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9212Y1 - 차량 원격 진단 단말기 - Google Patents

차량 원격 진단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9212Y1
KR200229212Y1 KR2020010002113U KR20010002113U KR200229212Y1 KR 200229212 Y1 KR200229212 Y1 KR 200229212Y1 KR 2020010002113 U KR2020010002113 U KR 2020010002113U KR 20010002113 U KR20010002113 U KR 20010002113U KR 200229212 Y1 KR200229212 Y1 KR 2002292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resent
driving distance
communication unit
vehicle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21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헌욱
Original Assignee
정헌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헌욱 filed Critical 정헌욱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2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212Y1/ko

Links

Landscapes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속도 센서를 통해 얻어진 차량 속도 데이터와 전자 제어 시스템을 통해 얻어지고, 적어도 DTC를 포함하는 차량 관리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차량 정비를 하는 차량 원격 진단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은, 차량 속도 데이터와 차량 관리 데이터를 입력받는 차량 통신부; 외부 입력을 처리할 수 있는 입력부; 차량 통신부로부터 전송되는 차량 속도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시간 단위별 주행 거리 및 총 주행 거리를 산출하고, 총 주행 거리를 이용하여 차량 소모품의 교체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 통신부로부터 입력되는 차량 관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총 주행 거리와 상기 차량 관리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되는 차량의 고장이나 차량 소모품의 교체 시기를 표시하는 출력부; 및 각 기능 소자에 전력 공급을 해주는 Power Control을 포함한다.
본 고안은 차량의 정확한 주행 거리를 파악하여 운전자에게 차량 소모품의 정확한 교체 시기를 제공하고, 엔진 제어 장치를 통해 얻어진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차량 상태를 파악함으로써 차량의 효율적인 관리를 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원격 진단 단말기{TERMINAL OF REMOTELY DIAGNOSING AUTOMOBILE}
본 고안은 차량 원격 진단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차속 센서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엔진 제어 장치에서 계산하여 얻어진 차속 데이터를 통해 해당 차량의 주행 거리를 계산하고, 이를 기준으로 엔진 오일 등 차량 소모품의 교체 시기를 운전자에게 제공하고, 또한 DLC를 통해 입력되는 차량의 상태 정보를 통해 해당 차량의 고장 여부 및 그 해결 방법을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차량 원격 진단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 오일 등 차량 소모품은 차량의 주행 거리에 따른 교체 주기가 있어, 운전자는 차계부를 이용하여 교체하거나 정비 시점마다 정비 내역을 메모하여 이를 토대로 해당 소모품의 교체 시기를 계산하여 교체하게 된다. 또한 차량 정비의 경우에도 위와 같은 방법에 의해서 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정비업소를 방문하여 고장 부분을 발견하고 정비를 한다.
그러나 이처럼 평상시에 차계부를 정확히 작성하고 이를 수시로 확인하는 일은 매우 번거로울 뿐 아니라, 예상치 못한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곤란을 겪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량의 고장 유무나 소모품 교체 시기를 제공하는 발명들이 대두되고 있다. 그 실례로서 대한민국 특허 공개 번호 제 2000-0000230호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 자료는 차량의 고장 유무를 알 수 없고, 교체 시기를 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정보인 주행 거리를 산출하는데 있어 차량 계기판의 주행 거리를 기준으로 고객이 직접 키패드를 이용아여 입력해야 하는 등 정확성에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시된 방법으로서, 차량 원격 진단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원격 진단 단말기는, 차량 속도 센서를 통해 얻어진 차량 속도 데이터와 전자 제어 시스템(ECS: Electronic Control System)을 통해 얻어지고, 적어도 DTC(Dignostic Troble Code)를 포함하는 차량 관리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차량 정비를 하는 차량 원격 진단 단말기로서,
차량 속도 데이터와 차량 관리 데이터를 입력받는 차량 통신부;
외부 입력을 처리할 수 있는 입력부;
상기 차량 통신부로부터 전송되는 차량 속도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시간 단위별 주행 거리 및 상기 주행 거리가 누적된 총 주행 거리를 산출하고, 총 주행 거리를 이용하여 차량 소모품의 교체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 통신부로부터 입력되는 차량 관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총 주행 거리와 차량 관리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되는 차량의 고장이나 차량 소모품의 교체 시기를 표시하는 출력부; 및
