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8495Y1 - 폐전선의 동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폐전선의 동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8495Y1
KR200228495Y1 KR2020010001566U KR20010001566U KR200228495Y1 KR 200228495 Y1 KR200228495 Y1 KR 200228495Y1 KR 2020010001566 U KR2020010001566 U KR 2020010001566U KR 20010001566 U KR20010001566 U KR 20010001566U KR 200228495 Y1 KR200228495 Y1 KR 2002284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wire
copper
coating
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15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수
Original Assignee
유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수 filed Critical 유영수
Priority to KR20200100015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84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84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8495Y1/ko
Priority to PCT/KR2002/000071 priority patent/WO2002058081A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5/00Obtaining copper
    • C22B15/0026Pyrometallurgy
    • C22B15/0056Scrap tr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7/00Working up raw materials other than ores, e.g. scrap, to produce non-ferrous metals and compounds thereof; Methods of a general interest or applied to the winning of more than two metals
    • C22B7/005Separation by a physical processing technique only, e.g. by mechanical brea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tallu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폐전선의 동 회수장치는 산업현장이나 각 가정 또는 사무실에서 버려지는 각종 전력선, 통신선 및 절연선 등의 폐전선을 수거하여 이를 모아 일정 크기로 절단하고, 절단된 폐전선 덩어리를 이송하여 폐전선 덩어리의 연질 피복을 소결시킨 후, 소결된 폐전선을 파쇄하여 피복과 동선으로 1차로 분리시키고, 동선에 남아있는 잔존 피복을 2차로 탈리시키며, 동선에 붙어있는 미세한 먼지를 제거한 다음, 동선에 포함된 각종 철 등의 금속성분을 제거하므로서 버려지는 폐전선으로부터 순도 높은 동을 안전하게 재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전선의 연질 피복을 소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폐가스 온도를 낮추고, 폐가스에 함유된 냄새 및 유해가스를 탈취 처리한 후, 폐가스에 남아있는 분진상의 물질을 포집하여 대기중으로 배출하므로서 폐전선을 소결시키는 과정에 발생되는 폐가스로부터 대기 오염도 함께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폐전선의 동 회수장치{apparatus of the copper from waste cables}
본 고안은 폐전선의 동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종 산업현장이나 각 가정, 사무실 등에서 자동차, 개인용 컴퓨터, 가전제품, 자동화기기 등에 사용된 후 폐기 처리되는 폐전선을 수거한 후 재생 처리하여 동(Cu)을 회수하므로서 산업현장에서 사용된 후 폐기물로 버려지는 폐전선에 함유된 동을 자원화할 수 있도록 한 신규한 형태의 폐전선의 동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선의 종류 및 동 함유량을 살펴보면, 전선의 종류에는 전력선과 통신선 및 절연선으로 구분되어지고, 그중 전력선은 초고압선과 중저압선으로 구별되며, 전력선은 고순도의 폴리에틸렌에 가교제 등을 첨가하여 가교반응을 시키므로서 폴리에틸렌의 결점인 내열성을 대폭 향상시킨 가교폴리에틸렌 절연체를 사용한 케이블로서 현재 송배전용 지중선로에 500kV 급까지 상용화 단계에 있다.
통신선은 동축케이블이라 불리어지며, 동축케이블은 정보통신 산업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유, 무선 전송망 구성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동축케이블은 각 네트워크의 사용 용도에 따라 고화질, 고품질의 신호전송용 CATV용 동축케이블, 무선기지국, 방송 송수신 설비, 마이크로 웨이브 등 이동통신 무선 분배망 구성에 사용되는 고주파 동축케이블, 터널, 지하철, 빌딩 내부 등 전파가 미치지 못하는 지역의 무선분배망 구성에 사용되는 누설 동축케이블로 분류되고 있다.
그리고 절연선은 일반적으로 도체 위에 비닐, 폴리에틸렌, 가교폴리에틸렌 등의 절연 재료를 피복하여 변전소에서 수용가까지의 배전 선로에 주로 사용하는 전선으로, 사용 용도에 따라 옥내용 비닐 절연전선, 옥외용 비닐 절연전선, 제어용 전선, 계장용 전선, 온도보상도선 등으로 구분되어 진다.
