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4824Y1 - 3상 유도 전동기의 결선 전환장치 - Google Patents

3상 유도 전동기의 결선 전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4824Y1
KR200254824Y1 KR2020010026801U KR20010026801U KR200254824Y1 KR 200254824 Y1 KR200254824 Y1 KR 200254824Y1 KR 2020010026801 U KR2020010026801 U KR 2020010026801U KR 20010026801 U KR20010026801 U KR 20010026801U KR 200254824 Y1 KR200254824 Y1 KR 2002548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hase induction
induction motor
connection memb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68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무근
Original Assignee
박무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무근 filed Critical 박무근
Priority to KR20200100268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48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48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4824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3상 유도 전동기(電動機)의 결선 전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3 쌍의 협지구가 고정되는 베이스와, 협지구와의 결합상태에 따라 Y 결선상태를 유지하는 Y 결선부재 및 Δ결선상태를 유지하는 복수 개의 Δ결선부재와, 상기 Y 결선부재 및 Δ결선부재가 고정되는 조작판과, 조작판이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봉과, 조작판의 유동을 방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봉으로 구성하여 공급전압(380V/220V)에 맞도록 스위치 조작으로 3상 유도 전동기의 결선상태를 Δ결선 또는 Y 결선으로 간편히 조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3상 유도 전동기의 결선 전환장치{Connecting wire conversion device of three-phase induction motor}
본 고안은 3상 유도 전동기(電動機)의 결선 전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공급전압에 맞춰 스위치 조작으로 3상 유도 전동기의 결선상태를 간편히 조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산업용 또는 가정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3상 유도 전동기는 공급전압 또는 공급전원 환경에 맞도록 380V 또는 220V로 결선시켜 사용하게 된다.
예컨데, 380V 지역에 사용하는 경우 3상 유도 전동기의 결선상태를 Y 결선으로 바꾸어 주고, 220V 지역에 사용하는 경우 3상 유도 전동기의 결선상태를 Δ결선으로 바꾸어 주어야 한다.
종래에는 3상 유도 전동기로 공급되는 전압과 결선상태가 맞지 않는 경우, 결선부에 감겨 있는 절연테이프를 제거시킨 후에 결선되어 있는 전선을 분리시켜 공급전압에 맞도록 결선상태를 변경시킨 다음 절연테이프로 다시 감아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결선상태 변경을 전.후하여 절연테이프를 풀거나 감아주는 작업과 결선부 전선(6가닥)을 전압에 맞도록 일일이 결선시켜 주어야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따른다.
또한, 비 전문가가 결선을 잘못하거나 결선상태가 불량한 경우 3상 유도 전동기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잦은(빈번한) 결선이 이루어지는 경우 결선 전선이 마모 및 절단(소손)되면서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상태가 악화되면 결선전환이 어렵거나 불가능 해질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간단한 구성의 결선 전환장치 조작으로 3상 유도 전동기(電動機)의 결선상태를 공급전압(380V/220V)에 맞도록 손쉽게 전환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3 쌍의 협지구가 견고히 고정되는 베이스와, 협지구와의 결합상태에 따라 Y 결선상태를 유지하는 Y 결선부재 및 Δ결선상태를 유지하는 복수 개의 Δ결선부재와, 상기 Y 결선부재 및 Δ결선부가 견고히 고정되는 조작판과, 조작판이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봉과, 조작판의 유동을 방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봉으로 3상 유도 전동기의 결선 전환장치를 구성하도록 한다.
또한, 협지구의 바닥부 일측에 한 쌍의 협지부를 상향 돌출 형성하고, 협지부 사이에 공간부와 개방부를 형성하고, 개방부의 양측에 억지 끼움되는 Y 결선 삽입부와 Δ결선 삽입부의 양측면에 면접촉하는 접촉부를 마주보게 형성하여 전기적인 Y 결선 또는 Δ결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협지구는 한 쌍으로 구성하거나 이격공간이 없게 일체화 한 협지부에 복수의 절개부를 형성하여 전기 접촉면적 확장과 더불어 부드러운 협지력을 갖도록 하여 Y 결선 삽입부와 Δ결선 삽입부의 삽입(결합)이 쉽도록 한다.
도 1 : 본 고안 결선 전환장치의 Y 결선 상태 외관 사시도.
