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544Y1 - 다인승차량의시트폴딩장치 - Google Patents

다인승차량의시트폴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544Y1
KR200226544Y1 KR2019960057278U KR19960057278U KR200226544Y1 KR 200226544 Y1 KR200226544 Y1 KR 200226544Y1 KR 2019960057278 U KR2019960057278 U KR 2019960057278U KR 19960057278 U KR19960057278 U KR 19960057278U KR 200226544 Y1 KR200226544 Y1 KR 2002265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hook
leg
fix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72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4151U (ko
Inventor
허준열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20199600572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544Y1/ko
Publication of KR199800441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41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5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544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인승 차량의 시트 폴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단은 고정홀을 통해 플로어에 고정되며, 상단에는 쿠션장착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제1장착 브라켓이 고정된 제1회전봉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제1스트라이커와 제1고정대를 지닌 제1레그와, 회동핀을 중심으로 시트 쿠션의 하부면에 부착된 고정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1스트라이커와 걸어 맞춤되는 제1후크와, 하단은 회동핀에 의해 회동되는 제2후크에 의해 플로어에 부착된 제2스트라이커에 고정되고, 상단에는 쿠션장착 브라켓에 부착되는 제2장착 브라켓이 고정된 제2회전봉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로드를 개재하여 제1고정대와 연결되는 제2고정대를 지닌 제2레그로 구성된 다인승 차량의 시트 폴딩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로드를 이용하여 상부의 제2레그를 접을 수 있기 때문에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며, 시트 쿠션의 하측면에 설치된 후크를 이용하여 제1레그를 고정함으로써, 급정거시나 급회전시에 시트가 회전되는 것을 막아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인승 차량의 시트 폴딩장치
본 고안은 사이드 폴딩방식의 시트 폴딩장치를 채용하여 종전 제1열 시트와의 간섭도 배제하면서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잇도록 한 다인승 차량의 시트 폴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차체의 형상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주로 적은 인원이 탑승하는 승용차와, 많은 인원의 승객을 수송할 수 있는 버스와, 화물을 운반하는데 사용하는 트럭 및 대형 장비나 컨테이너 등을 운반하는 트레일러로 나눌 수 있다.
또한, 트렁크와 차실내가 일체로 형성된 다인승 차량의 경우, 스포츠 활동이나 레저 생활에 필요한 각종 장비들을 적재할 수 있기 때문에, 점차 이용이 증대하고 있다.
다인승 차량에서는 통상적으로 시트를 3열 또는 4열로 배치하므로, 중간의 사이드 도어를 이용하여 승, 하차하는 경우에는, 사이드 도어와 인접하게 위치한 중간열의 시트를 접거나 앞으로 이동시켜야만 뒷열의 승객이 지나갈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중간열의 시트를 트랙을 따라 제 1열의 시트쪽으로 밀착시킨 다음, 시트 백을 접어서 공간을 확보하거나, 중간열의 시트를 구성하는 시트 백을 1차로 접은 다음, 시트 쿠션을 2차로 접은 상태에서 제 1열의 시트에 기댐으로서, 뒷열의 승객이 승, 하차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였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의 다인승 차량의 시트구조에서는 중간열인 제 2열의 시트를 2번 접는 경우에는 별도의 록킹장치가 없기 때문에, 급제동시에 펼쳐질 우려가 있으며, 제 1열의 시트 백과 간섭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제 2열의 시트를 접은 다음, 로드를 이용하여 상부에 배치되는 제 2레그를 접어 공간활용을 극대화하며, 시트 쿠션의 하측면에는 후크를 설치하여 제 1레그에 걸어맞춤으로써, 급정거시나 급회전시에 시트가 회전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다인승 차량의 시트 폴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단은 고정홀을 통해 플로어에 고정되며, 상단에는 쿠션장착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제 1장착브라켓이 고정된 제 1회전봉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제 1스트라이커와 제 1고정대를 지닌 제 1레그와, 회동핀을 중심으로 시트 쿠션의 하부면에 부착된 고정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 1스트라이커와 걸어맞춤되는 제 1후크와, 하단은 회동핀에 의해 회동되는 제 2후크에 의해 플로어에 부착된 제 2스트라이커에 고정되고, 상단에는 쿠션장착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제 