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7767Y1 - 삭도 용 운반 캐리지 - Google Patents

삭도 용 운반 캐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7767Y1
KR200227767Y1 KR2020000037187U KR20000037187U KR200227767Y1 KR 200227767 Y1 KR200227767 Y1 KR 200227767Y1 KR 2020000037187 U KR2020000037187 U KR 2020000037187U KR 20000037187 U KR20000037187 U KR 20000037187U KR 200227767 Y1 KR200227767 Y1 KR 2002277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age
main body
transfer ring
fixing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71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흥
Original Assignee
이재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흥 filed Critical 이재흥
Priority to KR20200000371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7767Y1/ko
Priority to KR2020010007651U priority patent/KR2002362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77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7767Y1/ko

Links

Landscapes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두 지점 사이에 고정된 케이블을 타고 왕복하는 캐리지에 관련하여 본체의 변형을 방지하고 캐리지는 경사각도에 관계없이 항시 지면과 수직을 유지토록 하여 이동과 이송물건을 끌어올리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삭도 용 운반 캐리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산악 지에서 산림훼손을 방지하고 환경 친화적으로 포크레인등 건설장비 및 건설자재를 운반하는 삭도 공사용 캐리지가 권동 하중에 대하여 항시 변형을 방지하고 수평을 유지토록 하여 중량물 이송시 안전을 확보하고 제품의 내구연한을 개선시킬 수 있게된다.