각 기능 소자에 전력 공급을 해주는 Power Contro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장점, 특징 및 바람직한 실시례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원격 진단 단말기가 포함된 차량 원격 진단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원격 진단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관리 과정의 흐름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속 센서를 통해 얻어진 차량 속도 데이터에 의해 총 주행 거리를 구하는 과정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차속 센서 20 : ECS(전자 제어 시스템)
21 : ECU(엔진 제어 장치) 22 : TCU(자동 변속 장치)
23 : ABS(전자 제동 장치) 24 : ECS(전자 현가 장치)
25 : TCS(구동력 제어 장치) 26 : A/B(에어백 제어 장치)
30 : DLC(Data Link Connector) 40 : 단말기
41 : 차량 통신부 42 : PC 통신부
43 : Micro Processor 44 : Memory
45 : 출력부 46 : Power Control
50 : 클라이언트 60 : 정비 관리 서버
61 : 고장 정보 데이터베이스 62 : 정비 이력 관리 데이터베이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원격 진단 단말기가 포함된 차량 원격 진단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원격 진단 단말기가 포함된 차량 원격 진단 시스템은, 차속 센서(10); 엔진을 제어하는 엔진 제어 장치(21), 자동 변속기를 제어하는 자동 변속 장치(22), ABS를 제어하는 전자 제동 장치(23), 차량을 진동으로 제어하는 전자 현가 장치(24), 바퀴의 슬립을 제어하는 구동력 제어 장치(25), 에어백을 제어하는 에어백 제어 장치(26) 등을 포함하는 ECS, 즉 전자 제어 시스템(20); 전자 제어 시스템(20)을 통해 얻어지는 차량 정보를 전달하는 DLC(Data Link Connector)(30); DLC(30)를 통해 차량 정보가 입력되는 차량 통신부(41), 클라이언트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부분인 PC 통신부(42), 차량의 주행 거리를 산출하고, 차량의 고장 여부 및 차량 소모품의 교체 여부를 판단하는 Micro Processor(43), Memory(44), 출력부(45), Power Control(46)을 포함하는 단말기(40); 클라이언트(50); 및 클라이언트(50)에게 웹 서비스를 제공하고,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통해 차량의 상태를 상세히 점검하고, 고장 정보 데이터베이스(61), 정비 이력 관리 데이터베이스(62)를 포함하는 정비 관리 서버(60)를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차속 센서(10)는, 차량 속도 센서로 트랜스 미션에 있는 스피드 미터에 내장되어 있으며, 트랜스 액슬 기어 회전을 펄스 신호로 바꾸어 ECU, 즉 엔진 제어 장치(21)에 입력시킨다. 엔진 제어 장치(21)는 이 신호를 근거로 차량의 속도를 계산하게 된다. 차량에 따라 TCU, 즉 자동 변속 장치(22)에 입력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엔진 제어 장치(21)로 입력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전자 제어 시스템(20)으로는, 엔진 제어 장치(21), 자동 변속 장치(22), 전자 제동 장치(23), 전자 현가 장치(24), 구동력 제어 장치(25), 에어백 제어 장치(26) 등이 있으며, 차량에 관한 정보를 구한다.
본 고안에 따른 DLC(Data Link Connector)(30)는, 전자 제어 시스템(20)으로부터 얻어진 차량 정보를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40)의 차량 통신부(41)로 입력시킨다. 상기의 차량 정보에는 DTC(Diagnostic Troble Code)와 Service Data가 있는데, 이 중 DTC는 Digital Hexa Code로 되어 있으며 차량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만 발생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40)는 차량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DTC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는 Analog 코드와 Digital 코드로 되어있다. 상기의 DTC 및 나머지 데이터들은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40)의 Memory(44)에 저장되고, Client Computer(50)를 통해 정비 관리 서버(60)로 전송되어 차량 상태 파악에 사용된다.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40)는, 차량 통신부(41), PC 통신부(42), Micro Processor(43), Memory(44), Power Control(45)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는 전자 제어 시스템(20)을 통해 얻어진 차속 데이터를 이용해 주행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주행 거리와 클라이언트(50)로부터 전송된 차량 소모품 교체 주기를 비교하므로써 차량 소모품의 교체 시기를 운전자에게 알려준다. 또한 DTC 코드를 통해 차량의 고장 발생시 이를 운전자에게 알려준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 통신부(41)는 DLC(30)를 통해 차량 정보가 입력되는 부분이다. 차량 통신부는 ISO-9141, 9142, OBD-II, KW-2000 등을 지원하며, 차량의 DLC를 통해 DTC 및 Service Data와 차속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이때 수신되는 Data는 Hexa Code 형태로 올라온다.
