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5909Y1 - 자동차용 백밀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백밀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5909Y1
KR200225909Y1 KR2020000037343U KR20000037343U KR200225909Y1 KR 200225909 Y1 KR200225909 Y1 KR 200225909Y1 KR 2020000037343 U KR2020000037343 U KR 2020000037343U KR 20000037343 U KR20000037343 U KR 20000037343U KR 200225909 Y1 KR200225909 Y1 KR 2002259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convex
flat
mirrors
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73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수
Original Assignee
김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수 filed Critical 김명수
Priority to KR20200000373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59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59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5909Y1/ko

Links

Landscapes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거울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거울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자동차에는 외부 양측 전면에 흔히 말하는 백밀러(후방주시용 거울)을 달고 다닌다. 그러나 보통의 백밀러는 평면거울이기 때문에 운전 중 사각 지대가 생겨 차선 변경시 신경을 더 써야 됐다. 그래서 운전자들은 볼록거울을 추가로 달고 다니는 경우가 많다. 본 고안은 볼록거울을 추가로 달지 않고 평면거울(7)에 볼록거울(8)을 일체화 함으로써 운전 중에 평면거울과 볼록거울을 번갈아 보는 번거로움을 없애서 운전자로 하여금 보다 편하게 운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거울이다.
또한 제작시에도 제작경비를 줄일 수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백밀러{omitted}
본 고안은 자동차용 백밀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실외 전면 양측에 설치하여 후방을 보다 편하게 교통상황을 파악하여 도로운행을 안전하게 하기 위한 거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요즘 자동차들은 평면형 백밀러만 달고 다닌다. 그러다가 차선 변경을 하기 바로전에 머리를 숙여 백밀러를 통해 사각지대를 살피게 된다. 그리고 난 다음 이상이 없으면 차선 변경을 하게 된다. 몇몇 사람들은 이러한 사각지대를 없애기 위해 평면형 백밀러 위(도4 참조)에 혹은 가운데(도5 참조) 볼록거울을 추가로 달고 다니는 경우도 있다.
경제가 발달되면서 인간생활이 복잡해지고 이동이 많아지게 되었다. 그 이동수단의 한 부분이 바로 자동차인데 자동차에는 후방 상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백밀러(도 3)를 반드시 설치한다. 그러나 요즘 타고 다니는 자동차의 백밀러는 대부분 평면 거울이기 때문에 자동차가 주행 중 사각 지대가 생겨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그래서 일부 사람들은 도4, 도5, 도7과 같이 볼록거울을 달고 다닌다, 그러나 볼록 거울을 추가로 다는 경우에는 경제적으로 부담이 되고, 때에 따라서는 다른 사람이 떼어가는 경우도 발생한다. 자동차에 볼록거울을 추가로 다는 경우에는 운전자의 시선은 때에 따라 평면거울과 볼록거울을 번갈아 가면서 보게 된다. 이렇게 거울을 번갈아 볼 경우에는 운전자의 눈 근육과 뇌는 더 많은 운동이 필요한데, 이로 인하여 운전자는 피로감을 더 느끼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백밀러는 평면거울(7)을 볼록거울(8)과 일체화 함으로써 눈전자의 눈동자가 평면거울에서 볼록거울로, 볼록거울에서 평면거울로 끊김없이 이어져서 피로감을 훨씬 줄일 수 있다. 또한 제작시에도 재료 및 생산 경비를 줄일 수가 있다.
도1 : 승용차 정면도
도2 : 승용차 평면도
도3 : 백밀러 사시도
도4 : 볼록거울이 달린 백밀러 사시도
도5 : 볼록거울이 달린 백밀러 사시도
도6 : 도5에 따른 A-A' 단면도
도7 : 볼록거울이 달린 백밀러 사시도
도8 : 도7에 따른 B-B' 단면도
도9 : 본 고안의 백밀러 사시도
도10 : 본 고안의 도9에 따른 C-C' 단면도
도11 : 본 고안의 도10에 따른 '가' 부분 상세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백 밀러 2 : 자동차 차체
3 : 백밀러고정금구 4 : 평면거울
5 : 볼록거울 6 : 백밀러몸체
7 : 평면거울 8 : 볼록거울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자동차 정면도이다, 도 2는 자동차 평면도, 도 3은 백밀러 사시도, 도 4는 볼록거울이 달린 백밀러 사시도, 도 5는 볼록거울이 달린 사시도, 도 6은 도5에 따른 A-A' 단면도, 도 7은 볼록거울이 달린 백밀러 사시도, 도 8은 도7에 따른 B-B'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백밀러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따른 C-C' 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따른 '가' 부분 상세도로써 함께 설명한다.
현재 모든 자동차는 후방을 주시하기 위하여 후방 주시용 백밀러를 달고 다닌다. 일반적인 백밀러는 도 3과 같은 평면 거울형 백밀러이며, 거기에 사각지대를 보기 위해서 볼록거울(5)을 다는 경우가 있는데, 도4, 도5, 도7과 같으며 그에 따른 단면은 도6, 도8과 같다.
본 고안의 백밀러(도 9)는 평면거울(7)과 볼록거울(8)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평면거울(7) 부분은 일반적인 백밀러와 꼭 같은 평면거울이다, 여기에 끝 부분을 볼록거울(8) 형태로 바꿈으로서 평면거울에서 볼 수 없는 사각지대를 볼 수 있게 해준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평면거울(7) 부분과 볼록거울(8)이 마주 닿는 부분인데 평면거울(7)과 볼록거울(8)이 따로 제작되어 붙여지게 되면 안 되고, 반드시 한번에 제작되어 일체화 되어야 한다. 만약 따로 제작되어 붙여진다면 유리라는 특성 때문에 난 반사를 일으키게 되고, 보고자 하는 사물을 제대로 볼 수가 없어 본 고안의 백밀러 역할을 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평면거울(7)과 볼록거울(8)은 도 11에 'a' 부분과 같이 일체화된 곡면을 이루어야 된다. 이것이 본 고안의 키 포인트이며 이렇게 함으로써 볼록거울이 면적이 작음으로써 느끼는 협소함을 방지 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 시각이 평면거울과 볼록거울 사이에 이동이 자연스럽게 되어 피로함을 덜 수가 있다.
일반적으로 평면거울(1)에 볼록거울(2)의 면적 비율은 7대 1정도가 적당하며 상황에 따라 제작시 비율을 조정해도 괜찮다.
이렇게 만들어진 백밀러는 운전자가 차에 탑승했을 경우 먼저 평면거울(7)을 통해서 후방을 살피게 되고, 연속해서 시선은 도 11의 'a' 부분을 지나 볼록거울(8)에 이르게 돼서 사각지대를 볼 수가 있는 것이다. 이렇게 후방 및 사각지대를 한눈에 볼 수가 있으므로 추가로 볼록 거울을 달지 않아도 되며, 평면거울만 있었을 경우 운전자가 주행 중 차선 변경시 고개를 숙여서 백밀러를 통해 사각지대를 살피는 불편함을 없앨 수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백밀러를 설치하면 추가로 볼록거울을 설치하지 않아도 사각지대를 없앨 수 있게 되므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좀더 편안하고 안전한 도로 주행을 할 수 있게 해주며, 볼록거울을 추가로 설치하는 경제적 부담도 줄어들게 된다. 또한 평면거울과 볼록거울을 따로 제작 할 때보다 제작비용도 절약 할 수가 있다.

