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8393Y1 - 파이트 게임용 풋키 - Google Patents

파이트 게임용 풋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8393Y1
KR200228393Y1 KR2020000002209U KR20000002209U KR200228393Y1 KR 200228393 Y1 KR200228393 Y1 KR 200228393Y1 KR 2020000002209 U KR2020000002209 U KR 2020000002209U KR 20000002209 U KR20000002209 U KR 20000002209U KR 200228393 Y1 KR200228393 Y1 KR 2002283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game
foot
switch
f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22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현
Original Assignee
최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광현 filed Critical 최광현
Priority to KR20200000022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83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83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8393Y1/ko

Links

Landscapes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이트(Fight) 게임용 풋키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파이트 시뮬레이션 게임을 즐기기 위해 조작하는 조작키를 발 동작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스트레스 해소는 물론 운동효과까지 누릴 수 있어 체력증진에 도움을 주는 풋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파이트 시뮬레이션 게임을 발 동작으로 즐길 수 있도록 몸체 상측에 고무판과 디딤판을 형성하되, 상기 디딤판에는 전.후.좌.우로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패널과 손 공격 패널, 발 공격 패널, 방어 패널, 점프 패널을 형성하고, 몸체 내부에는 각 패널을 감지하는 스위치와 램프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협소한 장소에서도 설치 사용이 가능하며,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해당 패널을 밟으려면 신체 구조상 온몸을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게임자가 실제 격투를 하는 듯한 느낌을 주어 게임을 즐기는데 있어서 즐겁게 몰입할 수 있게 되므로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을 주고, 전신을 움직이는 것에 따른 운동효과까지 누릴 수 있어, 시간적 공간적 제약으로 인해 스트레스는 많고 운동량은 극히 부족한 현대인들에게 스트레스 해소와 체력증진의 기회를 제공하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foot key of fight game machine}
본 고안은 파이트(Fight) 게임용 풋키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격투게임을 할 때 게임자가 실제 격투경기를 하는 듯한 몰입감을 주어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전신을 움직일 수 있어 운동효과도 주는 풋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트 시뮬레이션 게임은 모니터에 출력되는 여러 캐릭터 중 어느 한 캐릭터를 선택하고, 이후 게임자가 선택한 캐릭터와 격투할 상대 캐릭터를 선택한 다음, 조작키를 조작하여 게임자가 선택한 캐릭터의 움직임을 지시하며 상대 캐릭터와 격투를 하는 게임이다.
즉, 상기와 같은 파이트 시뮬레이션 게임의 조작키는 모니터의 하측에 캐릭터의 동작을 지시하기 위한 키보드를 형성하여 구비하거나 또는 방향전환용 스틱과 공격, 방어 등의 기능버튼을 형성하여 구비하였는데, 게임자가 모니터 앞에 앉은 자세에서 손으로 상기 조작키를 조작하며 선택한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작키는 신체의 다른 부분은 거의 사용을 안하고 오직 손동작에 의해서만 조작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팔을 움직여야 하는 때도 있으나, 이 경우는 극히 미미하며 그 움직임의 폭도 적음), 게임을 즐기는 동안 정신적인 스트레스는 해소할 수 있을지는 몰라도 신체적인 면에서는 오히려 움직임을 둔화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한 것이 못되었다.
