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9642Y1 - 디지털중계선보드의클럭위상동기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중계선보드의클럭위상동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9642Y1
KR200229642Y1 KR2019970043928U KR19970043928U KR200229642Y1 KR 200229642 Y1 KR200229642 Y1 KR 200229642Y1 KR 2019970043928 U KR2019970043928 U KR 2019970043928U KR 19970043928 U KR19970043928 U KR 19970043928U KR 200229642 Y1 KR200229642 Y1 KR 2002296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link
board
st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39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1219U (ko
Inventor
한성용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20199700439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9642Y1/ko
Publication of KR199900312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12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6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6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2Speed or phase control by the received code signals, the signals containing no special synchronisation information
    • H04L7/033Speed or phase control by the received code signals, the signals containing no special synchronisation information using the transitions of the received signal to control the phase of the synchronising-signal-generating means, e.g. using a phase-locked lo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Use Of Switch Circuits For Exchanges And Methods Of Control Of Multiplex Exchang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수개의 디지털 중계선으로 연결되어 통신이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음성사서함 시스템 내의 대국교환기 클럭 추출 제1순위의 디지털 중계선이 절단되거나 다른 원인에 의해 동기를 이룰 수 없을 때 차순위의 클럭추출 디지털 중계선 보드를 찾아 대국교환기로부터 클럭을 추출하여 공중망과 클럭위상동기를 맞출 수 있도록 고안된 음성사서함의 디지털 중계선 보드 클럭위상 동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링크별로 링크접속 및 대국클럭을 추출하기 위한 링크접속부와, 링크연결 및 대국클럭 추출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대국클럭 추출 확인부와, 다수개의 링크로부터 추출된 대국클럭들 중에서 우선순위의 대국클럭을 선택하기 위한 클럭마스터 선택부와, 각 링크가 대국교환기와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중계선 연결확인부와, 여러 장의 디지털 중계선 보드가 실장된 경우 보드마스터를 결정하기 위한 보드마스터 선택부와, 대국클럭을 시스템의 위상동기루프회로에 전달하기 위한 대국클럭 송신부, 및 시스템의 클럭원 보드에 대국클럭이 제대로 전송되는지를 감시하기 위한 감시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중계선 보드의 클럭 위상동기장치
본 고안은 디지털 중계선 보드 클럭 위상동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개의 디지털 중계선으로 연결되어 통신이 이루어지는 상황에선 음성사서함 시스템내의 대국교환기 클럭추출 제1순위의 디지털 중계선이 절단되거나 다른 원인에 의해 동기를 이룰수 없을 때 차순위의 클럭추출 디지털 중계선 모드를 찾아 대국교환기로부터 클럭을 추출하여 공중망과 클럭위상동기를 맞출 수 있도록 고안된 음성사서함의 디지털 중계선 보드 클럭위상 동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중망의 대국교환기와 음성사서함 시스템 간에 디지털 중계선을 통한 연결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제1도 및 종래의 음성사서함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인 제2도를 참조하여 보면, 공중망의 대국교환기(10)와 음성사서함 시스템(100) 간에 디지털중계선(링크 A, 링크 B, 링크 a, 링크 b)을 통한 연결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제1도에서 보듯이, 일반적으로 디지털 중계선 보드 1장당 2개의 링크를 대국교환기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총 2장의 디지털 트렁크 보드를 실장하여 4개의 링크로 대국교환기와 연결된다.
종래의 음성사서함 시스템은 제2도에서 보듯이, 대국교환기(10)와의 연결이 양호한 링크에 연결된 디지털 중계선 보드(110)의 링크접속부(111, 112)에서 대국의 피씨엠(PCM) 데이터열로부터 8KHz의 기준클럭을 추출하여 2개의 기준클럭을 위상동기루프회로로 보내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디지털 중계선 보드(110)의 링크접속부에서는 대국의 피씨엠 데이터열로부터 기준클럭을 추출하여 오픈 콜렉터 드라이버(113, 114)를 각각 거쳐서 위상동기루프회로(130)로 입력되는데, 이때 2개 이상의 링크가 대국교환기(10)와 연결되어 있으면 위상동기루프회로(130)에 기준클럭이 2개가 입력되게 된다.
