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2217B1 - 공급전압 식별이 용이한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 Google Patents

공급전압 식별이 용이한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2217B1
KR102032217B1 KR1020180090222A KR20180090222A KR102032217B1 KR 102032217 B1 KR102032217 B1 KR 102032217B1 KR 1020180090222 A KR1020180090222 A KR 1020180090222A KR 20180090222 A KR20180090222 A KR 20180090222A KR 102032217 B1 KR102032217 B1 KR 102032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cover
base
state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0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길
Original Assignee
조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길 filed Critical 조영길
Priority to KR1020180090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22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7/00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Asynchronous induction generators
    • H02K17/02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 H02K17/12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for multi-phase cur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급전압 식별이 용이한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서, 절연체 복수의 면으로 구성된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일측에는 상기 덮개의 상부면에서 하부면으로 관통된 표시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공간은 상기 덮개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양쪽에 형성되어 있는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급전압 식별이 용이한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A terminal block of motor for easy identitification of supply voltage}
본 발명은 공급전압 식별이 용이한 220V/380V 겸용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서, 220V 전압이 인가되어 작동되는 유도전동기에 380V로 전압이 변경되어 인가되어야 하는, 또는 380V 전압이 인가되어 작동되는 유도전동기에 220V로 전압이 변경되어야 하는, 공급전압이 변경됨에 따라 결선 단자대의 결선이 변경되어야 하는 경우, 결선 변경을 위해 덮개의 위치가 변경되면서 기존 공급전압과 결선이 변경된 상태의 공급전압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덮개에 형성된 표시공간을 통하여 베이스에 형성된 표시부가 외부에서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는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산업용이나 가정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3상 유도전동기의 기동 방식에는 와이(Y)기동 방식과 델타(Δ)기동 방식이 있다. 와이기동 방식은 유도전동기 코일 각상의 3선은 공통으로 묶고 나머지 3선은 각상에 물려주는 방식으로 공급전원 전압이 고전압(예컨대 380V)일 경우 사용되고, 델타기동 방식은 각 선이 서로 꼬리를 물고 동그라미 형태를 그리며 물려주는 방식으로 공급전원 전압이 저전압(예컨대 220V)일 경우 사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R단자, S단자, T단자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는 220V/380V 겸용 3상 유도전동기의 경우, 공급전원 전압이 220V 전압인 경우에는 반드시 델타결선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공급전원 전압이 380V 전압인 경우에는 반드시 와이결선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인가되는 전압이 변경됨에 따라 결선상태가 전환되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기존 결선을 해지하고 새로운 결선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랐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종래기술에 따른 대한민국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2011-0006685호를 살펴본다.
종래기술은, 공급전원의 출력전압에 따라 결선상태를 간편하게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해줄 수 있음과 아울러 유도전동기에 장착 및 관리가 용이한 3상 유도전동기의 결선 단자대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르면 그 단자대 구조가 여전히 복잡하고 결선상태를 전환하는데 있어서, 결선노드들의 죄임부재를 나사체결해지하고 다시 새로운 결선상태를 형성한 후 결선노드들의 죄임부재를 나사체결하는 등, 기존 결선을 해지하고 새로운 결선을 해야하는 불편함이 여전히 남아있다.
또한, 현재 결선상태가 220V 전압인지 380V 전압인지 구분하기 어려워 결선상태를 전환시키는 과정 중 혼동을 초래하여 전기적 위험이 발생될 수 있다.
(특허문헌 1) KR20-2011-0006685 A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3상 유도전동기에서의 결선상태를 간편하게 전환시킬 수 있는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현재 공급전원의 전압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고, 결선상태가 전환된 이후에도 전환된 전압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는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유도 전동기 결선 단자대는, 절연체 복수의 면으로 구성된 베이스(100) 및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덮개(200)를 포함하는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덮개(200)의 일측에는 상기 덮개(200)의 상부면에서 하부면으로 관통된 표시공간(25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공간(250)은 상기 덮개(200)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양쪽에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시공간(250)은 상기 덮개(200)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상기 덮개(200)의 양쪽 각각의 일단 방향으로 치우쳐 형성되어 있되, 상기 덮개(200)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시공간(250)은 홀 형태이거나, 또는 상기 덮개(200)의 양쪽 각각의 일단에서 상기 덮개(200)의 내측으로 파인 홈 형태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면 일측에는 전압을 뜻하는 기호가 표시된 전압표시부(105a,105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압표시부(105a,105b)는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면에서 가로방향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한쪽에만 다수로 형성되어 있되, 상기 다수의 전압표시부(105a,105b)에 표시된 기호는 서로 다른 전압을 뜻하는 기호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의 전압표시부(105a,105b)는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면에서 세로방향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200)가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된 제1상태에서, 상기 표시공간(250)을 통하여 상기 다수의 전압표시부(105a,105b)에 표시된 기호 중 어느 하나의 기호가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덮개(200)가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된 제2상태에서, 상기 표시공간(250)을 통하여 상기 다수의 전압표시부(105a,105b)에 표시된 기호 중 다른 하나의 기호가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제2상태는 상기 제1상태의 상기 덮개(200)가 180도 회전되어서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된 상태이다.
