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390Y1 - 가역전자접촉기 - Google Patents

가역전자접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4390Y1
KR200224390Y1 KR2020000034538U KR20000034538U KR200224390Y1 KR 200224390 Y1 KR200224390 Y1 KR 200224390Y1 KR 2020000034538 U KR2020000034538 U KR 2020000034538U KR 20000034538 U KR20000034538 U KR 20000034538U KR 200224390 Y1 KR200224390 Y1 KR 2002243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contactor
power
reverse
reversible
power l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5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관순
Original Assignee
장관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관순 filed Critical 장관순
Priority to KR20200000345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3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3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390Y1/ko

Links

Landscapes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터 등과 같은 동력기계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운전할 때 정회전용 전자접촉기와 역회전용 전자접촉기 2대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와 정회전용 전자접촉기와 역회전용 전자접촉기가 일체로 형성된 가역전자접촉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들의 경우 서로간에 접속된 전원측 또는 부하측의 전원선 3가닥중 2가닥의 전원선을 바꾸어 결선해야 하며 통상 전원선이 서로간 교차하지 않는 부분은 절연 피복이 되지 않은 부스바로 연결하지만 전원선이 교차하는 부분은 전원선이 단락하므로 반드시 절연 피복된 전선을 사용해야 하는 것으로서 상기한 전자접촉기들은 주로 함체형상인 분전반내에 설치하며 이러한 좁은 공간에서 여러개의 터미널을 단자에 접속하게 되는데 제작사에서 전선으로 기 접속된 전원선 들은 사용자가 단자에 터미널들을 접속하는데 장애가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함과 동시에 제작시 부품과 조립공정을 단순화시켜 원가 절감에 기여할 수 있는 고안이다.

Description

가역전자접촉기{Reversible Electro Magnetic Contactor}
본 고안은 모터 등과 같은 동력기계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운전할 때 정회전용 전자접촉기와 역회전용 전자접촉기 2대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와 정회전용 전자접촉기와 역회전용 전자접촉기가 일체로 형성된 가역전자접촉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들의 경우 서로간에 접속된 전원측 또는 부하측의 전원선 3가닥중 2가닥의 전원선을 바꾸어 결선해야 하며 통상 전원선이 서로간 교차하지 않는 부분은 절연 피복이 되지 않은 부스바로 연결하지만 전원선이 교차하는 부분은 전원선이 단락하므로 반드시 절연 피복된 전선을 사용해야 하는 것으로서 상기한 전자접촉기들은 주로 함체형상인 분전반내에 설치하며 이러한 좁은 공간에서 여러개의 터미널을 단자에 접속하게 되는데 제작사에서 전선으로 기 접속된 전원선들은 사용자가 단자에 터미널들을 접속하는데 장애가 되는 것이다.
부스바가 교차되는 부분에 절연재로 서로를 이격 함으로써 전원측과 부하측의 전원선 접속은 모두 부스바로 가능하며,
이로써 사용자는 좁은 공간에서도 단자에 여러개의 터미널을 접속하기 쉬우며 제작사에는 부품제작과 조립공정을 단순화시켜 원가 절감에 기여토록 함에 있다.
도1은 종래의 전원측과 부하측의 접속상태를 간략하게 도시한 전개도
도2는 본 고안의 전원측과 부하측의 접속상태를 간략하게 도시한 전개도
도3은 본 고안의 도2의 다른 접속도
도4는 전선으로 접속한 상태의 종래의 가역전자접촉기의 평면도
도5는 교차되는 부분에 본 고안의 이격절연체를 사용하여 부스바로 접속한 상태의 가역전자접촉기의 평면도
도6은 도4와 도5의 A-A선 정면도
도7은 도4의 B-B선 정면도
도8은 도5의 C-C선 정면도
도9는 본 고안 가역전자접촉기의 부하측(U,V,W)의 상간구획격벽의 절개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10은 본 고안의 부스바 사이에 이격절연체를 삽입한 상태의 확대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가역전자접촉기 2 : 상간구획격벽 3 : 상간구획통로
4 : 부스바 5 : 이격절연체 MC1 : 정회전 전자접촉기
MC2 : 역회전 전자접촉기 RST : 전원측 단자 UVW : 부하측 단자
도1, 도2, 도3,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역전자접촉기(1)의 전원측(R,S,T)의 부스바(4)들은 모두 서로간 교차함이 없이 상간구획격벽(2)으로 분리 형성된 각각의 상간구획통로(3),(3a),(3b)에 삽입 설치하며,
도2, 도3, 도8에 도시한 가역전자접촉기(1)의 부하측(U,V,W)의 부스바(4)들 중에 한 상(Pole)은 교차함이 없이 접속할 수 있으며 나머지 두상은 서로간 교차되어야만 하며 교차되는 부분에 이격절연체(5)를 삽입하여 두상의 단락을 방지토록한 구조로서,
이격절연체(5)가 부스바(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격절연체(5)의 안팎에는 교차되게 홈(5a),(5b)을 삭성하였고,
이격절연체(5)가 상간구획통로(3a),(3b)에 삽입되고 부스바(4)가 통과될 수 있도록 상간구획격벽(2)의 일부를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절개(2b),(2a) 하였다.
도면중 미 설명 부호 (6)은 볼트, (7)은 전선, (8)은 터미널이다.
도2에 도시한 전개도에 근거하여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회전 전자접촉기(MC 1)가 온되면 R상과 U상, S상과 V상, T상과 W상이 접속되고 역회전 전자접촉기(MC 2)가 온되면 R상과 V상, S상과 U상, T상과 W상이 접속되어 3상중 2상이 변환되어 모터를 정,역회전 할 수 있으며 도3의 경우도 동일한 원리에 의해서 상 변환을 할 수 있는 것이며 전원측(R,S,T)과 부하측(U,V,W)이 바뀌어도 기능상에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부스바(4)와 전선(7)을 혼용하여 단자 접속을 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 여러개의 터미널을 접속하는데 장애가 되어 왔으며 제조시 부품을 단순화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조립도 불편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러한 제반 결점을 보완하여 제조자 및 사용자 모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고안이다.