Claims (1)

  1. 자동차용 백밀러를 구성함에 있어서 후방을 보기 위한 평면거울(7)과 사각지대를 보기 위한 볼록거울(8)이 일체화 되어 있고, 평면거울(7)과 볼록거울(8)이 끊김이 없는 연속적인 곡면(도 11의 'a')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백밀러.
KR2020000037343U 2000-12-22 2000-12-22 자동차용 백밀러 KR2002259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7343U KR200225909Y1 (ko) 2000-12-22 2000-12-22 자동차용 백밀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7343U KR200225909Y1 (ko) 2000-12-22 2000-12-22 자동차용 백밀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5909Y1 true KR200225909Y1 (ko) 2001-06-01

Family

ID=73061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7343U KR200225909Y1 (ko) 2000-12-22 2000-12-22 자동차용 백밀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590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1269B2 (en) Vehicular body structure
US4867402A (en) Receptacle for eyeglasses
JP2002274262A (ja) 広角バックミラー
KR200225909Y1 (ko) 자동차용 백밀러
JPH01208245A (ja) 乗り物用後写鏡
US6799857B2 (en) Lateral-view mirror assembly for a vehicle
KR200200832Y1 (ko) 사각지대미러를 갖는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KR200294234Y1 (ko) 자동차의 우측미러의 보조미러
JP3106465U (ja) 後輪近傍の視認性を向上させた自動車用バックミラー
KR200288548Y1 (ko) 사각지대가 해소된 자동차 사이드미러
KR200283966Y1 (ko) 안쪽부분 볼록거울 빽미러
JP3018736U (ja) 二視界ミラー付リアスポイラー
KR100435284B1 (ko) 자동차용 계기판
KR0119554Y1 (ko) 룸미러의 볼록거울장치
JPH03125642A (ja) 車両の両側路を広範囲に見るミラー
KR19980011968U (ko) 리어뷰미러 기능을 갖춘 윈드실드글래스
JPH08198012A (ja) 自動車のサイドミラー
JPH10278678A (ja) 広角度バックミラー
KR19990010461U (ko) 차량용 아웃사이드 리어뷰 미러
KR19980034298U (ko) 사각 지대가 해소된 자동차 사이드 미러
JPH0420818B2 (ko)
JPH074172U (ja) 自動車のサイドミラー
KR19990027806A (ko)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의 높이 조절장치
KR19980040382U (ko) 굴절유리를 구비한 자동차의 리어 윈도우
KR19980023789U (ko) 계기판의 좌, 우측부에 설치된 보조미러를 갖는 버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