또한 차량 통신부(41)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는 Memory(44)에 집적되어 사고시에는 전후 3 내지 5분의 데이터를 저장하며, 일반적으로 메모리 용량은 차량에 따라 10 내지 20분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고안에 따른 PC 통신부(42)는 클라이언트(50)와의 데이터를 교환하는 부분으로, RS 232C 또는 USB를 통해 데이터가 전송된다.
본 고안에 따른 시스템 구성은 PC 통신부(42)를 통한 단말기(40)와 클라이언트(50)간 유선으로 데이터 교환을 하는 것으로 되어있으나, 이는 무선으로도 구현 가능하다. 이럴 경우, 단말기(40)의 데이터가 무선으로 정비 관리 서버(60)로 전송되고, 정비 관리 서버(60)에서 처리된 결과를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단말기, 예를 들어 핸드폰, PC, 무선 인터넷 단말기 등을 통해 확인하는 방법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Micro Processor(43)는 전자 제어 시스템(20)을 통해 얻어진차속 데이터를 통해 차량의 주행 거리를 산출하고, 여기서 산출된 차량의 주행 거리에 Memory(44)에 저장된 누적 주행 거리를 가산하여 총 주행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총 주행 거리와 Memory(44)에 저장된 차량 소모품 교체 주기의 비교를 통해 차량 소모품의 교체 여부를 판단하며, DTC를 통해 차량의 고장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의 차속 데이터를 통한 차량의 주행 거리의 산출은, Micro Processor 내의 연산 모듈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하의 방법에 의해 산출된다.
차속 센서(10)는 트랜스 액슬 기어 회전을 펄스 신호로 바꾸어 ECU로 입력시키고, ECU는 이 신호를 근거로 하여 차량의 속도를 계산하는데, 이 데이터가 차속 데이터이다.
이렇게 구해지는 차속 데이터를 일정 시간 단위, 즉 Sampling Time마다 샘플링하는데, 본 고안에서는 Sampling Time을 1초로 잡는다. 이럴 경우, 오차율은 10% 이하로 떨어지고, 또한 별도의 타이머가 필요없게 된다.
이렇게 구해진 Sampling Time 별 차속 데이터에 Sampling Time을 곱하면, Sampling Time 별 주행 거리가 된다. 이 Sampling Time 별 주행 거리를 Memory (44)에 저장된 누적 주행 거리에 누적시키면 총 주행 거리가 된다.
상기의 차량 소모품의 교체 주기는 각 소모품 별로 교체해야할 주행 거리를 의미하며, 그 예는 표 1에 나타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Micro Processor(43)는 본 고안에 따른 PC 통신부(42)를 통해 클라이언트(50)가 입력한 차량의 제한 속도를 상기의 차속 데이터와 비교하여 과속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50)가 차량의 제한 속도를 100 km로 입력하였을 경우, 상기의 차속 데이터와의 비교를 통해 차량 속도가 100 km를 초과하면, 본 고안에 따른 출력부(45)를 통해 경고음 등을 발생시킨다.
본 고안에 따른 Memory(44)는 차량 정보와 Micro Processor(43)에 의해 산출된 총 주행 거리를 저장한다. 좀더 상세히 기술하면, DLC(30)를 통해 차량 통신부(41)로 입력되는 DTC와 Service Data 등 차량 정보, PC 통신부(42)를 통해 입력되는 차량 소모품 교체 주기, Micro Processor(43)를 통해 산출되는 총 주행 거리가 저장된다.
또한 총 주행 거리를 저장함에 있어, 차량 소모품 별로 각각 필드를 두어 저장한다. 이는 차량 소모품의 교체 주기가 서로 상이하기 때문이며, 특정의 차량 소모품을 교체하였을 경우, 해당 차량 소모품의 총 주행 거리를 초기화시킨다.
