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212B1 -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 Google Patents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212B1
KR101917212B1 KR1020180050458A KR20180050458A KR101917212B1 KR 101917212 B1 KR101917212 B1 KR 101917212B1 KR 1020180050458 A KR1020180050458 A KR 1020180050458A KR 20180050458 A KR20180050458 A KR 20180050458A KR 101917212 B1 KR101917212 B1 KR 101917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front contact
node
bar
contact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0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길
Original Assignee
조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길 filed Critical 조영길
Priority to KR1020180050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2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212B1/ko
Priority to PCT/KR2019/004053 priority patent/WO2019212157A1/ko
Priority to CN201980013363.XA priority patent/CN111819768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7/00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Asynchronous induction generators
    • H02K17/02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 H02K17/12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for multi-phase cur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서, 절연체 복수의 면으로 구성된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을 덮는 덮개를 포함하는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하부면에서 아래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 결선변경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선변경부는 상기 덮개 하부면의 중앙선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형성되되, 상기 덮개 하부면의 일단 방향으로 치우쳐 위치되는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A terminal block of motor}
본 발명은 220V/380V 겸용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서, 220V 전압이 인가되어 작동되는 유도전동기에 380V로 전압이 변경되어 인가되어야 하는 경우, 또는 380V 전압이 인가되어 작동되는 유도전동기에 220V로 전압이 변경되어야 하는 경우에, 기존 결선을 해지하고 다시 결선해야 하는 결선상태를 전환시켜야만 하는 종래기술에 따른 불편함이 없이, 베이스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덮개를 베이스에서 분리시키고, 수평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킨 후 다시 베이스 상부면에 장착시킴으로써 간편하게 결선상태를 전환시킬 수 있는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산업용이나 가정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3상 유도전동기의 기동 방식에는 와이(Y)기동 방식과 델타(Δ)기동 방식이 있다. 와이기동 방식은 유도전동기 코일 각상의 3선은 공통으로 묶고 나머지 3선은 각상에 물려주는 방식으로 공급전원 전압이 고전압(예컨대 380V)일 경우 사용되고, 델타기동 방식은 각선이 서로 꼬리를 물고 동그라미 형태를 그리며 물려주는 방식으로 공급전원 전압이 저전압(예컨대 220V)일 경우 사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R단자, S단자, T단자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는 220V/380V 겸용 3상 유도전동기의 경우, 공급전원 전압이 220V 전압인 경우에는 반드시 델타결선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공급전원 전압이 380V 전압인 경우에는 반드시 와이결선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인가되는 전압이 변경됨에 따라 결선상태가 전환되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기존 결선을 해지하고 새로운 결선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랐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종래기술에 따른 대한민국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2011-0006685호를 살펴본다.
종래기술은, 공급전원의 출력전압에 따라 결선상태를 간편하게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해줄 수 있음과 아울러 유도전동기에 장착 및 관리가 용이한 3상 유도전동기의 결선 단자대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르면 그 단자대 구조가 여전히 복잡하고 결선상태를 전환하는데 있어서, 결선노드들의 죄임부재를 나사체결해지하고 다시 새로운 결선상태를 형성한 후 결선노들의 죄임부재를 나사체결하는 등, 기존 결선을 해지하고 새로운 결선을 해야하는 불편함이 여전히 남아있다.
또한, 베이스의 상부면에 장착되어 상부면을 덮는 덮개가 상부면 일부만을 덮고 있어 안전성에 문제가 따른다.
또한, 현재 결선상태가 220V 전압인지 380V 전압인지 구분하기 어려워 결선상태를 전환시키는 과정 중 혼동을 초래하여 전기적 위험이 발생될 수 있다.