상술한 과제해결수단으로 인하여, 220V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380V 전압으로 변경하여 인가해야 하는 경우, 덮개를 베이스로부터 분리한 후, 180도 수평방향에서 회전시키고, 이후 다시 베이스의 상부면에 장착시킴으로써 변경된 전압에 맞게 결선상태를 간편하게 전환시킬 수 있다. 380V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도 220V 전압으로 변경하여 인가해야 하는 경우, 간편하게 덮개만을 분리한 후 회전시킨 후 다시 베이스 상부면에 장착시킴으로써 220V 전압이 인가 가능하도록 결선상태의 전환이 가능하다.
나아가, 현재 인가되는 전압에 맞는 결선상태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고, 나아가 결선상태가 변경된 이후에도 변경된 결선상태에 따라 인가되어야 할 전압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220V/380V 겸용 유도전동기에서 인가되는 전압에 따른 결선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에서 덮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에서 절연체 복수의 면으로 구성된 베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베이스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덮개의 위치에 따라 결선상태가 전환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베이스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덮개의 위치에 따라 표시공간을 통하여 표시되는 전압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를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에서는, 덮개(200)가 베이스(100) 상부면에 장착되는 경우, 후술할 제1상태가 되는 덮개(200)의 위치와 베이스(100)의 위치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서 '전기적 연결'이나 '전기적으로 연결'이란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연결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는 절연체 복수의 면으로 구성된 베이스(100) 및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되어 베이스(100)의 상부면을 덮는 덮개(200)를 포함한다.
덮개(200)의 하부면에서 아래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되어 결선차단부(260)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덮개(200)의 하부면에서 아래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되어 결선연결부(280)가 형성되어 있다. 결선연결부(280)는 결선차단부(260)를 사이에 두고 위치된다.
결선차단부(260)는, 덮개(200)가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되었을 때, 후술할 제6측면접점부(162)와 제4좌측면접점부(142-1) 사이 및 제4우측면접점부(142-2)와 제5측면접점부(152) 사이에 위치되거나, 또는 제1결선차단부수용부(191) 및 제2결선차단부수용부(192)에 수용되어 위치된다.
결선차단부(260) 및 결선연결부(280)가 베이스(100)의 어느 곳에 위치되는지에 따라 와이(Y)결선 또는 델타(Δ)결선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베이스(100)에 장착되는 덮개(200)의 위치를 변경함에 따라 와이결선에서 델타결선으로 또는 델타결선에서 와이결선으로 결선상태의 전환이 가능하다. 베이스(100) 상부면에 장착된 덮개(200)를 분리한 후, 180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다시 베이스(100) 상부면에 장착시킴에 따라 결선상태의 전환이 가능하다.
결선차단부(260)는 덮개(200) 하부면에서 아래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 제1결선차단바(261) 및 제2결선차단바(262)를 포함한다.
제1결선차단바(261)와 제2결선차단바(262)는 덮개(200) 하부면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제1결선차단바(261)의 길이와 제2결선차단바(262)의 길이는 동일할 수 있다.
제1결선차단바(261)와 제2결선차단바(262) 사이의 간격은, 후술할 제6측면접점부(162)와 제4좌측면접점부(142-1)가 접하는 부분과, 제4우측면접점부(142-2)와 제5측면접점부(152)가 접하는 부분 간의 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나아가, 제1결선차단바(261)와 제2결선차단바(262) 사이의 간격은 후술할 제1결선차단부수용부(191)와 제2결선차단부수용부(192) 사이의 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덮개(200)가 베이스(100) 상부면에 장착되는 후술할 제1상태에서는 제1결선차단바(261)가 제6측면접점부(162)와 제4좌측면접점부(142-1) 사이에 위치되고, 제2결차차단바(262)가 제4우측면접점부(142-2)와 제5측면접점부(152) 사이에 위치된다.