2장착브라켓이 고정된 제 2회전봉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로드를 개재하여 제 1고정대와 연결되는 제 2고정대를 지닌 제 2레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인승 차량의 시트 폴딩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로드를 이용하여 상부의 제 2레그를 접을 수 있기 때문에,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며, 시트 쿠션의 하측면에 설치된 후크를 이용하여 제 1레그를 고정함으로써, 급정거시나 급회전시에 시트가 회전되는 것을 막아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시트 폴딩장치의 레이 아웃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시트 폴딩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채용한 록킹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a, 4b는 본 고안에 따를 시트 폴딩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제 2열 시트 4 : 시트 쿠션
6 : 시트 백 8 : 쿠션장착 플레이트
10 : 사이드 도어 20, 40 : 제 1, 2레그
22 : 고정홀 24, 44 : 제 1, 2회전봉
26, 46 : 제 1, 2장착 브라켓 28, 48 : 제 1, 2장착홀
30, 50 : 제 1, 2고정대 32, 52 : 힌지핀
34, 74 : 제 1, 2스트라이커 56 : 로드
60 : 고정 브라켓 62, 76 : 회동핀
70, 78 : 스프링 72, 80 : 제1,2후크
72a, 80a : 손잡이 72b, 80b : 걸림단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인승 차량의 시트 폴딩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시트 폴딩장치의 레이 아웃을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시트 폴딩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서 채용한 록킹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시트 폴딩장치에서는 제 2열 시트(2)의 시트 백(6)과 시트 쿠션(4)을 차례로 접은 상태에서, 상부에 배치되는 제 2레그(40)를 접은 다음, 시트 쿠션(4)을 제 1레그(20)에 고정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하였다. 따라서, 제 1열 시트(1)와의 간섭을 막을 수 있으며, 사이드 도어(10)를 개방한 후에, 제 3열 시트(3)의 승객이 편리하게 승하차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을 제공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의 시트 폴딩장치를 구성하는 제 1레그(20) 및 제 2레그(40)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폴딩시에 하부에 배치되는 제 1레그(20)의 하단은 고정홀(22)을 통해 플로어에 고정되며, 상단에는 쿠션장착 플레이트(8)에 부착되는 제 1장착 브라켓(26)이 고정된 제 2회전봉(24)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폴딩시에 상부에 배치되는 제 2레그(40)의 하단은 회동핀(76)에 의해 회동되는 제 2후크(80)에 의해 플로어에 부착된 제 2스트라이커(74)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며, 상단에는 쿠션장착 플레이트(8)에 부착되는 제 2장착브라켓((46)이 고정된 제 2회전봉(44)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 1레그(20)에는 제 1스트라이커(34)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 1고정대(30)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제 2레그(40)에는 로드(56)를 개재하여 제 1레그(20)의 제 1고정대(30)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제 2고정대(50)가 부착되어 있다.
로드(56)는 힌지핀(32), (52)을 중심으로 제 1고정대(30)와 제 2고정대(5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 2레그(40)를 플로어의 브라켓(64)에 설치된 제 2스트라이커(74)로부터 분리할 때에 사용하는 제 2후크(80)는 스프링(78)에 의해 가압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손잡이(80a)가 끼워져 있다.
도 3에는 본 고안에서 채용한 록킹수단인 제 1후크(72)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후크(72)는 회동핀(62)을 중심으로 시트 쿠션(4)의 하부면에 부착된 고정 브라켓(6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제 1레그(20)에 설치된 제 1스트라이커(34)와 걸어맞춤됨으로써, 시트를 접은 상태에서 급제동이나 급회전하는 경우에도 시트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여기에서, 제 1후크(72)에는 손잡이(7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를 가압하는 스프링(70)이 끼워져 있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폴딩장치를 이용하여 시트를 접는 과정을 다음의 도 4a 및 4b를 참고로 설명한다.
도 4a 및 4b는 본 고안에 따른 시트 폴딩장치의 작동 상태도로, 시트 백(6)과 시트 쿠션(4)의 폴딩 전후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4a와 같은 상태에서 시트를 접기 위해서는 먼저, 시트 백(6)을 접은 상태에서 제 2레그(40)에 장착된 제 2후크(80)를 들어올려 제 2후크(80)의 걸림단(80b)을 플로어에 설치된 제 2스트라이커(74)로부터 분리시킨다.