(특허문헌 1) KR20-2011-0006685 A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3상 유도전동기에서의 결선상태를 간편하게 전환시킬 수 있는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결선 단자대에서의 작업에 있어서 안전성이 증대된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현재 공급전원의 전압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고, 결선상태가 전환된 이후에도 전환된 전압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는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유도 전동기 결선 단자대는, 절연체 복수의 면으로 구성된 베이스(100); 및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면을 덮는 덮개(200)를 포함하는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덮개(200)의 하부면에서 아래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 결선변경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결선변경부(220)는 상기 덮개(200) 하부면의 중앙선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형성되되, 상기 덮개(200) 하부면의 일단 방향으로 치우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선변경부(220)의 일측면은 도체(C)이며, 상기 결선변경부(220)의 타측면은 부도체(I)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선변경부(220)는 상기 덮개(100) 하부면의 아래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 제1결선변경바(221); 제2결선변경바(222); 및 제3결선변경바(223)를 포함하며, 상기 제1결선변경바(221)와 상기 제2결선변경바(222)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2결선변경바(222)와 상기 제3결선변경바(223)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며, 상기 제2결선변경바(222)는 상기 덮개(200) 하부면의 중앙선의 중심에서 벗어나 위치되는 지점에서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100)의 내측에 형성된 R단자가 결합되는 제1결선노드(110); S단자가 결합되는 제2결선노드(120); T단자가 결합되는 제3결선노드(130); 상기 제1결선노드(110)를 대면하는 제6결선노드(160); 상기 제2결선노드(120)를 대면하는 제4결선노드(140); 및 상기 제3결선노드(130)를 대면하는 제5결선노드(1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결선노드(110)에서 상기 제6결선노드(16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1전면접점부(111); 상기 제6결선노드(160)에서 상기 제1결선노드(11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6전면접점부(161); 상기 제2결선노드(120)에서 상기 제4결선노드(14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2전면접점부(121); 상기 제4결선노드(140)에서 상기 제2결선노드(12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4전면접점부(141); 상기 제3결선노드(130)에서 상기 제5결선노드(15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3전면접점부(131); 및 상기 제5결선노드(150)에서 상기 제3결선노드(13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5전면접점부(151)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결선노드(110)와 상기 제6결선노드(160)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제1전면접점부(111) 및 상기 제6전면접점부(161)의 옆에 위치된 제1결선변경부수용부(171); 상기 제2결선노드(120)와 상기 제4결선노드(140)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제2전면접점부(121) 및 상기 제6전면접점부(161)의 옆에 위치된 제2결선변경부수용부(172); 및 상기 제3결선노드(130)와 상기 제5결선노드(150)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제3전면접점부(131) 및 상기 제5전면접점부(151)의 옆에 위치된 제3결선변경부수용부(173)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덮개(200)가 상기 베이스(100) 상부면에 장착되는 제1상태에서, 상기 제1결선변경바(221)가 상기 제1전면접점부(111)과 상기 제6전면접점부(161)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2결선변경바(222)가 상기 제2전면접점부(121)와 상기 제4전면접점부(141)에 위치되고, 상기 제3결선변경바(223)가 상기 제3전면접점부(131)와 상기 제5전면접점부(151)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덮개(200)가 상기 베이스(100) 상부면에 장착되는 제2상태에서, 상기 제1결선변경바(221)가 상기 제3결선변경부수용부(173)에 위치되고, 상기 제2결선변경바(222)가 상기 제2결선변경부수용부(172)에 위치되고, 상기 제3결선변경바(223)가 상기 제1결선변경부수용부(171)에 위치되며, 상기 제2상태는 상기 제1상태에서의 상기 덮개(200)가 180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100) 상부면을 덮는 상태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상태에서, 도체(C)인 상기 제1결선변경바(221) 일측면이 상기 제6전면접점부(161)에 접하게 되고, 부도체(I)인 상기 제1결선변경바(221) 타측면이 상기 제1전면접점부(111)에 접하게 되고, 도체(C)인 상기 제2결선변경바(222) 일측면이 상기 제4전면접점부(141)에 접하게 되고, 부도체(I)인 상기 제2결선변경바(222) 타측면이 상기 제2전면접점부(121)에 접하게 되고, 도체(C)인 상기 제3결선변경바(223) 일측면이 상기 제5전면접점부(151)에 접하게 되고, 부도체(I)인 상기 제3결선변경바(223) 타측면이 상기 제3전면접점부(131)에 접하게 되며, 상기 제1결선변경바(221) 일측면의 상부, 상기 제2결선변경바(222) 일측면의 상부 및 상기 제3결선변경바(223) 일측면의 상부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술한 과제해결수단으로 인하여, 220V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380V 전압으로 변경하여 인가해야 하는 경우, 덮개를 베이스로부터 분리한 후, 180도 수평방향에서 회전시키고, 이후 다시 베이스의 상부면에 장착시킴으로써 변경된 전압에 맞게 결선상태를 간편하게 전환시킬 수 있다. 380V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도 220V 전압으로 변경하여 인가해야 하는 경우, 간편하게 덮개만을 분리한 후 회전시킨 후 다시 베이스 상부면에 장착시킴으로써 220V 전압이 인가 가능하도록 결선상태의 전환이 가능하다.
