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9118Y1 - 자동차엔진세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엔진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9118Y1
KR200229118Y1 KR2019980006132U KR19980006132U KR200229118Y1 KR 200229118 Y1 KR200229118 Y1 KR 200229118Y1 KR 2019980006132 U KR2019980006132 U KR 2019980006132U KR 19980006132 U KR19980006132 U KR 19980006132U KR 200229118 Y1 KR200229118 Y1 KR 2002291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liquid
compressed air
engine
pump
pressure reg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61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9753U (ko
Inventor
김충희
Original Assignee
김충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충희 filed Critical 김충희
Priority to KR20199800061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9118Y1/ko
Publication of KR199900397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7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1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118Y1/ko

Links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엔진 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엔진을 세정하기 위하여, 세정액이 수용되는 세정액탱크, 세정액탱크에 설치되어 상기 세정액을 압송하는 제1펌프와, 외부에서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제어하여 통과시키는 메인압력조절기와, 제1펌프와 상기 메인압력조절기와 연결되어 제1펌프와 메인압력조절기를 경유하는 세정액 및/또는 압축공기를 자동차의 엔진으로 가이드하는 밸브조립체와, 엔진을 경유한 세정액 및/또는 압축공기에 포함된 불순물을 필터링하는 필터와,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세정액 및/또는 압축공기를 세정액탱크로 압송하는 제2펌프를 포함하여 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세정장치를 채용하는 것에 의해 엔진을 깨끗하게 세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엔진 세정장치{Automobile cleaning system}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엔진을 세정하기 위한 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세정액과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엔진을 세정하는 자동차엔진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를 오랫동안 운행하면, 그 엔진의 내부에서는 마찰에 의한 금속가루나 열에 의해 고형화된 엔진오일, 스러지, 카본등이 피스톤부위, 캠샤프트등에 적체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은 엔진의 수명을 단축시키며 소음을 발생하고 연료소모량이 많아지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어느 정도 엔진을 운행한 후에는 엔진 내부를 세정시켜주어야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세정액과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자동차 엔진을 깨끗하게 세정할 수 있는 자동차엔진 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엔진 세정장치의 개략적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자동차엔진 세정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 패널을 도시한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엔진 10 ... 세정액탱크
20 ... 제1펌프 30 ... 메인압력조절기
33 ... 서브압력조절기 40 ... 밸브조립체
44 ... 체크밸브 50 ... 여과필터
60 ... 제2펌프 71 ... 스타트/스톱 스위치
73 ... 오퍼레이션 라운드 75 ... 오퍼레이션 타임
