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3354Y1 - 전철 플렛폼 가변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전철 플렛폼 가변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354Y1
KR200233354Y1 KR2020010001060U KR20010001060U KR200233354Y1 KR 200233354 Y1 KR200233354 Y1 KR 200233354Y1 KR 2020010001060 U KR2020010001060 U KR 2020010001060U KR 20010001060 U KR20010001060 U KR 20010001060U KR 200233354 Y1 KR200233354 Y1 KR 2002333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train
pad
variable
ser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10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수연
Original Assignee
대한기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기공(주) filed Critical 대한기공(주)
Priority to KR20200100010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3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3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354Y1/ko

Links

Landscapes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철 플렛폼에서의 안전을 위한 승강장 가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철이 진입된후 승강문이 개방될 때, 이를 감지하여 플렛폼에 장치된 가변 승강장이 연장되도록 구동되게 하고, 승객이 안전하게 승, 하차되게 한후, 승강문이 닫친후의 감지로 연장된 승강장이 원위치로 복귀되어 전철의 운행에 영향이 없게한 것으로서, 포토센서(2)와 연결된 컨트롤 판넬(1)은 솔레노이드 밸브(3)와 연결되어, 일측으로는 압축탱크(4), 레규레터(5)와 연이어 연결되어 있고, 타측으로는 다수개 발판패드(8)의 측하단에 연결된 연결부재(9)를 밀고, 당기는 에어 실린더(6)와 각각 연이어 연결되어, 상기 포토센서(2)의 감지에 따라 상기 에어 실린더(6)를 구동, 상기 발판패드(8)를 접고, 펴며 가변 승강장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철 플렛폼 가변 안전장치{A safety device of platform for subway train}
본 고안은 전철 플렛폼에서의 안전을 위한 승강장 가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철이 진입된후 승강문이 개방될 때, 이를 감지하여 플렛폼에 장치된 가변 승강장이 연장되도록 구동되게 하고, 승객이 안전하게 승, 하차되게 한후, 승강문이 닫친후의 감지로 연장된 승강장이 원위치로 복귀되어 전철의 운행에 영향이 없게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철 플렛폼이 콘크리트등의 고형물로 축조됨에 있어, 전동차가 플렛폼에 진입할 때, 좌우 진동에 의한 흔들림이 있게 되는데, 이에 대한 수용간격의 경우, 상기 플렛폼이 직진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는 전철 승강문과 간격유지가 비교적 기밀하나, 승객의 발이 빠지거나 끼워지는등 안전에 문제가 있었고, 플렛폼이 불가피하게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는 전철 차량과 차량의 굴곡면 수용한계에 의해 차량 승강문과 승강장과의 간격이 지나치게 떨어져 있어, 노약자나 어린이 들에게는 특히, 위험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철 차량의 승강문이 플렛폼의 승강장과 일정한 간격 이상으로 떨어져 있어 승객의 신체적 위험이 있는 곳에 장치하여 승객의 안전한 승강이 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떨어져 있는 간격 사이에 승강장 기능을 하는 장치가 전철 차량의 승강문이 개폐됨과 동시에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작동 구동되게 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포토(photo)센서의 감지 신호를 받은 컨트롤 판넬이 솔레노이드 밸브를 작동시켜 공기 압축탱크의 공기압을 개,폐시키고, 이 공기압으로 전철 승강문 위치의 승강장 측면에 부착된 다수개의 에어 실린더를 작동시켜 발판패드를 절첩되게 하며, 전철 승강문과 승강장 사이의 떨어져 있는 공간을 메워 줄수 있게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동 시스템을 나타낸 계통도.
도 2a 및 2b는 본 고안의 시스템으로 구동되어 가변 승강장 기능을 하는 발판 패드의 절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a 및 3b는 본 고안의 발판 패드를 절첩상태로 작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에어 실린더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발판 패드의 일부 확대도.
도 5a는 본 고안의 발판 패도와 실린더를 연결하는 부재의 측면도.
도 5b는 상기 도 5a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컨트롤 판넬 2 : 포토센서
3 : 솔레노이드 밸브 4 : 압축탱크
5 : 레규레터 6 : 에어 실린더
7 : 작동레바 8 : 발판패드
8a : 보강철심 8b : 요홈
8c : 요철면
9 : 연결부재 10 : 가이드 레일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고안의 구동 시스템을 나타낸 계통도이고, 도 2a 및 2b는 본 고안의 시스템으로 구동되어 가변 승강장 기능을 하는 발판패드의 절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a 및 3b는 본 고안의 발판패드를 절첩상태로 작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에어 실린더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발판패드의 일부 확대도이며, 도 5a는 본 고안의 발판패드와 실린더를 연결하는 부재의 측면도이고, 도 5b는 상기 도 5a의 정면도로서, 포토세서(2)로 연결된 컨트롤 판넬(1)는 솔레노이드 밸브(3)와 연결되어 있으며,이 솔레노이드 밸브(3)의 일측은 컴프레셔 및 압축탱크(4), 레규레터(제어기;5)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다수개의 에어 실린더(6)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 에어 실린더(6)의 작동레바(7)는 발판패드(8)의 양측 하단에 연결 고정되어 있는 연결부재(9)와 각각 연결되어 있다.
보강철심(8a)이 일정간격으로 삽입되어 있는 상기 발판패드(8)의 일측면에는 'V'형상의 요홈(8b)이 가로 방향으로 다수 요설되어 있고, 타측면은 요철면(8c)으로 이루어져있다.
이와 같은 발판패드(8)는 전철 차량의 승강문 개폐위치의 플렛홈 승강장 전면에 설치 부착되되, 상단만이 고정되도록 되어 있고, 양단측에는 가이드 레일(10)이 직하방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에어 실린더(6)는 플렛폼 승강장의 하면에 고정 설치되어, 실린더(6)는 솔레노이드 밸브(3)와 에어 배관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6)의 작동레바(7)는 발판패드(8)와 연결 고정된 연결부재(9)와 각각 연결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전철이 플렛폼에 진입하여 정차하면 포토센서(2)가 이를 감지 컨트롤 판넬(1)로 신호를 보냄과 동시에, 솔레노이드 밸브(3)를 작동, 압축탱크(4)의 공기압이 실린더(6)를 작동시켜 작동레바(7)를 후진시켜, 링크로 연결된 연결부재(9)와 발판 패드(8)를 양측에서 밀어 올리게 된다. 이때 발판패드(8)는 상단에 고정되어 있어서 전면으로 회전하면서 가이드 레일을 따라, 그리고 발판 패드의 가로 방향으로 'V'형상의 요홈(8b)과 요철면(8c)에 의해 절곡되어 전철과 승강장 사이를 연결 발판의 기능을 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승,하객이 타고, 내리고 한후 승강문이 닫히면 상기 포토센서가 이를 감지 역순의 실린더 작동이 이루어지게 하여 발판 패드가 원상태로 복귀되고 전철은 진행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포토(photo)센서(2)의 감지 신호를 받은 컨트롤 판넬(1)이 솔레노이드 밸브(3)를 작동시켜 공기 압축탱크(4)의 공기압을 개,폐시키고, 이 공기압으로 전철 승강문 위치의 승강장 저면에 부착된 다수개의 에어 실린더(6)를 작동시켜 발판패드(8)를 절첩되게 하며, 전철 승강문과 승강장 사이의 떨어져 있는 공간을 메워 줄수 있게 한 것이므로, 전철 차량의 승강문이 플렛폼의 승강장과 일정한 간격 이상으로 떨어져 있어 승객의 신체적 위험이 있는 곳에 장치하여 승객의 안전한 승강장이 될 수 있게 하였고, 상기 떨어져 있는 간격 사이에 승강장 기능을 하는 장치가 자동으로 작동 구동되므로 별도의 관리인력을 두어야하는 등의 비경제성과 번거로움을 해결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전철 플렛폼의 승강장에 있어서, 포토센서(2)와 연결된 컨트롤 판넬(1)은 솔레노이드 밸브(3)와 연결되어, 일측으로는 압축탱크(4), 레규레터(5)와 연이어 연결되어 있고, 타측으로는 다수개 발판패드(8)의 측하단에 연결된 연결부재(9)를 밀고, 당기는 에어 실린더(6)와 각각 연이어 연결되어, 상기 포토센서(2)의 감지에 따라 상기 에어 실린더(6)를 구동, 상기 발판패드(8)를 접고, 펴며 가변 승강장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철 플렛폼 승강장 가변 안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패드(8)는 보강철심(8a)이 일정간격으로 삽입된채, 일측면은 요홈(8b)이, 타측면은 요철면(8c)이 가로방향으로 각각 요설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철 플렛폼 승강장 가변 안전장치.
KR2020010001060U 2001-01-15 2001-01-15 전철 플렛폼 가변 안전장치 KR2002333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060U KR200233354Y1 (ko) 2001-01-15 2001-01-15 전철 플렛폼 가변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060U KR200233354Y1 (ko) 2001-01-15 2001-01-15 전철 플렛폼 가변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3354Y1 true KR200233354Y1 (ko) 2001-10-27

