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4521Y1 - 도로 표지병 - Google Patents

도로 표지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521Y1
KR200234521Y1 KR2020010004342U KR20010004342U KR200234521Y1 KR 200234521 Y1 KR200234521 Y1 KR 200234521Y1 KR 2020010004342 U KR2020010004342 U KR 2020010004342U KR 20010004342 U KR20010004342 U KR 20010004342U KR 200234521 Y1 KR200234521 Y1 KR 2002345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reflector
sides
urethane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43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동 규 김
Original Assignee
동 규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 규 김 filed Critical 동 규 김
Priority to KR20200100043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5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5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521Y1/ko

Links

Landscapes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의 중앙선이나 구획된 도로의 차선을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도로표지병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금속을 이용하여 내부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골격에 우레탄으로 표시부를 성형하며, 상기 우레탄 성형시 노출되는 양 측면에 반사체의 삽치홈과 삽치되는 반사체 노출구를 형성하여 외부의 충격을 완충하거나 흡수하고, 차량의 바퀴 접촉시 반사판에 바퀴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도로표지병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도로 표지병{Road Stud}
본 고안은 도로의 중앙선이나 구획된 도로의 차선을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도로표지병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금속으로 형성된 내부 골격을 가지며, 상기 골격을 감싸도록 우레탄으로 몰딩 성형된 표시부를 갖는 도로표지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도로의 중앙이나 도로 주변의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도로의 중앙이나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도로표지병은 윗면이 밑면보다 좁은 사각 입방체 형태로 표시부를 형성하고, 장방향의 측면, 즉 도로의 중앙선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두 측면에 자동차의 전조등에 의하여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도록 플라스틱(ABS 수지)이나 유리알로 형성된 반사판을 부착하며, 상기 표시부 하단에 지주를 형성하여 도로의 중상선상이나 구획선상에 지주와 표시부 하단을 접착제로 고정시켜 사용되고 있다.
그 일반적인 형태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등의 경금속을 이용하여 사다리꼴의 네 측면과 상기 네 측면 중 사다리꼴 형태의 반사판(13)을 에폭시 수지와 같은 접착제로 고정시킬 수 있는 반사판 설치홈이 형성되어 있는 두 측면을 가지며 밑면에 다수의 공동이 형성되어 있는 표시부(11)와, 상기 표시부(11) 밑면 중앙에는 도로표지병을 도로의 중앙선상이나 구획선상에 설치하기 위한 지주(12)가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
상기 도로표지병을 도로에 설치하는 방법은 도로의 중앙선이나 구획선상에 상기 지주의 단면 직경과 길이보다 큰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과 도로표지병의 밑면 동공에 에폭시 수지를 채운 후 상기 구멍에 도로표지병의 지주를 반사판이 설치되는 면이 중앙선 또는 구획선의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삽입한 후 에폭시 수지가 굳어지도록 함으로써 설치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도로 표지병은 알루미늄과 같은 경금속으로 제조된 본체와 플라스틱 반사판을 사용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을 완충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차량의 바퀴가 도로표지병 위를 지나가거나, 부딪칠 경우 쉽게 파손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영하의 기온에서 눈이나 비가 내릴 경우 금속제의 본체에 접촉한 물기가 쉽게 결빙되어 그 위를 지나가는 자동차의 바퀴가 쉽게 미끄러진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도로표지병이 차량의 바퀴와 접촉시 경사진 양측면의 반사판이 그대로 바퀴에 접촉하게 되기 때문에 쉽게 파손될 위험이 있으며, 파손되지 않더라도 바퀴로부터 이물질이 묻어나 반사판을 오염시킴으로써 반사판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로표지병 형태의 내부 골격을 가지며,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을 완충하거나 흡수할 수 있는 우레탄을 몰딩에 의해 상기 골격을 감싸도록 표시부와 지주를 형성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도로표지병이 