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5532Y1 - 봉상물보충용카세트 - Google Patents

봉상물보충용카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5532Y1
KR200225532Y1 KR2019980018963U KR19980018963U KR200225532Y1 KR 200225532 Y1 KR200225532 Y1 KR 200225532Y1 KR 2019980018963 U KR2019980018963 U KR 2019980018963U KR 19980018963 U KR19980018963 U KR 19980018963U KR 200225532 Y1 KR200225532 Y1 KR 2002255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shaped
holder
case
shaped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89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7389U (ko
Inventor
히데헤이 가게야마
요시히데 미츠야
Original Assignee
윤휘정
주식회사수한
가게야마 도시히코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휘정, 주식회사수한, 가게야마 도시히코,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filed Critical 윤휘정
Publication of KR199900173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3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55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5532Y1/ko

Links

Landscapes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봉상물의 끝부분이 손상시키지 않고 봉상물을 봉상물조출용기에다 보충할 수 있도록 된 봉상물보충카세트에 관한 것으로, 봉상물(12)과, 이 봉상물(12)을 보유지지함과 더불어 상기 봉상물조출용기에 연결가능한 봉상물홀더(14), 상기 봉상물(12) 및 봉상물홀더(14)를 수용함과 더불어 봉상물 홀더(14)를 선두로 이들 봉상물(12) 및 봉상물홀더(14)가 뽑아내어지는 취출구(16a)를 갖춘 바닥이 막힌 케이스(16)를 구비한 구조를 하고서, 상기 봉상물홀더(14)의 외주면에 복수의 리브(14e)가 형성됨과 더불어, 케이스(16)에는 상기 취출구(16a)와 반대되는 쪽에서 상기 리브(14e)에 닿게 되는 계단부 인 종단면(16c)이 형성되고, 봉상물(12)이 수용된 상태에서 봉상물(12)의 끝부분과 케이스(16)의 바닥면(16d)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봉상물보충용 카세트 및 이 카세트를 사용하는 봉상물조출용기
본 고안은 립스틱이나, 눈썹화장연필, 눈꺼풀화장용 연필, 봉상풀, 칼라스틱, 수정봉, 연필심, 봉상의 지우개고무, 크레파스와 같은 봉상물을 수용하고서 봉상물조출용기에다 봉상물을 보충하도록 된 봉상물 보충용 카세트 및 이 카세트를 사용하는 봉상물조출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봉상물보충용 카세트 및 봉상물조출용기로서는 본출원인이 일본에 출원한 실원평5-14839호 (실개평6-74382호 공보)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는 바, 봉상물보충용 카세트에 수용된 봉상물을 봉상물조출용기에다 보충하는 것이, 봉상물보충용 카세트의 덮개를 벗겨내고서, 봉상물홀더를 봉상물조출용기의 접속부(받침부)에다 연결한 다음, 이 접속부를 후퇴시키도록 봉상물조출용기를 조작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되어, 이러한 일련의 조작에 의해 봉상물에 직접 손을 접촉하지 않고서 봉상물을 보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봉상물홀더를 봉상물조출용기의 접속부(받침부)에다 연결하려면 봉상물홀더를 접속부에 대고 눌러 주어야만 하고, 그것 때문에 봉상물 보충용 카세트 케이스 바닥면에서 봉상물이 눌려지게 됨으로써, 따라서 봉상물에 따라서는 끝부분이 손상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해서 안출된 것으로써, 봉상물의 끝부분이 손상시키지 않고 봉상물을 봉상물조출용기에다 보충할 수 있는 봉상물보충용 카세트를 제공함과 더불어, 상기와 마찬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봉상물조출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봉상물카세트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봉상물카세트의 분해도,