도 2 : 본 고안 결선 전환장치의 Δ결선 상태 외관 사시도.
도 3 : 본 고안 결선 전환장치의 협지구 부분 외관 사시도.
도 4 : 본 고안 협지구의 다른 실시예 외관 사시도.
도 5 : 본 고안 결선 전환장치의 Y 결선 상태 정면도.
도 6 : 본 고안 결선 전환장치의 Δ결선 상태 정면도.
도 7 : 본 고안 결선 전환장치의 Y 결선도.
도 8 : 본 고안 결선 전환장치의 Δ결선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M)--3상 유도 전동기 (2)--결선 전환장치
(4)(6)(8)(10)(12)(14)--협지구 (16)--베이스
(18)--Y 결선부재 (18a)(20a)(22a)(24a)--삽입부
(20)(22)(24)--Δ결선부재 (26)--조작판
(28)--고정봉 (30)--지지봉
(32)--판체 (34)(52)(56)--피스
(36)--바닥부 (38)--협지부
(40)--개방부 (42)--공간부
(44)(46)--접촉부 (45)--절개부
(48)--나사홈 (50)--전선 압지판
(54)--체결구멍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도 2는 본 고안 3상 유도 전동기의 결선 전환장치(2) 외관 사시도로, 3상 유도 전동기(M)에 부가 설치되는 조인트 박스에 내설된다.
상기 결선 전환장치(2)의 구성을 살펴보면, 3 쌍의 협지구(4)(6)(8)(10)(12)(14)가 견고히 고정되는 베이스(16)와, 협지구(4)(6)(8)(10)(12)(14)와의 결합상태에 따라 Y 결선상태를 유지하는 Y 결선부재(18) 및 Δ결선상태를 유지하는 복수 개의 Δ결선부재(20)(22)(24)와, 상기 Y 결선부재(18) 및 Δ결선부재(20)(22)(24)가 견고히 고정되는 조작판(26)과, 조작판(26)이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봉(28)과, 조작판(26)의 유동을 방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봉(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6)는 조인트 박스의 판체(32) 부분에 피스(34)로 고정되며, 협지구(4)(6)(8)(10)(12)(14)와 Y 결선부재(18)와 Δ결선부재(20)(22)(24)는 구리와 같이 강도와 전기도전성(電氣導電性)이 우수한 도전체로 구성되고, 협지구(4)(6)(8)(10)(12)(14)가 고정되는 베이스(16)와 Y 결선부재(18)와 Δ결선부재(20)(22)(24)가 고정되는 조작판(26)은 베이클라이트(판)과 같이 강도와 절연성(絶緣性)이 우수한 판체로 구성된다.
상기 Δ결선부재(20)(22)(24)는 협지구(10)(12)(14)의 간격과 같은 간격으로 이격하여 평행 고정되며, Y 결선부재(18)는 Δ결선부재(20)(22)(24)의 직각방향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지지봉(30)은 베이스(16)의 양측, 바람직하기로는 고정봉(28)의 양측인 협지구(4)(6)(8)와 협지구(10)(12)(14) 사이에 각각 위치하도록하여 피스(56)에 의해 조작판(26)이 고정봉(28)에 체결되면 조작판(26)의 저부면이 상기 지지봉(30)의 상부면과 면접촉하면서 전.후 및 좌.우로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Y 결선부재(18)는 저부면 길이방향으로 개방부(40) 및 접촉부(44)(46)에 결합되는 삽입부(18a)가 형성되며, Δ결선부재(20)(22)(24)의 양측 단부에도 개방부(40) 및 접촉부(44)(46)에 결합되는 삽입부(20a)(22a)(24a)가 직각방향으로 하향 절곡된다.
대체로 '┕ ' 형상인 협지구(4)(6)(8)(10)(12)(14)는 바닥부(36)와, 상기 바닥부(36)의 일측으로 상향 돌출되는 한 쌍의 협지부(38)로 구성되며, 상기 바닥부(36)는 베이스(16)의 상부표면에 접착 또는 나사결합 방식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협지부(38)는 Y 결선부재(18)의 삽입부(18a) 및 Δ결선부재(20)(22)(24)의 삽입부(20a)(22a)(24a)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상향 개방부(40)가 형성되어 이들이 결합할 수 있게 되며, 개방부(40)의 하부에는 오픈(열린)형 공간부(42)가 형성되어 양측 협지부(38)에 탄성력이 부여된다.