즉, 편안한 자세로 앉은 상태에서는 조작키를 조작하기가 불편하기 때문에 게임을 즐기기 위해서는 엉덩이만 걸친 상태인 구부정한 상태가 될 수밖에 없고, 운동량이 극히 부족한 현대인들이 상기와 같은 자세로 신체의 다른 부분에 대한 움직임 없이 손만을 움직이며 게임을 즐기다 보면 어깨가 결리거나 통증이 오게되어 심한 경우에는 전문적인 치료를 요하는 경우까지 초래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게임은 성인보다는 청소년들이 많이 즐기는 놀이인데, 상기와 같은 자세로 자주 그리고 오래동안 있게 되면 성장기인 청소년들의 신체 골격구조가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못하고 기형화 되는 현상까지 초래될 우려가 있어 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파이트 시뮬레이션 게임을 즐기기 위해 조작하는 조작키를 발 동작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스트레스 해소는 물론 운동효과까지 누릴 수 있어 체력증진에 도움을 주는 파이트 게임용 풋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파이트 게임을 발 동작으로 즐길 수 있도록 몸체 상측에 고무판과 디딤판을 형성하되, 상기 디딤판에는 전.후.좌.우로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패널과 손 공격 패널, 발 공격 패널, 방어 패널, 점프 패널을 형성하고, 몸체 내부에는 각 패널을 감지하는 스위치와 램프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풋키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풋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풋키의 조작으로 진행되는 파이트 시뮬레이션 게임 제어장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인 풋키의 조작으로 진행되는 파이트 시뮬레이션 게임 진행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풋키 11 : 디딤판 12 ; 몸체
13 ; 고무판 14 : 방향전환 패널 15 : 손 공격 패널
16 : 발 공격 패널 17 ; 점프 패널 18 : 방어 패널
19,23,26 : 스위치 20 : 램프 21,24 : 봉
22 : 킥부 25 : 펀치부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풋키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몸체(12)의 상측에 고무판(13)과 디딤판(11)을 차례로 결합하여 형성하되, 상기 디딤판(11)에는 전.후.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방향전환 패널(14)과 손 공격 패널(15), 발 공격 패널(16), 점프 패널(17), 방어 패널(18)을 형성하며, 상기 고무판(13)과 각 패널(14,15,16,17,18)은 투명재질로 한다.
또한, 몸체(12)의 내부에는 상기 디딤판(11)에 형성한 각 패널(14,15,16,17, 8)을 게임자가 밟았을 때 이를 감지하는 스위치(19)와 점등되는 램프(20)를 형성하는데, 이 스위치(19)와 램프(20)는 여러 패널(14,15,16,17,18)을 하나의 스위치(19)와 램프(20)로서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각각의 패널(14,15,16,17,18)을 담당하는 각각의 스위치(19)와 램프(20)를 설치하여 독립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각각의 패널(14,15,16,17,18) 밑에는 고무판(13)이 위치하고, 바로 그 아래에 스위치(19)와 램프(20)를 각각 형성한다.
한편, 첨부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풋키(1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기본 구성은 본 고안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본 다른 실시예에서는 현실감을 가미하여 게임의 몰입감을 증대시키고자 한 것인데, 이와 같은 다른 실시예의 구성은 상기 풋키(10)의 디딤판(11) 일측 즉, 공격 패널이 있는 측의 선단에 봉(21)을 설치하고 상기 봉(21)의 일측에 스위치가 내장된 킥부(22)를 형성하되, 상기 킥부(22)는 쿠션재로 한다.
또한, 상기 디딤판(11)의 양측 선단에는 봉(24)을 설치하고 상기 봉(24)의 선단에 스위치(26)가 내장되며 쿠션재로 되는 펀치부(25)를 형성한다.
상기에 있어서, 킥부(22)와 펀치부(25)는 각각 발로 차고 손으로 치기에 적합한 높이로 형성 구비한다.
첨부한 도면 중 도 3은 본 고안인 풋키(10)의 조작으로 진행되는 파이트 시뮬레이션 게임 제어장치 블록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인 풋키(10)의 조작으로 진행되는 파이트 시뮬레이션 게임 진행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면 도 3의 블록 구성도 및 도 4의 플로우 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본 고안에 의한 풋키(10)가 설치된 게임 기기에 게임 요금에 해당하는 만큼의 동전을 넣으면 과금처리부(106)에서 이를 감지하고 그 신호를 3D 메인 보드(102)로 보낸다.
상기 신호를 받은 3D 메인 보드(102)에서는 정당한 요금이 지불되었는지를 판정하고, 그 결과 정당한 요금이 지불되었으면 모니터(118)에 게임을 1인이 할 것인가 또는 2인이 할 것인가의 여부와, 여러 캐릭터중 어떤 캐릭터를 선택하여 게임을 즐길 것이며 상대 캐릭터로는 어떤 캐릭터를 선택할 것인지를 묻는 출력을 하게 되고, 게임자는 상기 모니터(118)에 출력된 요구사항 중 자신이 원하는 사항을 선택 스위치(111,112)를 조작하여 선택한다.
