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9666B1 - 폐전선이 분쇄 탈피된 금속분쇄물에서 철분소재와 비철소재의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폐전선이 분쇄 탈피된 금속분쇄물에서 철분소재와 비철소재의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9666B1
KR100439666B1 KR10-2002-0023713A KR20020023713A KR100439666B1 KR 100439666 B1 KR100439666 B1 KR 100439666B1 KR 20020023713 A KR20020023713 A KR 20020023713A KR 100439666 B1 KR100439666 B1 KR 100439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iron material
metal
conveying
convey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3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3491A (ko
Inventor
김경두
Original Assignee
김경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두 filed Critical 김경두
Priority to KR10-2002-0023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9666B1/ko
Publication of KR20020043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3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9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96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전선이 분쇄 탈피된 금속 분쇄물에서 철분소재와 비철소재의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며 폐전선이 세절 또는 분쇄되어 피복물과 금속분쇄물을 1차 분리하고 1차 분리된 금속분쇄물에 함유하는 철분소재를 효율적으로 분리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금속 분쇄물 이송장치의 상부에는 철분소재 접착판과 영구자석을 구비하고 금속분쇄물 이송장치와 대각으로 철분소재 이송장치를 구비하여서 된 구성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폐전선이 세절 또는 분쇄되어 피복물과 금속분쇄물을 1차 분리하고 분리된 금속분쇄물에서 철분소재와 비철(동, 알미늄)소재를 고능률적으로 분리하여 분리된 소재의 순도가 높고 품질이 우수하여 산업자원 소재로 널리 이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폐전선이 분쇄 탈피된 금속분쇄물에서 철분소재와 비철소재의 분리장치 { The equipment separating iron and non-iron at pulverization cast off and pulverized an waste electric wire }
본 발명은 폐전선이 분쇄 탈피된 금속분쇄물에서 철분소재와 비철소재의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며 폐전선을 절단 또는 분쇄하여 금속분쇄물과 합성수지재 피복물을 1차 분리하고 1차 분리된 금속분쇄물에서 철분소재와 비철(동 또는 알미늄)소재를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폐전선류에는 동선과 철선, 알미늄 선재에 합성수지재가 피복되어져 상품화 되거나 여러소재의 전선류가 수지재 피복물로 피복이 이루어져 케이블로 구성되는 등 다양한 전선류가 제조되어 사용되고 있고, 이들 전선류는 사용이 완료되어 폐기되면 폐전선류는 다양한 방법으로 수거되어져 2~3mm의 길이로 세절 또는 분쇄되어 수지재 피복물과 금속분쇄물을 1차 분리하여 각 소재를 산업자원소재로 각각 재사용하게 된다.
이 때 폐전선류는 자원소재로 재활용하기 위하여 동선과 철선 또는 알미늄등을 인력으로 선별한 다음 이를 세절 또는 분쇄하고 금속분쇄물과 피복물소재로 분리하여 산업자원으로 이용하게 되므로 선별작업이 비능률적인 결점이 있고, 선별 작업없이 세절 또는 분쇄하게 될 경우 작업능률은 향상되는데 반하여 금속분쇄물에는 동과 철 및 알미늄의 소재가 혼재하게 되므로서 소재의 순도가 떨어지고 품질이 저하되는 결점이 있다.