐리어장치(51)를 이용하여 계단을 승강할 경우에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캐리어장치(1)와 마찬가지로, 적은 힘을 들이고 계단을 용이하게 승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하물운반용으로 사용되는 캐리어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핸드카, 유모차, 산업장비 등 다양한 형태의 캐리어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적은 힘을 들이고 계단을 용이하게 승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계단 승강시 유동이 감소되어 적재물의 낙하로 인한 적재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캐리어판과, 상기 캐리어판의 하부에 진행방향의 가로로 소정 이격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휠유니트를 갖는 캐리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판의 하부에는 상기 캐리어판의 진행방향의 가로로 상기 휠유니트와 소정 이격되며, 상기 진행방향을 따라 상기 휠유니트와 소정 폭 겹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휠유니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휠유니트는, 상기 캐리어판의 전방영역과 후방영역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전방 휠유니트와, 한 쌍의 후방 휠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휠유니트는, 상기 진행방향을 따라 상기 전방 휠유니트의 후방에서 소정 폭 겹치도록 상기 진행방향의 가로로 상기 전방 휠유니트와 소정 이격설치된 제1보조 휠유니트와, 상기 진행방향을 따라 상기 후방 휠유니트의 전방에서 소정 폭 겹치도록 상기 진행방향의 가로로 상기 후방 휠유니트와 소정 이격설치된 제2보조 휠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 휠유니트와 상기 제2보조 휠유니트는 상기 진행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 폭 겹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진행방향을 따라 상기 제1보조 휠유니트와 상기 제2보조 휠유니트 사이에는, 상기 제1보조 휠유니트 및 상기 제2보조 휠유니트에 각각 소정 폭 겹치는 제3보조 휠유니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장치.
KR2020010008046U 2001-03-23 2001-03-23 캐리어장치 KR2002363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8046U KR200236301Y1 (ko) 2001-03-23 2001-03-23 캐리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8046U KR200236301Y1 (ko) 2001-03-23 2001-03-23 캐리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6301Y1 true KR200236301Y1 (ko) 2001-10-08

Family

ID=73098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8046U KR200236301Y1 (ko) 2001-03-23 2001-03-23 캐리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63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625B1 (ko) 2006-12-18 2008-03-05 이길수 계단 승강용 운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625B1 (ko) 2006-12-18 2008-03-05 이길수 계단 승강용 운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77436B2 (ja) 物品搬送設備
CN109476455B (zh) 具有特殊构造的保护顶盖的电梯设备
KR200236301Y1 (ko) 캐리어장치
JP5611518B2 (ja) 運搬台車
JP6661628B2 (ja) パレットリフトおよびパレタイジング装置を備えるアセンブリ
JP4449867B2 (ja) 搬送装置
WO1999041186A1 (en) Portable personnel lift with wheel drive mounted on outriggers
JP6649638B2 (ja) 作業機械
JP5105054B2 (ja) 昇降装置
CN210973779U (zh) 一种消防施工用升降车
FR3048963A1 (fr) Chariot elevateur a conducteur accompagnant
JP2546118B2 (ja) スタッカクレーン
JPH08133467A (ja) 荷物搬出入用のパレット移送装置
JP4143595B2 (ja) 乗客コンベアの搬送方法
JP3840589B2 (ja) 通路を備えた昇降リフト
JP4262909B2 (ja) キャスク搬送設備
JP2019026063A (ja) 階段昇降機能付き台車用昇降補助具
JP7065248B1 (ja) 昇降兼退避用ユニット、昇降兼退避用ユニットの設置方法
KR102447228B1 (ko) 지게발이 접히는 지게차
CN216641337U (zh) 一种脚手架工作平台
KR200353320Y1 (ko) 탑승용 발판장치를 갖춘 보행식 이송장치
JP2551484Y2 (ja) 高所作業車の作業台構造
JP6341029B2 (ja) 物品収納設備
JPH10291774A (ja) 乗客コンベアの踏段搬入方法
JP2022121216A (ja) 運搬台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1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