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1002Y1 - 자동차의 도어프레임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프레임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1002Y1
KR200231002Y1 KR2019990009464U KR19990009464U KR200231002Y1 KR 200231002 Y1 KR200231002 Y1 KR 200231002Y1 KR 2019990009464 U KR2019990009464 U KR 2019990009464U KR 19990009464 U KR19990009464 U KR 19990009464U KR 200231002 Y1 KR200231002 Y1 KR 2002310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glass
door
outside
weather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94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1580U (ko
Inventor
김흥필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20199900094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1002Y1/ko
Publication of KR200000215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15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10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1002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프레임구조에 관한 것으로, 도어프레임의 외측부위를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관미를 향상시킴과 더불어, 도어프레임의 양측부위로 장착되는 차체측과 도어측의 사이드웨더스트립을 일체화시켜 조립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도어프레임(31)상에 차체의 루프패널(32)과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도어측 사이드웨더스트립(33)과, 글래스(34)의 완전승강시 글래스(34)의 내/외측면에서 각각 접촉되어 기밀을 유지시키는 글래스런(35) 및, 상기 도어프레임(31)의 외측으로 장착되어 외측면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은폐시키는 커버러버(36)가 일체로 성형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프레임구조{door frame structure for vehicle}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프레임에 장착되는 글래스런이 도어측의 사이드웨더스트립과 일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도어프레임의 외면까지 은폐시키도록 형성되어 도어프레임의 노출에 따른 외관미의 저하를 방지함과 더불어 도어프레임에 글래스런과 사이드웨더스트립의 장착공정을 단축시킴에 따른 조립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도어프레임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체는 여러 종류의 금속판이 프레스성형 등의 제조공정을 통해 제작된 다음 각각의 성형품들이 용접 등의 접합공정이나, 기타 여러 종류의 적절한 조립공정을 거쳐 제작되도록 되어 있는 바, 그 중에서 승객의 승/하차시 차체로부터 개폐되는 도어(10)의 도어프레임(11)은 도 1에 도시된 A-A선 단면을 도시하고 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도 2에 도시된 도어프레임(11)은 롤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도어(10)를 프레임타입 도어라고 지칭하는 바, 상기 도어(10)의 도어프레임(11)은 외측에 차체의 루프패널(12)과의 기밀유지를 위한 도어측 사이드웨더스트립(13)을 장착하고 있고, 내측에는 글래스(14)의 완전승강시 이의 내/외측면에서 접촉되어 역시 기밀을 유지시키기 위한 글래스런(15)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10)의 도어프레임(11)의 내측으로 길게 연장된 루프패널(12)의 선단에는 도어프레임(11)과의 기밀을 위한 차체측 사이드웨더스트립(16)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프레임(21)이 아우터패널(21a)과 인너패널(21b)이 각각 접합되어 프레스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패널타입 도어도 있는 바, 이 패널타입의 도어프레임(21)은 아우터패널(21a)에 접합된 인너패널(21b)의 일측으로 루프패널(22)과의 기밀유지를 위해 도어측 사이드웨더스트립(23)을 장착하기 위한 마운팅채널(21c)이 접합되고, 타측에는 글래스(24)의 완전승강시 이의 내/외측면에서 접촉되어 역시 기밀을 유지시키기 위한 글래스런(25)이 장착되어 있으며,상기 도어프레임(21)의 내측으로 길게 연장된 루프패널(22)의 선단에는 도어프레임(21)과의 기밀을 위한 차체측 사이드웨더스트립(26)이 장착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프레임타입 도어와 패널타입 도어에서는 도어프레임(11)의 외측부위와 도어프레임(21)의 아우터패널(21a)이 각각 외부로 노출되어 시각적 내지 감성적 측면에서의 품질을 저하시키게 되므로, 이를 보완하게 위해 이 노출된 부위에 도색이나 테이프를 부착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도어프레임(11,21)상에 도어측 내지 차체측의 사이드웨더스트립(13,16,23,26)을 각각 따로 부착해야 하므로 조립공정이 과다하게 소요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도어프레임의 외측부위를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관미를 향상시킴과 더불어, 도어프레임의 양측부위로 장착되는 차체측과 도어측의 사이드웨더스트립을 일체화시켜 조립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도어프레임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어프레임상에 차체의 루프패널과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도어측 사이드웨더스트립과, 글래스의 완전승강시 글래스의 내/외측면에서 각각 접촉되어 기밀을 유지시키는 글래스런 및, 상기 도어프레임의 외측으로 장착되어 외측면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은폐시키는 커버러버가 일체로 성형되어 이루어진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으로, 종래 도어프레임의 단면을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종래의 또 다른 형태의 도어프레임의 단면을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프레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1-도어프레임 32-루프패널
33-도어측 사이드웨더스트립 34-글래스
35-글래스런 36-커버러버
37-차체측 사이드웨더스트립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글래스런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프레임(31)상의 상측에 차체의 루프패널(32)과의 기밀유지를 위한 도어측 사이드웨더스트립(33)과, 상기 도어프레임(31)의 하측에 글래스(34)의 완전승강시 이의 내/외측면에서 접촉되어 역시 기밀을 유지시키기 위한 글래스런(35) 및, 상기 도어프레임(31)의 외측으로 장착되어 외측면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은폐시키기 위한 커버러버(36)가 일체로 성형되어 이루어지는 바, 이를 위해 상기 도어프레임(31)의 외측 선단부는 커버러버(36)를 고정시켜 이를 지지하기 위해 외측으로 절곡된 플랜지부(31a)를 갖추고 있고, 상기 도어프레임(31)의 내측으로 길게 연장된 루프패널(32)의 선단에는 도어프레임(31)과의 기밀을 위한 차체측 사이드웨더스트립(37)이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글래스런(35)의 일측에는 도어프레임(31)의 하측 선단에 끼워져 고정되는 다수개의 돌기부(35a)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글래스런(35)의 타측에는 글래스(34)의 완전승강시 내/외주면으로 접촉되는 다수개의 돌기부(35b)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프레임(31)에 장착되는 도어측 사이드웨더스트립(33)과 글래스런(35) 및 커버러버(36)가 일체로 성형됨으로써, 이를 도어프레임(31)상에 조립할 때 한번의 조립공정으로 장착이 완료될 수 있어 작업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도어프레임(31)상에 일체로 된 도어측사이드웨더스트립(33)과 글래스런(35) 및 커버러버(36)를 단시간내에 장착하게 되면, 조립생산성도 향상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프레임(31)의 플랜지부(31a)가 이에 결합되는 커버러버(36)를 매개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므로, 시각적 내지 감성적 측면에서의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종래와 같이 노출된 부위에 대한 도색이나 테이프부착과 같은 번거러움을 해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프레임구조에 의하면, 상기 도어프레임의 외측부위에 일체로 성형된 도어측 사이드웨더스트립과 글래스런 및 커버러버를 한번의 조립공정을 통해 장착시킬 수 있게 되어 조립생산성이 증진됨은 물론 도어프레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2)