차량의 바퀴와 접촉하더라도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낮은 기온에서도 도로표지병에 접촉한 수분이 쉽게 결빙되지 않도록 하여 차량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도로표지병의 반사판을 설치하고자 하는 측면의 안쪽에 측면의 경사도와 같은 각도를 갖도록 반사판 삽치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삽치되는 반사판이 노출될 수 있도록 표면과 상기 홈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반사판 노출홈을 형성함으로써, 삽치되는 반사판이 차량접촉시 차량의 바퀴와 직접적인 접촉을 하지 않도록 하여 반사판이 파손되거나 이물질이 묻어 반사판의 기능이 마비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반사판 삽치홈에 삽치되는 반사판을 초 고휘도 반사시트와 강한 충격에도 파손되지 않는 투명한 폴리카보나이트로 형성함으로써 반사판이 차량과 접촉하더라도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사다리꼴의 4 측면과 윗면을 갖는 보강체와, 상기 보강체 중앙에 결합수단에 의해 체결되어 있는 보강 지주로 이루어진 내부 골격과; 상기 보강체 및 보강 지주로 이루어진 내부 골격 전체를 감싸도록 우레탄으로 성형되며, 대응되는 양측면 안쪽에 측면 경사도과 같은 각도로 형성된 반사판 삽치홈과, 상기 삽치홈에 삽치되는 반사판이 노출되도록 상기 삽치홈과 표면이 연통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사판 노출부를 갖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 하단에 보강 지주 표면에 형성되는 지주와; 상기 표시부의 대응되는 측면에 삽치 고정되는 초 고휘도 반사시트와 투명 폴리카보나이트로이루어진 반사판을 포함하는 도로표지병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종래의 도로표지병을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표지병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도2에서 반사판을 제거하고 선A-A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내부 골격의 평면도.
도5는 도2의 원B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표지병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7은 도6에서 반사판을 제거하고 선C-C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25 : 표시부 12, 26 : 지주
13, 28 : 반사판 21 : 보강체
22 : 보강지주 23 : 보강체 결합수단
24 : 반사판 삽치홈 27 : 반사판 노출구
29 : 턱 30 : 보강체 구멍
31 : 커버 32 : 커버 결합수단
33 : 커버 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2 내지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표지병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사다리꼴의 네 측면과 윗면을 갖는 보강체(21)와; 상기 보강체(21) 중앙에 결합수단(23)에 의해 체결되는 보강 지주(22)와; 상기 보강체(21) 및 보강 지주(22)로 이루어진 내부 골격 전체를 감싸도록 성형된 밑면보다 윗면이 좁은 사각 입방체 형태의 표시부(25)와; 상기 표시부(25)의 네 측면 중 대응되는 두 측면에 삽치 고정되는 반사판(28)으로 구성된다.
상기 보강체(21)는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구멍(30)이 형성되고 경사진 사다리꼴의 네 측면과 윗면을 갖도록 볼록한 모양으로 형성하고, 상기 보강 지주(22)는 기둥 형상으로 상기 보강체(21)의 중앙에 결합수단(23)에 의해 체결한다. 상기 보강체(21) 및 보강 지주(22)는 금속으로 제조하여 강도를 높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모양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보강체(21) 및 보강 지주(22)는 주물에 의해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보강체(21)와 보강 지주(22)로 구성된 내부 골격을 보강 지주(22)가 위를 향하도록 하여 보강 지주(22)의 끝단을 고정수단으로 고정시킨 후, 몰딩틀에 위치시키고, 몰딩제를 몰딩틀에 주입하여 표시부(25)와 지주(26)를 성형함으로써 도로표지병을 제조한다. 이때, 상기 보강체(21)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은 몰딩제가 구멍을 통해 결합되게 함으로써 내부 골격으로부터 몰딩제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25)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몰딩제는 우레탄을 사용한다. 상기 우레탄은 도로표지병이 차량 바퀴와 접촉시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써 접촉 충격을 완충하거나 흡수하게 되고, 온도가 낮은 상황에서도 딱딱하게 굳지 않고 고유의 탄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우레탄에 형광과 야광기능을 갖도록 프리폴리머와 경화제가 배합된 것에 가공성 및 균일한 안료배합을 결정하는 가소제인 D.O.P 용액과 입사된 빛을 되반사시키는 형광안료와 입사된 빛을 축적한 후 입사된 빛의 양에 따라 소정시간 동안 빛을 발산하는 축광안료가 소정 비율로 배합된 형광 및 야광 우레탄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우레탄 또는 형광 및 야광 우레탄을 이용하여 표시부(25)를 성형하면서, 표시부(25)의 네 측면중 대응되는 두 측면의 바깥면과 보강체(21)의 측면 사이에, 표시부(25)의 측면 경사도와 같은 각도를 가지도록 반사판 삽치홈(24)을 형성하고, 상기 반사판 삽치홈(24)에 삽치 고정되는 반사판(28)이 노출될 수 있도록 삽치홈(27)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사판 