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9895B1 - 결선 변경이 용이한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 Google Patents
결선 변경이 용이한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49895B1 KR101949895B1 KR1020180104484A KR20180104484A KR101949895B1 KR 101949895 B1 KR101949895 B1 KR 101949895B1 KR 1020180104484 A KR1020180104484 A KR 1020180104484A KR 20180104484 A KR20180104484 A KR 20180104484A KR 101949895 B1 KR101949895 B1 KR 1019498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ing
- front contact
- conductor
- node
- conne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2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compon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75—Means facilitating correct wiring, e.g. marking plates, identification tag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선 변경이 용이한 유동전동기 결선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서, 절연체 복수의 면으로 구성된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하부면에서 아래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 결선변경부; 및 상기 결선변경부에 위치된 다수의 도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도체부는 상기 결선변경부의 일측면에만 위치되는 와이결선도체부; 및 상기 결선변경부의 양측면에 위치되는 델타결선도체부(280)를 포함하는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220V/380V 겸용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서, 220V 전압이 인가되어 작동되는 유도전동기에 380V로 전압이 변경되어 인가되어야 하는 경우, 또는 380V 전압이 인가되어 작동되는 유도전동기에 220V로 전압이 변경되어야 하는 경우에, 기존 결선을 해지하고 다시 결선해야 하는 결선상태를 전환시켜야만 하는 종래기술에 따른 불편함이 없이, 베이스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덮개를 베이스에서 분리시키고, 수평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킨 후 다시 베이스 상부면에 장착시킴으로써 간편하게 결선상태를 전환시킬 수 있는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산업용이나 가정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3상 유도전동기의 기동 방식에는 와이(Y)기동 방식과 델타(Δ)기동 방식이 있다. 와이기동 방식은 유도전동기 코일 각상의 3선은 공통으로 묶고 나머지 3선은 각상에 물려주는 방식으로 공급전원 전압이 고전압(예컨대 380V)일 경우 사용되고, 델타기동 방식은 각선이 서로 꼬리를 물고 동그라미 형태를 그리며 물려주는 방식으로 공급전원 전압이 저전압(예컨대 220V)일 경우 사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R단자, S단자, T단자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는 220V/380V 겸용 3상 유도전동기의 경우, 공급전원 전압이 220V 전압인 경우에는 반드시 델타결선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공급전원 전압이 380V 전압인 경우에는 반드시 와이결선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인가되는 전압이 변경됨에 따라 결선상태가 전환되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기존 결선을 해지하고 새로운 결선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랐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종래기술에 따른 대한민국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2011-0006685호를 살펴본다.
종래기술은, 공급전원의 출력전압에 따라 결선상태를 간편하게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해줄 수 있음과 아울러 유도전동기에 장착 및 관리가 용이한 3상 유도전동기의 결선 단자대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르면 그 단자대 구조가 여전히 복잡하고 결선상태를 전환하는데 있어서, 결선노드들의 죄임부재를 나사체결해지하고 다시 새로운 결선상태를 형성한 후 결선노들의 죄임부재를 나사체결하는 등, 기존 결선을 해지하고 새로운 결선을 해야하는 불편함이 여전히 남아있다.
또한, 베이스의 상부면에 장착되어 상부면을 덮는 덮개가 상부면 일부만을 덮고 있어 안전성에 문제가 따른다.
또한, 현재 결선상태가 220V 전압인지 380V 전압인지 구분하기 어려워 결선상태를 전환시키는 과정 중 혼동을 초래하여 전기적 위험이 발생될 수 있다.