예를 들어, 차량 소모품 A의 경우 5000 km. B의 경우 4500 km, C의 경우 6000 km 마다 교체을 해주어야 하고, 현재 총 주행 거리가 4300 km라고 가정한다.
해당 차량의 주행 거리는 총 주행 거리에 계속 누적되고, 총 주행 거리가 4500 km가 되는 순간, 단말기는 B의 교체 시기임을 알린다. 이에 따라 차량 소모품 중 B를 교체해 주어야 하고, B를 총 주행 거리 4500 km 시점에서 교체해 주었다면, A, C 필드에는 총 주행 거리가 4500 km로 저장되고, B 필드의 총 주행 거리는 0 km로 초기화시킨다.
이후에 계속 운행하여 200 km가 더 누적되었다면, 총 주행 거리는 A, C 필드에는 4700 km, B 필드에는 200 km로 저장된다.
본 고안에 따른 출력부(45)는, 차량의 고장 발생시 또는 차량 소모품의 교체 시기가 되었을 때 및 과속시에, 이를 나타내는 부분으로, 램프, 경보기, 음성 및 디스플레이 화면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진 오일의 교체 시기가 되었을 경우, 램프의 적색등이 길게 켜지고, 점화 플러그의 교체 시기가 되었을 경우, 램프의 적색등이 짧게 세번씩 켜지는 등으로 표시하게 된다. 또한 엔진 이상이 있을 경우 경보음이 길게 세번, 에어백 이상일 경우 짧게 두번 등으로 표시한다.
또한 음성이나 디스플레이 화면일 경우에는, 해당 출력 내용을 음성이나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출력한다.
본 고안에 따른 Power Control(46)은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40)에 전력을 공급한다.
본 고안에 따른 클라이언트(50)는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40)의 PC 통신부(42)를 통해 차량 소모품의 교체 주기 등, 단말기(40)의 제어를 위해 필요한 초기 Setting Program을 입력시키고, 단말기(40)로부터 주행 거리와 차량 정보 등을 입력받아 인터넷 또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정비 관리 서버(60)로 전송하고, 정비 관리 서버(60)에서 처리된 결과를 제공받는다. 여기의 차량 정보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 제어 시스템(20)에 의해 얻어지고, DLC(30)를 거쳐 차량 통신부(41)를 통해 단말기(40)로 입력된, 차량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의미한다.
본 고안에 따른 클라이언트(50)는, 차량 정보를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40)로부터 정비 관리 서버(60)로 전송하지만, 별도로 저장을 하는 것이 아닌 단지 경로 역할만을 수행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정비 관리 서버(60)는 클라이언트(50)에게 웹 서비스를 제공하고, 클라이언트(50)로부터 차량 정보를 전송받아 차량의 상태를 상세히 점검하고, 이 결과를 클라이언트(50)에게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정비 관리 서버(60)는 클라이언트(50)로부터 전송받은 차량 정보를 통해 차량의 이상 유무 등을 세밀하게 점검한다. 다시 말해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40)에서 점검하지 못하는 부분까지도 점검을 하고, 만약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에 대한 대처 방법도 제공한다.
또한 점검된 사항을 본 고안에 따른 정비 이력 관리 데이터베이스(62)에 저장하고, 클라이언트(50)의 요청이 있을 때마다 데이터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고장 정보 데이터베이스(61)는, 클라이언트(50)로부터 전송받은 차량 정보에 따른 고장 여부의 판단 기준과 고장 유형에 따른 해결 방법 등을 저장한다. 이는 정비 관리 서버(60)가 클라이언트(50)로부터 전송받은 차량 정보를 통해 차량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고장 발생시 해결 방법을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정비 이력 관리 데이터베이스(62)는, 정비 관리 서버(60)에 의해 점검된 차량의 상태에 관한 제반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이 정보는 클라이언트(50) 별로 분류되어 저장되며, 이후 차량의 관리 등을 위해 사용된다. 또한 클라이언트(50)는 언제든지 본 고안에 따른 정비 이력 관리 데이터베이스(62)에 저장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원격 진단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관리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흐름을 가진다.