위상동기루프회로(130)에서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31, 132)가 동작하여 8KHz 기준클럭의 유무를 확인하게 되는데, 기준클럭이 있으면 출력()이 로우상테가 되고, 기준클럭이 없으면 출력이 하이상태가 된다.
2개의 링크상태가 양호하여 기준클럭이 정상적으로 추출되면 앤드 게이트의 출력이 로우상태가 되어 링크 A 및 링크 a에서 추출된 8KHz 기준클럭이 피엘엘(PLL) 회로로 입력된다. 링크 B나 링크 b가 끊어지거나 링크접속부의 기능이 비정상 상태가 되어 불량하게 되고, 링크 A나 링크 a의 상태가 양호하면 선택기의가 선택되어 링크 A나 링크 a의 기준클럭이 피엘엘 회로로 입력된다.
링크 A나 링크 a의 상태가 불량하고, 링크 B나 링크 b의 상태가 양호하면 선택기의 B가 선택되어 링크 B나 링크 b의 기준클럭이 피엘엘 회로로 입력된다.
상기한 바의 종래 음성사서함 시스템에서는 링크의 상태에 따라 하드웨어적으로 절체되므로, 시스템 제어입장에서 보면 링크의 양호유무 및 기준클럭의 정상적인 추출여부를 확인할 수 없고, 링크 A 및 링크 a, 링크 B 및 링크 b가 모두 불량할 경우에는 기준클럭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선택기에서 B를 선택하게 되는 모순이 발생한다. 결국, 위상동기루프회로의 오동작을 야기시켜 대국교환기와의 클럭위상동기를 이룰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단지, 이러한 종래기술은 하나의 링크만 연결되어 있거나, 두 개의 링크 모두가 양호한 상태이면 그런대로 사용할 정도가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착안한 것으로써, 다수개의 디지털 중계선으로 연결되어 통신이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음성사서함 시스템 내의 대국교환기 클럭 추출 제1순위의 디지털 중계선이 절단되거나 다른 원인에 의해 동기를 이룰 수 없을 때 차순위의 클럭추출 디지털 중계선 보드를 찾아 대국교환기로 부터 클럭을 추출하여 공중망과 클럭위상동기를 맞출 수 있도록 고안된 음성사서함의 디지털 중계선 보드 클럭위상 동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공중망의 대국교환기와 음성사서함 시스템간에 디지털 중계선을 통한 연결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제2도는 종래의 음성사서함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공중망의 대국교환기와 음성사서함 시스템 간에 디지털 중계선을 통한 연결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사서함 시스템의 디지털 중계선 보드의 블록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 대국교환기 100, 200 : 음성사서함 시스템
110, 120, 210, 220 : 디지털 중계선 보드 130, 230 : 위상동기루프회로
111, 11, 121, 122, 30, 31, 32, 33, 34 : 링크접속부
113, 114, 123, 124 : 오픈 콜렉터 드라이버
131, 132, 41, 42, 43, 44, 91 :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45, 46, 47, 48 : 오아게이트 40 : 대국클럭추출 확인부
133 : 선택부 50 : 클럭마스터 선택부
60 : 중계선 연결확인부 70 : 보드마스터 선택부
80 : 대국클럭 송신부 90 : 감시부
93 : 발광다이오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디지털 중계선 클럭 위상동기장치는, 복수개의 디지털 중계선의 각 링크에 접속되어 대국교환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서 데이터와 대국클럭을 각각 추출하는 링크접속부와; 상기 링크접속부에서 분리된 데이터와 대국클럭을 수신하여 대국의 데이터 전송유무와 대국클럭의 정상추출여부를 확인하는 대국클럭 추출확인부와; 다수개의 링크로부터 추출된 대국클럭들 중에서 우선순위의 대국클럭을 선택하기 위한 클럭마스터 선택부와; 상기 대국클럭 추출확인부의 데이터 및 대국클럭 추출여부에 대한 신호에 따라 대국교환기와 각 링크간의 접속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각 링크의 접속여부에 대한 정보를 보드 마스터 선택부로 출력하는 중계선 연결확인부와; 여러 장의 디지털 중계선 보드가 실장된 경우 상기 중계선 연결확인부에서 출력되는 링크접속 여부에 대한 정보에 따라 정상동작하는 중계선 보드를 보드마스터로 결정하기 위한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보드마스터 선택부와; 상기 보드마스터 선택부의 선택신호에 따라 대국클럭을 시스템의 위상동기루프회로에 전달하는 대국클럭 송신부와; 시스템의 클럭원 보드에 대국클럭이 제대로 전송되는지를 감시하기 위한 감시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공중망의 대국교환기와 음성사서함 시스템 간에 디지털 중계선을 통한 연결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사서함 시스템의 디지털 중계선 보드의 블록구성도이다.