(특허문헌 1) KR20-2011-0006685 A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유도전동기에서의 결선상태를 간편하게 전환시킬 수 있는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결선 단자대에서의 작업에 있어서 안전성이 증대된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현재 공급전원의 전압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고, 결선상태가 전환된 이후에도 전환된 전압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는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동전동기 결선 단자대는, 절연체 복수의 면으로 구성된 베이스(100); 및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덮개(200)를 포함하는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덮개(200)의 하부면에서 아래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 결선변경부(220); 및 상기 결선변경부(220)에 위치된 다수의 도체부(260,280)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도체부(260,280)는 상기 결선변경부(220)의 일측면에만 위치되는 와이결선도체부(260); 및 상기 결선변경부(220)의 양측면에 위치되는 델타결선도체부(28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와이결선도체부(260)는 다수인 상태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델타결선도체부(280)는 상기 결선변경부(220)의 일측면에 위치된 일측도체부(282a,284a,286a)와 상기 결선변경부(220)의 타측면에 위치된 타측도체부(282b,284b,286b)가 상기 결선변경부(220)를 관통하여 연결된 상태로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선변경부(220)에서 상기 다수의 도체부(260,280) 이외 부분은 부도체이며, 상기 결선변경부(220)의 일측면에 위치된 상기 와이결선도체부(260)와 상기 델타결선도체부(280) 사이에는 부도체인 아크차단판(250)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의 와이결선도체부(260)는 제1와이결선도체부(262); 제2와이결선도체부(264); 및 제3와이결선도체부(266)를 포함하며, 상기 델타결선도체부(280)는 제1델타결선도체부(282); 제2델타결선도체부(284); 및 제3델타결선도체부(286)를 포함하며, 상기 제1와이결선도체부(262)와 상기 제2와이결선도체부(264) 간의 간격은 상기 제2와이결선도체부(264)와 상기 제3와이결선도체부(266) 간의 간격과 동일하며, 상기 제1델타결선도체부(282)와 상기 제2델타결선도체부(284) 간의 간격은 상기 제2델타결선도체부(284)와 상기 제3델타결선도체부(286) 간의 간격과 동일하며, 상기 제2와이결선도체부(264) 및 상기 제2델타결선도체부(284)는 상기 결선변경부(220)의 상단의 중앙과 하단의 중앙을 연결하는 중앙선으로부터 벗어난 지점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100)의 내측에 형성된 R단자가 결합되는 제1결선노드(110); S단자가 결합되는 제2결선노드(120); T단자가 결합되는 제3결선노드(130); 상기 제1결선노드(110)를 대면하는 제6결선노드(160); 상기 제2결선노드(120)를 대면하는 제4결선노드(140); 및 상기 제3결선노드(130)를 대면하는 제5결선노드(1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결선노드(110)에서 상기 제6결선노드(16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1전면접점부(111); 상기 제6결선노드(160)에서 상기 제1결선노드(11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6전면접점부(161); 상기 제2결선노드(120)에서 상기 제4결선노드(14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2전면접점부(121); 상기 제4결선노드(140)에서 상기 제2결선노드(12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4전면접점부(141); 상기 제3결선노드(130)에서 상기 제5결선노드(15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3전면접점부(131); 및 상기 제5결선노드(150)에서 상기 제3결선노드(13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5전면접점부(151)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덮개(200)가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제1상태에서, 상기 제1와이결선도체부(262)가 상기 제1전면접점부(111)와 상기 제6전면접점부(161)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6전면접점부(161)에 접촉되고, 상기 제2와이결선도체부(264)가 상기 제2전면접점부(121)와 상기 제4전면접점부(141)에 위치되어 상기 제4전면접점부(141)에 접촉되고, 상기 제3와이결선도체부(266)가 상기 제3전면접점부(131)와 상기 제5전면접점부(151)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5전면접점부(151)에 접촉되며, 상기 덮개(200)가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제2상태에서, 상기 제1델타결선도체부(282)가 상기 제3전면접점부(131)와 상기 제5전면접점부(151)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3전면접점부(131) 및 상기 제5전면접점부(151)에 접촉되고, 상기 제2델타결선도체부(284)가 상기 제2전면접점부(121)와 상기 제4전면접점부(141)에 위치되어 상기 제2전면접점부(121) 및 상기 제4전면접점부(141)에 접촉되고, 상기 제3델타결선도체부(286)가 상기 제1전면접점부(111)와 상기 제6전면접점부(161)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전면접점부(111) 및 상기 제6전면접점부(161)에 접촉되며, 상기 제2상태는 상기 제1상태에서의 상기 덮개(200)가 180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100) 상부면을 덮는 상태이다.
상술한 과제해결수단으로 인하여, 220V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380V 전압으로 변경하여 인가해야 하는 경우, 덮개를 베이스로부터 분리한 후, 180도 수평방향에서 회전시키고, 이후 다시 베이스의 상부면에 장착시킴으로써 변경된 전압에 맞게 결선상태를 간편하게 전환시킬 수 있다. 380V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도 220V 전압으로 변경하여 인가해야 하는 경우, 간편하게 덮개만을 분리한 후 회전시킨 후 다시 베이스 상부면에 장착시킴으로써 220V 전압이 인가 가능하도록 결선상태의 전환이 가능하다.
나아가, 덮개가 베이스의 상부면 모두를 덮고 있어 전기적 안정성이 증대된다.
나아가, 현재 인가되는 전압에 맞는 결선상태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고, 나아가 결선상태가 변경된 이후에도 변경된 결선상태에 따라 인가되어야 할 전압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220V/380V 겸용 유도전동기에서 인가되는 전압에 따른 결선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에서 덮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에서 절연체 복수의 면으로 구성된 베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베이스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덮개의 위치에 따라 결선상태가 전환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에서 덮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에서 절연체 복수의 면으로 구성된 베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베이스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덮개의 위치에 따라 결선상태가 전환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전기적 연결'이나 '전기적으로 연결'이란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연결을 지칭한다.
도 2는 덮개(200)가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를 덮개(200)와 베이스(100)를 분리한 상태에서 위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와 아래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180도 회전 전과 후를 도시함으로써 덮개(200)의 양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베이스(100)의 상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는 절연체 복수의 면으로 구성된 베이스(100) 및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되어 베이스(100)의 상부면을 덮는 덮개(200)를 포함한다.