위와 같은 각종 전선들의 동 함유량을 살펴보면, 전력선은 중량대비 동 함유량이 40~50%에 이르고 있고, 통신선은 중량대비 동 함유량이 20%에 이르며, 절연선은 중량대비 동 함유량이 20~30%에 이르고 있다.
1999년 기준 우리 나라의 연간 전선 생산량은 125만톤에 이르고 있으며, 이중 폐기되는 폐전선은 전선 생산량의 20% 만으로 추정하더라도 폐기되는 폐전선은 연간 25만톤에 이르고 있으나 폐전선의 재활용은 극히 미미할 뿐이었다.
위와 같이 각종 산업 현장에서 사용된 전력선, 통신선 및 절연선을 수거하여 폐전선에 함유된 동을 회수하여 재활용하므로서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고, 산업폐기물 발생을 억제하는 등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으나 폐전선에서 동을 회수하는 장치 및 방법이 개발되지 못하여서 그 실용화에 어려운점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폐전선을 자원화하기 위해서는 먼저 폐전선을 수거하여 압축 및 파쇄의 공정을 거쳐 분리 선별한 후 재활용이 가능한 동(Cu) 등의 물질만을 추출하고 나머지는 소각 또는 매립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때 공해물질의 생성이나 배출을 억제하는 장치가 추가되기도 한다.
이러한 폐전선을 재활용하기 위하여 각종 폐전선 중 동 함유량이 많고 비교적 작업성이 수월한 굵은 전력선과 같은 폐전선은 재활용하기 위해 동을 회수하는 작업을 하고 있으나 단순한 형태의 절단기를 사용하여 단순히 피복만을 벗겨서 동을 회수하고 있는 정도에 불과한 것이다.
최근 사회가 산업화되면서 각종 가전제품, 개인용 컴퓨터, 자동차 배선 등에는 동(Cu)을 함유한 직경이 아주 작은 여러 가닥의 전선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 폐전선이 재활용이 안될 경우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산업폐기물이 되고 이의 처리문제가 야기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통신선이나 절연선 등의 폐전선의 경우에는 기존의 절단기에 의한 동을 회수하는 작업이 불가능하여 경제성 문제로 수거를 기피하고 있으므로 절연선, 통신선 등의 폐전선의 자원화가 매우 어렵고, 이들 절연선이나 통신선들을 일반쓰레기와 함께 소각하거나 매립하고 있기에 다이옥신 발생 등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는 단점을 지니고 있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우리의 생활수준 향상으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각종 가전제품, 자동차, 개인용 컴퓨터 등에서 사용된 후 폐기 처리되는 각종 절연선, 통신선 등의 폐전선을 수거하여 본 고안의 안전한 동 회수장치에서 재처리하여 폐전선에 함유된 동을 추출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폐전선의 동 회수장치는 각 가정이나 산업현장에서 사용된 후 폐기되는 각종 전력선, 통신선 및 절연선 등을 수거하여 공해발생을 억제하면서 안전하게 재처리할 수 있도록, 폐전선의 피복을 소결시켜 탈리시므로서 폐전선에 함유된 동을 회수하여 재활용하도록 하여서 버려지거나 매립되는 폐전선에 함유된 동 회수율이 50% 이상이어서 자원절약과 경제성을 도모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폐전선의 동 회수장치는, 각종 전력선, 통신선 및 절연선 등 폐전선을 수거하여 투입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부정형의 폐전선을 모아서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압출절단기와, 상기 압출절단기에서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 폐전선 덩어리를 이송하는 이송장치와, 상기 이송장치로부터 이송되는 절단된 폐전선 덩어리의 연질 피복을 소결하여 경질화시키는 가소로와, 상기 가소로에서 연질 피복이 소결된 폐전선 덩어리를 파쇄하여 피복과 동선으로 1차로 분리시키는 롤 브레이커와, 상기 롤 브레이커로부터 피복과 분리된 동선에 남아있는 잔존 피복을 2차로 탈리시키는 체인 스크레퍼와, 상기 체인 스크레퍼로부터 동선에 남아있는 잔존 피복을 탈리시킨 후 동선에 붙어있는 미세한 먼지를 제거하는 로타리크리너와, 상기 로타리크리너로부터 추출되는 동선에 철 등의 불순물과 금속성분을 제거하는 마그네틱 세퍼레이터 및 상기 가소로에서 폐전선 덩어리의 연질 피복을 소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폐가스를 공해방지시설에 유입시키기 전에 폐가스의 온도를 낮추어주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배출되는 폐가스에 함유된 냄새 및 유해가스를 처리하는 탈황탈취기와, 상기 폐가스에 남아있는 분진상의 물질을 포집한 후 외부로 배출시키는 집진기를 포함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폐전선의 동 회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장치설명도
