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1968U - 리어뷰미러 기능을 갖춘 윈드실드글래스 - Google Patents

리어뷰미러 기능을 갖춘 윈드실드글래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1968U
KR19980011968U KR2019960025503U KR19960025503U KR19980011968U KR 19980011968 U KR19980011968 U KR 19980011968U KR 2019960025503 U KR2019960025503 U KR 2019960025503U KR 19960025503 U KR19960025503 U KR 19960025503U KR 19980011968 U KR19980011968 U KR 1998001196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view
view mirror
windshield glass
present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55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순일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255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1968U/ko
Publication of KR199800119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1968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01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integrated in the windows, e.g. Fresnel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front, e.g. structure of the glazing, mounting of the gla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리어뷰미러 기능을 갖춘 윈드실드글래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윈드실드글래스 상단에 볼록거울을 일체로 형성하여 리어뷰미러가 불필요하고, 이에따른 부품수 및 조립공수를 감소시켜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넓은 후방시계를 확보하여 안전운전을 유도할 수 있는 리어뷰미러 기능을 갖춘 윈드실드글래스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내측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소정길이 만큼 후방을 주시할 수 있는 볼록거울을 일체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뷰미러 기능을 갖춘 윈드실드글래스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윈드실드글래스 상단에 볼록거울을 일체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리어뷰미러 자체가 불필요하게 되며, 이에 따른 부품수 및 조립공수를 감소시켜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더불어 넓은 후방시계를 확보하여 안전운전을 유도할 수 있고, 운전자가 바뀌더라도 리어뷰미러를 운전자의 시선으로 맞추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리어뷰미러 기능을 갖춘 윈드실드글래스
본 고안은 리어뷰미러 기능을 갖춘 윈드실드글래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윈드실드글래스 상단에 볼록거울을 일체로 형성하여 리어뷰미러가 불필요하고, 이에따른 부품수 및 조립공수를 감소시켜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넓은 후방시계를 확보하여 안전운전을 유도할 수 있는 리어뷰미러 기능을 갖춘 윈드실드글래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차량들은 루프하측에 운전자가 후방을 주시할 수 있도록 리어뷰미러(rear-view mirror)를 구비하고 있으며, 리어뷰미러는 보통 평거울 또는 사이드미러와 같이 볼록거울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운전자에 따라 더 넓은 후방시계를 확보하기 위해 별도의 넓은 리어뷰미러를 기존의 리어뷰미러 대신 창착하여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리어뷰미러가 사용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전형적인 일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부재번호 1은 리어뷰미러, 3은 루프를 각각 가리킨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실내의 루프(3) 하측단에는 리어뷰미러(1)가 설치되어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선회가능한 구조를 갖고 있다.
그러나 리어뷰미러는 운전자가 바뀔 때 마다 운전자의 시선에 따라 상기 리어뷰미러를 조절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넓은 후방시계를 확보하기 위해 별도의 리어뷰미러를 기존의 리어뷰미러 대신에 장착해야하는 불편함이 따랐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윈드실드글래스 내측 상단에 볼록거울을 일체로 형성하여 리어뷰미러가 불필요하며 이에 따른 부품수 및 조립공수를 감소시켜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넓은 후방시계를 확보하여 안전운전을 유도할 수 있는 리어뷰미러 기능을 갖춘 윈드실드글래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리어뷰미러가 루프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리어뷰미러 기능을 갖춘 윈드실드글래스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리어뷰미러 기능을 갖춘 윈드실드글래스를 도 2의 A-A 방향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윈드실드글래스23 : 볼록거울
25 : 몰딩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측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소정길이 만큼 후방을 주시할 수 있는 볼록거울을 일체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뷰미러 기능을 갖춘 윈드실드글래스를 제공한다.
이하에 상기한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리어뷰미러 기능을 갖춘 윈드실드글래스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리어뷰미러 기능을 갖춘 윈드실드글래스를 도 2의 A-A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리어뷰미러 기능을 갖춘 윈드실드글래스는 차량의 윈드실드글래스 몰딩부(25)에 의해 고정설치도는 윈드실드글래스(21)의 내측 상단에 가로방향으로 적으로 일정길이만큼 돌출형성되는 볼록거울(32)이 구비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윈드실드글래스(21)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볼록거울(23)은 필요에 따라 길이를 자유로이 형성할 수 있으므로 넓은 후방시계를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운전자가 바뀌더라도 리어뷰미러를 운전자의 시선을 맞추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였다.
더욱이 조수석의 탑승자 또는 상기 긴 볼록거울(23)을 통하여 후방시계 확보가 가능하여 운전자가 미처 대비하지 못한 후방 나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리어뷰미러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차량생산시 부품수 및 조립공수를 감소시켜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윈드실드글래스 상단에 볼록거울를 일체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리어뷰미러 자체가 불필요하게 되며, 이에 따른 부품수 및 조립공수를 감소시켜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넓은 후방시계를 확보하여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고, 운전자가 바뀌더라도 리어뷰미러를 운전자의 시선으로 맞추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에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다.