차속 데이터 및 전자 제어 시스템(20)을 통해 얻은 차량 정보가 DLC(30)를 통해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40)의 차량 통신부(41)로 입력된다.(200 단계)
이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트랜스 미션의 스피드 미터에 내장되어 있는 차량 속도 센서인 차속 센서(10)를 통해, 트랜스 액슬 기어 회전이 펄스 신호로바뀌어 ECU, 즉 엔진 제어 장치(21)로 입력된다. 엔진 제어 장치(21)는 이 신호를 통해 차량의 속도를 계산하게 되는데 이것이 차속 데이터이다.
이렇게 구해진 차속 데이터와 전자 제어 시스템(20), 즉 엔진 제어 장치(21), 자동 변속 장치(22), 전자 제동 장치(23), 전자 현가 장치(24), 구동력 제어 장치 (25), 에어백 제어 장치(26)로부터 전달되는 차량의 정보가 DLC(Data Link Connector)(30)를 통해 전달된다.
이렇게 전달되는 정보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통신부(41)를 퉁해 단말기(40)로 입력된다.
또한 상기의 차량 정보는 DTC와 Service Data로 나눌 수 있는데, DTC는 Digital Hexa Code로, 나머지는 Analog와 Digital Code로 되어 있다. 또한 DTC는 차량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 발생되는 신호로서, DTC 발생시 단말기(40)의 출력부를 통해 운전자에게 Alarm을 주고, 나머지 Service Code 등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클라이언트(50)를 통해 정비 관리 서버(60)로 전송된다.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40)의 Micro Processor(43)는 200 단계에서 입력된 차속 데이터를 통해 주행 거리를 산출한다.(210 단계)
주행 거리를 산출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속 데이터를 Sampling Time 단위로 샘플링하고, 샘플링된 차속 데이터에 Sampling Time을 곱하여 주행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Sampling Time을 1초로 잡음으로써, 오차율을 줄이고 별도의 타이머가 필요없게 된다.
상기에서 산출된 주행 거리를,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40)의 Memory(44)에저장되어 있는 기존의 누적 주행 거리에 가산함으로써 총 주행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산출된 총 주행 거리와 나머지 차량 정보 등을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40)의 Memory(44)에 저장한다. (215 단계)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40)의 Micro Processor(43)는 상기의 차량 정보 중 DTC가 있을 경우, 이것의 분석을 통해 차량의 고장 유무를 판단하고, 출력부(45)를 통해 상태를 표시한다.(220 단계)
상술할 바와 같이 출력부(45)는 램프, 경보기, 음성 및 디스플레이 화면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40)의 Micro Processor(43)는 상기에서 산출된 총 주행 거리와 Memory(44)에 저장된 차량 소모품 교체 주기의 비교를 통해 교체 시기가 되었을 경우, 출력부(45)를 통해 표시한다.(225 단계)
예를 들어, 엔진 오일의 교체 시기일 경우에는 짧은 경보음을 두번씩 울리거나, 적색 램프를 짧게 두번씩 켜는 식으로 표시한다.
또한 출력부가 음성 또는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구성되었을 경우에는, 해당 사항을 음성이나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출력한다.
또한 이를 통해 해당 소모품을 교체하였을 경우, Memory(44)의 총 주행 거리 중 해당 소모품 필드의 데이터를 0으로 초기화시킨다.
본 고안에 따른 클라이언트(50)는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40)의 PC 통신부 (42)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시킨다.(230 단계)
여기의 데이터는, 차량 소모품 교체 주기 등 차량의 관리를 위해 단말기(40)에서 사용될 데이터와 과속 방지를 위한 차량의 제한 속도, 및 DLC(30)를 통해 차량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프로그램 등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클라이언트(50)는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40)의 PC 통신부(42)를 통해 단말기(40)의 Memory(44)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및 기타 차량 정보를 입력 받는다.(235 단계)
본 고안에 따른 클라이언트(50)는 235 단계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본 고안에 따른 정비 관리 서버(60)로 전송한다.(240 단계)
본 고안에 따른 정비 관리 서버(60)는 전송된 데이터를 분석하고(245 단계), 이를 통해 차량의 상태를 점검한다.(250 단계)
이 단계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40)보다 더욱 정밀하게 점검을 한다.