그리고, 개방부(40)의 양측으로는 억지 끼움되는 Y 결선부재(18) 및 Δ결선부재(20)(22)(24)의 삽입부(18a)(20a)(22a)(24a) 양측면을 가압하여 면접촉시키는 접촉부(44)(46)가 대향 형성된다.
즉, 접촉부(44)(46)간의 거리가 삽입부(18a)(20a)(22a)(24a)의 두께보다 좁아지게 형성함으로써 개방부(40)를 통하여 결합되는 Y 결선부재(18) 및 Δ결선부재(20)(22)(24)의 삽입부(18a)(20a)(22a)(24a)가 견고히 협지되어 양호한 전기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바닥판(36)의 일측에는 나사홈(48)을 형성하여 전선압지판(50)을 피스(52)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협지구(4)(6)(8)(10)(12)(14)의 접촉부(44)(46)는 상하 길이가 길도록 형성하여 삽입부(18a)(20a)(22a)(24a)와의 접촉면적을 확장함으로써 전기도전율이 더욱 향상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조작판(26)의 양측에는 220V 또는 380V의 전압 환경에 따라 조작판(26)의 체결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즉, 220V 전환시 조작판(26)을 220V 체결위치로 이동시켜 체결하는 체결구멍(54)과 380V 전환시 조작판(26)을 380V 체결위치로 이동시켜 체결하는 체결구멍(54)을 각각 형성하여 도 2와 같이 Y 결선 또는 도 1과 같이 Δ결선에 의해 Y 결선부재(18)와 Δ결선부재(20)(22)(24) 및 협지구(4)(6)(8)(10)(12)(14)의 결합이 완료되면 피스(56)를 이용하여 조작판(26)을 고정봉(28)에 결합시켜 고정하도록 한다.
상기 220V 체결구멍(54)의 일측에는 '220V' 전압을 인쇄하여 표기하고, 380V체결구멍(54)의 일측에는 '380V' 전압을 인쇄 표기하여 쉽게 알아볼 수 있게 함으로써 오전환을 방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전동기의 기동이나 운전 등으로 야기되는 진동이나 충격 및 외압이 작용되더라도 조작판(26)의 분리가 방지되고, 접촉부(44)(46)에 결합된 Y 결선부재(18) 및 Δ결선부재(20)(22)(24)의 분리가 방지된다.
상기 협지부(38)는 도 3과 같이 바닥부(36)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도록 이격시켜 한 쌍으로 형성하거나, 이격공간이 없도록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접촉면적을 확장함으로써 전기도전율을 향상시키거나, 도 4와 같이 이격공간이 없도록 일체형으로 형성한 다음 등간격으로 절개부(45)를 형성하여 협지부(38)에 부드러운 탄성을 부여함으로써 전기도전율 향상과 더불어 협지구(4)(6)(8)(10)(12)(14)와 삽입부(18a)(20a)(22a)(24a)의 결합이 한층 쉬워진다.
미 설명 부호 (58)은 나사구멍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 결선 전환장치(2)는 3상 유도 전동기(M)에 부가 설치되는 조인트 박스(도시안됨) 내부에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며, 공급전원이 220V인 경우 3상 유도 전동기(M)의 결선상태를 Y 결선상태로 전환하고, 공급전원이 380V인 경우 3상 유도 전동기(M)의 결선상태를 Δ결선상태로 전환하여 사용하면 된다.
즉, 공급전원이 220V이고, 3상 유도 전동기(M)의 결선상태를 Y 결선상태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도 1, 도 5와 같이 절연 조작판(26)을 이동시켜 일측에 위치하는 협지구(4)(6)(8)의 개방부(40)로 Y 결선부재(18)의 삽입부(18a)가 결합되게 하고, 타측 협지구(10)(12)(14)의 개방부(40)로 Δ결선부재(20)(22)(24)의삽입부(20a)(22a)(24a)가 각각 결합되게 한 다음 피스(56)를 이용하여 조작판(26)을 고정봉(28)에 체결하면 Y 결선이 완료된다.