덮개(200)가 베이스(100) 상부면에 장착되는 후술할 제2상태에서는 제1결선차단바(261)가 제2결선차단부수용부(192)에 수용되어 위치되고, 제2결선차단바(262)는 제1결선차단수용부(191)에 수용되어 위치된다.
즉, 제1상태의 덮개(200)를 베이스(100) 상부면에서 분리시켜, 180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다시 베이스(100) 상부면에 장착시키면 제2상태가 된다.
결선연결부(280)는 덮개(200) 하부면에서 아래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되 형성되되, 결선연결부(280) 사이에는 상술한 결선차단부(260)가 위치된다.
결선연결부(280)는 덮개(200) 하부면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결선연결부(280)는 결선차단부(260)보다 길이가 짧은 상태로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덮개(200) 하부면의 중앙선 방향인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결선연결부(280)는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후술할 노드연결체(113,123,133,143,153,163) 사이를 연결한다. 따라서, 덮개(200) 하부면에서 일정한 길이만큼 아래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다.
결선연결부(280)의 수평방향으로의 연장된 길이는 서로 마주보는 노드연결체(113,123,133,143,153,163) 사이의 길이보다 길 수 있음은 당연하다.
결선연결부(280)는 덮개(200) 하부면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제1결선연결체(281), 제2결선연결체(282) 및 제3결선연결체(283)를 포함한다.
제1결선연결체(281)와 제2결선연결체(282) 사이에 제1결선차단바(261)가 위치되며, 제2결선연결체(282)와 제3결선연결체(283) 사이에 제2결선차단바(262)가 위치된다.
제1결선연결체(281)와 제2결선연결체(282) 사이의 간격 및 제2결선연결체(282)와 제3결선연결체(283) 사이의 간격은 제6결선노드(160)와 제4결선노드(140) 사이의 간격(또는 제1결선노드(110)와 제2결선노드(120) 사이의 간격)과 동일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4결선노드(140)와 제5결선노드(150) 사이의 간격(또는 제2결선노드(120)와 제3결선노드(130) 사이의 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덮개(200)가 베이스(100) 상부면에 장착되는 제1상태에서, 결선차단부(260)는 다수의 측면접점부(162,142-1,142-2,152) 사이에 위치되어 제6결선노드(160), 제4결선노드(140) 및 제5결선노드(150) 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며, 반면 결선연결부(280)는 제1결선노드(110)와 제6결선노드(160), 제2결선노드(120)와 제4결선노드(140) 및 제3결선노드(130)와 제4결선노드(15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즉, 와이결선상태에서 델타결선상태로 결선상태를 전환시킨다.
덮개(200)가 베이스(100) 상부면에 장착되는 제2상태에서, 결선차단부(260)가 결선차단부수용부(191,192)에 수용되어 위치되는 바, 제6결선노드(160), 제4결선노드(140) 및 제5결선노드(150) 사이에 전기적 연결이 유지되어 와이결선상태가 유지된다.
상술한 제1상태와 제2상태는 덮개(200)가 180도 회전되기 전과 후 상태에서 베이스(100) 상부면에 각각 장착된 상태이다.
덮개(200)가 180도 수평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결선상태가 전환되는 바, 이를 위하여 결선차단부(260) 및 결선연결부(280)는 덮개(200) 하부면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덮개(200) 하부면 어느 일단 방향으로 치우쳐 위치된다.
일례로, 회전되지 않는 상태에서 덮개(200)가 베이스(100) 상부면에 장착된 경우에는 결선차단부(260) 및 결선연결부(280)가 아래 방향에 위치되고, 180도 회전된 상태에서는 결선차단부(260)와 결선연결부(280)가 위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와이결선이 유지된 상태에서 델타결선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덮개(200)를 180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베이스(100) 상부면에 장착시키면 결선상태를 전환시킬 수 있다.
결선차단부(260)는 부도체이고 결선연결부(280)는 도체이다.
결선차단부(260)가 다수의 측면접점부(162,142-1,142-2,132) 사이에 위치되는 경우, 다수의 측면접점부(162, 142-1,142-2,132) 간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된다. 결국 제6결선노드(160), 제4결선노드(140) 및 제5결선노드(150)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된다. 반면, 결선연결부(280)가 후술할 다수의 노드연결체(113,123,133,143,153,163)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1결선노드(110)와 제6결선노드(16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제2결선노드(120)와 제4결선노드(1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제3결선노드(130)와 제5결선노드(15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결국, 와이결선에서 델타결선으로 결선상태를 전환시킨다.