덮개(200)의 하부면에는 결선변경부(220)가 형성되어 있다.
결선변경부(220)는 덮개(200) 하부면에서 아래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다. 덮개(200)가 베이스(100) 상부면에 장착되었을 경우, 덮개(200) 하부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결선변경부(220)가 베이스(100) 내측으로 삽입되어 후술할 다수의 도체부(260,280)가 다수의 전면접점부(111,121,131,141,151,161) 사이에 위치되거나 또는 후술한 다수의 도체수용부(171,172,173)에 수용되어 위치된다.
베이스(100) 내측에서 다수의 도체부(260,280)가 어느 곳에 위치되는지에 따라 와이(Y)결선 또는 델타(Δ)결선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베이스(100)에 장착되는 덮개(200)의 위치를 변경함에 따라 와이결선에서 델타결선 또는 델타결선에서 와이결선으로 결선상태의 전환이 가능하다. 베이스(100) 상부면에 장착된 덮개(200)를 분리한 후, 180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다시 베이스(100) 상부면에 장착시킴에 따라 결선상태의 전환이 가능하다.
결선변경부(220)는 덮개(200) 하부면에서 아래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며, 덮개(200) 하부면의 중앙선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형성될 수 있다. 즉, 베이스(100)의 일측에 착탈되는 착탈부가 연결된 덮개(200)의 일단과 베이스(100)의 타측에 착탈되는 착탈부가 연결된 덮개(200)의 타단을 연결한 중앙선에서, 이러한 중앙선을 따라 일정한 길이로 덮개(200)의 하부면에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결선변경부(220)에 다수의 도체부(260,280)가 위치된다.
다수의 도체부(260,280)는 결선변경부(220)의 일측면에만 위치되는 와이결선도체부(260) 및 결선변경부(200)의 양측면에 위치되는 델타결선도체부(280)로 구성된다.
와이결선도체부(260)는 제1와이결선도체부(262), 제2와이결선도체부(264) 및 제3와이결선도체부(266)를 포함한다. 이러한 각각의 와이결선도체부(260)는 일정한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를 갖는 도체인 직사각형 형상의 판 형상일 수 있으며, 이러한 각각의 와이결선도체부(260)는 결선변경부(220)의 일측면 수평면과 동일한 수평면을 이루면서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와이결선도체부(262), 제2와이결선도체부(264) 및 제3와이결선도체부(266)는 결선변경부(220)의 일측면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다수의 와이결선도체부(260)는 결선변경부(220)의 일측면에만 위치되는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된다. 즉, 제1와이결선도체부(262)와 제2와이결선도체부(264) 간의 간격과 제2와이결선도체부(264)와 제3와이결선도체부(266) 간의 간격은 동일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와이결선도체부(264)는 상기 결선변경부(220)의 상단의 중앙과 하단의 중앙을 연결한 중앙선으로부터 벗어난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결선변경부(220)의 전체에서 와이결선도체부(260)는 전체적으로 한 방향으로 치우쳐 위치하게 된다. 결선변경부(220)의 일단에서 제1와이결선도체부(262)까지의 간격은 결선변경부(220)의 타단에서 제3와이결선도체부(266)까지의 간격보다 더 길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와이결선도체부(260) 간의 간격이 동일하므로, 연결된 상태의 다수의 와이결선도체부(260)는 결선변경부(220) 전체에서 결선변경부(220)의 타단 방향으로 치우쳐 위치하게 된다.
덮개(200)가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와이결선도체부(262)가 후술할 제6전면접점부(161)와 접촉하고, 제2와이결선도체부(264)가 후술할 제4전면접점부(162)와 접촉하고, 제3와이결선도체부(266)가 제5전면접점부(151)에 접촉함에 따라, 결국 제4결선노드(140), 제5결선노드(150) 및 제6결선노드(16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와이결선 상태가 된다.
델타결선도체부(280)는 제1델타결선도체부(282), 제2델타결선도체부(284) 및 제3델타결선도체부(286)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델타결선도체부(282), 제2델타결선도체부(284) 및 제3델타결선도체부(286)는 결선변경부(22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위치되되, 이러한 결선변경부(220)를 관통하여 연결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즉, 제1델타결선도체부(282)는 결선변경부(220)의 일측면에 위치된 일측도체부(282a)와 타측면에 위치된 타측도체부(282b)로 구성되되, 결선변경부(200)를 관통하여 일측도체부(282a)와 타측도체부(282b)가 연결된 상태로 위치된다. 제2델타결선도체부(284) 및 제3델타결선도체부(286)도 마찬가지이다. 이에 따라, 일측도체부(282a,284a,286a)와 타측도체부(282b,284b,286b)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각각의 일측도체부(282a,284a,286a)와 타측도체부(282b,284b,286b)의 크기가 다를 수 있으나, 모두 일정한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를 갖는 도체인 직사각형 형상의 판 형상일 수 있으며, 이러한 각각의 일측도체부(282a,284a,286a)는 결선변경부(220)의 일측면 수평면과 동일한 수평면을 이루면서 위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각각의 타측도체부(282b,284b,286b)는 결선변경부(220)의 타측면 수평면과 동일한 수평면을 이루면서 위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제1델타결선도체부(282), 제2델타결선도체부(284) 및 제3델타결선도체부(286)는 결선변경부(220)의 일측면 그리고 타측면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제1델타결선도체부(282)와 제2델타결선도체부(284) 간의 간격과 제2델타결선도체부(284)와 제3델타결선도체부(286) 간의 간격은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델타결선도체부(284)는 상기 결선변경부(220)의 상단의 중앙과 하단의 중앙을 연결한 중앙선으로부터 벗어난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결선변경부(220)의 전체에서 델타결선도체부(280)는 전체적으로 한 방향으로 치우쳐 위치하게 된다.