Claims (1)

  1. 내측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소정길이 만큼 후방을 주시할 수 있는 볼록거울을 일체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뷰미러 기능을 갖춘 윈드실드글래스.
KR2019960025503U 1996-08-23 1996-08-23 리어뷰미러 기능을 갖춘 윈드실드글래스 KR1998001196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5503U KR19980011968U (ko) 1996-08-23 1996-08-23 리어뷰미러 기능을 갖춘 윈드실드글래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5503U KR19980011968U (ko) 1996-08-23 1996-08-23 리어뷰미러 기능을 갖춘 윈드실드글래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1968U true KR19980011968U (ko) 1998-05-25

Family

ID=53973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5503U KR19980011968U (ko) 1996-08-23 1996-08-23 리어뷰미러 기능을 갖춘 윈드실드글래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196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5064A (ko) * 2002-06-11 2003-12-18 주식회사 기림세미텍 슬립-프리 특성을 갖는 실리콘을 적용한 전극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5064A (ko) * 2002-06-11 2003-12-18 주식회사 기림세미텍 슬립-프리 특성을 갖는 실리콘을 적용한 전극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12737U (ko) 자동차의 사각지대 겸용 백미러
KR19980011968U (ko) 리어뷰미러 기능을 갖춘 윈드실드글래스
GB2244685A (en) Vehicle mirror rain hood
KR0112913Y1 (ko) 자동차용 룸미러의 취부구조
KR100394949B1 (ko) 자동차용 썬바이저의 고정클립
KR0181624B1 (ko) 자동차용 좌우 아웃사이드미러의 공용화 구조
KR970005370Y1 (ko) 자동차의 백미러 네크(neck)
KR0134005Y1 (ko) 죄임력 조절 너트
KR200266153Y1 (ko) 보조미러가 결합된 사이드미러
KR19980040382U (ko) 굴절유리를 구비한 자동차의 리어 윈도우
KR970006831Y1 (ko) 햇빛 차단장치
KR930004734Y1 (ko) 자동차의 앞 휀더(fender) 장착구조
KR19990021493U (ko) 차량용 선바이저 피벗 구조물
KR200164360Y1 (ko) 자동차용 백미러
KR200225909Y1 (ko) 자동차용 백밀러
KR890003539Y1 (ko) 차량의 보조백밀러
KR970004477Y1 (ko) 자동차용 실내경
KR0124994Y1 (ko) 자동차의 보조 선바이저
KR19990028087A (ko)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KR19980059542A (ko) 자동차의 룸 미러
KR19980062693A (ko) 자동차의 사각지대용 보조 미러
KR19980019665U (ko) 사각지대 보완용 리어 미러가 장착된 선 바이저
KR19980031519U (ko)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KR19980048388U (ko) 자동차의 전방 글래스 장착구조
KR20050018420A (ko) 자동차의 룸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