도 2 는 도 1 의 폐전선의 동 회수장치에 있어서, 압출절단기를 나타낸 설명도
도 3 은 도 1 의 폐전선의 동 회수장치에 있어서, 가소로의 중앙 종단면도
도 4 는 도 1 의 폐전선의 동 회수장치에 있어서, 가소로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중앙 횡단면도
도 5 는 도 1 의 폐전선의 동 회수장치에 있어서, 롤 브레이커를 나타낸 설명도
도 6 은 도 1 의 폐전선의 동 회수장치에 있어서, 체인 스크레퍼의 정면도
도 7 은 도 6 의 체인 스크레퍼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폐전선의 동 회수장치 2 : 호퍼
3 : 압출절단기 4 : 이송장치
5 : 가소로 6 : 롤 브레이커
7 : 체인 스크레퍼 8 : 로타리크리너
9 : 마그네틱 세퍼레이터 10 : 열교환기
11 : 탈황탈취기 12 : 집진기
13 : 컨베이어 14 : 압축컨베이어
15 : 스테핑박스 16 : 케이블커터
17 : 장방형 운반홈 18 : 제1파쇄롤러
19 : 제2파쇄롤러 20 : 조정구
21 : 에어슈팅기 22 : 회전드럼
23 : 체인이나 패들
도 1은 본 고안의 폐전선의 동 회수장치에 대한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에서 부호 1은 본 고안의 폐전선의 동 회수장치를 개략으로 도시한 장치설명도를 표시한 것이다.
본 고안의 폐전선의 동 회수장치(1)는,
각종 전력선, 통신선 및 절연선 등 폐전선을 수거하여 투입하는 호퍼(2);
상기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부정형의 폐전선을 모아서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폐전선 덩어리로 만드는 압출절단기(3);
상기 압출절단기에서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 폐전선 덩어리를 이송하는 이송장치(4);
상기 이송장치로부터 이송되는 절단된 폐전선 덩어리의 연질 피복을 소결하여 경질화시키는 가소로(5);
상기 가소로에서 연질 피복이 소결되어 경질화된 폐전선 덩어리를 파쇄하여 피복과 동선으로 1차로 분리시키는 롤 브레이커(6);
상기 롤 브레이커로부터 피복과 분리된 동선에 남아있는 잔존 피복을 2차로 탈리시키는 체인 스크레퍼(7);
상기 체인 스크레퍼로부터 동선에 남아있는 잔존 피복을 탈리시킨 후 동선에 붙어있는 미세한 먼지를 제거하는 로타리크리너(8);
상기 로타리크리너로부터 투입되는 동선에 포함된 철 등의 불순물과 금속성분을 제거하는 마그네틱 세퍼레이터(9);
상기 가소로에서 폐전선 덩어리의 연질 피복을 소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폐가스를 공해방지시설에 유입시키기 전에 폐가스의 온도를 낮추어주는 열교환기(10);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배출되는 폐가스에 함유된 냄새 및 유해가스를 탈취 처리하는 탈황탈취기(11); 및
상기 폐가스에 남아있는 분진상의 물질을 포집하여 대기중으로 배출하는 집진기(1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호퍼(2)는, 투입된 동을 함유한 각종 폐전선이 일정량씩 다음 공정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일시 저장하는 것이고, 상기한 압출절단기(3)는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정형의 각종 폐전선의 연질 피복을 효율적으로 동과 분리하기 위하여 폐전선을 일정한 크기로 압축 및 절단하여 일정한 형태(폐전선 덩어리)를 유지하면서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압출절단기(3)는 도 2와 같이 호퍼(2)로부터 투입되는 폐전선을 이송하는 컨베이어(13)와, 상기 컨베이어의 상부에 당접되어 컨베이어와 함께 회전하면서 폐전선을 눌러서 압축하는 압축컨베이어(14)와, 상기 컨베이어 및 압축컨베이어에 의하여 압축된 폐전선을 형틀에 밀어 넣어서 일정한 형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스테핑박스(15)와, 상기 스테핑박스에 채워진 폐전선 덩어리를 커터가 승강하면서 소정 길이로 반복 절단하여 폐전선 덩어리로 만드는 케이블커터(16)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압출절단기(3)는 호퍼로부터 투입되는 폐전선을 컨베이어(13)와 압축컨베이어(14)로 이송하면서 부피를 압축하고, 압축된 폐전선을 스테핑박스(15)에 밀어 넣어서 일정한 형태가 유지되도록 한 다음, 케이블커터(16)에 의하여 폐전선 덩어리를 일정한 길이로 반복적으로 절단하여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이송장치(4)는 도 2 와 같이 압출절단기(3)에 의하여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폐전선 덩어리를 이송하여서 상기 가소로(5)에 연속적으로 투입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이송수단인 벨트컨베이어 또는 롤러컨베이어와 같은 이송수단이 제공된다.