또 일본국 특개 2001-283661호 폐전선 재활용시스템은 폐전선 -> 세절 -> 냉동 -> 분쇄 -> 선별(1차) -> 선별(2차)하는 공정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수단으로 1차선별은 코로나방전식, 와전류식, 비중차이식 중에서 선택 사용하며, 1차선별된 소재중에서 피복물은 피복재끼리 접촉 마찰시켜 재질에 맞는 극성의 전하를 부여하는 마찰대전장치와 여기에서 전하가 부여된 피복재에 정전장을 통과시켜 재질별로 2차 선별하는 장치로서 이는 고도의 기술이 부여되는 것이어서 실용화에 어려운 결점이 있고, 또 국내 실용신안등록제228495호 폐전선의 동 회수장치는 호퍼 -> 압출절단 -> 이송 -> 가소로에서 피복물 경화 -> 롤브레이크에서 1차분리 -> 체인스크레퍼에서 2차분리 -> 로타리크리너 -> 마그네틱 세퍼레이터로 회수되는 수단이고 동 수단은 자동으로 이루어지기는 하나 여기에서 피복물을 경과시킨 폐전선을 브레이커와 페인스크레퍼를 통과시키고 일정한 메쉬를 갖는 메쉬스크류에서 에어로 불어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로터리크리너를 통과시킨 다음 동선에 철등의 불순물과 금속성분을 마그네틱 세퍼레이터에서 자착 제거하는 수단으로 동과 철성분을 분리하는 것이나 이는 피복물의 경화과정에서 유해가스와 분진의 발생이 많고 특히 피복물의 경화과정에서 피복물이 동 또는 철에 접착되어 이탈되지 못하여 분리되지 못하는 불량이 많고, 동과 철성분이 포함된 소재를 마그네틱 세퍼레이터에서 철성분의 제거가 원활하지 못하는 결점과 처리과정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어 실용화되지 못하는 폐단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제반결점을 해소하고 폐전선류를 소재의 선별작업없이 세절 또는 분쇄하여 금속분쇄물과 합성수지재 피복물을 1차 분리하고, 1차 분리한 금속분쇄물에서 철분소재와 비철소재(동과 알미늄)로 2차 분리하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금속분쇄물에서 철분소재와 비철소재의 분리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서 철분소재와 비철소재가 혼합된 금속분쇄물의 이송장치를 보인 종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서 분리된 철분소재의 이송장치를 보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금속소재의 분쇄물 이송장치 2 : 영구자석
3 : 철분소재 접착판 4 : 철분소재 이송장치
10 : 금속분쇄물 이송장치 본체 11 : 호퍼
12,12a : 이송축 13 : 이송벨트
14 : 구동모터 20 : 철분소재이송장치 본체
21,21a : 회전축 22,22a : 스프라켓
23.23a : 체인 24 : 지지대
25 : 이송판 26 : 구동모터
27 : 벨트
본 발명은 도1에서와 같이 통상의 금속분쇄물 이송장치(1)위에 영구자석(2)을 구비하고 영구자석 저부에는 철분소재 접착판(3)을 구비하며 철분소재 접착판(3) 저부에는 금속분쇄물 이송장치(1)와는 대각으로 철분소재 이송장치(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 금속분쇄물 이송장치(1)는 통상과 같이 금속분쇄물 이송장치 본체(10) 상부에는 호퍼(11)를 구비하고 그 하방의 본체(10) 전후에 구성된 이송축(12)(12a)에는 이송벨트(13)로 연결하고 이송축(12)에는 구동모터(14)를 연결하여 구성되며, 철분소재 이송장치(4)는 금속분쇄물 이송장치(1)와는 대각으로 위치되도록 이송벨트(13)의 상부에 위치시킨 철분소재이송장치 본체(20)에는 한쌍의 체인(23)(23a)을 구동시키는 스프라켓(22)(22a)이 구비된 회전축(21)(21a)을 전후에 구비하고 체인(23)(23a) 간에는 일정간격으로 지지대(24)와 이송판(25)을 결합하고 일방의 회전축(21)에는 구동모터(26)와 벨트(27)로 연결하여 구성된다.
또 영구자석(2)을 이용한 철분소재 접착판(3)은 철분소재이송장치 본체(20)의 중앙지점에 영구자석(2)을 지지대(30)로 지지시켜 볼트(31)로 결합하고 철분소재 이송장치(4)의 이송판(25)은 철분소재 접착판(3)에 닿을 수 있도록 철분소재이송장치 본체(20)에 결합 구성한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50은 철분소재 수납상자, 60은 비철(동,알미늄)소재 수납상자, 70,71은 텐션조절장치, 90은 철분소재와 비철소재가 혼합된 금속분쇄물, 91은 철분소재, 92는 비철소재, 100은 지주, 110,120은 안내판을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거된 각종의 폐전선류를 2~3mm의 규격으로 세절하거나 분쇄하여 1차 합성수지재 피복물과 금속분쇄물을 1차 분리하고, 분리된 금속분쇄물에는 철분소재와 동 또는 알미늄이 혼재하게 되므로 이를 본 발명의 철분소재와 비철소재의 분리장치에서 철분소재와 비철소재(동, 알미늄)로 분리하게 된다.즉, 금속분쇄물 이송장치(1)의 구동모터(14)와 철분소재 이송장치(4)의 구동모터(26)를 구동시키고, 철분소재와 비철소재가 혼합된 금속분쇄물(90)을 호퍼(80)에 수납시키게 되면 호퍼(11) 하방의 출구로 금속분쇄물(90)이 이송벨트(13) 위에 낙하되고 구동모터(14)의 구동으로 이송축(12)과 이송밸트(13)가 회전되면서 이송밸트(13)의 위에 낙하된 금속분쇄물(90)은 영구자석(2) 지점을 통과하면서 이송밸트(13) 위의 금속분쇄물(90)에 함유되는 철분소재는 영구자석(2)의 자력에 의해서 철분소재 접착판(3)으로 접착이 이루어지고 비철(동, 알미늄)소재는 이송밸트(13)를 타고 이송되어 안내판(110)으로 낙하되어 비철수납상자(60)로 수납된다.
