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867Y1 - 화상 독취 기기의 광축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독취 기기의 광축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4867Y1
KR200224867Y1 KR2019980013435U KR19980013435U KR200224867Y1 KR 200224867 Y1 KR200224867 Y1 KR 200224867Y1 KR 2019980013435 U KR2019980013435 U KR 2019980013435U KR 19980013435 U KR19980013435 U KR 19980013435U KR 200224867 Y1 KR200224867 Y1 KR 2002248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axis
lens holder
ccd sensor
lens
scanning carri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34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3304U (ko
Inventor
곽동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134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867Y1/ko
Publication of KR200000033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33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8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8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03Alignment of optic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59/00Optical: systems and elements
    • Y10S359/90Metho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상 독취 기기의 광축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램프에 의해 노광된 화상의 광축과 집광 렌즈 및 CCD 센서의 광축을 일치시키기 위한 조정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하도록 한 화상 독취 기기의 광축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화상 독취 기기의 광축 조정장치는, 화상을 노광시키는 노광 램프가 설치되는 제1 스캐닝 캐리지와, 상기 제1 스캐닝 캐리지에서 반사되는 광을 렌즈 홀더측으로 반사시키는 두 개의 반사 미러가 설치되는 제2 스캐닝 캐리지와, 상기 제2 스캐닝 캐리지에서 반사되는 광을 집광시키는 집광 렌즈 및 상기 집광 렌즈를 통과한 광이 결상되는 CCD 센서가 설치되는 렌즈 홀더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화상 독취 기기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에는 상기 렌즈 홀더를 일정 지지점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므로써 광축을 조정하는 회전식 광축 조정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광축 조정장치에 의하면, 램프에 의해 노광된 광축과 집광 렌즈 및 CCD 센서의 광축을 CCD 센서의 위치를 조절하지 않고서도 손쉽게 일치시킬 수 있으므로, 제작상의 오차 또는 조립시의 오차로 인하여 틀어진 광축을 조절하는 작업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한번 일치시킨 광축이 변함없이 유지되므로, 제품의 성능 및 신뢰도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 독취 기기의 광축 조정장치{APPARATUS FOR REGULATING OPTICAL AXIS OF SCANNER}
본 고안은 화상 독취 기기의 광축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램프에 의해 노광된 화상의 광축과 집광 렌즈 및 CCD 센서의 광축을 일치시키기 위한 조정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하도록 한 화상 독취 기기의 광축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로 이동식 축소형 광학계를 탑재한 화상 독취 기기는 도 1에서와 같이, 원고가 놓여지는 원고대(1)와, 원고대(1)에 놓여진 원고의 화상을 노광시키는 노광 램프(2)와 반사 미러(3)가 설치되는 제1 스캐닝 캐리지(4)와, 제1 스캐닝 캐리지(4)에서 반사되는 상을 렌즈 홀더(10)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 미러(5,6)가 설치되는 제2 스캐닝 캐리지(7)와, 제1 및 제2 스캐닝 캐리지(4,7)를 가이드 레일상에서 구동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모터와, 집광 렌즈(8) 및 CCD 센서(9)가 설치되는 렌즈 홀더(1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화상 독취 기기는 제1 및 제2 스캐닝 캐리지(4,7)를 모터에 의해 일방향으로 구동시켜 원고대(1) 위에 놓여진 화상의 상을 반사 미러(3,5,6)에 의해 렌즈 홀더(10)에 구비된 집광 렌즈(8)로 집광시켜 CCD 센서(9)에서 결상시키도록 되어 있는바, 이와 같은 결상 작업은 노광된 화상의 광축과 집광 렌즈(8) 및 CCD 센서(9)로 집광 또는 입사되는 광축이 일직선상에 위치되어야 화상의 상이 CCD 센서(9)에 올바르게 결상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되는 화상 독취 기기는 제작상의 오차 또는 조립시의 오차로 인하여 램프에 의해 노광된 