고장 정보 데이터베이스(61)를 참조하여 차량에 이상이 있는지 판단한다. (260 단계)
260 단계의 결과 차량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되면, 고장 내역과 대처 방법을 해당 클라이언트(50)에게 전송한다.(265 단계)
여기서 대처 방법은 고장 정보 데이터베이스(61)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이다.
260 단계의 결과 차량에 이상이 없다고 판단되면, 차량 소모품의 교체 시기가 되었는지를 판단한다.(270 단계)
270 단계의 결과 교체 시기가 된 차량 소모품이 있을 경우, 해당 소모품의 목록을 클라이언트(50)에게 전송한다.(275 단계)
270 단계의 결과 교체할 소모품이 없을 경우, 점검 내역을 클라이언트(50)에게 전송한다.(280 단계)
상기의 각 단계에서 얻어진 정보와 처리 결과를 정비 이력 관리 데이터베이스(62)에 저장한다.(285 단계)
이 정보들은 차후에 차량을 좀더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 사용되며, 클라이언트(50)의 요청이 있으면 언제든지 정보를 제공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속 센서를 통해 얻어진 차량 속도 데이터에 의해 총 주행 거리를 구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해 총 주행 거리를 구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차속 센서(10)는, 트랜스 미션에 있는 스피드 미터에 내장되어 있으며, 트랜스 액슬 기어 회전을 펄스 신호로 바꾼다. 펄스 신호는 ECU, 즉 엔진 제어 장치(21)로 입력되고, ECU(21)는 이 신호를 근거로 하여 차량의 속도를 계산하는데, 이 데이터가 차속 데이터이다. 펄스 신호가 ECU가 아닌 TCU, 즉 자동 변속 장치(22)로 입력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ECU(21)로 입력된다.
이렇게 구해지는 차속 데이터는 DLC(30)를 통해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40)의 차량 통신부(41)로 입력되고, Micro Processor(43)에서 처리된다.
본 고안에 따른 Micro Processor(43)는 일정 시간 단위, 즉 Sampling Time마다 샘플링하는데, 본 고안에서는 Sampling Time을 1초로 잡는다. 이럴 경우, 오차율은 10% 이하로 떨어지고, 또한 별도의 타이머가 필요없게 된다.
이렇게 구해진 Sampling Time 별 차속 데이터에 Sampling Time을 곱하여 주행 거리를 산출한다. 300의 그래프에는 Sampling Time 별 차속 데이터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각각의 막대 그래프가 차속 데이터와 Sampling Time을 곱하여 산출한 각 Sampling Time 별 주행 거리가 된다.
본 고안에 따른 Micro Processor(43)는 Memory(44)에 저장되어 있던 기존의 누적 주행 거리(320)에 계산된 주행거리(310)를 가산하여 총 주행 거리(330)을 산출한다. 이렇게 구해진 총 주행 거리를 Memory(44)에 저장하고,. 다음 Sampling Time 주기에 상기의 총 주행 거리에 주행 거리를 가산하여 새로운 총 주행 거리를 산출한다. 즉, 현재 Sampling Time의 총 주행 거리가 다음 Sampling Time의 누적 주행 거리가 된다.
상기의 방법 외에 총 주행 거리를 구하는 변형례를 들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Micro Processor(43)는 소정의 측정 시간 동안 Sampling Time마다 차속 데이터를 샘플링한다.
상기에서 샘플링된 Sampling Time 별 차속 데이터를 모두 가산하여 Sampling 횟수로 나누어 평균 속도를 산출한다.
산출된 평균 속도에 Sampling Time 측정 시간을 곱하면 측정 시간 동안의 주행 거리가 된다.
상기의 주행 거리에 Memory(44)에 저장되어 있는 총 주행 거리를 가산하면 총 주행 거리가 산출된다.