상기 가소로(5)는 도 3,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효율을 증대하여 저열로서 폐전선 덩어리의 연질 피복을 소결(燒結)하여 경질화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가소로(5)는 소량의 연료를 사용하면서 폐전선의 연질 피복을 소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자체 연소열을 이용하도록 고안하여 도 3 의 중앙부(점선부분)를 통과하는 뜨거운 공기에 폐전선 덩어리의 연질 피복 접촉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상기한 가소로(Incinerator)는 저속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이 가소로의 내주연에는 다수의 장방형 운반홈(17)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들 장방형 운반홈에 투입되는 폐전선 덩어리가 가소로(5)의 회전과 함께 위쪽으로 회전하여 상승하면서 도 4 에서와 같이 상단에 이르면 다시 하부로 수직으로 떨어지게 되고, 이와 같은 반복된 동작에 의하여 중앙부를 통과하는 가열공기에 의해 폐전선 덩어리의 연질 피복이 소결되어 경질화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한 가소로(5)는 고열을 필요로 하는 기존의 회전로(Rotary kiln) 보다 연료비를 절감하고 열효율을 증대할 수 있도록, 저열로 회전하면서 반복적으로 폐전선 덩어리의 연질 피복을 소결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롤 브레이커(6)는 상기 가소로에서 소결된 폐전선 덩어리의 경질 피복을 파쇄하여 동선과 분리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롤 브레이커(6)는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소로에서 소결된 폐전선의 경질 피복을 눌러서 파쇄하는 제1파쇄롤러(18)와, 상기 제1파쇄롤러의 하단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1파쇄롤러에 의하여 1차로 파쇄된 폐전선의 경질 피복을 재차 파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파쇄롤러(19)들과, 상기 제1 및 제2파쇄롤러의 일측에 설치되어서 투입되는 폐전선의 크기에 따라 파쇄롤러들의 간격을 자동으로 적정압이 유지되도록 조정하는 조정구(20) 및 상기 파쇄롤러들에 의하여 파쇄된 경질 피복만을 에어로 불어서 동선과 분리시키는 에어슈팅기(2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제1 및 제2파쇄롤러(18,19)들은 투입되는 폐전선 덩어리의 규격에 따라서 조정구(20)에 의하여 각 롤러들의 간격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서 롤러들의 사이가 항상 적정압이 유지되도록 하였다.