  1. 도어프레임(31)상에 차체의 루프패널(32)과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도어측 사이드웨더스트립(33)과, 글래스(34)의 완전승강시 글래스(34)의 내/외측면에서 각각 접촉되어 기밀을 유지시키는 글래스런(35) 및, 상기 도어프레임(31)의 외측으로 장착되어 외측면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은폐시키는 커버러버(36)가 일체로 성형되어 장착되는 자동차의 도어프레임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런(35)은 일측에 도어프레임(31)의 하측 선단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부(35a)와, 타측에 글래스(34)의 내/외주면과 접촉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부(35b)를 일체로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프레임구조.
KR2019990009464U 1999-05-31 1999-05-31 자동차의 도어프레임구조 KR2002310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464U KR200231002Y1 (ko) 1999-05-31 1999-05-31 자동차의 도어프레임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464U KR200231002Y1 (ko) 1999-05-31 1999-05-31 자동차의 도어프레임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580U KR20000021580U (ko) 2000-12-26
KR200231002Y1 true KR200231002Y1 (ko) 2001-07-19

Family

ID=54763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9464U KR200231002Y1 (ko) 1999-05-31 1999-05-31 자동차의 도어프레임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100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580U (ko) 2000-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4349B2 (en) Sealing structure for automobile door
JP2002019472A (ja) 自動車の可動窓ガラス及びこれに隣接する固定窓ガラスのシール構造
KR200231002Y1 (ko) 자동차의 도어프레임구조
JPH02227322A (ja) 自動車用ドアウエザーストリップ
JPH065958Y2 (ja) 車輌用ウィンドウ構造
JPH02171326A (ja) 自動車用ドアウエザーストリップ
CN217892486U (zh) 侧滑门密封结构及车辆
JPH0517292Y2 (ko)
JPH058176Y2 (ko)
KR100342617B1 (ko) 인너 웨더스트립과 도어 트림 결합 구조
JP3041319B2 (ja) 自動車用ウインドモールディング
KR0128321Y1 (ko) 자동차용 도어의 웨더스트립 장착구조
JPH0219289Y2 (ko)
JPH0143292Y2 (ko)
JPS6116146A (ja) 自動車のドア開口周縁部におけるリテ−ナ構造
KR100191669B1 (ko) 자동차 루프사이드 브라이트몰딩의 취부구조
JPH04191124A (ja) 自動車のバックドア構造
JP3676598B2 (ja) サッシュドアのシール取付構造
KR100428041B1 (ko) 자동차 도어의 도어섀시
JPH0650636Y2 (ja) 車両用窓枠装置
JP2000190787A (ja) 自動車におけるフロントドアの開口縁構造
JPS623297Y2 (ko)
JPS6343821A (ja) 自動車用ウインドガラスのグラスラン
JPH0340669Y2 (ko)
JPH079713Y2 (ja) 自動車用ウエザスト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