도 3은 도 2에서 화살표 3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도 1의 케이스의 취출구부근의 전개도,
도 5는 본 고안 봉상물조출용기의 종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원통체의 앞쪽끝부분을 나타낸 확대측면도,
도 7은 도 6에서 화살표 7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8은 도 6의 원통체의 앞끝 부근의 전개도,
도 9는 봉상물보충조작을 나타낸 설명도,
도 10은 받침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10 --- 봉상물보충용 카세트, 12 --- 봉상물,
14 --- 봉상물홀더, 14e --- 리브,
16,16' --- 케이스, 16a,16'a --- 취출구,
16c --- 홈의 종단면(계단부), 16'c --- 계단부,
16d,16'd --- 바닥면, 16'e --- 확경부,
16'f --- 축경부, 24 --- 원통체,
24b --- 종방향홈, 24c --- 앞끝,
26e --- 받침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봉상물조출용기에다 보충할 봉상물을 수용하게 되는 봉상물 보충용 케이스에 있어서, 봉상물과 이 봉상물을 보유지지함과 더불어 상기 봉상물조출용기에 연결될 수 있는 봉상물홀더 및 이들 봉상물 및 봉상물홀더를 수용함과 더불어 봉상물홀더를 선두로 해서 봉상물 및 봉상물홀더가 뽑아내어지는 취출구를 가진 바닥형성 케이스를 구비하고서, 상기 봉상물홀더에는 외주면에 복수의 리브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취출구와 반대되는 쪽에서 상기 리브와 맞닿게 되는 계단부가 형성되어, 봉상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봉상물의 끝부분과 케이스의 바닥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봉상물 홀더를 봉상물조출용기의 받침부에다 접속시킬 때, 봉상물홀더를 받침부에다 부착시키기 위해 케이스를 받침부 쪽으로 누르게 되면, 케이스에 형성된 계단부가 봉상물홀더의 리브에 닿아 있기 때문에, 이 계단부에서 봉상물홀더로 눌려지는 힘이 전달되게 된다. 이때, 봉상물의 끝부분과 케이스의 바닥면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를 누르더라도 봉상물의 끝부분이 하등의 손상을 받지 않게 된다.
또, 본 고안은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상기 계단부가 케이스의 내면에 형성된 상기 취출구에서 뻗은 복수의 홈의 끝면과 같도록 되어 있으면서, 상기 리브가 이들 홈에 끼워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상기 홈은 취출구부근에서 상기 취출구로 쪽으로 갈수록 점차 홈폭이 넓혀지도록 되어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계단부가 케이스내부의 확경부와 축경부 사이의 경계에 형성되어 있다.
또, 본 고안은 상기 봉상물보충용 카세트에서 보충되어진 봉상물을 조출하게 되는 봉상물조출용기에 있어서, 상기 봉상물홀더가 연결되는 받침부와, 이 받침부가 내부를 미끄럼 이동하는 원통체를 구비하고서, 이 원통체의 내면에 상기 봉상물홀더의 리브가 미끄럼 이동해서 끼워지는 종방향 홈이 형성된 점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이 종방향 홈은 앞 끝부분에서, 끝쪽으로 갈수록 점차 홈폭이 넓혀지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본 고안에 봉상물보충용 카세트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봉상물보충용 카세트(10)는, 봉상물(12)과 이 봉상물(12)을 보유지지함과 더불어 다음에 설명되는 봉상물조출용기에 연결될 수 있는 봉상물홀더(14), 이들 봉상물(12) 및 봉상물홀더(14)를 수용함과 더불어 봉상물홀더(14)를 선두로 봉상물(12) 및 봉상물홀더(14)를 뽑아내게 되는 취출구(16a)를 가지는 바닥형성 케이스(16) 및 이 케이스(16)의 취출구(16a)를 덮도록 하고서 케이스(16)에 장착되는 덮개(18)를 구비한 구조로 되어 있다.