상기한 조정구(20)는 유압이나 스프링을 이용한 쇽압쇼바와 같은 구조를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한 에어슈팅기(21)는 상기 파쇄롤러들에 의하여 파쇄된 경질 피복 슬러지들을 불어서 외부로 이송할 수 있도록 송풍기와 같은 구조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체인 스크레퍼(7)는 상기 롤 브레이커(6)에서 폐전선 덩어리의 경질 피복이 파쇄되어 동선만 남은 상태에서 경질 피복과 분리된 동선에 남아있는 잔존 피복을 2차로 이탈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롤 브레이커를 통과한 동선은 소결된 피복이 완전히 탈리되지 않고 미세한 잔여부분이 남게되고, 이러한 잔여부분의 미세한 피복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상기 체인 스크레퍼(7)는 도 6,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드럼(22)의 내부에 다수의 체인이나 패들(23)을 설치하여서 롤 브레이커로부터 투입되는 동선을 상기 회전드럼이 회전하면서 회전드럼에 구성된 다수의 체인이나 패들에 의하여 무작위로 털어서 동선에 남아있는 잔존 피복을 완전히 이탈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체인 스크레퍼로부터 동선에 남아있는 잔존 피복을 탈리시킨 후 동선에 붙어있는 미세한 먼지를 제거하는 로타리크리너(8)가 설치되는데, 상기 로타리크리너(8)는 일정한 메쉬를 갖는 메쉬스크류에서 에어로 불어서 동선에 남아있는 미세한 먼지를 제거한 후 동선에 철 등의 불순물과 금속성분을 마그네틱 세퍼레이터(9)로 자착 제거하여 순도 높은 동을 재생하여 자원화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소로(5)에서 폐전선 덩어리의 연질 피복을 소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폐가스를 처리하기 위하여, 폐가스가 공해방지시설에 유입시키기 전에 열교환기(10)에 의해 폐가스의 온도를 낮추어주고,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배출되는 폐가스에 함유된 냄새 및 유해가스를 탈황탈취기(11)를 통하여 탈취 처리한 다음, 상기 폐가스에 남아있는 분진상의 물질을 집진기(12)로 포집한 후 대기중으로 배출하므로서 환경오염을 극소화하면서 본 고안의 폐전선의 동 회수장치에 대한 모든 공정이 마무리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폐전선의 동 회수장치는 각종 전력선, 통신선 및 절연선 등 폐전선을 수거하여 투입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부정형의 폐전선을 모아서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압출절단기와, 상기 압출절단기에서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 폐전선 덩어리를 이송하는 이송장치와, 상기 이송장치로부터 이송되는 절단된 폐전선 덩어리의 연질 피복을 소결하여 경질화시키는 가소로와, 상기 가소로에서 연질 피복이 소결된 폐전선을 파쇄하여 피복과 동선으로 1차로 분리시키는 롤 브레이커와, 상기 롤 브레이커로부터 피복과 분리된 동선에 남아있는 잔존 피복을 2차로 이탈시키는 체인 스크레퍼와, 상기 체인 스크레퍼로부터 동선에 남아있는 잔존 피복을 탈리시킨 후 동선에 붙어있는 미세한 먼지를 제거하는 로타리크리너와, 상기 로타리크리너로부터 투입되는 동선에 철 등의 불순물과 금속성분을 제거하는 마그네틱 세퍼레이터 및 상기 가소로에서 폐전선 덩어리의 연질 피복을 소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폐가스 온도를 낮추어주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배출되는 폐가스에 함유된 냄새 및 유해가스를 처리하는 탈황탈취기와, 상기 폐가스에 남아있는 분진상의 물질을 포집하는 집진기로 구성하므로서,
본 고안의 폐전선의 동 회수장치는 산업현장이나 각 가정 또는 사무실에서 버려지는 자동차, 개인용 컴퓨터, 가전제품, 자동화기기 등에 사용된 후 폐기되는 각종 전력선, 통신선 및 절연선 등 부정형의 폐전선을 수거하여 이를 모아 일정 크기로 절단하고, 절단된 폐전선 덩어리를 이송하여 폐전선의 연질 피복을 소결하여 경질화시킨 후, 소결된 폐전선 덩어리를 파쇄하여 피복과 동선으로 1차로 분리시키고, 피복과 분리된 동선에 남아있는 잔존 피복을 2차로 탈리시키며, 동선에 붙어있는 미세한 먼지를 제거한 다음, 동선에 포함된 각종 철 등의 금속성분을 제거하므로서 버려지는 폐전선으로부터 순도 높은 동을 재생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은 상기 폐전선 덩어리의 연질 피복을 소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폐가스 온도를 낮춘 다음 폐가스에 함유된 냄새 및 유해가스를 탈취 처리하고, 폐가스에 남아있는 분진상의 물질을 포집한 후 대기중으로 배출하므로서 폐전선을 소결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가스로부터 대기 오염도 함께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폐전선의 동 회수장치는, 최근 고도의 산업화, 정보화되어 가는 과정에서 국민의 생활수준 향상으로 자동차, 개인용 컴퓨터, 가전제품 및 자동화 기기 등의 사용이 급증함에 따라 절연선, 통신선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사용기간이 지나 폐기되는 폐전선의 재처리가 아주 곤란하여 사회적으로 자원낭비, 환경오염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나 각 시도마다 본 고안의 폐전선의 동 회수장치를 1개소씩 설치하므로서 버려져 매립되거나 소각되는 폐전선을 소결하여 폐전선을 피복과 동선으로 분리하여 동선만을 회수할 수 있게 되므로서 자연환경 보전과 동의 자원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등의 제반 특, 장점이 있다.