Claims (3)

  1. 상간구획통로(3)에 부스바(4)와 전선(8)을 혼용 삽입하여 가역전자접촉기 전원측과 부하측의 단자들을 상호 접속한 공지의 것에 있어서,
    부스바(4)가 교차하는 부분에 이격절연체(5)를 삽입하여 부스바(4)들의 단락을 방지토록 한 가역전자접촉기.
  2. 제1항에 있어서 이격절연체(5)의 안팎으로 홈(5a),(5b)을 형성하여 이격절연체(5)가 부스바(4)에서 이탈되지 못하게 한 가역전자접촉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간구획격벽(2)의 일부를 절개(2b)하여 이격절연체(5)가 상간구획통로(3),(3a),(3b)에 삽입되도록 하며 상간구획격벽(2)의 일부를 절개(2a)하여 부스바(4)가 통과되도록 한 가역전자접촉기.
KR2020000034538U 2000-12-09 2000-12-09 가역전자접촉기 KR2002243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538U KR200224390Y1 (ko) 2000-12-09 2000-12-09 가역전자접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538U KR200224390Y1 (ko) 2000-12-09 2000-12-09 가역전자접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4390Y1 true KR200224390Y1 (ko) 2001-05-15

Family

ID=73092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538U KR200224390Y1 (ko) 2000-12-09 2000-12-09 가역전자접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39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01590A1 (ko) * 2020-04-01 2021-10-07 김태중 스타 델타 운전용 전자접촉기
WO2021201599A1 (ko) * 2020-04-01 2021-10-07 김태중 가역형 전자접촉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01590A1 (ko) * 2020-04-01 2021-10-07 김태중 스타 델타 운전용 전자접촉기
WO2021201599A1 (ko) * 2020-04-01 2021-10-07 김태중 가역형 전자접촉기
KR20210122444A (ko) * 2020-04-01 2021-10-12 김태중 가역형 전자접촉기
KR20210122446A (ko) * 2020-04-01 2021-10-12 김태중 스타 델타 운전용 전자접촉기
KR102375123B1 (ko) * 2020-04-01 2022-03-16 김태중 스타 델타 운전용 전자접촉기
KR102391245B1 (ko) * 2020-04-01 2022-04-27 김태중 가역형 전자접촉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90041B1 (en) Power distribution panel
JP5211147B2 (ja) スイッチギヤ
CA2643497C (en) Electrical enclosure and electrical bus assembly therefor
KR100866655B1 (ko) 자동차용 브러쉬리스 모터의 버스바를 이용한 병렬 권선결합구조
US5920034A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KR200224390Y1 (ko) 가역전자접촉기
TW200410459A (en) Terminal connector of electrical device
JP2002199514A (ja) プラグイン式配線用遮断器
KR101897090B1 (ko)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KR200302957Y1 (ko) 분전반
JP4758040B2 (ja) 分電盤
CN217545162U (zh) 连接母排、汽车的电驱系统及汽车
JPH054175Y2 (ko)
KR101917212B1 (ko)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CN110444923B (zh) 组合铜排
KR101949895B1 (ko) 결선 변경이 용이한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JP2001015005A (ja) 回路遮断器
JP3781978B2 (ja) 船舶の発電機用配電盤
JPH0583828A (ja) ブスバーの回路変更方法
CN1220315C (zh) 定子同位式集成电机
JPH069524Y2 (ja) 開閉器用連結母線
KR960001659Y1 (ko) 세탁기
JP2819541B2 (ja) 分電盤用2極ブレーカの一次側接続導体
JPH04295206A (ja) 閉鎖配電盤
KR20230155136A (ko) 가역형 전자접촉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