화상의 광축과 집광 렌즈 및 CCD 센서와의 광축을 일치시키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광축이 일치되지 않은 경우에 종래에는 CCD 센서(9)의 위치를 조정하여 광축을 일치시킨 후, 집광 렌즈(8)와 CCD 센서(9) 사이의 초점 거리를 다시 조절해주어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램프에 의해 노광된 화상의 광축과 집광 렌즈 및 CCD 센서의 광축을 일직선상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CCD 센서의 위치를 조정해야 하기 때문에 도 2에서와 같이, CCD 센서의 몸체가 좌우방향(화살표 A방향) 또는 상하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흐트러짐이 발생되어 화상의 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CCD 센서의 위치를 조정하다 보면 광축의 일치가 흐트러지는 문제가 반복적으로 발생되어 광축을 일치시키기가 매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램프에 의해 노광된 화상의 광축과 집광 렌즈 및 CCD 센서의 광축을 일치시키기 위한 조정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하도록 한 화상 독취 기기의 광축 조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화상 독취 기기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도 1의 CCD 센서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화상 독취 기기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원고대 4 : 제1 스캐닝 캐리지
7 : 제2 스캐닝 캐리지 10 : 렌즈 홀더
11 : 지지봉 12 : 설치판
13 : 힌지핀 14 : 코일 스프링
15 : 광축 조정 나사 16 : 렌즈 홀더 고정 나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화상 독취 기기의 광축 조정장치는, 화상을 노광시키는 노광 램프가 설치되는 제1 스캐닝 캐리지와, 상기 제1 스캐닝 캐리지에서 반사되는 광을 렌즈 홀더측으로 반사시키는 두 개의 반사 미러가 설치되는 제2 스캐닝 캐리지와, 상기 제2 스캐닝 캐리지에서 반사되는 광을 집광시키는 집광 렌즈 및 상기 집광 렌즈를 통과한 광이 결상되는 CCD 센서가 설치되는 렌즈 홀더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화상 독취 기기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에는 상기 렌즈 홀더를 일정 지지점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므로써 광축을 조정하는 회전식 광축 조정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 독취 기기의 광축 조정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화상 독취 기기의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실시예가 적용된 화상 독취 기기는 원고가 놓여지는 원고대(1)와, 원고대(1)에 놓여진 원고의 화상을 노광시키는 노광 램프(2)와 반사 미러(3)가 설치되는 제1 스캐닝 캐리지(4)와, 제1 스캐닝 캐리지(4)에서 반사되는 상을 렌즈 홀더(10)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 미러(5,6)가 설치되는 제2 스캐닝 캐리지(7)와, 제1 및 제2 스캐닝 캐리지(4,7)를 가이드 레일상에서 구동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모터와, 집광 렌즈(8) 및 CCD 센서(9)가 설치되는 렌즈 홀더(10)의 구성을 갖는 것은 종래 기술과 동일하다.
그러나, 렌즈 홀더(10)에는 본 고안의 광축 조정장치가 설치되는바, 광축 조정장치는 렌즈 홀더(10)를 일정 지지점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므로써 광축을 조정하도록 하는 회전식 광축 조정 수단으로 구성된다.
상술하면, 렌즈 홀더(10)의 광축 중심 위치에는 지지봉(11)의 일단부가 고정 설치되어 있고, 지지봉(11)의 다른 단부는 렌즈 홀더(10)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설치판(12)에 힌지핀(13)을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봉(11)의 좌측(집광 렌즈측)으로 렌즈 홀더(10)와 설치판(12)의 사이에는 렌즈 홀더(10)에 화살표 A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기 위한 코일 스프링(14)이 설치되어 있고, 지지봉(11)의 우측(CCD 센서측)으로는 설치판(12)을 관통하여 광축 조정 나사(15)가 삽입되어 있으며, 코일 스프링(14)의 좌측으로는 설치판(12)을 관통하여 렌즈 홀더 고정 나사(16)가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광축 조정장치를 사용하여 광축을 조정하는 작업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렌즈 홀더(10)에는 집광 렌즈(8)와 CCD 센서(9)가 고정되어 있으며, 광축을 조정하기 전의 렌즈 홀더(10)는 코일 스프링(14)에 의해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광축 조정 나사(15)를 화살표 D방향으로 전진시키면 렌즈 홀더(10)가 힌지핀(13)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렌즈 홀더(10)를 회전시키면 집광 렌즈(8) 및 CCD 센서(9)의 광축이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되는바, 광축을 조정하는 작업은 램프(3)에 의해 노광된 화상의 광축과 집광 렌즈(8) 및 CCD 센서(9)로 집광 또는 입사되는 광축이 