결선변경부(220)의 일단에서 제1델타결선도체부(282)까지의 간격은 결선변경부(220)의 타단에서 제3델타결선도체부(286)까지의 간격보다 더 짧을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델타결선도체부(280) 간의 간격이 동일하므로, 다수의 델타결선도체부(280)는 결선변경부(220) 전체에서 결선변경부(220)의 일단 방향으로 치우쳐 위치하게 된다.
덮개(200)가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델타결선도체부(282)의 일측도체부(282a)가 후술할 제3전면접점부(131)와 접촉하고, 타측도체부(282b)가 후술할 제5전면접점부(151)와 접촉하여 제1델타결선도체부(282)를 통하여 제3결선노드(130)와 제5결선노드(15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델타결선도체부(284)의 일측도체부(284a)가 후술할 제2전면접점부(121)와 접촉하고, 타측도체부(284b)가 후술할 제4전면접점부(141)와 접촉하여 제2델타결선도체부(284)를 통하여 제2결선노드(120)와 제4결선노드(1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3델타결선도체부(286)의 일측도체부(286a)가 후술할 제1전면접점부(111)와 접촉하고, 타측도체부(286b)가 후술할 제6전면접점부(161)와 접촉하여 제1델타결선도체부(284)를 통하여 제1결선노드(120)와 제6결선노드(1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결국 제1결선노드(110)와 제6결선노드(16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결선노드(110)와 제4결선노드(1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3결선노드(130)와 제5결선노드(15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델타결선 상태가 된다.
이러한 다수의 전면접점부(111,121,131,141,151,161)에 와이결선도체부(260)가 접촉하는지 아니면 델타결선도체부(280)가 접촉하는지에 따라 와이결선인지 델타결선인지가 결정되며, 이러한 변경은 덮개(200)를 베이스(100)의 상부면에서 분리하여 180도 회전한 다음 다시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함으로써 가능한데, 이러한 변경을 통하여 와이결선을 델타결선으로 또는 델타결선을 와이결선으로 결선상태 전환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결선변경부(220)에서 상술한 다수의 도체부(260,280)이외 부분은 부도체이다. 따라서, 다수의 도체부(260,280)로만 전류가 흐르면서 결선상태가 결정된다.
결선변경부(220)의 일측면에 위치된 와이결선도체부(260)와 델타결선도체부(280) 사이에는 부도체인 아크차단판(250)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즉, 제1와이결선도체부(262)와 제1델타결선도체부(282)의 일측도체부(282a) 사이에, 제2와이결선도체부(264)와 제2델타결선도체부(284)의 일측도체부(284a) 사이에, 그리고 제3와이결선도체부(266)와 제3델타결선도체부(286)의 일측도체부(286a) 사이에 결선변경부(220)의 일측면에서 돌출된 형상의 아크차단판(250)이 위치된다.
다수의 와이결선도체부(260)가 다수의 전면접점부(141,151,161)에 접촉한 상태에서 모터 작동 중에 발생 가능한 아크 등이 델타결선도체부(280)에 닿지 못하도록 차단하며, 마찬가지로 다수의 델타결선도체부(280)가 다수의 전면접점부(111,121,131,141,151,161)에 접촉한 상태에서 모터 작동 중에 발생 가능한 아크 등이 와이결선도체부(280)에 닿지 못하도록 차단하기 위함이다.
베이스(100)는 절연체로서 복수의 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복수의 면에 결선에 필요한 다수의 결선노드(110,120,130,140,150,160), 다수의 전면접점부(111,121,131,141,151,161), 다수의 도체수용부(171,172,173)이 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는 베이스(100)의 내측에 형성된 R단자가 결합되는 제1결선노드(110), S단자가 결합되는 제2결선노드(120), T단자가 결합되는 제3결선노드(130), 제1결선노드(110)를 대면하는 제6결선노드(160), 제2결선노드(120)를 대면하는 제4결선노드(140) 및 제3결선노드(130)를 대면하는 제5결선노드(150)를 포함한다.