Family

ID=73094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1060U KR200233354Y1 (ko) 2001-01-15 2001-01-15 전철 플렛폼 가변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35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61051B (zh) 装有在浅井底电梯内操作者保护的安全装置的电梯
JP4742591B2 (ja) エレベータの終端安全装置
CN107500174B (zh) 平步上楼气动电梯
KR102039508B1 (ko) 고소작업대의 협착방지 구조
US10889471B2 (en) Escalator which can be connected to a lift
KR200233354Y1 (ko) 전철 플렛폼 가변 안전장치
CN109505386A (zh) 一种新式楼梯及其实现方法
JP3920528B2 (ja) エレベータの位置検出装置
CN105293229B (zh) 电梯装置及其控制方法
EP3587324A1 (en) Elevator system
ITMI20091887A1 (it) Impianto di sollevamento a manutenzione facilitata e relativa cabina ascensore
KR100891443B1 (ko) 엘리베이터 브레이크 시스템의 출력지연 제동장치 및 그제동방법
KR102214035B1 (ko) 이탈방지 성능을 갖는 승강기 또는 승강장용 도어의 설치구조
KR102271450B1 (ko) 휠체어용 리프트
JP2018021438A (ja) 重力式自動扉
AU758072B1 (en) Emergency moving device of an elevator
JP3790516B2 (ja) エレベータの保守安全装置
JP4212736B2 (ja) エレベータ
KR101877956B1 (ko) 평형 안정성과 내풍압성을 향상시키고 빗물 침투 및 결빙을 방지할 수 있는 헬리포트용 엘리베이터
CN211225929U (zh) 一种带有安全气囊的电梯防坠装置
CN219078798U (zh) 一种电梯轿厢过载保护装置
CN114620587A (zh) 一种轿厢意外移动的保护装置
JPH0427904Y2 (ko)
KR101670720B1 (ko) 연단의 바닥센싱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크린도어의 안전시스템
KR100574015B1 (ko) 육교와 승강대의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2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