본 고안은 음성사서함이 공중망의 대국교환기와 다수개의 디지털 중계선을 통하여 통신서비스를 할 때, 두 시스템 간의 클럭위상동기를 정확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시스템에서는 2장의 디지털 중계선 보드가 실장되고, 각각의 보드에서 4개의 디지털 중계선(또는, 링크)이 대국교환기와 연결되어 통신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할 경우의 시스템의 중계선 보드 내부에 구현한 일예를 보여주고 있다.
음성사서함 시스템(200)과 공중망의 대국교환기(20) 사이에 다수개의 디지털중계선(링크)이 연결되어 있을 때, 복수개의 디지털 중계선의 각 링크에 접속되어 대국교환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서 데이터와 8Khz의 대국클럭을 각각 추출하는 링크접속부(30)와; 상기 링크접속부(30)에서 분리된 데이터와 대국클럭을 수신하여 대국의 데이터 전송유무와 대국클럭의 정상추출여부를 확인하는 대국클럭 추출확인부(40)와; 다수개의 링크로부터 추출된 대국클럭들 중에서 우선순위의 대국클럭을 선택하기 위한 클럭마스터 선택부(50)와; 상기 대국클럭 추출확인부(40)의 데이터 및 대국클럭 추출여부에 따라 대국교환기와 각 링크간의 접속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각 링크의 접속여부에 대한 정보를 보드 마스터 선택부(70)로 출력하는 중계선 연결확인부(60)와; 여러 장의 디지털 중계선 보드가 실장된 경우 상기 중계선 연결확인부(60)에서 출력되는 링크접속 여부에 대한 정보에 따라 정상동작하는 중계선 보드를 보드마스터로 결정하기 위한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보드마스터 선택부(70)와; 상기 보드마스터 선택부(70)의 선택신호에 따라 대국클럭을 시스템의 위상동기루프회로에 전달하는 대국클럭 송신부(80)와; 시스템의 클럭원 보드에 대국클럭이 제대로 전송되는지를 감시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감시부(90)로 구성된다.
상기 링크접속부(30)는 링크 A, B, C 및 D에 각각 연결되는 4개의 접속부(31, 32, 33, 34)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대국클럭 추출확인부(40)는 링크접속부(30)의 4개 접속부(31, 32, 33, 34)의 출력을 각각의 입력으로 하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41, 42, 43, 44)와 상기 링크접속부의 4개 접속부(31, 32, 33, 34)와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41, 42, 43, 44)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는 오아게이트(45, 46, 47, 48)로 구성된다. 또, 상기 보드마스터 선택부(70)는 대국클럭출력 인에이블 플래그를 클럭신호로 하고 데이터 버스 0을 입력으로 하는 지연소자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감시부(90)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91)와 감시상태를 표시하는 발광다이오드(93)와, 대국클럭 전송확인 플래그로 제어되는 버퍼(92)를 구비하여 데이터 버스 0을 출력하게 되고, 상기 대국클럭 송신부(80)는 오아게이트로 구성되어서 클럭위상 동기루프회로로 대국클럭을 전송한다.