나아가, 덮개가 베이스의 상부면 모두를 덮고 있어 전기적 안정성이 증대된다.
나아가, 현재 인가되는 전압에 맞는 결선상태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고, 나아가 결선상태가 변경된 이후에도 변경된 결선상태에 따라 인가되어야 할 전압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220V/380V 겸용 유도전동기에서 인가되는 전압에 따른 결선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에서 덮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에서 절연체 복수의 면으로 구성된 베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베이스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덮개의 위치에 따라 결선상태가 전환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를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에서는, 덮개(100)가 베이스(100) 상부면에 장착되는 경우, 후술할 제1상태가 되는 덮개(100)의 위치와 베이스(100)의 위치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서 '전기적 연결'이나 '전기적으로 연결'이란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연결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는 절연체 복수의 면으로 구성된 베이스(100) 및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되어 베이스(100)의 상부면을 덮는 덮개(200)를 포함한다.
덮개(200)의 하부면에는 결선변경부(220)가 형성되어 있다.
결선변경부(220)는 덮개(200) 하부면에서 아래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다. 덮개(200)가 베이스(100) 상부면에 장착되었을 경우, 덮개(200) 하부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결선변경부(220)가 베이스(100) 내측으로 삽입되어 후술할 다수의 전면접점부(111,121,131,141,151,161) 사이에 위치되거나 또는 후술한 다수의 결선변경부수용부(171,172,173)에 수용되어 위치된다.
베이스(100) 내측에서 결선변경부(220)가 어느 곳에 위치되는지에 따라 와이(Y)결선 또는 델타(Δ)결선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베이스(100)에 장착되는 덮개(100)의 위치를 변경함에 따라 와이결선에서 델타결선 또는 델타결선에서 와이결선으로 결선상태의 전환이 가능하다. 베이스(100) 상부면에 장착된 덮개(100)를 분리한 후, 180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다시 베이스(100) 상부면에 장착시킴에 따라 결선상태의 전환이 가능하다.
결선변경부(220)는 덮개(100) 하부면에서 아래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 제1결선변경바(221), 제2결선변경바(222) 및 제3결선변경바(223)를 포함한다.
제1결선변경바(221)의 길이, 제2결선변경바(222)의 길이 및 제3결선변경바(223)의 길이는 동일할 수 있으며, 제1결선변경바(221)와 제2결선변경바(222) 사이의 간격과 제2결선변경바(222)와 제3결선변경바(223) 사이의 간격은 동일할 수 있다.
나아가, 제1결선변경바(221)와 제2결선변경바(222) 사이의 간격은 후술할 제1전면접점부(111)와 제2전면접점부(121) 사이의 간격(또는 제6전면접점부(161)과 제4전면접점부(141)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고, 제2결선변경바(222)와 제3결선변경바(223) 사이의 간격은 제2전면접점부(121)과 제3전면접점부(131) 사이의 간격(또는 제4전면접점부(141)과 제5전면접점부(151) 사이의 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나아가, 제1결선변경바(221)와 제2결선변경바(222) 사이의 간격은 후술할 제1결선변경부수용부(171)와 제2결선변경부수용부(172)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고, 제2결선변경바(222)와 제3결선변경바(223) 사이의 간격은 제2결선변경부수용부(172)와 제3결선변경부수용부(173) 사이의 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덮개(200)가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후술할 제1상태에서는 결선변경부(220)가 전면접점부(111,121,131,141,151,161) 사이에 삽입될 수 있고, 덮개(200)가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후술할 제2상태에서는 결선변경부(220)가 결선변경부수용부(171,172,173)에 수용되어 위치될 수 있다.