봉상물홀더(14)는 탄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예컨대 올래핀계 수지와 같은 에라스트마 수지로 형성시키는 것이 좋다. 봉상물홀더(14)에는 내부에 형성된 칸막이판(14a)에 의해 서로 분리된 봉상물보유지지부(14b) 및 받침부 연결부(14c)가 형성됨과 더불어, 외주면에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리브(14e)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봉상물홀더(14)의 외주면 중 리브(14e)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외경이 봉상물(12)의 외주면과 대체로 면일치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케이스(16)의 내면에는 상기 리브(14e)에 대응해서 이 리브(14e)가 끼워넣어지는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리브(14e)의 수보다 많은 6개)의 홈이(16b)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홈(16b)은 취출구(16a)로부터 뻗어나오도록 되어있고, 취출구(16a)와 반대되는 쪽의 종단면(16c; 계단부)이 리브(14e)의 끝부분과 닿도록 되어 있다.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홈(16b)은 취출구(16a) 부근에서 취출구(16a)쪽을 향해 갈수록 점차 홈폭이 넓혀지도록 그 홈면이 테이퍼면을 이루도록 되어 있고, 이 복수의 홈(16b) 전체의 끝부분은 완전한 원둘레인 360도를 이루도록 넓혀져 있다.
봉상물(12)과 케이스(16)의 바닥면(16d)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또 케이스(16)의 취출구(16a)로부터는 봉상물홀더(14)의 일부가 돌출된 상태에서 봉상물(12) 및 봉상물홀더(14)가 케이스(16) 내에 수용되어져 있다.
생산공장에서 봉상물(12)을 보유지지한 봉상물홀더(14)를 케이스(16) 내에다 장전할 때에는 리브(14e)와 홈(16b)의 원주 방향위치를 미리 맞추어야 할 필요가 없게 된다. 즉, 리브(14e)가 상기 홈(16b)의 상기 테이프면으로 유도되면서, 리브(14e)가 복수의 홈(16b) 중 어느 것과 원주방향위치가 일치되도록 봉상물홀더(14)가 자동적으로 회전해서 케이스(16)내로 삽입되게 된다.
다음에는, 이 봉상물보충용 카세트(10)로부터 보충받은 봉상물(12)을 조출하는 봉상물조출용기(20)의 실시예를 도 5 내지 도 8을 참조로 설명한다.
봉상물조출용기(20)는 주로 외통(22)과 이 외통(22)에 대해 상대회전할 수 있게 부착되는 원통체(24)와, 이들 외통(22) 및 원통체(24)내를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나선축(26) 및 상기 원통체(24)에 씌워지는 캡(28)을 구비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나선축(26)에는 그 외주면에 나선홈(26a)이 형성되어 있고, 또 앞끝에 상기 봉상물홀더(14)를 받쳐주는 받침부(26e)가 갖춰지는 한편, 뒤끝에는 안내부(26c)가 갖춰져 있다. 상기 나사홈(26a)은 원통체(24)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돌기(24a)에 걸어 맞춰지게 된다. 또, 상기 안내부(26c)에는 외주면에 키이홈(26d)이 형성되어, 이 키이홈(26d)이 외통(22)의 내면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키이(22a)에 끼워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나선축(26)은 외통(22)에 대해 상대회전할 수 없게 조립되어져 있게 됨으로써, 원통체(24)와 외통(22) 사이에서 상대회전이 일어나게 되면, 나선홈(26)이 원통체(24)에 대해 상대회전하게 되어, 나선홈(26a)이 나사돌기(24a)에 유도되어져 나선축(26)의 받침부(26e)가 원통체(24) 내를 자전하면서 축방향으로 왕복이동할 수가 있게 된다.