본 고안은 음성사서함 시스템이 공중망의 대국교환기와 다수개의 디지털 중계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링크들의 연결상태를 판단하여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링크에서 추출된 대국클럭을 음성사서함 시스템의 위상동기루프회로로 보내어 대국교환기의 클럭과 위상동기를 맞추어 통신하기 위한 장치로씨, 대국클럭을 추출하고 있는 링크연결이 비정상적인 상태로 되는 경우, 다음 순위의 정상적인 링크로부터 대국클럭을 추출하여 대국교환기와의 클럭위상 동기상태를 유지한다.
링크가 대국교환기와 정상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면 링크접속부(30)에서는 대국교환기(20)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프레임으로부터 8KHz의 대국클럭과 데이터를 분리, 추출하여 해당 버퍼 및 메모리로 보내게 되는데, 이때 대국교환기(20)와의 클럭위상동기를 위하여 대국클럭 및 데이터를 대국클럭 추출확인부(40)로 보낸다.
상기 링크접속부(30)에서 추출된 대국클럭과 데이터가 수신되면, 대국클럭 추출확인부(40)의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가 동작하여 대국데이터의 존재유무를 확인한다. 이때, 확인하는 방법은 저항과 캐패시터로 결정되는 시정수 시간 이내에 입력데이터가 존재하면 출력이 하이상태를 유지하여 대국클럭이 정상적으로 추출되었음을 확인한다. 이때, 인버스(inverse) 출력은 로우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동작과는 반대로 저항과 캐패시터로 결정되는 시정수 시간이 지나도록 입력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출력과 인버스출력()은 각각 로우상태와 하이상태를 나타내어 대국과의 링크연결상태가 비정상이며, 또한 대국클럭도 정상적으로 추출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여 준다.
대국클럭 추출확인부(40)의 오아(OR) 게이트가 인에이블 상태가 되면, 다수개의 링크에서 추출되어 클럭마스터 선택부(50)로 입력된 대국클럭들의 선택이 이루어진다. 즉, 4개 접속부의 인버스 출력이 모두 로우상태이면, 제1 대국클럭이 클럭마스터 선택부(50)의 출력이 된다. 그리고 링크 A의 인버스 출력이 하이상태이고, 링크 B와 링크 C 및 링크 D의 인버스 출력이 로우상태를 유지하면 제2 대국클럭이 클럭마스터 선택부(50)의 출력이 된다.
같은 방법으로, 링크 A와 링크 B의 인버스 출력이 모두 하이상태이고, 링크 C와 링크 D의 인버스 출력이 로우상태를 유지하면 제3 대국클럭이 클럭마스터 선택부(50)의 출력이 된다. 또, 링크 A와 링크 B와 링크 C의 각 인버스 출력()이 모두 하이상태이고, 링크 D의 인버스 출력()이 로우상태를 유지하면 제4 대국클럭이 클럭마스터 선택부(50)의 출력이 된다.
즉, 대국클럭 확인부(40)의 인버스 출력을 클럭마스터 선택부의 선택신호로 사용하여 음성사서함 시스템(200)과 대국교환기(20)간의 디지털 중계선 가운데 정상적인 연결상태를 보이는 링크를 선택하고, 그 링크로부터 추출된 대국클럭을 오아게이트로 구성된 대국클럭 송신부(80)로 전송한다. 이러한 동작으로 대국클럭의 선택이 이루어지게 되고, 대국클럭 송신부(80)가 상기 선택된 대국클럭을 클럭위상 동기루프 회로로 전송함으로써 시스템 클럭과 대국클럭간의 위상이 동기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대국클럭 추출확인부(40)의 인버스 출력들은 중계선 연결확인부(60)에 의해 검출된다. 이때 중계선 연결확인부(60)에 의해 검출되는 인버스출력()들은 대국교환기와 각 링크접속부(31, 32, 33, 34)간의 접속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즉, 인버스 출력이 로우상태이면 해당 링크를 통한 데이터 교환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 것이며, 중계선 연결확인부(60)는 이와 같이 각 링크에 연결된 대국클럭 추출확인부(41, 42, 43, 44)의 인버스출력()을 입력받아 중계선 연결확인 플러그로 읽어 각 링크의 연결상태 정보를 데이터 버스를 통해 전송하게 된다.