결선변경부(220)는 덮개(200) 하부면의 중앙선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100)의 일측에 착탈되는 착탈부가 연결된 덮개(200)의 일단과 베이스(100)의 타측에 착탈되는 착탈부가 연결된 덮개(200)의 타단을 연결한 중앙선으로, 이러한 중앙선을 따라 일정한 길이로 덮개(100)의 하부면에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결선변경바(221)의 상부, 제2결선변경바(222)의 상부 및 제3결선변경바(223) 상부가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상태에서 덮개(200) 하부면에 일체적으로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
결선변경부(220)는 덮개(100) 하부면의 중앙선을 따라 형성되되, 덮개(200) 하부면의 일단 방향으로 치우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결선변경바(221), 제2결선변경바(222) 및 제3결선변경바(223)로 구성되되, 덮개(100) 하부면의 양단에서 동일한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일단 방향으로 치우쳐 위치된다. 일례로, 덮개(100) 하부면의 일단에서 제1결선변경바(221)까지의 거리와 덮개(100) 하부면의 타단에서 제3결선변경바(223)까지의 거리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결선변경부(220)의 수평방향에서 중앙에 위치된 제2결선변경바(222)는 덮개(200) 하부면의 중앙선의 중심에서 벗어나 위치되는 지점에서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결선변경부(220)가 덮개(100) 하부면의 일단 방향으로 치우침에 따라 덮개(100)를 180도 수평회전시킴으로써 베이스(100) 내측에 삽입되는 결선변경부(220)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고, 이러한 변경을 통하여 와이결선을 델타결선으로 또는 델타결선을 와이결선으로 결선상태 전환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결선변경부(220)의 일측면은 도체(C)이고, 일측면에 대응되는 결선변경부(220)의 타측면은 부도체(I)일 수 있다.
결선변경부(220)가 전면접점부(111,121,131,141,151,161) 사이에 삽입되는 제1상태에서, 도체(C)인 결선변경부(220)의 일측면이 제6전면접점부(161), 제4전면접점부(141) 및 제5전면접점부(151)에 접하고, 부도체(I)인 결선변경부(220)의 타측면이 제1전면접점부(111), 제2전면접점부(121) 및 제3전면접점부(131)에 접하게 된다.
부도체(I)인 결선변경부(220)의 타측면이 다수의 전면접점부(111,121,131,141,151,161) 사이에 삽입됨에 따라 제1결선노드(110)와 제6결선노드(160) 간의 전기적 연결, 제2결선노드(120)와 제4결선노드(140) 간의 전기적 연결 및 제3결선노드(130)와 제5결선노드(150) 간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어 델타결선이 해지된다.
도체(C)인 제1결선변경바(221)의 상부 일측면, 제2결선변경바(222)의 상부 일측면 및 제3결선변경바(223)의 상부 일측면은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바, 상술한 제1상태에서는 제6전면접점부(161), 제4전면접점부(141) 및 제5전면접점부(151)는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와이결선상태가 이루어진다.
한편, 제1결선변경바(221), 제2결선변경바(222) 및 제3결선변경바(223)가 상술한 결선변경부수용부(171,172,173)에 수용되어 위치되는 제2상태에서는 와이결선이 해지되고 델타결선이 이루어진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베이스(100)는 절연체로서 복수의 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복수의 면에 결선에 필요한 다수의 결선노드(110,120,130,140,150,160), 다수의 전면접점부(111,121,131,141,151,161), 다수의 결선변경부수용부(171,172,173)이 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는 베이스(100)의 내측에 형성된 R단자가 결합되는 제1결선노드(110), S단자가 결합되는 제2결선노드(120), T단자가 결합되는 제3결선노드(130), 제1결선노드(110)를 대면하는 제6결선노드(160), 제2결선노드(120)를 대면하는 제4결선노드(140) 및 제3결선노드(130)를 대면하는 제5결선노드(150)를 포함한다.
또한, 제1결선노드(110)에서 제6결선노드(16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1전면접점부(111), 제6결선노드(160)에서 제1결선노드(11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6전면접점부(161), 제2결선노드(120)에서 제4결선노드(14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2전면접점부(121), 제4결선노드(140)에서 제2결선노드(12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4전면접점부(141), 제3결선노드(130)에서 제5결선노드(15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3전면접점부(131) 및 제5결선노드(150)에서 제3결선노드(13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5전면접점부(151)를 포함한다.
또한, 제1결선노드(110)와 제6결선노드(160) 사이에 위치되되 제1전면접점부(111) 및 제6전면접점부(161)의 옆에 위치된 제1결선변경부수용부(171), 제2결선노드(120)와 제4결선노드(140) 사이에 위치되되 제2전면접점부(121) 및 제6전면접점부(161)의 옆에 위치된 제2결선변경부수용부(172), 제3결선노드(130)와 제5결선노드(150) 사이에 위치되되 제3전면접점부(131) 및 제5전면접점부(151)의 옆에 위치된 제3결선변경부수용부(173)를 포함한다.