따라서, Y 결선부재(18)에 의해 일측 협지구(4)(6)(8)들이 전기적으로 하나로 연결되어 협지구(4)(6)(8) 끼리의 전위차가 없어지며, 타측 협지구(10)(12)(14)에 의해 220V의 3상 전원이 3상 유도 전동기(M)로 공급되어 3상 유도 전동기(M)가 기동되고 운전된다.
도 7은 상기 방법으로 결선된 Y 결선도이다.
한편, 공급전원이 380V인 경우 3상 유도 전동기(M)의 결선상태를 Δ결선상태로 전환하면 된다.
이러한 경우 절연 조작판(26)을 고정하고 있는 피스(56)를 이완시켜 절연 조작판(26)과 베이스(16)를 분리한 다음 도 2, 도 6과 같이 같이 조작판(26)을 이동시켜 Δ결선부재(20)(22)(24)의 양측에 형성되는 삽입부(20a)(22a)(24a)가 일측에 위치하는 협지구(4)(6)(8)의 개방부(40)와 타측에 위치하는 협지구(10)(12)(14)의 개방부(40)로 각각 삽입되게 한 다음 피스(56)를 체결시켜 조작판(26)을 고정봉(28)에 체결하면 Δ결선이 완료된다.
즉, Δ결선부재(20)에 의해 일측 협지구(4)와 타측 협지구(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다른 Δ결선부재(22)에 의해 일측 협지구(6)와 타측 협지구(1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또 다른 Δ결선부재(24)에 의해 일측 협지구(4)와 타측 협지구(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380V의 3상 전원이 3상 유도 전동기(M)로 공급되고 3상 유도 전동기(M)는 기동 및 운전된다.
도 8은 상기 방법으로 결선된 Δ결선도이다.
상기 조작판(26)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피스(56)에 의해 고정봉(28)에 체결되며, 또한 협지구(4)(6)(8)와 협지구(10)(12)(14)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지지봉(30)에 각각 지지되므로 조작판(26)의 유동이 방지된다.
본 고안에서 베이스(16)와 조작판(26)은 베이클라이트와 같이 강도와 전기절연성(絶緣性)이 우수한 판체이므로 결선여부와 상관없이 Y 결선부재(18)와 Δ결선부재(20)(22)(24) 서로의 전기절연이 유지된다.
또한, 협지부(38)에는 개방부(40)와 오픈(OPEN)형 공간부(42)가 형성되어 있어서 탄성력과 협지력이 부여되므로 이에 결합되는 Y 결선부재(18) 및 Δ결선부재(20)(22)(24)의 삽입부(18a)(20a)(22a)(24a)의 전기적인 접속이 달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협지부(38)를 도 3과 같이 이격공간이 없도록 일체형으로 형성하면 삽입부(18a)(20a)(22a)(24a)와의 접촉면적을 확장되고 전기전도율이 향상되며, 도 4와 같이 일체형으로 된 협지부(38)에 절개부(45)를 등간격으로 형성하면 접촉면적이 확장되고 결합마찰이 증가하더라도 부드러운 탄성력이 부여되므로 전기전도율이 향상되고, 삽입부(18a)(20a)(22a)(24a)의 결합이 비교적 쉬워진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공급전압에 따라 결선 전환장치의 간편한 조작으로 3상 유도 전동기(電動機)의 결선상태를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작판의 결합위치만 변경하면 220V 또는 380V의 전원에 맞춰 결선할수 있으므로 별도의 배선이나 절연테이프의 사용이 배제되므로 비 전문가이더라도 쉽고 정확하게 결선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공급전압에 따라 결선상태를 전환하는 3상 유도 전동기에 있어서, 복수 쌍의 도전성 협지구(4)(6)(8)(10)(12)(14)가 고정되는 절연 베이스(16)와, 협지구(4)(6)(8)(10)(12)(14)와의 결합상태에 따라 Y 결선상태를 유지하는 도전성 Y 결선부재(18)와, 협지구(4)(6)(8)(10)(12)(14)와의 결합상태에 따라 Δ결선상태를 유지하는 도전성 Δ결선부재(20)(22)(24)와, Y 결선부재(18)와 Δ결선부재(20)(22)(24)가 고정되는 절연 조작판(26)과, 조작판(26)이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봉(28)으로 구성하여서 된 3상 유도 전동기의 결선 전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전선압지판(50)이 체결되는 협지구(4)(6)(8)(10)(12)(14)의 바닥부(36) 일측에 한 쌍의 협지부(38)를 상향 돌출 형성하고, 협지부(38) 사이에 공간부(42)와 개방부(40)를 형성하고, 개방부(40)의 양측에 억지 끼움되는 Y 결선부재(18)의 삽입부(18a)와 Δ결선부재(20)(22)(24)의 삽입부(20a)(22a)(24a) 양측면을 가압하여 면접촉하는 접촉부(44)(46)를 대향 형성하여서 된 3상 유도 전동기의 결선 전환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이격공간이 없게 일체화 한 협지부(38)에 복수의 절개부(45)를 형성하여서 된 3상 유도 전동기의 결선 전환장치.