노출구(27)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노출구(27)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으로부터 일정깊이 이상 수직으로 형성하고, 나머지 부분으로 완만한 경사가 지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반사판 노출구(27)가 형성되는 측면 하단에 턱(29)을 형성하여 차량 접촉시 반사판(28)에 차량 바퀴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우레탄 또는 형광 및 야광 우레탄으로 표시부(25)를 성형한 다음, 몰딩틀로부터 이를 분리하고, 상기 반사판 삽치홈(24)에 반사판을 삽치 고정시킴으로써 도로표지병을 완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완성된 도로표지병은 전체가 우레탄 또는 형광 및 야광 우레탄 표면을 가지며, 다만 몰딩시 고정시킨 지주의 끝단만이 보강 지주(22)를 노출되게 된다.
상기 반사판(28)은 초 고휘도 반사시트를 상기 반사판 삽치홈에 삽치될 수 있는 크기로 재단 한 후, 상기 재단된 반사시트와 같은 크기로 투명 폴리카보나이트를 재단하여 겹쳐진 상태에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삽치홈(24)에 삽치함으로써 반사판(28)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투명 폴리카보나이트의 두께는 상기 삽치홈(24)의 두께와 거의 동일한 것을 사용하여 상기 반사판(28)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접촉되는 차량의 바퀴와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표시부(25)의 윗면에 다양한 형태의 요철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표시부를 다양한 색상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강체와 보강지주를 형성하지 않고, 우레탄과 형광 및 야광 우레탄만을 이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몰딩 성형함으로써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조 비용을 줄인 도로 표지병을 제조할 수도 있다.
다음에 도6 내지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표지병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2와 같이 표시부(25)를 형성하는 우레탄 또는 형광 및 야광 우레탄을 몰딩하면서, 표시부(25) 상면 안쪽을 사각형 모양으로 커버 홈(33)을 형성하고, 상기 홈(33)과 일치하는 커버(31)를 별도로 성형한다. 이때 상기 홈(33)의 반사판이 설치될 측면의 모리서로부터 표시부(25) 사이의 밑면으로 보강체(21)와 측면의 경사도와 같은 각도로 반사판 삽치홈(24)을 형성하며, 홈의 깊이는 보강체(21)로부터 표시부(25) 상면의 높이의 1/2 이상이 되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홈(33)에 체결되는 커버(31)는 적어도 4곳 이상에 나사와 같은 결합수단(32)에 의해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수단 삽치홀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로 표지병은 커버를 체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술한 본 고안의 초 고휘도 반사시트와 폴리카보나이트로 이루어진 반사판을 반사판 삽치홈에 삽치하고, 결합수단에 의해 커버를 표시부 상면의 홈에 체결함으로써 도로표지병을 완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를 갖는 도로 표지병은 커버를 결합 및 해체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에 도로표지병을 도로에 설치한 후에도 반사판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라 형성된 도로표지병은 종래의 도로표지병과 같이 설치하고자 하는 중앙선이나 구획선상에 지주보다 큰 구멍을 천설한 후, 그 구멍과 표시부 밑면에 액상의 에폭시 수지를 채워 도로에 접착 설치하게 된다.
본 고안의 도로 표지병은 표시부 전체를 우레탄을으로 성형함으로써 차량의 바퀴와 접촉시 접촉 충격을 완충하거나 흡수하여 차량의 바퀴 및 바퀴를 제어하는 조향장치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키고 도로표지병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겨울과 같은 온도가 낮은 상황에서도 딱딱하게 굳지 않고 고유의 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표시부 전체를 형광 및 야광 우레탄을 사용할 경우 주간에도 표시부에 의해 빛을 반사하고, 야간에도 반사판에 차량의 전조등 빛이 반사되어 운전자에게 전달 되도록하는 것 이외에, 전조등이 비추지 않는 곳의 도로표지병에서도 낮 동안 축적된 빛을 발광함으로써 먼 거리의 도로까지 운전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으므로 야간 운전시 시인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반사판을 플라스틱이 아닌 초 고휘도 반사시트와 투명 폴리카보나이트로 형성함으로써 기존 반사판에 비해 반사도를 향상시키고, 플라스틱 등에 비해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강하여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반사판을 표시부에 삽치하고자 할 경우 밀어 넣기만 하면 되므로 별도의 접착제가 필요 없어 제조공정 및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판 노출구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함으로써 노출구에 쌓이는 이물질의 양을 줄여 장시간 청소하지 않고도 반사판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로 한다.