또한, 제1결선노드(110)에서 제6결선노드(16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1전면접점부(111), 제6결선노드(160)에서 제1결선노드(11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6전면접점부(161), 제2결선노드(120)에서 제4결선노드(14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2전면접점부(121), 제4결선노드(140)에서 제2결선노드(12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4전면접점부(141), 제3결선노드(130)에서 제5결선노드(15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3전면접점부(131) 및 제5결선노드(150)에서 제3결선노드(13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5전면접점부(151)를 포함한다.
또한, 제1결선노드(110)와 제6결선노드(160) 사이에 위치되되 제1전면접점부(111) 및 제6전면접점부(161)의 옆에 위치된 제1도체수용부(171), 제2결선노드(120)와 제4결선노드(140) 사이에 위치되되 제2전면접점부(121) 및 제6전면접점부(161)의 옆에 위치된 제2도체수용부(172), 제3결선노드(130)와 제5결선노드(150) 사이에 위치되되 제3전면접점부(131) 및 제5전면접점부(151)의 옆에 위치된 제3도체수용부(173)를 포함한다.
기타 유도전동기 결선에 필요한 결선노드 및 단자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는 제1도체수용부(171), 제2도체수용부(172) 및 제3도체수용부(173) 각각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정한 높이로 형성된 한 쌍의 제1차단부(181), 한 쌍의 제2차단부(182) 및 한 쌍의 제3차단부(183)를 더 포함한다.
각각 쌍으로 구성된 다수의 차단부(181,182,183)의 일단이 다수의 전면접점부(111,121,131,141,151,161)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위치되고, 각각 쌍으로 구성된 다수의 차단부(181,182,183)의 일측면은 다수의 결선노드(110,120,130,140,150,160)에 대면하는 형태로 위치된다.
덮개(200)가 베이스(100) 상부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다수의 차단부(181,182,183)는 다수의 도체수용부(171,172,173)에 수용되어 위치되는 와이결선도체부(260) 또는 델타결선도체부(280)가 다수의 결선노드(110,120,130,140,150,160)에 접촉하지 않도록 와이결선도체부(260) 또는 델타결선도체부(280)를 차단한다.
다수의 차단부(181,182,183))의 일측에는 아래 방향으로 단턱진 형상의 아크차단판안착부(181a,182a,183a)가 위치된다.
후술할 아크차단판(250)이 각각의 와이결선도체부(260)와 델타결선도체부(280) 사이에 위치되는 바, 덮개(200)가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되었을 경우, 이러한 아크차단판(250)이 차단부(181,182,183) 각각에 위치된 아크차단판안착부(181a,182a,183a) 각각에 안착된다.
덮개(200)의 일측에는 표시공간(24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표시공간(240)은 덮개(200)의 상부면에서 하부면으로 관통된다. 따라서, 덮개(200)가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표시공간(240)을 통하여 표시공간(240)에 대응되는 베이스(100)의 전압표시부(105a,105b)가 외부에 노출된다.
이러한 표시공간(240)은 덮개(200)의 가로방향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덮개(200)의 일단 방향으로 치우쳐 형성될 수 있으며, 나아가 덮개(200)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한쪽에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덮개(200)가 180도 회전되어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경우에 표시공간(240)의 위치가 변경되며, 나아가 표시공간(240)에 대응되는 베이스(100)의 상부면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표시공간(240)은 홀 형태일 수 있거나, 또는 덮개(200)의 일단에서 덮개(200)의 내측으로 파인 홈 형태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베이스(100)의 상부면 일측에는 전압표시부(105a,105b)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압표시부(105a,105b)에는 전압을 뜻하는 기호가 표시되어 있다.
즉, 베이스(100)의 다수의 전압표시부(105a,105b)에서 어느 하나의 전압표시부(105b)에는 220V 전압이 표시되어 있고, 나머지 전압표시부(105a)에는 380V 전압이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전압표시부(105a,105b)는 베이스(100)의 상부면에서 가로방향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양쪽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때 양쪽 각각의 전압표시부(105a,105b)에 표시된 기호는 서로 다른 전압을 뜻하는 기호임은 물론이다.
이러한 전압표시부(105a,105b)는 베이스(100)의 상부면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덮개(200)가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된 제1상태에서 표시공간(240)에 대응하는 베이스(100)의 전압표시부(105a)에는 380V가 표시되어 있어 표시공간(240)을 통하여 380V이라는 전압표시가 외부에 노출되며, 덮개(200)가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된 제2상태에서 표시공간(240)에 대응하는 베이스(100)의 전압표시부(105b)에는 220V가 표시되어 있어, 표시공간(240)을 통하여 220V라는 전압표시가 외부에 노출된다.
이러한 제2상태는 제1상태의 덮개(200)가 180도 회전되어서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된 상태이다. 즉, 덮개(200)가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된 제1상태가 380V가 인가되는 상태이라면, 제1상태에서 인가되는 전압이 220V로 변경되는 경우 결선 변경을 위하여 덮개(200)를 베이스(100)의 상부면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수평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키고, 이후 다시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시키는데, 이러한 결선 변경을 통하여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덮개(200)의 위치가 변경되는데, 덮개(200)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표시공간(240)의 위치가 변경되고, 표시공간(240)에 대응되는 표시부(150a,150b)가 자동적으로 변경되어, 외부에 노출되는 인가되는 전압을 뜻하는 기호가 변경된다.