한편 철분소재 접착판(3)에 접착된 철분소재는 철분소재 이송장치(4)의 구동모터(26) 회전으로 벨트(27)가 회전축(21)을 구동시키게 되고, 동 회전축(21)의 회전으로 스프라켓(22)(22a)이 회전하여 체인(23)(23a)이 회전되면서 좌우 체인(23)(23a)간에 연결된 지지대(24)와 이송판(25)이 영구자석(2) 저부에 위치하는 철분소재 접착판(3)에 닿아 철분소재 접착판(3)에 붙은 철분소재를 밀어서 이동시키게 되면 영구자석(2)의 자력을 벗어나는 지점에서 철분소재는 자중에 의해 안내판(120)으로 낙하되고 철분소재 수납상자(50)에 수납되는 것이다.
이 때 철분소재 접착판(3)에 접착된 철분소재는 이송판(25)의 이동으로 철분소재 접착판(3)을 타고 밀려나오면서 이탈되어 이송벨트(13) 위로 낙하됨을 우려할 수 있으나 영구자석(2)이 위치한 지점까지는 자력을 갖게 되어 철분소재는 철분소재 접착판(3)에서 다른 위치로 이탈되는 요인은 없게 된다.
또 본 발명은 사용과정에서 금속분쇄물 이송장치(1)의 이송벨트(13)와 철분소재 이송장치(4)의 체인(23)(23a)의 탄력변화시에는 텐션조절장치(70)(71)를 이용하여 텐션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다양한 방법으로 수거된 폐전선류를 금속 소재에 따라 인력으로 선별하는 작업 없이 세절하거나 분쇄하여 합성수지재 피복물과 분쇄물을 1차 분리하고, 1차 분리된 금속분쇄물을 본 발명에서 철분소재와 비철소재(동, 알미늄)로 2차 분리하여 자원 소재로 각각 활용할 수 있게 되므로 분리된 소재는 순도가 높고 고품질이어서 산업자원으로 재활용 가치가 높아지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폐전선을 소재에 따른 선별 없이 세절 또는 분쇄하여 금속분쇄물과 합성수지재 피복물을 1차 분리하고, 1차 분리된 금속분쇄물에 함유하는 철분소재는 다시 분리하게 되므로서 분리된 각 금속류의 순도가 높아 품질이 우수하여 고품질의 산업자원소재로 재활용할 수 있는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금속분쇄물 이송장치 본체(10) 상부에는 호퍼(11)를 구비하고 그 하방의 본체(10) 전후에 구성된 이송축(12)(12a)에는 이송벨트(13)로 연결하고 이송축(12)에는 구동모터(14)를 연결하여 구성하는 통상의 금속분쇄물 이송장치(1)에 있어서, 통상의 금속분쇄물 이송장치(1) 위에 영구자석(2)을 구비하고, 영구자석(2) 저부에는 철분소재 접착판(3)을 구비하여 철분소재 접착판(3) 저부에는 금속분쇄물 이송장치(1)와 대각으로 철분소재 이송장치(4)를 구비하여 구성하며,
    철분소재 이송장치(4)는 금속분쇄물 이송장치(1)와는 대각으로 위치되도록 이송벨트(13) 상부에 위치시킨 철분소재 이송장치본체(20)에는 한쌍의 체인(23)(23a)을 구동시키는 스프라켓(22)(22a)이 구비된 회전축(21)(21a)을 전후에 구비하고 체인(23)(23a) 간에는 일정간격으로 지지대(24)와 이송판(25)을 결합하고, 또 영구자석(2)을 이용한 철분소재 접착판(3)은 철분소재 이송장치본체(20)의 중앙지점에 영구자석(2)을 지지대(30)로 지지시켜 볼트(31)로 결합하고 철분소재 이송장치(4)의 이송판(25)과 접촉되는 지점에 철분소재 접착판(3)이 위치되도록 철분소재이송장치 본체(20)에 결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폐전선이 탈피 분쇄된 금속분쇄물에서 철분소재와 비철소재의 분리장치
KR10-2002-0023713A 2002-04-30 2002-04-30 폐전선이 분쇄 탈피된 금속분쇄물에서 철분소재와 비철소재의 분리장치 KR100439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3713A KR100439666B1 (ko) 2002-04-30 2002-04-30 폐전선이 분쇄 탈피된 금속분쇄물에서 철분소재와 비철소재의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3713A KR100439666B1 (ko) 2002-04-30 2002-04-30 폐전선이 분쇄 탈피된 금속분쇄물에서 철분소재와 비철소재의 분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150U Division KR200282884Y1 (ko) 2002-04-30 2002-04-30 폐전선이 분쇄 탈피된 금속분쇄물에서 철과 비철의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3491A KR20020043491A (ko) 2002-06-10
KR100439666B1 true KR100439666B1 (ko) 2004-07-14

Family

ID=27726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3713A KR100439666B1 (ko) 2002-04-30 2002-04-30 폐전선이 분쇄 탈피된 금속분쇄물에서 철분소재와 비철소재의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96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91768B (zh) * 2011-02-22 2012-07-11 湖北工业大学 皮带扣压铸件分离机
