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1223B1 - 차량용 용수 공급 배관 오물 유입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용수 공급 배관 오물 유입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1223B1
KR100371223B1 KR10-2000-0070247A KR20000070247A KR100371223B1 KR 100371223 B1 KR100371223 B1 KR 100371223B1 KR 20000070247 A KR20000070247 A KR 20000070247A KR 100371223 B1 KR100371223 B1 KR 100371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mpressed air
solenoid valve
supplied
str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0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0254A (ko
Inventor
임재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0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1223B1/ko
Publication of KR20020040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0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1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12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45Other hand-held cleaning arrangements, e.g. with sponges, brushes, scrapers or the like
    • B60S3/047Other hand-held cleaning arrangements, e.g. with sponges, brushes, scrapers or the like using liquid or gas distribu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밀 부스 내부의 스트레이너 주변 슬러지를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차량용 용수 공급 배관 오물 유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용 용수 공급 배관 오물 유입 방지장치에 있어서, 단계적으로 공급되는 용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여과하는 수조들과, 상기 수조들을 통해 여과된 용수가 재공급되어 진입된 차량에 용수가 뿌려지는 수밀 부스와, 상기 수조들과 수밀 부스를 연결하는 공급 배관을 통해 용수가 순환되도록 구동되는 순환 펌프와, 상기 순환 펌프 끝단에 설치되어 용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후드 밸브와, 상기 후드 밸브를 감싸도록 장착되어 상기 순환 펌프의 구동에 따라 상기 용수가 저장된 수조 내에 잔류하는 슬러지가 상기 후드 밸브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제한하는 스트레이너와,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압축공기 발생부와, 입력되는 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 동작되어 상기 압축공기 발생부로부터 공기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흐름을 단속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공기 배관의 일단에 장착되어 상기 스트레이너 주변에 90도 간격으로 4군데 설치되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스트레이너 주변으로 배출시키는 분사 노즐과, 상기 분사 노즐을 통해 배출되는 압축공기를 일정시간 주기적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로 입력되는 구동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용수 공급 배관 오물 유입 방지장치{USING VEHICLE WASHING WATER INCLUSION SLUDGE INTO FEEDING PIPE PREVENTION DEVICE}
본 발명은 차량용 용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용 용수 공급 배관 오물 유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용수 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통상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밀 부스(10) 내부에서 차량 보디에 뿌려진 용수(20)는 1차, 2차, 3차 수조(12, 14, 16)로 이동하여 슬러지(18)를 걸러낸 후 다시 순환 펌프(22)로 펌핑되어 배관(30)을 통해 수밀 부스(10)로 보내진다. 1, 2차 수조(12, 14) 통과시 걸러지지 않은 슬러지(18)는 3차 수조(16) 바닥 주변에 쌓이거나 떠다닌다. 순환 펌프(22) 끝단에는 역류 방지를 위한 후드 밸브(24)와 슬러지 유입 방지를 위한 스트레이너(26)가 장착되어 있다. 참조번호 (28)는 3차수조의 청소시 사용되는 오폐수용 수중 펌프이다.
후드 밸브(24)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됨으로 인해 순환 펌프(22) 고장 및 펌핑시 효율이 저하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스트레이너(26)는 고운 매쉬로 제작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방법을 사용할 때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용수 공급장치는 3차 수조 바닥 부근의 슬러지가 매쉬망에 부착될 경우 펌프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매쉬망 청소를 위해서는 수조 내부의 용수 펌핑 및 매쉬망 청소, 용수 보충 작업으로 3~4시간이 소요되며, 그 동안 수밀 테스트 라인은 정지되어 차량 생산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밀 부스 내부의 스트레이너 주변 슬러지를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차량용 용수 공급 배관 오물 유입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용 용수 공급 배관 오물 유입 방지장치에 있어서, 단계적으로 공급되는 용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여과하는 수조들과, 상기 수조들을 통해 여과된 용수가 재공급되어 진입된 차량에 용수가 뿌려지는 수밀 부스와, 상기 수조들과 수밀 부스를 연결하는 공급 배관을 통해 용수가 순환되도록 구동되는 순환 펌프와, 상기 순환 펌프 끝단에 설치되어 용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후드 밸브와, 상기 후드 밸브를 감싸도록 장착되어 상기 순환 펌프의 구동에 따라 상기 용수가 저장된 수조 내에 잔류하는 슬러지가 상기 후드 밸브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제한하는 스트레이너와,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압축공기 발생부와, 입력되는 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 동작되어 상기 압축공기 발생부로부터 공기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흐름을 단속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공기 배관의 일단에 장착되어 상기 스트레이너 주변에 다수개 설치되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스트레이너 주변으로 배출시키는 분사 노즐과, 상기 분사 노즐을 통해 배출되는 압축공기를 일정시간 주기적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로 입력되는 구동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용수 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용수 공급 배관 오물 유입 방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으나, 이들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그들에 한정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용수 공급 배관 오물 유입 방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용 용수 공급 배관 오물 유입 방지장치는 1차 수조(42), 2차 수조(44), 3차 수조(46), 수밀 부스(48), 순환 펌프(50), 후드 밸브(52), 스트레이너(54), 압축공기 발생부(56), 솔레노이드 밸브(58), 분사 노즐(60), 제어부(7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1차 수조(42), 2차 수조(44), 3차 수조(46)는 단계적으로 공급되는 용수(64)에 포함된 슬러지(66)를 대류 방식을 통해 여과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수밀 부스(48)는 상기 1차, 2차, 3차 수조(42, 44, 46)를 통해 여과된 용수가 재공급되어 진입된 차량에 용수가 뿌려지는 부스이다. 상기 수밀 부스(48)는 종래의 구성과 동일하다.