이상 설명한 바대로, 본 고안은 차속 센서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엔진 제어 장치에서 계산하여 얻어진 차속 데이터를 통해 차량의 주행 거리를 계산함으로써 정확한 차량의 주행 거리를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 소모품의 교체 시기를 정확히 알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차량 소모품의 교체 시기를 지나침으로 인해 입는 피해를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의 상태를 좋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DTC를 통해 차량의 고장 발생시 즉시 운전자에게 이를 알려 주고, 정비 관리 서버에서 차량의 상태를 상세하게 점검해 주므로, 운전자는 돌발적인 차량의 고장에 대처할 수 있고, 정비 업소를 찾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Claims (1)

  1. 차량 속도 센서를 통해 얻어진 차량 속도 데이터와 전자 제어 시스템(ECS: Electronic Control System)을 통해 얻어지고, 적어도 DTC(Dignostic Troble Code)를 포함하는 차량 관리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차량 정비를 하는 차량 원격 진단 단말기로서,
    상기 차량 속도 데이터와 상기 차량 관리 데이터를 입력받는 차량 통신부;
    외부 입력을 처리할 수 있는 입력부;
    상기 차량 통신부로부터 전송되는 차량 속도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시간 단위별 주행 거리 및 상기 주행 거리가 누적된 총 주행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총 주행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소모품의 교체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 통신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차량 관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상기 총 주행 거리와 상기 차량 관리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되는 차량의 고장이나 상기 차량 소모품의 교체 시기를 표시하는 출력부; 및
    상기 각 기능 소자에 전력 공급을 해주는 Power Contro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진단 단말기.
KR2020010002113U 2000-02-25 2001-01-30 차량 원격 진단 단말기 KR20022921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9399 2000-02-25
KR20000009399 2000-02-25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6285A Division KR20010085265A (ko) 2000-02-25 2000-12-14 차량 원격 진단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차량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9212Y1 true KR200229212Y1 (ko) 2001-07-19

Family

ID=73095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2113U KR200229212Y1 (ko) 2000-02-25 2001-01-30 차량 원격 진단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21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955B1 (ko) * 2018-01-26 2019-07-15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BLE(Bluetooth Low Energy)를 이용한 호이스트 관리시스템
KR102668354B1 (ko) * 2023-08-29 2024-05-30 주식회사 랑데뷰 트랙터 자율주행을 위한 데이터 수집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955B1 (ko) * 2018-01-26 2019-07-15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BLE(Bluetooth Low Energy)를 이용한 호이스트 관리시스템
KR102668354B1 (ko) * 2023-08-29 2024-05-30 주식회사 랑데뷰 트랙터 자율주행을 위한 데이터 수집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4347B1 (ko) 차량 고장 진단 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EP1870788B1 (en) Remote trouble-shooting
CN101084532B (zh) 车载系统、告警灯详细信息通知系统以及服务器系统
US7471999B2 (en) Vehicle information-communication method, vehicle information-communication system, vehicle and control center
KR100764399B1 (ko) 텔레매틱스 시스템의 차량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4502037B2 (ja) 故障診断用情報生成装置及びシステム
US9721399B2 (en) Vehicle diagnosing apparatus, vehicle diagnosing system, and diagnosing method
JP4816992B2 (ja) 車両の遠隔故障診断用サーバ、車両の遠隔故障診断方法、遠隔故障診断用プログラム、及び、車載の遠隔故障診断装置
US6636790B1 (en) Wireless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vehicles
EP1594283A1 (en)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both local and remote vehicle diagnostics
KR20020064174A (ko) 차량의 원격 고장 진단용 서버, 차량의 원격 고장 진단방법, 원격 고장 진단용 프로그램, 차재(車載) 원격 고장진단 시스템, 및 차량의 원격 고장 진단 시스템
KR100987319B1 (ko) 능동형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차량 진단정보 및 위치정보통합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060055517A (ko) 차량 진단방법, 차량 진단 시스템, 차량 및 센터
KR20020029600A (ko) 차량 탑재 고장경보 통보 시스템
JP2005219717A (ja) 車両・車載機器の異常診断装置
KR102105821B1 (ko) Obdⅱ 데이터 정보를 이용한 차량 이상 진단 시스템
KR20010085265A (ko) 차량 원격 진단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차량 관리 방법
KR101499092B1 (ko) 차량 진단장치
KR200229212Y1 (ko) 차량 원격 진단 단말기
CN101004854A (zh) 使用远程信息处理装置的汽车自我检测系统及其方法
JP2003076803A (ja) 車両メンテナンス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車両メンテナンス情報提供方法
KR100836688B1 (ko) 차량진단 및 운행정보 수집과 원격지 분석시스템 및 그방법
KR101053722B1 (ko) 텔레매틱스 장치를 이용한 자동차 자가진단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60038700A (ko)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차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39108A (ko) 차량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1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