이때 중계선 연결확인부(60)에서 링크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동작은 각 대국클럭 확인부(41, 42, 43, 44)의 인버스출력()을 중계선 상태확인 플래그로 읽어 데이터 버스를 통해 전송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래서 데이터 버스를 통해 전송되는 각 링크별 링크상태 정보는 링크 A, ..., 링크 D에 각각 대응하여 D0, ..., D3으로써 출력된다. 이러한 링크상태 정보는 보드 마스터 선택부(70)로 전송되어 대국클럭 출력 인에이블 플래그의 데이터 버스를 세트시킬 것인지 여부가 결정된다.
상기에서 각 인버스출력이 전부 하이상태이면, 해당 보드의 링크 전부에 있어서 대국교환기와의 연결 및 대국클럭 추출상태가 비정상임을 나타내는 링크상태 정보가 보드 마스터 선택부(70)로 전송되어 대국클럭 출력 인에이블 플래그의 데이터 버스를 세트시킴으로써 대국클럭 송신부(80)의 대국클럭 전송동작을 디스에이블 상태로 만든다. 이로써 비정상 동작하는 대국클럭이 클럭위상 동기루프회로로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여 자국시스템과 대국시스템간의 동기 신뢰성을 재고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중계선 상태확인 플래그를 통하여 읽은 데이터값 중에서 어느 한 비트라도 로우상태가 읽혀지면 보드마스터 선택부(70)의 대국클럭 출력 인에이블 플러그의 데이터 버스를 리세트하게 되며, 대국클럭 송신부(80)를 인에이블 상태로 만들게 되고 클럭마스터 선택부(50)의 출력이 대국클럭 송신부(80)를 거쳐서 음성사서함 시스템의 클럭 위상동기 루프회로로 입력될 수 있게 한다.
즉, 대국클럭 추출확인부(40)의 인버스 출력들의 값으로 링크상태를 확인하여 정상적인 연결상태를 보이는 중계선이 있으면 대국클럭을 음성사서함 시스템의 클럭위상동기루프회로로 전송하는 보드마스터로 되고, 정상적인 연결 및 클럭추출이 없으면 보드마스터를 다른 디지털 중계선 보드에 넘기게 된다.
대국클럭 송신부(70)를 거쳐서 음성사서함 시스템의 클럭위상동기루프회로로 전송되는 대국클럭의 상태를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으로 검사하기 위한 감시부(90)가 부가되어 있다. 대국클럭이 전송상태에 있으면 감시부(90)의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91)의 출력이 하이상태가 되어 대국클럭 전송확인 플래그의 데이터값을 읽어서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으로 감시가 이루어진다.
또한, 인버스 출력을 발광다이오드(93)에 연결하여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91)의 인버스출력이 로우상태이면 발광다이오드가 ON 상태가 되고, 상기 인버스출력이 하이상태이면 발광다이오드(93)가 OFF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발광다이오드(93)의 ON/OFF 전환동작에 의해 대국클럭의 전송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 및 감시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의 본 고안에 따르면, 음성사서함 시스템과 공중망 내의 대국교환기 사이에 다수개의 디지털 중계선이 연결되어 있을 때, 대국클럭을 추출하는 링크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클럭의 위상동기를 시스템에서 자동적으로 연결상태가 양호한 정상적인 링크를 찾아 대국클럭을 추출하여 음성사서함 시스템의 클럭위상 동기루프회로에 전달될수 있게 함으로씨, 디지털 중계선을 통한 음성사서함 시스템과 대국교환기 간의 통신 신뢰성을 재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복수개의 디지털 중계선의 각 링크에 접속되어 대국교환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서 데이터와 대국클럭을 각각 추출하는 링크접속부와; 상기 링크접속부에서 분리된 데이터와 대국클럭을 수신하여 대국의 데이터 전송유무와 대국클럭의 정상추출여부를 확인하는 대국클럭 추출확인부와; 다수개의 링크로부터 추출된 대국클럭들 중에서 우선순위의 대국클럭을 선택하기 위한 클럭마스터 선택부와; 상기 대국클럭 추출확인부의 데이터 및 대국클럭 추출여부에 대한 신호에 따라 대국교환기와 각 링크간의 접속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각 링크의 접속여부에 대한 정보를 보드 마스터 선택부로 출력하는 중계선 연결확인부와; 상기 중계선 연결확인부에서 출력되는 링크접속 여부에 대한 정보에 따라 정상동작하는 중계선 보드를 보드마스터로 결정하기 위한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보드마스터 선택부와; 상기 보드마스터 선택부의 선택신호에 따라 대국클럭을 시스템의 위상동기루프회로에 전달하는 대국클럭 송신부와; 시스템의 클럭원 보드에 대국클럭이 제대로 전송되는지를 감시하기 위한 감시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중계선 보드와 클럭 위상동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국클럭 추출확인부는, 상기 링크접속부의 각 접속부 출력을 각각의 입력으로 하는 다수의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와; 상기 링크접속부의 