CN104821213B (zh) * 2015-05-04 2016-09-14 安徽理工大学 一种高压水射流回收废旧电线电缆装置
CN110233007B (zh) * 2019-07-16 2020-10-09 江西博能上饶线材有限公司 一种漆包线生产用废线去皮装置
CN111081432B (zh) * 2019-11-22 2021-05-04 南京飞勒克工业设备有限公司 一种全自动剥线机送线压紧机构及作业方法
CN112582112B (zh) * 2020-11-23 2022-09-06 国网新疆电力有限公司博尔塔拉供电公司 一种安全阻燃的电缆材料粉碎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1117A (ko) * 1987-06-22 1989-03-18 원본미기재 전기 케이블로 부터 비철금속을 분리 수거하는 방법 및 장치
KR960032512A (ko) * 1995-02-17 1996-09-17 권용락 전선피복과 피복내부의 금속(알루미늄 또는 구리선) 분리장치
KR200228495Y1 (ko) * 2001-01-19 2001-06-15 유영수 폐전선의 동 회수장치
JP2001184959A (ja) * 1999-12-28 2001-07-06 Nippon Magnetic Dressing Co Ltd 廃電線から銅材を分離回収する方法
JP2001283661A (ja) * 2000-03-31 2001-10-12 Hitachi Zosen Corp 廃電線リサイクル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1117A (ko) * 1987-06-22 1989-03-18 원본미기재 전기 케이블로 부터 비철금속을 분리 수거하는 방법 및 장치
KR960032512A (ko) * 1995-02-17 1996-09-17 권용락 전선피복과 피복내부의 금속(알루미늄 또는 구리선) 분리장치
JP2001184959A (ja) * 1999-12-28 2001-07-06 Nippon Magnetic Dressing Co Ltd 廃電線から銅材を分離回収する方法
JP2001283661A (ja) * 2000-03-31 2001-10-12 Hitachi Zosen Corp 廃電線リサイクルシステム
KR200228495Y1 (ko) * 2001-01-19 2001-06-15 유영수 폐전선의 동 회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3491A (ko) 2002-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34663C (en) Process and device for separation of all non-magnetic particles from a conglomerate of metal scrap in order to achieve pure iron scrap
CN102962244A (zh) 废旧pcb板破碎分选系统
KR101260026B1 (ko) 파분쇄 및 선별을 이용한 고철 폐기물 재생 장치
JPH11197530A (ja) 破砕不適物を含む廃棄物の破砕分別処理システム
EP1490182B1 (en) Method for separating adhered paper from paper-covered gypsum board
KR100439666B1 (ko) 폐전선이 분쇄 탈피된 금속분쇄물에서 철분소재와 비철소재의 분리장치
JPH0691197A (ja) 廃棄物の金属選別回収装置
KR100307933B1 (ko) 폐전선 및 폐통신케이블의 분리가공방법
JP3579883B2 (ja) 廃家電製品の処理装置
JP2007260498A (ja) 非磁性金属含有プラスチックの静電分離装置及び静電分離システム並びに静電分離方法
CA3026736A1 (en) Method for recycling electronic materials, products and components thereof, and end products produced therefrom
GB1196838A (en) An Improv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mponents of Insulated Cable or Wire Scrap.
CN210029112U (zh) 一种废旧铅酸电池处理用碎料输送装置
JPH08131953A (ja) 廃棄物の分離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5193095A (ja) 非鉄金属(特にアルミニウム)とプラスチック(特にポリ塩化ビニル)の選別回収装置及びその方法
CN212820386U (zh) 大件垃圾自动化破碎分离处理装置
CN109772511B (zh) 用于对废钢回收处理的设备
CN103100557A (zh) 固态废旧金属分选设备
KR200282884Y1 (ko) 폐전선이 분쇄 탈피된 금속분쇄물에서 철과 비철의분리장치
US20200108399A1 (en) Method for Recycling Electronic Materials, Products and Components Thereof, and End Products Produced Thereby
JP2005013828A (ja) 磁力選別機
JP2000037664A (ja) 金属含有混合物からの金属回収方法および装置
JPH1024282A (ja) 廃棄物焼却灰及びシュレッターダストに含まれる細粒非鉄金属等の回収方法
JP2019055407A (ja) 焼却灰からの貴金属回収方法及び装置
CN109701743B (zh) 可对物料进行分拣并除尘的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