상기와 같이 게임자가 선택 스위치(111,112)를 조작하면 그 신호는 메인 콘트롤 보드(101)를 통해 3D 메인 보드(102)로 전해지게 되며, 3D 메인 보드(102)에서는 게임자가 선택한 캐릭터를 모니터(118)에 출력시켜 게임이 게임이 시작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모니터(118)에 두 캐릭터가 출력되면 게임이 시작되는데, 1인이 게임을 할 경우에는 게임자 1인이 풋키(10)에 올라가 여러 패널(14,15,16,17,18)을 밟으며 자신이 선택한 캐릭터의 동작을 조정하고, 상대 캐릭터는 프로그램에 따라 게임자가 제어하는 캐릭터의 동작에 대응하여 공격과 방어동작을 취하며 격투를 하는 것이다.
또한, 2인이 게임을 즐길 경우에는 게임자가 각각 캐릭터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캐릭터가 모니터(118)에 출력되면 게임자가 서로 다른 풋키(10)에 각각 올라가 여러 패널(14,15,16,17,18)을 밟으며 각자가 선택한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며 격투를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게임자가 풋키(10)에 올라가 각 패널(14,15,16,17,18)을 선택에 따라 밟게 되면 그 패널(14,15,16,17,18) 밑에 있는 고무판(13)이 가압되면서 그 아래의 스위치(19)를 눌러 ON시키며, 상기 스위치가 ON되면 해당 램프(20)도 점등되어 패널(14,15,16,17,18)을 정확히 밟아 스위치가 ON되었음을 알리게 된다.
이후, 밟고 있던 패널(14,15,16,17,18)에서 발을 떼면 상기 고무판(13)은 탄성으로 인해 원위치되며, 그 결과 스위치(19)는 OFF되고 램프(20)도 소등된다.
또한, 도 1에서 도시한 스위치(19)는 도 3의 풋 스위치부(108)에 해당되는데, 상기 도 1의 스위치(19)가 ON 또는 OFF되면 도 3의 풋 스위치부(108)가 ON 또는 OFF되는 것이므로, 풋 스위치부(108)는 상기와 같은 신호를 풋키 콘트롤러(107)를 통해 3D 메인 보드(102)로 보내게 되고, 3D 메인 보드(102)에서는 상기 신호에 해당되는 캐릭터의 동작을 모니터(118)를 통해 출력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게임이 진행되면 음악 HDD(110) 및 효과음 플레이 보드(109)에서는 게임의 상황에 맞는 배경음악 신호 및 효과음 신호를 3D 메인 보드(102)를 통해 오디오 처리부(113)로 보내고, 이 오디오 처리부(113)에서는 상기 신호를 고출력 입체음향으로 증폭하여 출력하게 되는데, 이 증폭된 신호는 상.하.좌.우에 설치한 스피커 시스템(114,115,116,117)을 통해 출력되어 게임에 현실감을 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게임이 진행되는 동안에 모니터(118)에서는 캐릭터의 움직임과 함께 각 캐릭터의 공격과 방어에 따른 점수 및 에너지의 변화를 계속하여 출력하는데, 게임자가 제어하는 캐릭터의 점수가 60 이하이거나 에너지가 0이 되면 종료되고, 그 이상일 경우에는 계속하여 게임을 진행하며, 상기와 같은 게임의 모든 진행 과정은 3D 메인 보드(102)에 프로그램용 HDD(103)와 프로그램용 ROM(104) 및 프로그램용 RAM(105)을 연결하여 상기 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첨부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게임자가 게임을 즐기는데 있어서 더욱 현실감을 부여하기 위한 것인데, 발 공격과 손 공격을 하기 위해 해당 패널(15,16)을 밟지 않고 킥부(22)를 직접 발로 차거나 펀치부(25)를 손으로 쳐도 밟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킥부(22)와 펀치부(25)는 쿠션재로 되며 그 내부에 스위치(23,26)가 내장되어 있는데, 킥부(25)를 발로 차거나 펀치부(24)를 손으로 치면 차거나 치는 순간에 스위치(23,26)이 ON되고, 발 또는 손을 상기 킥부(22)와 펀치부(25)에서 떼면 스위치(23,26)가 OFF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23,26)가 ON, OFF되는 신호가 풋키 콘트롤러(107)를 통해 3D 메인 보드(102)로 전해지게 되어 모니터(108)로 출력되는 캐릭터의 동작은 해당 패널(15,16)을 밟을 때와 동일하게 움직이고, 게임자는 실제 격투를 하는 듯한 몰입감을 갖고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파이트 시뮬레이션 게임을 즐길 때 해당 캐릭터의 동작을 발 동작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협소한 장소에서도 설치 사용이 가능하며,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해당 패널을 밟으려면 신체 구조상 온몸을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게임자가 실제 격투를 하는 듯한 느낌을 주어 게임을 즐기는데 있어서 즐겁게 몰입할 수 있게 되므로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을 주고, 전신을 움직이는 것에 따른 운동효과까지 누릴 수 있어, 시간적 공간적 제약으로 인해 스트레스는 많고 운동량은 극히 부족한 현대인들에게 스트레스 해소와 체력증진의 기회를 제공하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시뮬레이션 게임을 발동작으로 즐길 수 있도록 몸체(12) 상측에 고무판(13)과 디딤판(11)을 형성하되, 상기 디딤판(11)에는 전.