각 접속부와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의 출력을 각각의 입력으로 하는 다수의 오아게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중계선 보드의 클럭 위상동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마스터 선택부는, 대국클럭 출력 인에이블 플래그를 클럭신호로 하고 데이터 버스 0을 입력으로 하는 지연소자를 구비하여, 상기 대국클럭출력 인에이블 플래그의 데이터 버스가 하이상태일 때와 로우상태일 때 각각 세트신호와 리세트신호를 선택신호로써 상기 대국클럭 송신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중계선 보드의 클럭 위상동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부는, 대국클럭이 클럭위상동기루프회로로 전송되는 경우에는 하이상태가 되어 대국클럭 전송확인 플래그의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와; 상기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의 인버스출력에 따라 동작하여 대국클럭의 전송여부를 표시하는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중계선 보드의 클럭 위상동기장치.
KR2019970043928U 1997-12-30 1997-12-30 디지털중계선보드의클럭위상동기장치 KR2002296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3928U KR200229642Y1 (ko) 1997-12-30 1997-12-30 디지털중계선보드의클럭위상동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3928U KR200229642Y1 (ko) 1997-12-30 1997-12-30 디지털중계선보드의클럭위상동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219U KR19990031219U (ko) 1999-07-26
KR200229642Y1 true KR200229642Y1 (ko) 2001-09-17

Family

ID=53897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3928U KR200229642Y1 (ko) 1997-12-30 1997-12-30 디지털중계선보드의클럭위상동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64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132B1 (ko) * 1999-11-29 2003-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계 시스템의 링크추출클럭 선택장치
KR100757876B1 (ko) * 2006-01-11 2007-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국선 신호를 이용한 동기화시스템 및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219U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89662A (en) Transmission network having electronically switchable nodes for switching signal paths and a method of controlling said network
EP0321907B1 (en) Duplex system of transmission lines in a loop network
US4538026A (en) Loop back system for loop transmission line
US5070497A (en) Transmission network with switchable network nodes
KR200229642Y1 (ko) 디지털중계선보드의클럭위상동기장치
US6590864B1 (en) Protection switching using standby system for transmission of line status signals
US7660237B2 (en) Synchronous clock supply system and synchronous clock supply method
JP2001230747A (ja) 電気通信システム
JP3952387B2 (ja) ネットワーク処理装置及び設定方法
JP2679506B2 (ja) クロック切替方式
JP2664925B2 (ja) 回線切替方式
JPH1188391A (ja) 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
JPS6398244A (ja) ル−プ状ネツトワ−クシステムの伝送装置
JPH01126052A (ja) 端末装置の電源オン・オフ検出方式
JP2679675B2 (ja) ループ型伝送路における端末装置誤動作防止回路
JPS59183553A (ja) ル−プ伝送方式
JP3070546B2 (ja) 警報転送回路
JPS6225005Y2 (ko)
JPH0398320A (ja) 冗長系を構成する現用、待機パッケージの切替制御方式
JP2601060B2 (ja) リング通信システムの子局クロック選択方式
JPH0612900B2 (ja) デ−タ伝送方式
JPH11205317A (ja) クロック同期多重化装置
JP2000049837A (ja) 複数のステ―ション間のデ―タ転送システム
JPH11313098A (ja) 光lan装置
JPS6390237A (ja) デ−タ転送回線制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