덮개(200)가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된 상태에서의 현 결선상태를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표시공간(240)을 통하여 베이스(100)의 전압표시부(105a,105b)에서 표시된 결선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표시공간(240)을 통하여 베이스(100)의 전압표시부(105a,105b)에서 보여지는 전압이 220V 전압인 경우에는 220V 전압이 인가되는 델타결선이며, 보여지는 전압이 380V 전압인 경우에는 380V 전압이 인가되는 와이결선임을 표시한다. 이러한 델타결선에서 와이결선으로의 변경 또는 그와 반대는 덮개(200)를 베이스(100)의 상부면에서 분리시켜 180도 회전시킨 후, 다시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하는 것으로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사용의 편리성이 증대되며, 결선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전기적인 안전성이 증대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덮개(200)가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덮개(200)를 투명한 상태로 도시하여 위에서 바라봤을 때 결선변경부(220)가 베이스(100) 어디 부분에 삽입되어 있는지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에서, 와이결선에서 델타결선으로 또는 델타결선에서 와이결선으로 결선상태를 전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6에서 (a)는 덮개(200)가 베이스(100) 상부면에 장착되는 제1상태로, 제1와이결선도체부(262)가 제6전면접점부(161)에 접촉된 상태이고, 제2와이결선도체부(264)가 제4전면접점부(141)에 접촉된 상태이고, 제3와이결선도체부(266)가 제5전면접점부(151)에 접촉된 상태이며, 결선변경선(220)의 일측면에 위치되는 와이결선도체부(260)로 인하여 제1결선노드(110)와 제6결선노드(160)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고, 제2결선노드(120)와 제4결선노드(140)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고, 제3결선노드(120)와 제5결선노드(150)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된다. 반면, 제6전면접점부(161), 제4전면접점부(141) 및 제5전면접점부(151)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즉, 제6결선노드(160), 제4결선노드(140) 및 제5결선노드(15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와이결선상태가 유지된다.
나아가, 도 6에서 (a)는 제1델타결선도체부(282)가 제1도체수용부(171)에 수용되고, 제2델타결선도체부(284)가 제2도체수용부(172)에 수용되고, 제3델타결선도체부(286)가 제3도체수용부(173)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각각의 도체수용부(171,172,173)에 수용된 각각의 델타결선도체부(282,284,286)는 각각의 한 쌍의 차단부(181,182,183)에 의해 차단됨에 따라 결선노드(110,120,130,140,150,1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도 6에서 (b)는 덮개(200)가 베이스(100) 상부면에 장착되는 제2상태로, 제1델타결선도체부(282)가 제3전면접점부(131)와 제5전면접점부(151) 사이에 위치되어 제3전면접점부(131) 및 제5전면접점부(151)에 접촉된 상태에서 제3결선노드(130)와 제5결선노드(15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델타결선도체부(284)가 제2전면접점부(121)와 제4전면접점부(141) 사이에 위치되어 제2전면접점부(121)와 제4전면접점부(141)에 접촉된 상태에서 제2결선노드(120)와 제4결선노드(1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3델타결선도체부(286)가 제1전면접점부(111)와 제6전면접점부(161)에 접촉된 상태에서 제3결선노드(130)와 제5결선노드(15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결국 제1결선노드(110)와 제6결선노드(160), 제2결선노드(120)와 제4결선노드(140), 제3결선노드(130)와 제5결선노드(150) 간의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델타결선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나아가, 도 6에서 (b)는 제1와이결선도체부(262)가 제3도체수용부(173)에 수용되고, 제2와이결선도체부(264)가 제2도체수용부(172)에 수용되고, 제3델타결선도체부(266)가 제1도체수용부(171)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각각의 도체수용부(171,172,173)에 수용된 각각의 와이결선도체부(262,264,266)는 각각의 한 쌍의 차단부(181,182,183)에 의해 차단됨에 따라 결선노드(110,120,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도 6(a)에 도시된 와이결선인 상태에서의 덮개(200)를 베이스(100) 상부면으로부터 분리시켜, 수평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킨 후, 베이스(100) 상부면에 장착시키면 도 6(b)에 도시된 델타결선상태로 전환된다.