Description

삭도 용 운반 캐리지{Transportation Carriage For Cable Way}
본 고안은 상, 하 두 지점 사이에 고정된 케이블을 타고 왕복 이송하는 캐리지에 관련된 것으로 전력계통설비에 필요한 송전선로 또는 산악지 건설 현장에서 건설용 자재를 운반하기 위한 삭도 용 캐리지로서 지금까지 사용된 캐리지는 첫째 당김 와이어 및 권양 와이어를 별도 사용한 방식, 둘쩨 당김 및 권양 와이어를 일체형으로 사용한 방식, 셋째 감속 활차를 이용 권양 하중을 작게 한 방식 등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권양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와이어를 감속 활차와 조합되게 하여 권동 하중을 경감시키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세부 내용으로는, 도1과 같이 본체중앙에 가이드 홈을 일직선으로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홈에 안내되는 중량 이송 축에 감속 활차의 중심 축이 삽입되게 하고 중심 축이 받힘 돌기에 받쳐지게 하여 중량 물을 권양 후 캐리지에 고정시키는 방식이 사용되어 왔으나 이에 대한 문제점으로는 캐리지 본체를 축 이송 방향으로 길게 절단하여 좌, 우 가 분리 되게 하고 분리된 하부를 고정하지 않아 일정기간 사용 시 또는 보관 부주의시 본체 변형이 발생되어 주요건설장비(포크레인 등)를 운반하는 장비특성상 변형으로 인한 사고 위험 및 내구성 저하 등이 불가피한 것이었다.
또한 캐리지 이동시 산 정상과 하부의 기울기가 15°이상 되어 고정케이블(1)이 동일한 각도로 경사 설치되었을 때 본체(9)가 무게중심에 의해 지상과 항시 수직을 이루어야하나 도1 의 가이드 롤라(5) 보다 앞에 설치된 캐리지 보조 롤라(8) 가 산 정상에 설치된 윈치에 의해 당겨지는 예인 케이블(6)의 인장 반력에 의해 본체(9)를 고정 힌지점(10) 기준 하여 시계 방향으로 들어올리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서 본체의 무게중심과 중량 물이 적재된 이 송환(7)의 무게중심이 상호 이탈되어 권양 및 권하시 이송환(7)이 본체 가이드 홈에 잘 맞지 않아 작업성이 매우 불편하고 위험하며, 단열식활차(13)를 중량물 권상용으로 사용시 하체를 무겁게 하여 무게중심이 이송환(7)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권상, 권하시 이송환이 항시 수직을 유지토록 하여야 하나 현 사용중인 이송환의 하부중량은 적고 단순하여 권상, 권하시 좌, 우로 기울어지는 등 산악지 작업에서 작업 안정성을 저하시켜 작업원 들에게 많은 불안감을 주고 있는 현실이다.
본 고안은 중량물을 쉽게 권상, 권하, 이동시키기 위한 삭도용 캐리지를 중량물로 인한 변형 방지 및 사용 편의성을 증진하여 건설현장의 작업안정성을 증대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장비에 대한 내구성을 증진하여 공사 안전도를 높이고 공사원가 절감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상, 하부에 고정 설치된 케이블에 지지롤라 및 주빔 등에 의해 왕복 이송하는 캐리지에 있어서
중량물 이 고정되는 본체(9)를 두 개의 평판으로 구성하고, 중량물을 권상용 이송환(7)이 권상후 상단부 좌, 우측에 설치된 지지판에 의해 본체(9) 측면부 에 설치된 받힘돌기(11)에 의해 받혀지게 하여 권상용 이송환(7)을 안착되게 고정시킴으로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캐리지의 일실시 예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캐리지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캐리지에 의한 권양상태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고정구의 고정 및 해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 고정케이블 4. 주빔
5. 가이드롤라 6. 예인케이블
7. 이송환 9. 본체
11. 받힘돌기 17. 탄지스프링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3 과 같이 고정케이블(1)에 롤러 고정판(3) 과 로프 가이드 롤라(2) 가 끼워지고 롤라 고정판(3) 하부에 주빔(4) 과 본체(9) 가 끼워지게 구성된 케리지 에 있어서 예인 케이블(6)이 이송환(7) 과 가이드 롤라(5)를 조합되게 하여 권양이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체(9)를 두 개의 평판이 겹쳐지게 설치, 구성하고 본체(9) 사이로 이송환(7)이 권양시 삽입되도록 하되 본체(9) 하부는 외향으로 갈수록 넓게 형성되어 이송환(7) 이 쉽게 삽입 될 수 있도록 한다.
두 개의 판으로 구성된 본체(9) 의 하단부 좌, 우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 롤라(18) 에 의해 본체(9) 및 이송환(7)이 편심시 이송환(7) 이 쉽게 본체(9) 내부에 삽입 될 수 있도록 안내 역할을 하고, 본체(9)의 좌, 우 비틀림 및 외력으로 인한 변형을 방지하는 고정핀(21)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송환(7)은 하부는 길고 굵게 하여 활차(14) 하단부에 무게중심이 위치하게 하여 경량물 이송 또는 권양시도 이송환(7)이 항시 수직을 유지하여 안정감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캐리지 보조롤라(8)는 주빔(4)과의 안내 기능만 수행하고 가이드롤라(5)의 케이블 이탈방지용 롤라(16)는 가이드롤라(5) 내측에 설치하여 예인케이블(6) 인장반력으로인한 본체(9)의 이동을 방지하여 본체(9)는 고정케이블(1)의 경사도에 관계없이 항시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한다.
이에 대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과정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중량물을 이송환(7) 하부의 걸림 구멍(19)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산 정상에서 윈치로서 예인케이블(6)을 당기면 하부에 고정된 주빔(4)의 케이블 걸림쇠(23)가 별도의 고정 쇠에 고정되어 브레이크 역할을 수행하고 이송환(7)은 권양을 하게된다.
이송환(7)이 본체 내부에 삽입시 이송환(7) 상부의 걸림턱(22)에 의해 본체 내부에설치된 받힘돌기(11) 가 들어지게 되고 이송환이 완전 삽입 후 받힘돌기(11)는 탄지스프링(17)에 의해 원위치에 탄지 되게되어 이송환(7)의 권하 방지 및 고정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다.
권상 작업이 완료된 후 케이블 걸림쇠(23)에 고정된 브레이크를 해체하고 산정상의 윈치로 예인케이블을 당기면 캐리지는 산 정상으로 이동하게된다.
본 고안은 산악지 건설현장에서 산림 훼손 없이 각종 건설장비(포크레인 등) 및 건설 자재 등의 운반 및 이동에 사용되는 삭도용 캐리지를 각종 하중조건 및 보관상태 등에 관계없이 항시 견고하게 변형을 방지하고,
산악지 경사의 높고 낮음 에 관계없이 고정케이블(1)을 레일로 사용하여 이동하는 캐리지와 권양된 중량물 또는 적재되지 않은 이송환이 항시 무게중심이 일치되어 고정케이블(1)로부터 이탈 또는 탈선되지 않고 장비 및 자재 상하차시 안정성을 향상시켜 건설현장의 안전확보 및 제품의 내구연한을 개선시킬 수 있게된다.