결선차단부(260)가 다수의 결선차단부수용부(191,192)에 수용되어 위치되는 경우, 다수의 측면접점부(162, 142-1,142-2,132) 간의 전기적 연결이 유지된다. 반면, 결선연결부(280)가 다수의 결선노드(110,120,130) 상에 위치되는 바, 제1결선노드(110)와 제6결선노드(160), 제2결선노드(120)와 제4결선노드(140) 및 제3결선노드(130)와 제5결선노드(150)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한다. 결국, 와이결선의 결선상태를 유지시킨다.
베이스(100)는 절연체로서 복수의 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복수의 면에 결선에 필요한 다수의 결선노드(110,120,130,140,150,160), 다수의 측면접점부(162,142-1,142-2,132), 다수의 결선차단부수용부(191,192)가 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는 베이스(100)의 내측에 형성된 R단자가 결합되는 제1결선노드(110), S단자가 결합되는 제2결선노드(120), T단자가 결합되는 제3결선노드(130), 제1결선노드(110)를 대면하는 제6결선노드(160), 제2결선노드(120)를 대면하는 제4결선노드(140), 및 제3결선노드(130)를 대면하는 제5결선노드(15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6결선노드(160)에서 제4결선노드(14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6측면접점부(162), 제4결선노드(140)에서 제6결선노드(16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4좌측면접점부(142-1), 제4결선노드(140)에서 제5결선노드(15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4우측면접점부(142-2), 제5결선노드(150)에서 제4결선노드(14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5측면접점부(152)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1결선노드(110)와 상기 제2결선노드(120) 사이에 위치되는 제1결선차단부수용부(191), 제2결선노드(120)와 제3결선노드(130) 사이에 위치되는 제2결선차단부수용부(192)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1결선노드(110)에서 제6결선노드(160)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 제1노드연결체(113), 제6결선노드(160)에서 제1결선노드(110)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 제6노드연결체(163), 제2결선노드(120)에서 제4결선노드(140)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 제2노드연결체(123), 제4결선노드(140)에서 제2결선노드(120)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 제4노드연결체(143), 제3결선노드(130)에서 제5결선노드(150)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 제3노드연결체(133) 및 제5결선노드(150)에서 제3결선노드(130)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 제5노드연결체(153)를 더 포함한다.
기타 유도전동기 결선에 필요한 결선노드 및 단자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다.
덮개(200)의 일측 및 이에 대응하는 타측에는 표시공간(25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표시공간(250)은 덮개(200)의 상부면에서 하부면으로 관통된다. 따라서, 덮개(200)가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표시공간(250)을 통하여 표시공간(250)에 대응되는 베이스(100)의 전압표시부(150a,150b)가 외부에 노출된다.
이러한 표시공간(250)은 덮개(200)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양쪽에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덮개(200)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덮개(200)의 양쪽 각각 일단 방향으로 치우쳐 형성되어 있되, 덮개(200)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덮개(100)가 180도 회전되어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경우에 표시공간(250)의 위치가 변경되며, 나아가 표시공간(250)에 대응되는 베이스(100)의 상부면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표시공간(250)은 홀 형태일 수 있거나, 또는 덮개(200)의 양쪽 각각의 일단에서 덮개(200)의 내측으로 파인 홈 형태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베이스(100)의 상부면 일측에는 전압표시부(150a,150b)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압표시부(150a,150b)에는 전압을 뜻하는 기호가 표시되어 있다.
즉, 베이스(100)의 다수의 전압표시부(150a,150b)에서 어느 하나의 전압표시부(150b)에는 220V 전압이 표시되어 있고, 다른 전압표시부(150a)에는 380V 전압이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전압표시부(150a,150b)는 베이스(100)의 상부면에서 가로방향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한쪽에만 다수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다수의 전압표시부(150a,150b)에 표시된 기호는 서로 다른 전압을 뜻하는 기호임은 물론이다.
이러한 전압표시부(150a,150b)는 베이스(100)의 상부면에서 세로방향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덮개(100)가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된 제1상태에서 표시공간(250)에 대응하는 베이스(100)의 전압표시부(105a)에는 380V가 표시되어 있어 표시공간(250)을 통하여 380V이라는 전압표시가 외부에 노출되며, 덮개(100)가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된 제2상태에서 표시공간(250)에 대응하는 베이스(100)의 전압표시부(150b)에는 220V가 표시되어 있어, 표시공간(250)을 통하여 220V라는 전압표시가 외부에 노출된다.