S1 ... 제1솔레노이드밸브 S2 ... 제2솔레노이드밸브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엔진 세정장치는, 세정액이 수용되는 세정액탱크(10); 상기 세정액탱크(10)에 설치되어 상기 세정액을 압송하는 제1펌프(20); 외부에서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제어하여 통과시키는 메인압력조절기(30); 상기 제1펌프(20)와 상기 메인압력조절기(30)와 연결되어, 상기 제1펌프(20)와 상기 메인압력조절기(30)를 경유하는 상기 세정액 및/또는 상기 압축공기를 자동차의 엔진(1)으로 가이드하는 밸브조립체(40); 상기 엔진(1)을 경유한 상기 세정액 및/또는 상기 압축공기에 포함된 불순물을 필터링하는 필터(50); 및 상기 필터(50)에 의해 필터링된 세정액 및/또는 압축공기를 상기 세정액탱크(10)로 압송하는 제2펌프(60);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조립체(40)는, 상기메인압력조절기(30)를 통과한 압축공기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s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밸브조립체(40)는 상기 압축공기가 상기 제1펌프(20)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체크벨브(44)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밸브조립체(40)와 상기 메인압력조절기(30) 사이에는, 상기 메인압력조절기(30)를 통과한 압축공기의 압력을 제어하는 서브 압력조절기(33)와, 그 서브 압력조절기(33)를 통과한 압축공기가 그 밸브조립체(40)로 흐르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s2)가 더 설치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엔진 세정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자동차엔진 세정장치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세정장치는, 세정액이 수용되는 세정액탱크(10)와, 세정액탱크(10)에 설치되어 세정액을 압송하는 제1펌프(20)와, 외부에서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제어하여 통과시키는 메인압력조절기(30)와, 제1펌프(20)와 메인압력조절기(30)와 연결되어 그 제1펌프(20) 및 메인압력조절기(30)를 경유하는 세정액 및/또는 압축공기를 자동차의 엔진(1)으로 가이드하는 밸브조립체(40)와, 엔진(1)을 경유한 세정액 및/또는 압축공기에 포함된 불순물을 필터링하는 필터(50)와, 필터(50)에 의해 필터링된 세정액 및/또는 압축공기를 세정액탱크(10)로 압송하는 제2펌프(60)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조립체(40)는 상호 연통된 T1,T2,T3 부로 나누어져 있으며, T3 부에는 메인압력조절기(30)를 통과한 압축공기가 그 밸브조립체(40)로 흐르는 것을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공지의 제1솔레노이드밸브(S1)가 설치되어 있다. T1 부에는 T3 부를 경유한 압축공기가 제1펌프(20)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공지의 체크벨브(44)가 설치된다. T2 부는 엔진(1)과 연결되어 있다.
한편, 메인압력조절기(30)와 밸브조립체(40) 사이에는 엔진(1)으로 유입되는 세정액으로 압축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보조 압축공기제어부가 설치될 수 도 있다. 보조 압축공기제어부는, 메인압력조절기(30)를 통과한 압축공기의 압력을 제어하는 서브압력조절기(33)와, 그 서브압력조절기(33)를 통과한 압축공기가 밸브조립체(40)로 흐르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공지의 제2솔레노이드밸브(S2)로 구성된다. 상기 서브압력조절기(33)는 메인압력조절기(30)를 통과한 고압의 압축공기의 압력을 약 0.2∼1 kgf/cm2정도의 저압으로 감압한다. 이러한 보조 압축공기제어부에 의해 적절한 압력으로 감압된 압축공기는 세정액과 함께 엔진(1)으로 유입되어 엔진(1)의 세정을 더욱 확실히 한다. 그러나, 상기한 보조 압축공기제어부를 채용하지 않고서도 메인압력조절기(30)가 압축공기의 압력을 고압에서 저압으로 적절히 제어함에 따라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으며, 그 보조 압축공기제어부의 채용이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다음, 이와 같은 구조의 자동차엔진 세정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엔진을 세정하기 위하여 엔진내부로 그 용량의 약 50 ∼ 70% 가량의 세정액을 주입시켜야 하며, 세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세정액과 함께 적절한 압력의 압축공기를 엔진 내부로 유입시켜야 한다. 외부에서 유입되는 고압의 압축공기는 메인압력조절기(30)에 의해 감압되어 약 2∼4 kgf/cm2정도로 압력이 유지되고, 이러한 압축공기는 제1솔레노이드밸브(S1)에 의하여 밸브조립체(40)에 선택적으로 흐르게된다. 한편, 상기 메인압력조절기(30)에서 분기된 서브압력조절기(33)는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약 0.2∼1 kgf/cm2정도로 감압하고, 서브압력조절기와 연결된 제2솔레노이드밸브(S2)는 이러한 압축공기를 밸브조립체(40)로 선택적으로 흐르게 한다.
엔진을 세정할 경우, 제1펌프(20)는 가동되어서 세정액탱크(10)에 수용된 세정액을 밸브조립체(40)로 압송시킨다. 즉, 세정액은 체크밸브(44)를 지나 T1 부로 유입되는 것이다. 이때, 제1솔레노이드밸브(S1)는 클로즈되고, 제2솔레노이드밸브(S2)가 오픈된다. 따라서, 서브압력조절기(33)에 의해 0.2∼1 kgf/cm2정도로 감압된 압축공기는 제2솔레노이드밸브(S2)를 통하여 밸브조립체(40)의 T3 부로 흐른다. 이때, 제1솔레노이드밸브(S1)는 클로즈되어 메인압력조절기(30)를 통과한 압축공기는 밸브조립체(40)로 흐르지 못한다.