상기 순환 펌프(50)는 상기 1차, 2차, 3차 수조(42, 44, 46)들과 수밀 부스(48)를 연결하는 공급 배관(62)을 통해 용수가 순환되도록 구동된다.
상기 후드 밸브(52)는 상기 순환 펌프(50) 끝단에 설치되어 용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스트레이너(54)는 상기 후드 밸브(52)를 감싸도록 장착되어 상기 순환 펌프(5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용수(64)가 저장된 3차 수조(46)내에 잔류하는 슬러지(66)가 상기 후드 밸브(52)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압축공기 발생부(56)는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에어 컴프레샤이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58)는 상기 압축공기 발생부(56)와 스트레이너(54)의 사이에 장착되어 입력되는 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 동작된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58)는 상기 압축공기 발생부(56)로부터 공기 배관(68)을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흐름을 단속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분사 노즐(60)은 상기 공기 배관(68)의 일단에 장착되어 상기 스트레이너(54) 주변에 90도 간격으로 4군데 설치되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58)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스트레이너(54) 주변으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어부(7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용수 공급 배관 오물 유입 방지를 위한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분사 노즐(60)을 통해 배출되는 압축공기를 일정시간 주기적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58)로 입력되는 구동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제어부(70)와 솔레노이드 밸브(58) 사이에는 솔레노이드 밸브 작동 릴레이가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 작동 릴레이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58)로 입력되는 구동 제어신호를 단속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제어부(70)는 미리 설정된 자동 기동/정지 시간에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 작동 릴레이를 구동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58)로 공급되는 구동 제어신호를 단속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용수 공급 배관 오물 유입 방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70)의 제어 동작에 따라 순환 펌프(50)가 동작되면, 수밀 부스(48) 내부에서 차량 보디에 뿌려진 용수(64)는 1차, 2차, 3차 수조(42, 44, 46)로 이동한다. 3차 수조(46) 내에 설치되는 스트레이너(54)에 의해 슬러지(66)를 걸러낸 후 다시 순환 펌프(50)로 펌핑되어 수밀 부스(48)로 보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용수 공급 배관 오물 유입 방지장치는 순환 펌프(50) 작동에 악영향을 미치는 3차 수조(46)내의 슬러지(66)를 스트레이너(54)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압축공기 발생부(56), 솔레노이드 밸브 작동 릴레이, 솔레노이드 밸브(58), 분사 노즐(60)을 구비하여 압축공기를 일정시간 주기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스트레이너(54) 주변의 슬러지(66)를자동으로 제거하는 장치이다.
차량용 용수 공급 배관 오물 유입 방지장치의 자동 기동/정지 시간(점심시간, 휴식시간)에 솔레노이드 밸브 작동 릴레이가 작동하도록 제어부(70)에 구동 제어신호를 형성하고 프로그래밍 한다. 이때, 솔레노이드 밸브(58) 작동시간은 5분으로 하며, 이와 같은 작동시간의 설정은 제어부(70)에서 제어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 된다. 솔레노이드 밸브(58)가 자동으로 오픈 되면 5㎏/㎠의 압력으로 분사 노즐(60)을 통해 압축공기가 분사된다. 이와 같이 고압으로 분사되는 압축공기는 스트레이너(54) 주변에 붙어있는 슬러지(66)를 스트레이너(54)로부터 분리시킨다. 솔레노이드 밸브(58)가 오픈된 상태에서 5분이 경과되면, 솔레노이드 밸브(58)는 자동으로 클로즈되어 압축공기의 분사 동작은 완료된다.