이러한 제2상태는 제1상태의 덮개(200)가 180도 회전되어서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된 상태이다. 즉, 덮개(200)가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된 제1상태가 380V가 인가되는 상태이라면, 제1상태에서 인가되는 전압이 220V로 변경되는 경우에는 결선 변경을 위하여 덮개(200)를 베이스(100)의 상부면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수평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키고, 이후 다시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시키는데, 이러한 결선 변경을 통하여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덮개(200)의 위치가 변경되는데, 덮개(200)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표시공간(250)의 위치가 변경되고, 표시공간(250)에 대응되는 표시부(150a,150b)가 자동적으로 변경되어, 외부에 노출되는 인가되는 전압을 뜻하는 기호가 변경된다.
덮개(100)가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된 상태에서의 현 결선상태를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표시공간(250)을 통하여 베이스(100)의 전압표시부(150a,150b)에서 표시된 결선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표시공간(250)을 통하여 베이스(100)의 전압표시부(150a,150b)에서 보여지는 전압이 220V 전압인 경우에는 220V 전압이 인가되는 델타결선이며, 보여지는 전압이 380V 전압인 경우에는 380V 전압이 인가되는 와이결선임을 표시한다. 이러한 델타결선에서 와이결선으로의 변경 또는 그와 반대는 덮개(200)를 베이스(100)의 상부면에서 분리시켜 180도 회전시킨 후, 다시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하는 것으로 변경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사용의 편리성이 증대되며, 결선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전기적인 안전성이 증대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덮개(200)를 투명한 상태로 도시하여 위에서 바라봤을 때 결선차단부(260) 및 결선연결부(280)가 베이스(100) 어디 부분에 삽입되어 있는지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에서, 와이결선에서 델타결선으로 또는 델타결선에서 와이결선으로 결선상태를 전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6에서 (b)는 덮개(200)가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제1상태로, 제1결선차단바(261)가 제6측면접점부(162)와 제4좌측면접점부(142-1) 사이에 위치되고, 제2결선차단바(262)가 제4우측면접점부(142-2)와 제5측면접점부(152) 사이에 위치되고, 제1결선연결체(281)가 제1결선노드(110)와 제6결선노드(160)를 연결하고, 제2결선연결체(282)가 제2결선노드(120)와 제4결선노드(140)를 연결하고, 제3결선연결체(283)가 상기 제3결선노드(130)와 상기 제5결선노드(150)를 연결한다. 와이결선상태에서 델타결선상태로 전환되는 상태이다.
도 6에서 (b)는, 제1결선연결체(281)가 제1노드연결체(113)와 제6노드연결체(163)에 접하고, 제2결선연결체(282)가 제2노드연결체(123)와 제4노드연결체(143)에 접하고, 제3결선연결체(283)가 제3노드연결체(133)와 제5노드연결체(153)에 접하면서 델타결선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서 (a)는 덮개(200)가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제2상태에서, 제1결선차단바(261)가 제2결선차단부수용부(192)에 위치되고, 제2결선차단바(262)가 제1결선차단부수용부(191)에 위치되고, 제1결선연결체(281)가 제3결선노드(130) 위에 위치되고, 제2결선연결체(282)가 제2결선노드(120) 위에 위치되고, 제3결선연결체(283)가 제1결선노드(110) 위에 위치된다. 와이결선상태가 유지되는 상태이다.
도 6(a)에 도시된 와이결선인 상태에서의 덮개(200)를 베이스(100) 상부면으로부터 분리시켜, 수평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킨 후, 베이스(100) 상부면에 장착시키면 도 6(b)에 도시된 델타결선상태로 전환된다.
즉,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결선을 해지하고 새로운 결선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이, 덮개(200)만을 베이스(100) 상부면에서 분리한 후, 180도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여 베이스(100) 상부면에 장착하면 델타결선에서 와이결선으로 또는 와이결선에서 델타결선으로 간편하게 전환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표시공간(250)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표시부(150a,150b)가 변경됨을 설명한다.