상기 세정액과 0.2∼1 kgf/cm2정도의 압축공기는 T2 부에서 혼합되어 엔진(1)으로 함께 흐르게 된다. 이 과정은 세정액이 엔진에 그 용량의 50∼70% 가량 채워질 때까지 계속된다. 세정액과 압축공기는 엔진(1)의 내부에 채워지면서 엔진 내벽이나 피스톤(미도시)이나 캠샤프트(미도시)등에 부착되어 있는 금속가루나, 카본, 고형화된 엔진오일등과 같은 불순물을 분리시킨다.
엔진(1)에 상기한 양만큼 세정액이 채워지면, 제2펌프(60)가 가동되어 엔진 내의 세정액 및/또는 압축공기를 엔진(1)으로부터 배출하여 세정액탱크(10)로 압송한다. 이 과정에서 세정액 및/또는 압축공기에 포함된 불순물은 필터(50)에 의해 필터링되며, 따라서 세정액탱크(10)로 압송되는 세정액은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세정액의 순환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엔진 내부는 깨끗하게 세정된다. 여기서, 세정액과 함께 엔진(1)으로 유입되는 압축공기는 세정액을 엔진내부의 구석구석으로 분출하게 하여 세정력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엔진의 세정이 완료되면, 엔진내부에 잔류되는 세정액을 완전히 배출시켜야 한다. 이때는 제1펌프(20) 및 제2솔레노이드밸브(S2)를 클로즈시킨 상태에서 제2펌프(60)를 계속 구동시키게 되는데, 제2펌프(60)는 엔진(1) 내부에 있는 세정액을 강제로 배출시켜 필터(50)를 통하여 대부분 세정액탱크(10)로 회수되도록 한다.
그리고, 엔진(1)의 벽이나 바닥에 잔류하는 세정액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제1펌프(20) 및 제2솔레노이드밸브(S2)를 클로즈시킨 상태에서 제1솔레노이드밸브(S1)를 오픈한다. 그러면, 메인압력조절기(30)에 의해 약 2∼4 kgf/cm2정도의 압력을 유지하는 다량의 압축공기가 밸브조립체(40)의 T3 부 및 T2 부를 통하여 엔진(1)으로 고속 유입된다. 엔진(1)으로 고속 유입되는 압축공기는 엔진 내부벽에 잔류하는 세정액을 엔진 내부벽에서 분리한다.
제1솔레노이드밸브(S1)를 통과한 상대적으로 고압이며 다량의 압축공기를 약3∼5초동안 엔진(1)으로 유입시킨 후 정지시키고, 연속적으로 제2펌프(60)를 약2∼5초동안 가동하면 엔진(1)에 잔류하는 세정액은 세정액탱크(10)로 회수된다. 적절한 시간 간격을 두고 압축공기를 엔진에 유입 및 유입 정지시키는 한편 제2펌프(60)를 적절히 구동하면 세정작업이 원활히 진행된다. 이러한 과정을 수행하는 회수는 필요에 따라 다르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제어하는 콘트롤 패널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타트/스톱(STARR/STOP) 스위치(71)는 세정장치의 작동 및 중단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작업 중지나 작업종료시 경보등(71a)이 수초간 점멸되게 할 수 도 있다. 오퍼레이션 라운드(73)는 세정정치의 세정 사용회수를 표시하며, 최대 20회 기준으로 설정하여 세정작업 완료시 자동으로 사용회수가 지워진다. 물론 수동으로 이를 지울수도 있다. 오퍼레이션 타임(75)은 세정작업 가동시간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시간을 임의대로 조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시간은 차량의 상태에 따라 5분, 10분, 15분, 20 분등으로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위, 아래로 표시된 화살표 버튼(75a)은 사용중 세정시간을 조정할 수 있으며, 화살표 버튼(75a) 2개를 동시에 눌러주면 제2펌프(60)만 가동되어 필요에 따라 엔진(1) 내부에 남아있는 세정액만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콘트롤 패널은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제작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차엔진 세정장치에 따르면, 세정액과 적절한 압력의 압축공기를 엔진에 주입시킴으로써 엔진을 깨끗하게 세정할 수 있다. 따라서, 장시간 엔진을 사용함에 따라 발생되는 연료소모량 및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엔진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세정액이 수용되는 세정액탱크(10);
    상기 세정액탱크(10)에 설치되어 상기 세정액을 압송하는 제1펌프(20);
    외부에서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제어하여 통과시키는 메인압력조절기(30);
    상기 제1펌프(20)와 상기 메인압력조절기(30)와 연결되어, 상기 제1펌프(20)와 상기 메인압력조절기(30)를 경유하는 상기 세정액 및/또는 상기 압축공기를 자동차의 엔진(1)으로 가이드하는 밸브조립체(40);