Claims (1)

  1. 고정케이블(1)에 로프 가이드롤라(2)와 롤라 고정판(3) 등이 끼워지고 주빔(4) 몸체와 연결핀으로 고정되어 본체(9)와 이송환(7)등으로 구성된 삭도 공사용 캐리지에 있어서
    본체(9) 측면의 평판에 동시 또는 개별 작동되는 받침돌기(11)와 받힘돌기(11)가 탄지 되도록 한 스프링(17)이 설치되고 본체(9) 하부는 외향으로 갈수록 내폭이 넓게 형성되며,
    본체(9) 하부 좌, 우측은 내부에 2개의 본체(9) 판을 고정하는 고정핀(18)과 고정핀 외부에는 회전 또는 고정된 안내롤라(21)가 설치되는 한편,
    2개의 평판사이로 삽입되는 이송환(7)의 상부는 좌, 우 돌출된 걸림턱(22)이 부착되어, 상기 이송환(7)의 지지판(22)이 받힘돌기(11)에 받혀지게 하여 이송환(7)을 안착되게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삭도 용 캐리지.,
KR2020000037187U 2000-12-29 2000-12-29 삭도 용 운반 캐리지 KR2002277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7187U KR200227767Y1 (ko) 2000-12-29 2000-12-29 삭도 용 운반 캐리지
KR2020010007651U KR200236275Y1 (ko) 2000-12-29 2001-03-20 삭도용 운반 캐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7187U KR200227767Y1 (ko) 2000-12-29 2000-12-29 삭도 용 운반 캐리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7767Y1 true KR200227767Y1 (ko) 2001-06-15

Family

ID=7308111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7187U KR200227767Y1 (ko) 2000-12-29 2000-12-29 삭도 용 운반 캐리지
KR2020010007651U KR200236275Y1 (ko) 2000-12-29 2001-03-20 삭도용 운반 캐리지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7651U KR200236275Y1 (ko) 2000-12-29 2001-03-20 삭도용 운반 캐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22776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088B1 (ko) * 2013-03-04 2013-11-13 주식회사 대림이엔지 삭도용 새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6275Y1 (ko) 2001-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47745A (en) Selective beam gantry crane
CN100526203C (zh) 一种可升降的手推式搬运车
EP0879785A2 (en) Container crane
AU2019384735A1 (en) Rack and hoist system
CN106828250B (zh) 多功能自装卸装备
CN114835026A (zh) 一种小车可升降的双层集装箱岸桥
KR20130029627A (ko) 레일 이동형 계단 운용 대차
KR200227767Y1 (ko) 삭도 용 운반 캐리지
JP7407650B2 (ja) 運搬装置及び運搬方法
CN114671355A (zh) 一种悬臂式集装箱跨运车
CN216763991U (zh) 施工升降机
CN216915839U (zh) 一种矿山用简易索道系统
KR200494059Y1 (ko) 지게차 부착용 화물승강장치
CN209322065U (zh) 一种预制构件整装货架自动装车系统
SU646900A3 (ru) Стрела грузоподъемного крана
EP0652846B1 (en) Trolley
US3452892A (en) Straddle carrier
CN201180055Y (zh) 一种轨道车辆的运输吊具
JP3026495B1 (ja) コンテナ多段積用スプレッダ―
JPH085197Y2 (ja) シヤトルブーム式ジブクレーン
CN205346679U (zh) 随车起重机用自动收钩偏心机构
CN217947427U (zh) 一种矿用单轨吊及其起吊梁
CN212450125U (zh) 起吊钢索存放架
CN211594803U (zh) 一种起重设备
JP3061380B1 (ja) 重量物搬送台車及び重量物搬送装置及びそれらを用いた重量物搬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