다음에, 시트 쿠션(4)을 들어올리면, 시트는 제 1회전봉(24)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좌측으로 접히게 되며, 도 4b와 같이 제 2레그(40)는 시트 쿠션(4)을 따라 세워지는 로드(56)에 의해 당겨지면서 제 2회전봉(44)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시트 쿠션(4)의 하부면에 밀착된다.
이때, 시트 쿠션(4)에 부착되어 있는 제 1후크(72)는 스프링(70)에 의해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 쿠션(4)의 회동과 동시에 제 1스트라이커(34)와 걸어맞춤됨으로써, 급제동시에 시트가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히 지지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로드를 이용하여 상부의 제 2레그를 접을 수 있기 때문에,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며, 시트 쿠션의 하측면에 설치된 후크를 이용하여 제 1레그를 고정함으로써, 급정거시나 급회전시에 시트가 회전되는 것을 막아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하단은 고정홀(22)을 통해 플로어에 고정되며, 상단에는 쿠션장착 플레이트(8)에 부착되는 제 1장착브라켓((26)이 고정된 제 1회전봉(24)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제 1스트라이커(34)와 제 1고정대(30)를 지닌 제 1레그(20)와, 회동핀(62)을 중심으로 시트 쿠션(4)의 하부면에 부착된 고정 브라켓(6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 1스트라이커(34)와 걸어맞춤되는 제 1후크(72)와, 하단은 회동핀(76)에 의해 회동되는 제 2후크(80)에 의해 플로어에 부착된 제 2스트라이커(74)에 고정되고, 상단에는 쿠션장착 플레이트(8)에 부착되는 제 2장착브라켓((46)이 고정된 제 2회전봉(44)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로드(56)를 개재하여 상기 제 1고정대(30)와 연결되는 제 2고정대(50)를 지닌 제 2레그(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인승 차량의 시트 폴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후크(72)에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70)이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인승 차량의 시트 폴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후크(80)에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78)이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인승 차량의 시트 폴딩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후크(80)에는 손잡이(80a)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인승 차량의 시트 폴딩장치.
KR2019960057278U 1996-12-26 1996-12-26 다인승차량의시트폴딩장치 KR2002265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7278U KR200226544Y1 (ko) 1996-12-26 1996-12-26 다인승차량의시트폴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7278U KR200226544Y1 (ko) 1996-12-26 1996-12-26 다인승차량의시트폴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4151U KR19980044151U (ko) 1998-09-25
KR200226544Y1 true KR200226544Y1 (ko) 2001-10-25

Family

ID=53996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7278U KR200226544Y1 (ko) 1996-12-26 1996-12-26 다인승차량의시트폴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54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4151U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4727A (en) Adaptable pick up truck configuration
US5911465A (en) Rear seat attachment apparatus for vehicle
KR200226544Y1 (ko) 다인승차량의시트폴딩장치
KR19980042804U (ko) 다인승 차량의 시트 폴딩장치
KR100340762B1 (ko) 자동차용 탈착식 시트
KR200163100Y1 (ko) 승합차용 보조 시트 체결장치
KR100199611B1 (ko) 다인승 차량의 시트 회전구조
KR200388056Y1 (ko) 차량의 시트백 폴딩기구
KR102443869B1 (ko) 차량 좌석용 고정장치
KR100552069B1 (ko) 차량의 탈착식 시트 고정장치
KR19990010127U (ko) 승합차 리어시트용 더블 폴딩 장치
KR20000012179U (ko) 차량의 시트 폴딩 장치
KR100371710B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폴딩 구조
KR200216013Y1 (ko) 자동차의 리어시트 폴딩 브래킷구조물
KR102295867B1 (ko) 차량용 좌석 확장 장치
KR100398102B1 (ko) 자동차용 시트 폴딩 구조
JPH0336434Y2 (ko)
JPH09188167A (ja) 車両用折り畳み式シートのロッキング装置
KR970002183Y1 (ko) 승용차 리어시트의 시트백 고정 및 해제장치
KR200199187Y1 (ko) 다목적 차량의 시트 고정장치
KR200181744Y1 (ko) 트렁크 룸 내의 화물 고정 장치
JPH043874Y2 (ko)
KR0139650Y1 (ko) 자동차용 발판구조
AU3556202A (en) Infant/child vehicle safety seat having improved ergonomics
KR200291461Y1 (ko) 차량 시트의 폴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