일치될 때까지 광축 조정 나사(15)를 전진 또는 후퇴시키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한 방법에 따라 램프(3)에 의해 노광된 화상의 광축과 집광 렌즈(8) 및 CCD 센서(9)로 집광 또는 입사되는 광축이 일치된 후에는, 렌즈 홀더 고정 나사(16)를 화살표 E방향으로 전진시켜 렌즈 홀더(10)와 설치판(12)이 서로 밀치는 힘에 렌즈 홀더(10)가 광축 조정 위치에 확실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로써, 램프에 의해 노광된 광축과 집광 렌즈 및 CCD 센서의 광축을 CCD 센서의 위치를 조절함이 없이 손쉽게 일치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상 독취 기기의 광축 조정장치에 의하면, 램프에 의해 노광된 광축과 집광 렌즈 및 CCD 센서의 광축을 CCD 센서의 위치를 조절하지 않고서도 손쉽게 일치시킬 수 있으므로, 제작상의 오차 또는 조립시의 오차로 인하여 틀어진 광축을 조절하는 작업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한번 일치시킨 광축이 변함없이 유지되므로, 제품의 성능 및 신뢰도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

  1. 화상을 노광시키는 노광 램프가 설치되는 제1 스캐닝 캐리지와, 상기 제1 스캐닝 캐리지에서 반사되는 광을 렌즈 홀더측으로 반사시키는 두 개의 반사 미러가 설치되는 제2 스캐닝 캐리지와, 상기 제2 스캐닝 캐리지에서 반사되는 광을 집광시키는 집광 렌즈 및 상기 집광 렌즈를 통과한 광이 결상되는 CCD 센서가 설치되는 렌즈 홀더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화상 독취 기기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렌즈 홀더에 고정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타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판과, 상기 지지봉의 좌우 어느 일측에서 상기 렌즈 홀더에 소정의 탄성력을 작용시키도록 상기 렌즈 홀더와 상기 설치판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과, 상기 지지봉을 중심으로 상기 스프링의 반대측에서 상기 설치판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광축 조정 나사와, 상기 지지봉을 중심으로 상기 스프링의 외측에서 상기 설치판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렌즈 홀더 고정 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독취 기기의 광축 조정장치.
KR2019980013435U 1998-07-22 1998-07-22 화상 독취 기기의 광축 조정장치 KR2002248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3435U KR200224867Y1 (ko) 1998-07-22 1998-07-22 화상 독취 기기의 광축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3435U KR200224867Y1 (ko) 1998-07-22 1998-07-22 화상 독취 기기의 광축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304U KR20000003304U (ko) 2000-02-15
KR200224867Y1 true KR200224867Y1 (ko) 2001-06-01

Family

ID=69519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3435U KR200224867Y1 (ko) 1998-07-22 1998-07-22 화상 독취 기기의 광축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86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20121A (zh) * 2020-04-03 2020-07-17 苏州大学 一种基于甲基丙烯酸化水凝胶/纳米粘土/脱细胞基质的复合生物墨水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304U (ko) 2000-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24867Y1 (ko) 화상 독취 기기의 광축 조정장치
US4557594A (en) Magnification varying device for copying machine
JP3187039B2 (ja) 光学装置における倍率補正機構
KR100260917B1 (ko) 화상독취기기의 광축 조정 장치
JPH07327109A (ja) 読取装置
US4444488A (en) Adjustable mirror support for copying apparatus
KR100268345B1 (ko) 화상 독취 기기의 광축 구성장치
KR960009042Y1 (ko) 레이저빔 주사광학계의 빔 위치 조절장치
CN217543554U (zh) 一种用于药物筛选装置的光学系统
KR20000005254U (ko) 화상 독취 기기의 광축 조정장치
JPH10325934A (ja) 光走査装置
JPH08234129A (ja) 光走査装置
JP3008133B2 (ja) ビームスキャナ
JP3569782B2 (ja) レーザー走査顕微鏡
KR100346721B1 (ko) 광학계의 렌즈 위치 조정장치
JP3359759B2 (ja) レンズ移動機構
JP3486501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ピント調整方法
JP2880768B2 (ja) レンズキャリッジ
JPH11122427A (ja) 画像読み取りユニットおよび画像読み取り装置
KR0130409B1 (ko) 자기헤드 이미지 분할장치
JP2919666B2 (ja) 画像読み取り装置およびその調整方法
JP2000253213A (ja) 画像読取装置
JP2000022888A (ja) 画像読取装置
JPH01106567A (ja) 原稿読取装置
JPH0572451A (ja) 画像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