즉,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결선을 해지하고 새로운 결선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이, 덮개(200)만을 베이스(100) 상부면에서 분리한 후, 180도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여 베이스(100) 상부면에 장착하면 델타결선에서 와이결선으로 또는 와이결선에서 델타결선으로 간편하게 전환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베이스
105a,105b: 전압표시부
110: 제1결선노드 120: 제2결선노드 130: 제3결선노드 140: 제4결선노드 150: 제5결선노드 160: 제6결선노드
111: 제1전면접점부 121: 제2전면접점부 131: 제3전면접점부 141: 제4전면접점부 151: 제5전면접점부 161: 제6전면접점부
171: 제1도체수용부 172: 제2도체수용부 173: 제3도체수용부
181: 제1차단부 182: 제2차단부 183: 제3차단부
181a: 아크차단판안착부 182a: 아크차단판안착부 183a: 아크차단판안착부
200: 덮개
220: 결선변경부
240: 표시공간
250: 아크차단판
260: 와이결선도체부
262: 제1와이결선도체부 264: 제2와이결선도체부 266: 제3와이결선도체부
280: 델타결선도체부
282: 제1델타결선도체부 284: 제2델타결선도체부 286: 제3델타결선도체부
282a, 284a, 286a:일측도체부 282b, 284b, 286b: 타측도체부
105a,105b: 전압표시부
110: 제1결선노드 120: 제2결선노드 130: 제3결선노드 140: 제4결선노드 150: 제5결선노드 160: 제6결선노드
111: 제1전면접점부 121: 제2전면접점부 131: 제3전면접점부 141: 제4전면접점부 151: 제5전면접점부 161: 제6전면접점부
171: 제1도체수용부 172: 제2도체수용부 173: 제3도체수용부
181: 제1차단부 182: 제2차단부 183: 제3차단부
181a: 아크차단판안착부 182a: 아크차단판안착부 183a: 아크차단판안착부
200: 덮개
220: 결선변경부
240: 표시공간
250: 아크차단판
260: 와이결선도체부
262: 제1와이결선도체부 264: 제2와이결선도체부 266: 제3와이결선도체부
280: 델타결선도체부
282: 제1델타결선도체부 284: 제2델타결선도체부 286: 제3델타결선도체부
282a, 284a, 286a:일측도체부 282b, 284b, 286b: 타측도체부
Claims (5)
- 절연체 복수의 면으로 구성된 베이스(100); 및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덮개(200)를 포함하는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덮개(200)의 하부면에서 아래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100)의 내측에 형성된 다수의 결선노드(110,120,130,140,150,160) 사이에 삽입되는 결선변경부(220); 및
상기 결선변경부(220)에 위치된 다수의 도체부(260,280)를 포함하며,
상기 결선변경부(220)에서 상기 다수의 도체부(260,280)가 위치되는 부분 이외 부분은 부도체이며,
상기 다수의 도체부(260,280)는 상기 결선변경부(220)의 일측면에만 위치되는 와이결선도체부(260); 및 상기 결선변경부(220)를 관통하여 연결된 상태로 상기 결선변경부(220)의 양측면에 위치되는 델타결선도체부(280)를 포함하는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결선도체부(260)는 다수인 상태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선변경부(220)의 일측면에 위치된 상기 와이결선도체부(260)와 상기 델타결선도체부(280) 사이에는 부도체인 아크차단판(250)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와이결선도체부(260)는 제1와이결선도체부(262); 제2와이결선도체부(264); 및 제3와이결선도체부(266)를 포함하며,
상기 델타결선도체부(280)는 제1델타결선도체부(282); 제2델타결선도체부(284); 및 제3델타결선도체부(286)를 포함하며,
상기 제1와이결선도체부(262)와 상기 제2와이결선도체부(264) 간의 간격은 상기 제2와이결선도체부(264)와 상기 제3와이결선도체부(266) 간의 간격과 동일하며,
상기 제1델타결선도체부(282)와 상기 제2델타결선도체부(284) 간의 간격은 상기 제2델타결선도체부(284)와 상기 제3델타결선도체부(286) 간의 간격과 동일하며,
상기 제2와이결선도체부(264) 및 상기 제2델타결선도체부(284)는 상기 결선변경부(220)의 상단의 중앙과 하단의 중앙을 연결하는 중앙선으로부터 벗어난 지점에 위치되는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0)의 내측에 형성된 R단자가 결합되는 제1결선노드(110); S단자가 결합되는 제2결선노드(120); T단자가 결합되는 제3결선노드(130); 상기 제1결선노드(110)를 대면하는 제6결선노드(160); 상기 제2결선노드(120)를 대면하는 제4결선노드(140); 및 상기 제3결선노드(130)를 대면하는 제5결선노드(1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결선노드(110)에서 상기 제6결선노드(16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1전면접점부(111); 상기 제6결선노드(160)에서 상기 제1결선노드(11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6전면접점부(161); 상기 제2결선노드(120)에서 상기 제4결선노드(14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2전면접점부(121); 상기 제4결선노드(140)에서 상기 제2결선노드(12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4전면접점부(141); 상기 제3결선노드(130)에서 상기 제5결선노드(15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3전면접점부(131); 및 상기 제5결선노드(150)에서 상기 제3결선노드(13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5전면접점부(151)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덮개(200)가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제1상태에서, 상기 제1와이결선도체부(262)가 상기 제1전면접점부(111)과 상기 제6전면접점부(161)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6전면접점부(161)에 접촉되고, 상기 제2와이결선도체부(264)가 상기 제2전면접점부(121)와 상기 제4전면접점부(141)에 위치되어 상기 제4전면접점부(141)에 접촉되고, 상기 제3와이결선도체부(266)가 상기 제3전면접점부(131)와 상기 제5전면접점부(151)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5전면접점부(151)에 접촉되며,