후.좌.우로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패널(14)과 손 공격 패널(15), 발 공격 패널(16), 방어 패널(18), 점프 패널(17)을 형성하고, 몸체(12) 내부에는 각 패널(14,15,16,17,18)을 감지하는 스위치(19)와 램프(20)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트 게임용 풋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딤판(11)의 일곳에 봉(21)을 형성하고 이 봉(21)의 일측에 스위치(23)가 내장된 킥부(22)를 형성하며, 상기 디딤판(11)의 양측에 봉(24)을 형성하고 이 봉(24)의 선단에 스위치(26)가 내장된 펀지부(25)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트 게임용 풋키.
KR2020000002209U 2000-01-27 2000-01-27 파이트 게임용 풋키 KR2002283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209U KR200228393Y1 (ko) 2000-01-27 2000-01-27 파이트 게임용 풋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209U KR200228393Y1 (ko) 2000-01-27 2000-01-27 파이트 게임용 풋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3657A Division KR20010034953A (ko) 2000-01-26 2000-01-26 파이트 게임용 풋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8393Y1 true KR200228393Y1 (ko) 2001-06-15

Family

ID=73056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2209U KR200228393Y1 (ko) 2000-01-27 2000-01-27 파이트 게임용 풋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839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6401B1 (ko) 게임 장치,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 정보 기억 매체, 게임배신 장치 및 게임 배신 방법
US20080286733A1 (en) Interactive Device For Video Games
US20050209066A1 (en) Martial Arts Exercise Device and Method
JP3677924B2 (ja) ビデオゲーム装置の表示方法及び制御方法
JPH09197951A (ja) 運動判定装置及び方法
GB2439553A (en) Video game control based on sensed gross body movements and a direction sensor
JP4141389B2 (ja) ゲーム装置及びゲームプログラム
JP2003519547A (ja) 感圧コントローラを利用したゲームを実行するコンピュータ、その使用方法及びその記録媒体
US20010016511A1 (en) Entertainment system, entertainment apparatus,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JP4688568B2 (ja)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ゲーム装置
JP2001246154A (ja) ゲーム装置、情報記憶媒体、ゲーム配信装置、ゲーム配信方法及びゲーム装置の制御方法
JP2002301267A (ja) 野球ゲームの制御方法、ゲーム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ゲーム装置
KR100829681B1 (ko) 볼 패들 게임 장치
JP3685829B2 (ja) 3次元ゲーム装置及び画像合成方法
KR200228393Y1 (ko) 파이트 게임용 풋키
JP3866603B2 (ja) 通信ゲームシステム及びゲームプログラム
KR20010034953A (ko) 파이트 게임용 풋키
JP2005312697A (ja)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ゲーム装置
JP3373951B2 (ja) ゲーム装置及びゲーム装置におけるゲームキャラクタ動作処理方法
KR20130100440A (ko) 타격 감지 기구를 이용한 게임 장치
JP2001129252A (ja) ゲーム装置
KR20100027311A (ko) 당구게임의 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JP2000237457A (ja) テレビゲーム装置
JP2001198356A (ja) ゲーム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記録媒体
JP3069287U (ja) ボ―ドバランスビデオゲ―ムシステムおよびボ―ド型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