도 7(a)는 표시공간(250)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표시부(105b)에 380V가 표시되어 있는 바 와이결선 상태이며, 도 7(b)는 220V가 표시되어 있는 바 델타결선 상태이다. 도 7(b)는 도 7(a) 상태에서 덮개(200)를 베이스(100)의 상부면에서 분리시킨 후, 180도 회전시켜, 다시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시킨 상태이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베이스
105a, 105b: 전압표시부
110: 제1결선노드 120: 제2결선노드 130: 제3결선노드 140: 제4결선노드 150: 제5결선노드 160: 제6결선노드
142-1: 제4좌측면접점부 142-2: 제4우측면접점부 152: 제5측면접점부 162: 제6측면접점부
113: 제1노드연결체 123: 제2노드연결체 133: 제3노드연결체 143: 제4노드연결체 153: 제5노드연결체 163: 제6노드연결체
191: 제1결선차단부수용부 192: 제2결선차단부수용부
200: 덮개
250: 표시공간
260: 결선차단부 261: 제1결선차단바 262: 제2결선차단바
280: 결선연결부 281: 제1결선연결체 282: 제2결선연결체 283: 제3결선연결체

Claims (5)

  1. 절연체 복수의 면으로 구성된 베이스(100) 및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덮개(200)를 포함하는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덮개(200)의 일측에는 상기 덮개(200)의 상부면에서 하부면으로 관통된 표시공간(25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공간(250)은 상기 덮개(200)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양쪽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면 일측에는 전압을 뜻하는 기호가 표시된 전압표시부(105a,105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압표시부(105a,105b)는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면에서 다수로 형성되어 있되, 상기 다수의 전압표시부(105a,105b)에 표시된 기호는 서로 다른 전압을 뜻하는 기호이며,
    상기 다수의 전압표시부(105a,105b)는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면에서 세로방향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200)가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된 제1상태에서, 상기 표시공간(250)을 통하여 상기 다수의 전압표시부(105a,105b)에 표시된 기호 중 어느 하나의 기호가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덮개(200)가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된 제2상태에서, 상기 표시공간(250)을 통하여 상기 다수의 전압표시부(105a,105b)에 표시된 기호 중 다른 하나의 기호가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제2상태는 상기 제1상태의 상기 덮개(200)가 180도 회전되어서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된 상태인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공간(250)은 상기 덮개(200)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상기 덮개(200)의 양쪽 각각의 일단 방향으로 치우쳐 형성되어 있되, 상기 덮개(200)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공간(250)은 홀 형태이거나, 또는 상기 덮개(200)의 양쪽 각각의 일단에서 상기 덮개(200)의 내측으로 파인 홈 형태인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4. 삭제
  5. 삭제
KR1020180090222A 2018-08-02 2018-08-02 공급전압 식별이 용이한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KR102032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222A KR102032217B1 (ko) 2018-08-02 2018-08-02 공급전압 식별이 용이한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222A KR102032217B1 (ko) 2018-08-02 2018-08-02 공급전압 식별이 용이한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2217B1 true KR102032217B1 (ko) 2019-10-15

Family

ID=68209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222A KR102032217B1 (ko) 2018-08-02 2018-08-02 공급전압 식별이 용이한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221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070B1 (ko) * 1993-05-25 1996-01-18 조광열 3상 유도 전동기의 결선 전환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070B1 (ko) * 1993-05-25 1996-01-18 조광열 3상 유도 전동기의 결선 전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48224A (en) Pre-wired switch box
US7338331B2 (en) Power distribution panel
US8395290B2 (en) Connecting devic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three-phase motor
US7247045B1 (en) Modular connection assembly
CN105244715A (zh) 一种带螺孔的接头
EP2950398B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connections in an industrial enclosure
KR101897090B1 (ko)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KR100527463B1 (ko) 3상 유도 전동기 접속 장치
KR102032217B1 (ko) 공급전압 식별이 용이한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CN109193443A (zh) 包括中性点连接装置的配电系统及其组装方法
KR102032216B1 (ko) 공급전압 식별이 용이한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CN111819768B (zh) 感应电机连接端子块
KR101949895B1 (ko) 결선 변경이 용이한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JPH1154017A (ja) 配線用遮断器
JPH07220782A (ja) 分岐用端子台
JP2000512834A (ja) 冷却用圧縮機モータに用いる固定子の改良
KR101985193B1 (ko)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결선변경부를 구비한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AU2021106092A4 (en) An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terminal assembly
US20230387743A1 (en) Electrical drive unit
JP4459005B2 (ja) プラグインアダプタ
CN219040985U (zh) 手车断路器三相触头插接短接装置
JP4203552B2 (ja) 分電盤
US904097A (en) Connector.
KR200219461Y1 (ko) 인입선 무정전교체장비
US1553930A (en) Electric-switch b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