기타 유도전동기 결선에 필요한 결선노드 및 단자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는 제1결선변경부수용부(171), 제2결선변경부수용부(172) 및 제3결선변경부수용부(173) 각각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정한 높이로 형성된 다수의 결선변경차단부(180)를 더 포함한다.
결선변경부차단부(180)는 다수의 전면접점부(111,121,131,141,151,161)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위치되며, 결선변경부차단부(180)의 상단면에는 아래 방향으로 파인 형상의 안착홈(182)이 위치된다.
덮개(200)가 베이스(100) 상부면에 장착되는 제2상태에서, 결선변경부차단부(180)는 다수의 결선변경부수용부(171,172,173)에 수용되어 위치되는 다수의 결선변경바(221,222,223)가 다수의 전면접점부(111,121,131,141,151,161)에 접하지 않도록 결선변경바(221,222,223)를 차단한다. 델타결선상태인 제2상태에서 제6결선노드(160), 제4결선노드(140) 및 제5결선노드(150)의 전기적 연결을 안전하게 차단하기 위함이다.
덮개(200)가 베이스(100) 상부면에 장착되는 제1상태에서는, 결선변경부차단부(180)는 결선변경바(221,222,223)가 다수의 전면접점부(111,121,131,141,151,161)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다수의 결선변경부수용부(171,172,173)로 이동될 가능성을 완전히 차단하여 전기적 안전성을 증대시킨다.
결선변경부(220)에서 제1결선변경바(221)와 제2결선변경바(222) 사이에 형성된 부분 및 제2결선변경바(222)와 제3결선변경바(223) 사이에 형성된 부분이 안착홈(182)에 안착되어 이동이 제한된다.
덮개(100)의 일측에는 표시홀(240)이 형성되어 있으며, 덮개(100)가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된 제1상태에서 표시홀(240)에 대응하는 베이스(100)의 면에는 380V가 표시되어 있으며, 덮개(100)가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된 제2상태에서 표시홀(240)에 대응하는 베이스(100)의 면에는 220V가 표시되어 있다.
즉, 베이스(100)의 어느 2개의 면에서 하나의 면에는 220V 전압이 표시되어 있고, 나머지 면에는 380V 전압이 표시되어 있다.
덮개(100)가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현 결선상태를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표시홀(240)을 통하여 베이스(100)의 어느 하나의 면에서 표시된 결선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표시홀(240)을 통하여 베이스(100)의 어느 하나의 면에서 보여지는 표시가 220V 전압인 경우에는 220V 전압이 인가되는 델타결선이며, 표시가 380V 전압인 경우에는 380V 전압이 인가되는 와이결선임을 표시한다. 사용의 편리성이 증대되며, 결선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전기적인 안전성이 증대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덮개(200)를 투명한 상태로 도시하여 위에서 바라봤을 때 결선변경부(220)가 베이스(100) 어디 부분에 삽입되어 있는지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에서, 와이결선에서 델타결선으로 또는 델타결선에서 와이결선으로 결선상태를 전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6에서 (b)는 덮개(200)가 베이스(100) 상부면에 장착되는 제1상태로, 제1결선변경바(221)가 제1전면접점부(111)과 제6전면접점부(161) 사이에 위치되고, 제2결선변경바(222)가 제2전면접점부(121)와 제4전면접점부(141)에 위치되고, 제3결선변경바(223)가 제3전면접점부(131)와 제5전면접점부(151) 사이에 위치되어, 제1결선노드(110)와 제6결선노드(160)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고, 제2결선노드(120)와 제4결선노드(140)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고, 제3결선노드(120)와 제5결선노드(150)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된다. 반면, 제6전면접점부(161), 제4전면접점부(141) 및 제5전면접점부(151)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즉, 제6결선노드(160), 제4결선노드(140) 및 제5결선노드(15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와이결선상태가 유지된다.
도 6에서 (b)는 도체(C)인 제1결선변경바(221) 일측면이 제6전면접점부(161)에 접하게 되고, 부도체(I)인 제1결선변경바(221) 타측면이 제1전면접점부(111)에 접하게 되고, 도체(C)인 제2결선변경바(222) 일측면이 제4전면접점부(141)에 접하게 되고, 부도체(I)인 제2결선변경바(222) 타측면이 제2전면접점부(121)에 접하게 되고, 도체(C)인 제3결선변경바(223)) 일측면이 제5전면접점부(151)에 접하게 되고, 부도체(I)인 제3결선변경바(223) 타측면이 상기 제3전면접점부(131)에 접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나아가, 제1결선변경바(221) 일측면의 상부, 제2결선변경바(222) 일측면의 상부 및 제3결선변경바(223) 일측면의 상부면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결국 제6결선노드(160), 제4결선노드(140) 및 제5결선노드(15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와이결선상태가 유지된다.