    상기 엔진(1)을 경유한 상기 세정액 및/또는 상기 압축공기에 포함된 불순물을 필터링하는 필터(50); 및
    상기 필터(50)에 의해 필터링된 세정액 및/또는 압축공기를 상기 세정액탱크(10)로 압송하는 제2펌프(60);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조립체(40)는, 상기 메인압력조절기(30)를 통과한 압축공기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s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엔진 세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조립체(40)는 상기 압축공기가 상기 제1펌프(20)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체크벨브(4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엔진 세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조립체(40)와 상기 메인압력조절기(30) 사이에는,
    상기 메인압력조절기(30)를 통과한 압축공기의 압력을 제어하는 서브 압력조절기(33)와, 그 서브 압력조절기(33)를 통과한 압축공기가 그 밸브조립체(40)로 흐르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s2)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엔진 세정장치.
KR2019980006132U 1998-04-17 1998-04-17 자동차엔진세정장치 KR2002291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132U KR200229118Y1 (ko) 1998-04-17 1998-04-17 자동차엔진세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132U KR200229118Y1 (ko) 1998-04-17 1998-04-17 자동차엔진세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753U KR19990039753U (ko) 1999-11-15
KR200229118Y1 true KR200229118Y1 (ko) 2001-09-25

Family

ID=69513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6132U KR200229118Y1 (ko) 1998-04-17 1998-04-17 자동차엔진세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11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594B1 (ko) * 2010-11-17 2011-08-11 권대연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 및 차량의 엔진 세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753U (ko) 1999-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9468B1 (ko) 특히 디젤엔진용인, 차량 연료여과기 내에서 분리된 물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장치
US20070187326A1 (en) Membrane filter cleaning method and installation for implementing same
JPH09510520A (ja) 動作中の内燃機関のクリーニング
KR200229118Y1 (ko) 자동차엔진세정장치
JP2011106329A (ja) 燃料フィルタ再生制御装置
US7390419B2 (en) Waste water recovery system
JPH0751223B2 (ja) 研削液浄化装置
US20140353262A1 (en) Self-cleaning fuel pump
KR100339829B1 (ko) 자동차의 엔진 세정장치 및 그 방법
JP4059220B2 (ja) 液体供給装置
KR200205876Y1 (ko) 자동차의 엔진 세정장치
KR100371223B1 (ko) 차량용 용수 공급 배관 오물 유입 방지장치
KR100300708B1 (ko) 자동차엔진의윤활장치
JPH11333220A (ja) 浄水機のフィルタ洗浄装置
JPH06285741A (ja) 吸引式循環液体清浄装置
JPH0420490Y2 (ko)
KR100410676B1 (ko) 오일 필터의 개선된 오일 공급 구조
JPH0828500A (ja) 負圧形成装置
JPS6391110A (ja) 急速ろ過装置
KR20030082340A (ko) 압축공기를 이용한 오일 공급장치와 방법
KR200164466Y1 (ko) 오일세정기
KR200310821Y1 (ko) 자동차의 엔진 세정시스템
KR100219455B1 (ko) 오일펌프 스트레이너의 막힘 해소장치
JPS5832983A (ja) 強制潤滑式圧縮機の潤滑剤吹上げ防止装置
JPH0780218A (ja) 浴湯循環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