나선축(26)의 받침부(26e)에는 환상돌기(26f)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 원형돌기(26f)가 상기 봉상물홀더(14)의 받침부 연결부(14c) 내에 형성된 환상홈(14d)에 걸려지게 됨으로써 받침부(26e)와 봉상물홀더(14)가 연결되어져, 나선축(26)의 이동과 함께 봉상물홀더(14)에 보유지지된 봉상물(12)이 원통체(24)의 앞끝(24c)으로부터 돌출되거나, 후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원통체(24)의 내면에는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봉상물홀더(14)의 리브(14e)에 대응해서 이 리브(14e)가 끼워 맞추어는 복수(본 실시예서는 리브(14e)의 수보다 많은 6개)의 종방향홈(24b)이 형성되어 있는 바, 이 종방향홈(24b)은 그 앞끝(24c)에서 축방향으로 뻗으면서, 앞끝(24c)부근에서 앞끝(24c)쪽으로 갈수록 점차 홈폭이 넓혀지도록 이 홈면이 테이퍼면을 이루도록 되어 있는 바, 이 그 쪽으로 갈수록 종방향홈(24b) 전체의 끝부분이 360도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 봉상물보충홀더(10)로부터 봉상물(12)을 봉상물조출용기(20)로 보충하는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즉, 봉상물조출용기(20)의 봉상물(12)이 사용됨에 따라 소모된 경우에는, 봉상물홀더(14)를 완전히 원통체(24)의 앞끝으로부터 돌출시킨 상태에서 봉상물홀더(14)를 잡아당기면, 봉상물홀더(14)가 갖고 있는 탄성에 의해 받침부 연결부(14c)가 직경방향으로 넓혀져, 환상돌기(26f)와 환상홈(14d)의 걸림이 벗겨져 봉상물홀더(14)가 받침부(26e)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다음에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봉상물보충용 카세트(10)의 덮개(18)를 벗겨내고, 케이스(16)에서 돌출되어져 있는 새로운 봉상물홀더(14)를 받침부(26e)에다 씌워,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탄성을 이용해서 받침부 연결부(14c)를 직경방향으로 넓혀 주면서 환상돌기(26f)와 환상홈(14d)이 걸려지도록 한다. 이때, 봉상물홀더(14)를 받침부(26e) 방향으로 눌러줄 필요가 있으나, 손으로 잡은 케이스(16)를 받침부(26e) 방향에서 눌러주게 되면, 상기 종단면(16c)이 리브(14e)에 닿아 있기 때문에 이 종단면(16c)으로부터 봉상물홀더(14)로 눌려지는 힘이 전달되게 된다. 봉상물(12)은 케이스(16)의 바닥면(16d)에서 떨어져 있기 때문에, 케이스(16)를 누르더라도 봉상물(12)의 끝부분이 아무런 손상도 받지 않게 된다.
이렇게 해서 봉상물홀더(14)가 받침부(26e)에 연결된 후, 원통체(24)를 외통(22)에 대해 회전시키거나, 또는 반대로 회전시켜 받침부(26e)을 원통체(24)내에서 후퇴시킨다. 이때 봉상물홀더(14)의 리브(14e)가 종방향홈(24b)의 상기 테이퍼면으로 유도되어지면서 종방향홈(24b) 중 어느 것과 원주방향위치가 일치하도록 봉상물홀더(14)가 받침부(26e)에 대해 자동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해서, 새로운 봉상물(12)로 교환하는 것이 끝나게 된다.
봉상물홀더(14)의 리브(14e)가 종방향홈(24b)에 수용되기 때문에, 봉상물홀더(14)의 리브(14e)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봉상물(12)의 외주면과 함께 원통체(24)의 종방향홈(24b)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대부분 미끄럼접촉할 수 가 있게 됨으로써, 사용하고 있는 중에도 봉상물(12)이 원통체(24) 내에서 흔들리지 않게 된다.