도 6에서 (a)는 덮개(200)가 베이스(100) 상부면에 장착되는 제2상태로, 결선변경부(220)가 결선변경부수용부(171,172,173)에 위치된 상태로 제1전면접점부(111)와 제6전면접점부(161)가 접하며, 제2전면접점부(121)와 제4전면접점부(141)가 접하며, 제3전면접점부(131)와 제5전면접점부(151)가 접하면서 델타결선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즉, 제1결선변경바(221)가 제3결선변경부수용부(173)에 위치되고, 제2결선변경바(222)가 제2결선변경부수용부(172)에 위치되고, 제3결선변경바(223)가 제1결선변경부수용부(171)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술한 델타결선상태가 유지된다.
도 6(a)에 도시된 델타결선인 상태에서의 덮개(100)를 덮개(100)를 베이스(100) 상부면으로부터 분리시켜, 수평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킨 후, 베이스(100) 상부면에 장착시키면 도 6(b)에 도시된 와이결선상태로 전환된다.
즉,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결선을 해지하고 새로운 결선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이, 덮개(200)만을 베이스(100) 상부면에서 분리한 후, 180도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여 베이스(100) 상부면에 장착하면 델타결선에서 와이결선으로 또는 와이결선에서 델타결선으로 간편하게 전환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베이스
110: 제1결선노드 120: 제2결선노드 130: 제3결선노드 140: 제4결선노드 150: 제5결선노드 160: 제6결선노드
111: 제1전면접점부 121: 제2전면접점부 131: 제3전면접점부 141: 제4전면접점부 151: 제5전면접점부 161: 제6전면접점부
171: 제1결선변경부수용부 172: 제2결선변경부수용부 173: 제3결선변경부수용부
180: 결선변경부차단부 182: 안착홈
200: 덮개
220: 결선변경부
221: 제1결선변경바 222: 제2결선변경바 223: 제3결선변경바
240: 표시홀
C: 도체
I: 부도체

Claims (5)

  1. 절연체 복수의 면으로 구성된 베이스(100); 및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면을 덮는 덮개(200)를 포함하는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덮개(200)의 하부면에서 아래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 결선변경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결선변경부(220)는 상기 덮개(200) 하부면의 중앙선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형성되되, 상기 덮개(200) 하부면의 일단 방향으로 치우쳐 위치되며,
    상기 결선변경부(220)의 일측면은 도체(C)이며, 상기 결선변경부(220)의 타측면은 부도체(I)인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선변경부(220)는 상기 덮개(200) 하부면의 아래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 제1결선변경바(221); 제2결선변경바(222); 및 제3결선변경바(223)를 포함하며,
    상기 제1결선변경바(221)와 상기 제2결선변경바(222)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2결선변경바(222)와 상기 제3결선변경바(223)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며,
    상기 제2결선변경바(222)는 상기 덮개(200) 하부면의 중앙선의 중심에서 벗어난 지점에서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0)의 내측에 형성된 R단자가 결합되는 제1결선노드(110); S단자가 결합되는 제2결선노드(120); T단자가 결합되는 제3결선노드(130); 상기 제1결선노드(110)를 대면하는 제6결선노드(160); 상기 제2결선노드(120)를 대면하는 제4결선노드(140); 및 상기 제3결선노드(130)를 대면하는 제5결선노드(1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결선노드(110)에서 상기 제6결선노드(16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1전면접점부(111); 상기 제6결선노드(160)에서 상기 제1결선노드(11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6전면접점부(161); 상기 제2결선노드(120)에서 상기 제4결선노드(14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2전면접점부(121); 상기 제4결선노드(140)에서 상기 제2결선노드(12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4전면접점부(141); 상기 제3결선노드(130)에서 상기 제5결선노드(15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3전면접점부(131); 및 상기 제5결선노드(150)에서 상기 제3결선노드(13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5전면접점부(151)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결선노드(110)와 상기 제6결선노드(160)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제1전면접점부(111) 및 상기 제6전면접점부(161)의 옆에 위치된 제1결선변경부수용부(171); 상기 제2결선노드(120)와 상기 