Claims (6)

  1.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사다리꼴의 네 측면과 윗면을 갖는 보강체와, 상기 보강체 중앙에 결합수단에 의해 체결되어 있는 보강 지주로 이루어진 내부 골격과;
    상기 보강체 및 보강 지주로 이루어진 내부 골격 전체를 감싸도록 우레탄으로 성형되며, 대응되는 양측면과 보강체 사이에 측면 경사도와 같은 각도로 형성된 반사판 삽치홈과, 상기 측면으로부터 반사판 삽치홈과 연통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사판 노출부를 갖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 하단의 보강지주를 감싸는 지주와;
    상기 표시부의 대응되는 양측면에 삽치 고정되는 초 고휘도 반사시트와 투명 폴리 카보나이트로 이루어진 반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은 형광과 야광 기능을 갖는 야광 우레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병.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 노출구는 표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는 수직으로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은 완만한 경사가 지도록 형성함으로써 반사판과 반사판 노출구의 경계부에 이물질이 적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병.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 노출구가 형성된 측면 하단에 턱을 형성하여 차량 바퀴와 반사판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병.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면에 포함되는 사각형 형태로 상기 양측면의 반사판 삽치홈이 노출되도록 커버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에는 별도로 몰딩된 홈에 일치하는 다수의 결합수단에 의해 체결되는 커버를 가지며,
    상기 반사판 삽치구 하단은 밀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병.
  6. 사다리꼴의 네 측면과 윗면을 갖도록 우레탄으로 성형되며, 대응되는 양측면 안쪽에 측면 경사도와 같은 각도로 형성된 반사판 삽치홈과, 상기 측면으로부터 삽치홈과 연통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사판 노출부를 갖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대응되는 측면에 삽치 고정되는 초 고휘도 반사시트와 투명 폴리 카보나이트로 이루어진 반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병.
KR2020010004342U 2001-02-20 2001-02-20 도로 표지병 KR2002345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342U KR200234521Y1 (ko) 2001-02-20 2001-02-20 도로 표지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342U KR200234521Y1 (ko) 2001-02-20 2001-02-20 도로 표지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4521Y1 true KR200234521Y1 (ko) 2001-10-06

Family

ID=73063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4342U KR200234521Y1 (ko) 2001-02-20 2001-02-20 도로 표지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5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3694A (ko) * 2022-03-11 2023-09-19 주식회사 금부산업 발광형 차로 이탈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3694A (ko) * 2022-03-11 2023-09-19 주식회사 금부산업 발광형 차로 이탈방지장치
KR102630215B1 (ko) * 2022-03-11 2024-01-29 주식회사 금부산업 발광형 차로 이탈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34521Y1 (ko) 도로 표지병
JPH10121408A (ja) 視線誘導標識を付した縁石ブロック
US5419651A (en) Highway pavement marker
KR20220163557A (ko) 매립식 표지병 케이스
KR200223964Y1 (ko) 도로 표지병
KR200248484Y1 (ko) 타이어의 파손을 방지하는 완충부를 구비한 도로경계석
KR100648890B1 (ko) 완충식 도로 표지병
KR200271330Y1 (ko) 표지병몸체가 삽입된 도로안전표지병
KR200432648Y1 (ko) 도로용 시선유도봉
KR200398245Y1 (ko) 도로 표지병
KR200376037Y1 (ko) 도로 표지병
KR200261335Y1 (ko) 도로 표지병
KR102379611B1 (ko)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횡단보도용 바닥신호등
KR100418368B1 (ko) 가이드 레일용 교통안내판
EP0921233A1 (en) Curbstones with reflecting elements
US11519143B1 (en) Reversible reflective pavement marker
KR200179546Y1 (ko) 도로안전표지병의 고정장치
KR200245960Y1 (ko) 사각 표지병
KR200261337Y1 (ko) 가이드 레일용 교통안내판
KR200222513Y1 (ko) 차량 진입방지용 지주
WO2009116703A1 (en) A road stud
US6976803B2 (en) Stationary board for blocking lights of oncoming vehicles in medial strip and facilitating nighttime identification of medial strip
KR200265890Y1 (ko) 도로 경계석용 리플렉터
KR200228275Y1 (ko) 차선 식별용 도로 표지병
KR200208822Y1 (ko) 도로안전 표지병의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