Claims (5)

  1. 각종 전력선, 통신선 및 절연선 등 폐전선을 수거하여 투입하는 호퍼(2);
    상기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부정형의 폐전선을 모아서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폐전선 덩어리로 만드는 압출절단기(3);
    상기 압출절단기에서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 폐전선 덩어리를 이송하는 이송장치(4);
    상기 이송장치로부터 이송되는 절단된 폐전선 덩어리의 연질 피복을 소결하여 경질화시키는 가소로(5);
    상기 가소로에서 연질 피복이 소결된 폐전선 덩어리를 파쇄하여 피복과 동선으로 1차 분리시키는 롤 브레이커(6);
    상기 롤 브레이커로부터 피복과 분리된 동선에 남아있는 잔존 피복을 2차로 탈리시키는 체인 스크레퍼(7);
    상기 체인 스크레퍼로부터 동선에 남아있는 잔존 피복을 탈리시킨 후 동선에 붙어있는 미세한 먼지를 제거하는 로타리크리너(8);
    상기 로타리크리너로부터 투입되는 동선에 포함된 금속성분을 제거하는 마그네틱 세퍼레이터(9);
    상기 가소로에서 폐전선 덩어리의 연질 피복을 소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폐가스 온도를 낮추어주는 열교환기(10);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배출되는 폐가스에 함유된 냄새 및 유해가스를 탈취 처리하는 탈황탈취기(11); 및
    상기 폐가스에 남아있는 분진상의 물질을 포집하는 집진기(12)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 특징인 폐전선의 동 회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절단기(3)는,
    호퍼로부터 투입되는 폐전선을 이송하는 컨베이어(13);
    상기 컨베이어의 상부에 당접되어 컨베이어와 함께 회전하면서 폐전선을 눌러서 압축하는 압축컨베이어(14);
    상기 컨베이어 및 압축컨베이어에 의하여 압축된 폐전선을 형틀에 밀어 넣어서 일정한 형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스테핑박스(15); 및
    상기 스테핑박스에 채워진 폐전선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폐전선 덩어리로 만드는 케이블커터(16)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 특징인 폐전선의 동 회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로(5)는 저열로 폐전선 덩어리의 연질 피복을 소결하여 경질화시킬 수 있도록, 가소로의 내주연에 다수의 장방형 운반홈(17)을 형성하여서 이들 장방형 운반홈에 투입된 폐전선 덩어리가 가소로(5)와 함께 회전하면서 가소로의 중앙부를 통과하는 가열공기에 의해 폐전선 덩어리의 연질 피복을 소결시키도록 한 것이 특징인 폐전선의 동 회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 브레이커(6)는 상기 가소로에서 소결된 폐전선 덩어리의 경질 피복을 눌러서 파쇄하는 제1파쇄롤러(18);
    상기 제1파쇄롤러의 하단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1파쇄롤러에 의하여 1차로 파쇄된 폐전선 덩어리의 경질 피복을 2차 파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파쇄롤러(19);
    상기 제1 및 제2파쇄롤러의 일측에 설치되어서 투입되는 폐전선 덩어리의 크기에 따라 파쇄롤러들의 간격을 적정압이 유지되도록 자동 조정하는 조정구(20); 및
    상기 파쇄롤러들에 의하여 파쇄된 경질 피복만을 에어로 불어서 동선과 분리시키는 에어슈팅기(21)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 특징인 폐전선의 동 회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 스크레퍼(7)는 회전드럼(22)의 내부에 다수의 체인이나 패들(23)을 설치하여서 상기 롤 브레이커(6)에서 경질 피복과 분리된 동선에 남아있는 잔존 피복을 탈리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인 폐전선의 동 회수장치.