상기 덮개(200)가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제2상태에서, 상기 제1델타결선도체부(282)가 상기 제3전면접점부(131)와 상기 제5전면접점부(151)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3전면접점부(131) 및 상기 제5전면접점부(151)에 접촉되고, 상기 제2델타결선도체부(284)가 상기 제2전면접점부(121)와 상기 제4전면접점부(141)에 위치되어 상기 제2전면접점부(121) 및 상기 제4전면접점부(141)에 접촉되고, 상기 제3델타결선도체부(286)가 상기 제1전면접점부(111)과 상기 제6전면접점부(161)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전면접점부(111) 및 상기 제6전면접점부(161)에 접촉되며,
상기 제2상태는 상기 제1상태에서의 상기 덮개(200)가 180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100) 상부면을 덮는 상태인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4484A KR101949895B1 (ko) | 2018-09-03 | 2018-09-03 | 결선 변경이 용이한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
PCT/KR2019/004067 WO2020050469A1 (ko) | 2018-09-03 | 2019-04-05 | 결선 변경이 용이한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4484A KR101949895B1 (ko) | 2018-09-03 | 2018-09-03 | 결선 변경이 용이한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49895B1 true KR101949895B1 (ko) | 2019-02-19 |
Family
ID=65528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04484A KR101949895B1 (ko) | 2018-09-03 | 2018-09-03 | 결선 변경이 용이한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949895B1 (ko) |
WO (1) | WO2020050469A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54824Y1 (ko) * | 2001-09-03 | 2001-11-26 | 박무근 | 3상 유도 전동기의 결선 전환장치 |
KR20030039215A (ko) * | 2001-11-12 | 2003-05-17 | 엘지산전 주식회사 | 배선용 차단기의 단자커버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20001918Y1 (ko) * | 1981-03-27 | 1982-09-09 | 주식회사금성사 | 가전제품용 전압전환 플러그 |
KR101507690B1 (ko) * | 2014-10-22 | 2015-04-07 | 김신호 | 모터 결선용 커넥터 |
KR101756732B1 (ko) * | 2016-09-12 | 2017-07-11 | 사단법인 장우 일자리협회 | 아크방전 및 과전류가 방지되도록 형성되는 단자대. |
-
2018
- 2018-09-03 KR KR1020180104484A patent/KR10194989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04-05 WO PCT/KR2019/004067 patent/WO2020050469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54824Y1 (ko) * | 2001-09-03 | 2001-11-26 | 박무근 | 3상 유도 전동기의 결선 전환장치 |
KR20030039215A (ko) * | 2001-11-12 | 2003-05-17 | 엘지산전 주식회사 | 배선용 차단기의 단자커버 |
KR100434320B1 (ko) * | 2001-11-12 | 2004-06-04 | 엘지산전 주식회사 | 배선용 차단기의 단자커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0050469A1 (ko) | 2020-03-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040646A (en) | Plug for changing an operating condition of an electric motor | |
JPH05258788A (ja) | 遮断器の端子ラグおよびコネクタの組合せ | |
KR20170136665A (ko) | 전력량계의 단자대 | |
KR101897090B1 (ko) |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 |
KR101949895B1 (ko) | 결선 변경이 용이한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 |
JP2020024962A (ja) | 開閉器及び分電盤 | |
CN108879540A (zh) | 配电系统和组装配电系统的方法 | |
KR100715987B1 (ko) | 무정전 교체가 가능한 공동주택용 적산전력계 | |
KR102032216B1 (ko) | 공급전압 식별이 용이한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 |
KR101917212B1 (ko) |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 |
CN210052675U (zh) | 一种安全型刀开关 | |
KR102032217B1 (ko) | 공급전압 식별이 용이한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 |
CN208862318U (zh) | 可替换插座插排 | |
US3784882A (en) | Solenoid assembly | |
CN207781427U (zh) | 手动维护开关 | |
JPH0223014A (ja) | 電気通信用接続装置 | |
GB2266810A (en) | Multi socket outlet assembly | |
US3188597A (en) | Terminal device | |
KR101985193B1 (ko) |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결선변경부를 구비한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 |
CN218730744U (zh) | 一种电的多极或多相开关 | |
JP6216942B2 (ja) | プラグインブレーカの接続相表示機構 | |
CN211780960U (zh) | 可更换屏柜指示灯 | |
JP4696005B2 (ja) | 電力量計 | |
KR200309126Y1 (ko) | 멀티탭의 접지단자 구조체 | |
JP2000252022A (ja) | スイッチコンセン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