KR2020010026801U 2001-09-03 2001-09-03 3상 유도 전동기의 결선 전환장치 KR2002548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801U KR200254824Y1 (ko) 2001-09-03 2001-09-03 3상 유도 전동기의 결선 전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801U KR200254824Y1 (ko) 2001-09-03 2001-09-03 3상 유도 전동기의 결선 전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4824Y1 true KR200254824Y1 (ko) 2001-11-26

Family

ID=73108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801U KR200254824Y1 (ko) 2001-09-03 2001-09-03 3상 유도 전동기의 결선 전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4824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897Y1 (ko) * 2009-12-28 2012-01-12 박무근 3상 유도전동기의 결선 단자대
KR101897090B1 (ko) * 2018-05-02 2018-09-10 (주)영상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KR101949895B1 (ko) * 2018-09-03 2019-02-19 조영길 결선 변경이 용이한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WO2019212157A1 (ko) * 2018-05-02 2019-11-07 Cho Young Gil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WO2020071602A1 (ko) * 2018-10-05 2020-04-09 조영길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결선변경부를 구비한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897Y1 (ko) * 2009-12-28 2012-01-12 박무근 3상 유도전동기의 결선 단자대
KR101897090B1 (ko) * 2018-05-02 2018-09-10 (주)영상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WO2019212095A1 (ko) * 2018-05-02 2019-11-07 (주)영상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WO2019212157A1 (ko) * 2018-05-02 2019-11-07 Cho Young Gil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KR101949895B1 (ko) * 2018-09-03 2019-02-19 조영길 결선 변경이 용이한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WO2020050469A1 (ko) * 2018-09-03 2020-03-12 조영길 결선 변경이 용이한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WO2020071602A1 (ko) * 2018-10-05 2020-04-09 조영길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결선변경부를 구비한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009253D1 (de) Elektrischer Autoexpansionsschalter mit Isoliergas.
BR9603077A (pt) Suporte de contato modular para contactação por deslocamento de isolamento sem solda de condutores elétricos
KR200254824Y1 (ko) 3상 유도 전동기의 결선 전환장치
KR20060066604A (ko) 초박형 속결구조 디지털 분전반
EP0185471A3 (en) Insulation-displacement terminal
NO20025642L (no) Tilförselsskinne-system
JPH08322127A (ja) 電気接続箱に収容するバスバーと絶縁板の積層構造
WO1996009632A3 (en) Fuse holder for an electric switch
DE69317049T2 (de) Flacher Schneidklemmkontakt für elektrische Verbinder
KR100912119B1 (ko) 부스바 커넥터 및 상기 부스바 커넥터를 이용하는 분전반
GB9303835D0 (en) Insulation displacement electrical terminal assembly
KR101897090B1 (ko)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FI941132A (fi) Kokoomakiskovaiheen ja rinnakkaisvaiheen samanvaiheisten katkaisinnapojen kytkemiseksi sähkönjakelupöydässä
JPH05128959A (ja) サーマルリレーの接続ユニツト
JP2002135912A (ja) 単相3線式分電盤の電圧切替装置
JP3853064B2 (ja) 回路遮断器の端子バリア装置
JPH11250947A (ja) 電源用コンセントおよびスイッチ
JPH09271108A (ja) 単相三線式分電盤
KR0113976Y1 (ko) 꽃임형 분전반
KR101917212B1 (ko)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JP3015143B2 (ja) 分電盤の分岐装置
JPS6330169Y2 (ko)
KR102032217B1 (ko) 공급전압 식별이 용이한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JP3454137B2 (ja) 接続変換アダプタ
JP2567545Y2 (ja) 分電盤の分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