KR2020010001566U 2001-01-19 2001-01-19 폐전선의 동 회수장치 KR2002284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566U KR200228495Y1 (ko) 2001-01-19 2001-01-19 폐전선의 동 회수장치
PCT/KR2002/000071 WO2002058081A1 (en) 2001-01-19 2002-01-17 Device for recovering copper from waste electric lin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566U KR200228495Y1 (ko) 2001-01-19 2001-01-19 폐전선의 동 회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8495Y1 true KR200228495Y1 (ko) 2001-06-15

Family

ID=19704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1566U KR200228495Y1 (ko) 2001-01-19 2001-01-19 폐전선의 동 회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228495Y1 (ko)
WO (1) WO200205808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666B1 (ko) * 2002-04-30 2004-07-14 김경두 폐전선이 분쇄 탈피된 금속분쇄물에서 철분소재와 비철소재의 분리장치
KR100704553B1 (ko) * 2005-11-12 2007-04-06 안승학 젤리충전 통신선 차핑방법 및 차핑기
KR100704552B1 (ko) * 2005-11-12 2007-04-06 안승학 변압기 동선 차핑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01386B (zh) * 2017-01-04 2018-01-30 新昌县勤勉贸易有限公司 一种废镀锡铜米的回收方法
CN110883045A (zh) * 2019-10-11 2020-03-17 澳红国千环境工程技术(肇庆)有限公司 一种固体废弃物中重金属垃圾收集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5336A (ja) * 1984-01-10 1985-07-3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銅の回収方法及びその装置
JPH10128149A (ja) * 1996-10-29 1998-05-19 Furukawa Electric Co Ltd:The 残渣分離装置
KR100353255B1 (ko) * 1999-06-15 2002-09-18 한국기계연구원 폐전선의 동회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666B1 (ko) * 2002-04-30 2004-07-14 김경두 폐전선이 분쇄 탈피된 금속분쇄물에서 철분소재와 비철소재의 분리장치
KR100704553B1 (ko) * 2005-11-12 2007-04-06 안승학 젤리충전 통신선 차핑방법 및 차핑기
KR100704552B1 (ko) * 2005-11-12 2007-04-06 안승학 변압기 동선 차핑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58081A1 (en) 200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17284B (zh) 一种废弃电路板有价资源的回收方法
KR200228495Y1 (ko) 폐전선의 동 회수장치
CN210667931U (zh) 一种旧线缆环保回收再利用装置
CN105268723A (zh) 造纸固体废弃物处理方法
CN106251991A (zh) 一种连续式漆包线脱漆方法及系统
TWI808273B (zh) 被覆電線之處理方法
CN105107816A (zh) 废旧电视机拆解方法及其设备
CN102303381A (zh) 一种用于垃圾塑料的免水洗回收方法及专用设备
KR100287790B1 (ko) 일반 폐기물을 이용한 고형 연료 제조 시스템
KR100383036B1 (ko) 쓰레기 처리시스템에 의해 선별된 쓰레기의 이용방법과 가연성 물질을 이용한 대체연료 제조방법
CN209997756U (zh) 一种用于筛选废旧电池中黑粉的装置
CN103489538A (zh) 一种废旧电线电缆回收设备
JP3518375B2 (ja) プラスチック系廃棄物からなる造粒合成樹脂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103336A (ja) 化学原料用廃棄プラスチック粒状化物の成形方法
JP2001232637A (ja) 化学原料用廃棄プラスチック粒状化物の成形方法、および、成形装置
CN104637631A (zh) 一种从废旧电缆中回收铜丝的装置
KR102318626B1 (ko) 폐비닐 재활용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재활용품
CN212511164U (zh) 一种垃圾分选破碎处理系统
JP7459447B2 (ja) 被覆電線の処理方法と処理設備
KR101178353B1 (ko) 고철 및 비철과 합성수지를 분리하는 장치
JP4786618B2 (ja) 廃タイヤ処理装置
KR20130104083A (ko) 폐전선의 폴리프로필렌(pp)과 폴리에틸렌(pe) 피복재 재활용 시스템
CN202720973U (zh) 干式铜米生产线
KR20220083908A (ko) 폐 플라스틱 재활용을 위한 압출장치
KR20020034653A (ko) 폐비닐의 재생방법 및 폐비닐 펠렛 성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