더구나, 리브(14e)와 종방향홈(24b)이 걸려져 있게 됨으로써, 봉상물(12)을 사용하는 중에도 원통체(24)에 대한 봉상물(12)의 회전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봉상물(12)에 편심된 힘이 가해지더라도 회전하는 일이 없어 사용하기가 쉬워지게 된다. 또, 봉상물(12)이 조출되었을 때에는 받침부(26e)에 대해 봉상물홀더(14)가 회전하면서 조출되게 되지만 봉상물(12)이 원통체(24)에 대해 상대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봉상물(12)이 원통체(24)와 미끄럼 접촉하게 됨으로 말미암은 불필요한 마모를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이상과 같이 봉상물(1)을 보충할 때 봉상물홀더(14)가 탄성을 가지고 있어서, 이 탄성을 이용해서 받침부(26e)에다 연결시켰으나, 반드시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봉상물홀더(14)를 탄성력이 작은 재료로 형성하는 한편,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받침부(26e)에다 축방향으로 뻗은 리브(26g, 26g)를 형성시켜, 이 리브(26g, 26g)에 의해 받침부(26e)가 탄성을 갖도록 하여도 된다.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케이스(16')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케이스(16')는 홈(16b)이 형성되는 대신, 케이스(16') 내부에 취출구(16'a) 쪽에 확경부(16'e)가 형성되는 한편 바닥면(16'd) 쪽에 축경부(16'f)가 형성되고서, 이들 확경부(16'e)와 축경부(16'f) 사이의 경계에 계단부(16'c)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계단부(16'c)는 리브(14e)의 끝부분과 닿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도, 앞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봉상물(12)의 끝부분이 손상시키지 않고 봉상물(12)을 봉상물조출용기(20)에다 보충할 수가 있게 된다. 케이스(16')와 봉상물홀더(14) 상호간의 회전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봉상물보충용 카세트(10) 속에서 봉상물(12)이 회전할 수가 있지만, 계단부(16'c)에 의해 봉상물(12)이 케이스(16')의 바닥면(16'd)에 접근하게 되지는 않기 때문에 봉상물보충용 카세트(10)에서 봉상물(12)의 끝부분이 손상되지 않게 된다. 더구나, 케이스(16')에 홈(16b)이 형성되지 않아도 좋기 때문에, 케이스(16')의 구조가 간단해져 값싸게 제조할 수가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봉상물홀더를 봉상물조출용기의 받침부에다 연결할 때, 봉상물홀더를 받침부에다 부착시키기 위해 케이스를 받침부 쪽으로 누르면, 케이스에 형성된 계단부가 봉상물 홀더의 리브에 닿아 있기 때문에, 이 계단부로부터 봉상물홀더로 눌려지는 힘이 전달되게 되고, 또 봉상물의 끝부분과 케이스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를 누르더라도 봉상물의 끝부분이 아무런 손상도 받지 않게 된다.
또, 상기 리브가 케이스의 홈에 끼워 맞춰지도록 되어 있어서, 케이스 내에서 봉상물홀더 및 봉상물이 회전하지 못하는 상태로 수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생산공장에서 봉상물을 보유지지한 봉상물홀더를 케이스에다 장전할 때 원주방향 위치를 특별히 고려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리브가 홈으로 유도되어 홈내에 끼워 맞춰지기 때문에, 장전작업이 간단해져 자동화에도 적합한 것으로 될 수가 있게 되고, 케이스의 구조도 간단해질 수 있어, 값싸게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 봉상물홀더의 리브가 종방향홈에 끼워 맞춰지기 때문에 봉상물홀더의 리브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과 원통체와의 사이의 직경 방향 간극을 좁힐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봉상물과 원통체 사이의 직경방향 간극도 작아질 수 있어, 봉상물이 원통체 속에서 흔들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새로운 봉상물홀더를 받침부에다 부착시킨 후, 원통체내로 후퇴시킬 때 봉상물홀더의 리브가 자동적으로 종방향홈에 유도되어 종방향홈 내로 끼워 맞춰지게 됨으로써, 리브와 종방향홈과의 원주방향을 고려하지 않고 봉상물홀더를 받침부에다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봉상물조출용기에다 보충하기 위한 봉상물을 수용하는 봉상물보충용 카세트에 있어서,
    봉상물(12)과, 이 봉상물(12)을 보유지지함과 더불어 상기 봉상물조출용기에 연결할 수 있도록 된 봉상물홀더(14) 및, 이들 봉상물(12) 및 봉상물홀더(14)를 수용함과 더불어 봉상물홀더(14)를 선두로 해서 봉상물(12) 및 봉상물홀더(14)를 뽑아내는 취출구(16a)를 갖춘 바닥을 가진 케이스(16,16')를 구비한 구조를 하고서, 상기 봉상물홀더(14)에는 원주면에 복수의 리브(14e)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케이스(16)에는 상기 취출구(16a)와 반대되는 쪽에서부터 상기 리브(14e)에 닿게 되는 계단부가 형성되고, 봉상물(12)이 수용된 상태에서 봉상물(12)의 끝부분과 케이스(16)의 바닥면(16d)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물보충용 카세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6)에 형성된 상기 계단부(16c)는 이 케이스(16)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취출구(16a)에서부터 뻗은 복수의 홈(16b)의 종단면이고, 상기 리브(14e)는 상기 홈(16b)에 끼워 맞춰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물보충용 카세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홈(16)이, 취출구(16a) 부근에서 이 취출구(16a) 쪽으로 갈수록 점차 홈폭이 넓혀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물 보충용 카세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6')에 형성된 상기 계단부(16'c)는 케이스(16) 내부의 확경부(16'e)와 축경부(16'f)의 사이의 경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물보충용 카세트.