이와 같은 동작에 따라 수밀 부스(48)의 장비 특성상 3차 수조(46) 내부에서 이상 발생시 조치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이에 따른 생산중단으로 인한 손실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자동으로 압축공기를 분사시키는 구성으로 차량용 용수 공급의 이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용수 공급 배관 오물 유입 방지장치는 장비의 이상을 사전에 방지하여 장비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주 1회 실시하는 수조 청소시 스트레이너 청소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하여 공수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차량용 용수 공급 배관 오물 유입 방지장치에 있어서,
    단계적으로 공급되는 용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여과하는 수조들과,
    상기 수조들을 통해 여과된 용수가 재공급되어 진입된 차량에 용수가 뿌려지는 수밀 부스와,
    상기 수조들과 수밀 부스를 연결하는 공급 배관을 통해 용수가 순환되도록 구동되는 순환 펌프와,
    상기 순환 펌프 끝단에 설치되어 용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후드 밸브와,
    상기 후드 밸브를 감싸도록 장착되어 상기 순환 펌프의 구동에 따라 상기 용수가 저장된 수조 내에 잔류하는 슬러지가 상기 후드 밸브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제한하는 스트레이너와,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압축공기 발생부와,
    입력되는 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 동작되어 상기 압축공기 발생부로부터 공기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흐름을 단속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공기 배관의 일단에 장착되어 상기 스트레이너 주변에 다수개 설치되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스트레이너 주변으로 배출시키는 분사 노즐과,
    상기 분사 노즐을 통해 배출되는 압축공기를 일정시간 주기적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로 입력되는 구동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용수 공급 배관 오물 유입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솔레노이드 밸브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로 입력되는 구동 제어신호를 단속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작동 릴레이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자동 기동/정지시간에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 작동 릴레이를 구동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로 공급되는 구동 제어신호를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용수 공급 배관 오물 유입 방지장치.
KR10-2000-0070247A 2000-11-24 2000-11-24 차량용 용수 공급 배관 오물 유입 방지장치 KR100371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0247A KR100371223B1 (ko) 2000-11-24 2000-11-24 차량용 용수 공급 배관 오물 유입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0247A KR100371223B1 (ko) 2000-11-24 2000-11-24 차량용 용수 공급 배관 오물 유입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0254A KR20020040254A (ko) 2002-05-30
KR100371223B1 true KR100371223B1 (ko) 2003-02-06

Family

ID=19701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0247A KR100371223B1 (ko) 2000-11-24 2000-11-24 차량용 용수 공급 배관 오물 유입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12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875B1 (ko) * 2012-09-26 2014-03-17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포밍 플레이트를 이용한 상하수 및 오폐수처리용 교반시스템
CN107010021B (zh) * 2017-05-18 2023-08-29 瀚澳智能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洗车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0254A (ko) 200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72342A (en) Kitchen exhaust hood grease extractor
US7276169B2 (en) Method for filtering water in an aquarium, a water cultivation tank and similar water bonds, and corresponding filtering system
CN203400540U (zh) 一种上向流翻板滤池
KR20220037457A (ko) 여과 장치 및 그 필터 세정 방법
JPH10305759A (ja) 排水口が備えられたウォッシャーノズル
KR100371223B1 (ko) 차량용 용수 공급 배관 오물 유입 방지장치
US3820658A (en) Self cleaning filter apparatus and system
US20080251466A1 (en) Waste Water Recovery System
US20080156719A1 (en) Automated self cleaning filter
WO2016158872A1 (ja) 濾過装置、それを備えた散布装置および濾過方法
JP3975991B2 (ja) 排水管洗浄装置
AU2014330107B2 (en) Filtration system and method for filtering a liquid
US9701554B2 (en) Aeration control valve system for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s for using same
KR100768250B1 (ko) 운전 중 자가 세정 기능을 가진 수처리 장치 및 수처리장치의 자가 세정 방법
JP6313399B2 (ja) 沈砂池の除砂方法
JP2020062600A (ja) 移床式砂ろ過装置の固着砂層破砕方法、移床式砂ろ過装置および移床式砂ろ過装置の運転方法
RU2193631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забора и очистки воды из поверхностных водоисточников
JP2763610B2 (ja) 洗浄給水装置
KR200195185Y1 (ko) 여과기용 에어주입 장치
CN207071270U (zh) 空调器的污水处理组件及空调器
KR200229118Y1 (ko) 자동차엔진세정장치
JPH0828500A (ja) 負圧形成装置
KR200164466Y1 (ko) 오일세정기
JP2015221436A (ja) 沈砂池の除砂方法
KR200376085Y1 (ko)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