  5. 봉상물(12)과, 이 봉상물(12)을 보유지지함과 더불어 후기의 봉상물조출용기에 연결할 수 있도록 된 봉상물홀더(14) 및, 이들 봉상물(12) 및 봉상물홀더(14)를 수용함과 더불어 봉상물홀더(14)를 선두로 해서 봉상물(12) 및 봉상물홀더(14)를 뽑아내는 취출구를 갖춘 바닥을 가진 케이스(16,16')를 구비하고서, 상기 봉상물홀더(14)에는 원주면에 복수의 리브(14e)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케이스(16)에는 상기 취출구(16a)와 반대되는 쪽에서부터 상기 리브(14e)에 닿게 되는 계단부가 형성되고, 봉상물(12)이 수용된 상태에서 봉상물(12)의 끝부분과 케이스(16)의 바닥면(16d)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 구조를 한 봉상물보충용 카세트로부터 보충되는 봉상물을 조출하는 봉상물조출용기에 있어서,
    상기 봉상물홀더(14)가 연결되는 받침부(26c)와, 이 받침부(26c)가 그 내부를 왕복이동하게 되는 원통체(24)를 구비하고서, 이 원통체(24)의 내면에 상기 봉상물홀더(14)의 리브(14e)가 미끄럼이동할 수 있게 끼워맞춰지는 종방향홈(24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물조출용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홈(24b)은 앞끝부근에서, 앞끝 쪽으로 갈수록 점차 홈폭이 넓혀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물 조출용기.
KR2019980018963U 1997-10-22 1998-10-01 봉상물보충용카세트 KR20022553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70290074 1997-10-22
JP97-290074 1997-10-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389U KR19990017389U (ko) 1999-05-25
KR200225532Y1 true KR200225532Y1 (ko) 2001-06-01

Family

ID=69511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8963U KR200225532Y1 (ko) 1997-10-22 1998-10-01 봉상물보충용카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553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389U (ko) 199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9774A (en) Refillable container for applying a spreadable product, more particularly an adhesive compound
KR100605082B1 (ko) 카트리지식 액체조출용기
JP2018011780A (ja) 塗布容器及び塗布容器の製造方法
KR20000017291A (ko) 회전식 봉상물 조출구
JP3326168B1 (ja) カートリッジ式棒状化粧材繰出容器
KR200225532Y1 (ko) 봉상물보충용카세트
JP3981194B2 (ja) 棒状物補充カセット及び棒状物繰り出し容器
JP3974267B2 (ja) カートリッジ式棒状化粧材繰出容器
KR100578785B1 (ko) 막대형 화장재료 조출 용기
KR940006144B1 (ko) 봉상물조출용기
JP3950394B2 (ja) 化粧料繰出容器
EP0617905A2 (en) Stick-shaped piece drive container and stick-shaped piece supplying cassette
JPH11139470A (ja) 棒状物繰り出し容器
JP7199068B1 (ja) 化粧用具
JPH10304932A (ja) 両軸繰出式棒状化粧材容器
JP3953152B2 (ja) 棒状物繰り出し装置
US11903477B2 (en) Refillable container
JP4559559B2 (ja) 化粧材容器
JP2006149946A (ja) 移動体繰出容器
US20220312937A1 (en) Feeding container
KR200150787Y1 (ko) 립브러시가 일체로 구비된 립스틱
JPS6237529Y2 (ko)
JP4057865B2 (ja) 棒状化粧料繰出容器
JP2005323675A (ja) 化粧材容器のカートリッジ
JP4048155B2 (ja) 棒状化粧料繰出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