제4결선노드(140)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제2전면접점부(121) 및 상기 제6전면접점부(161)의 옆에 위치된 제2결선변경부수용부(172); 및 상기 제3결선노드(130)와 상기 제5결선노드(150)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제3전면접점부(131) 및 상기 제5전면접점부(151)의 옆에 위치된 제3결선변경부수용부(173)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덮개(200)가 상기 베이스(100) 상부면에 장착되는 제1상태에서, 상기 제1결선변경바(221)가 상기 제1전면접점부(111)과 상기 제6전면접점부(161)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2결선변경바(222)가 상기 제2전면접점부(121)와 상기 제4전면접점부(141)에 위치되고, 상기 제3결선변경바(223)가 상기 제3전면접점부(131)와 상기 제5전면접점부(151)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덮개(200)가 상기 베이스(100) 상부면에 장착되는 제2상태에서, 상기 제1결선변경바(221)가 상기 제3결선변경부수용부(173)에 위치되고, 상기 제2결선변경바(222)가 상기 제2결선변경부수용부(172)에 위치되고, 상기 제3결선변경바(223)가 상기 제1결선변경부수용부(171)에 위치되며,
    상기 제2상태는 상기 제1상태에서의 상기 덮개(200)가 180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100) 상부면을 덮는 상태인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태에서, 도체(C)인 상기 제1결선변경바(221) 일측면이 상기 제6전면접점부(161)에 접하게 되고, 부도체(I)인 상기 제1결선변경바(221) 타측면이 상기 제1전면접점부(111)에 접하게 되고, 도체(C)인 상기 제2결선변경바(222) 일측면이 상기 제4전면접점부(141)에 접하게 되고, 부도체(I)인 상기 제2결선변경바(222) 타측면이 상기 제2전면접점부(121)에 접하게 되고, 도체(C)인 상기 제3결선변경바(223) 일측면이 상기 제5전면접점부(151)에 접하게 되고, 부도체(I)인 상기 제3결선변경바(223) 타측면이 상기 제3전면접점부(131)에 접하게 되며,
    상기 제1결선변경바(221) 일측면의 상부, 상기 제2결선변경바(222) 일측면의 상부 및 상기 제3결선변경바(223) 일측면의 상부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KR1020180050458A 2018-05-02 2018-05-02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KR101917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458A KR101917212B1 (ko) 2018-05-02 2018-05-02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PCT/KR2019/004053 WO2019212157A1 (ko) 2018-05-02 2019-04-05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CN201980013363.XA CN111819768B (zh) 2018-05-02 2019-04-05 感应电机连接端子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458A KR101917212B1 (ko) 2018-05-02 2018-05-02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7212B1 true KR101917212B1 (ko) 2019-01-24

Family

ID=65277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458A KR101917212B1 (ko) 2018-05-02 2018-05-02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917212B1 (ko)
CN (1) CN111819768B (ko)
WO (1) WO2019212157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1918Y1 (ko) * 1981-03-27 1982-09-09 주식회사금성사 가전제품용 전압전환 플러그
KR101507690B1 (ko) * 2014-10-22 2015-04-07 김신호 모터 결선용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070B1 (ko) * 1993-05-25 1996-01-18 조광열 3상 유도 전동기의 결선 전환 장치
JPH09247903A (ja) * 1996-03-13 1997-09-19 Toshiba Corp 制御装置付き電動機
FR2795227B3 (fr) * 1999-06-18 2001-07-20 Schneider Electric Ind Sa Appareil electromagnetique de commutation de type multipolaire
JP3068005U (ja) * 1999-09-30 2000-04-21 春日電機株式会社 モ―タ用端子台
KR200254824Y1 (ko) * 2001-09-03 2001-11-26 박무근 3상 유도 전동기의 결선 전환장치
DE102005040348B4 (de) * 2005-08-25 2008-01-17 Siemens Ag Verbindungssystem mit einem elektromagnetischem Schaltgerät, insbesondere Schütz, und einem Stecker
DE102009015705B4 (de) * 2009-03-31 2014-11-13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Anschlussvorrichtung zum elektrischen Anschließen eines Drehstrommotors
DE102010044143A1 (de) * 2010-11-18 2012-05-24 Lq Mechatronik-Systeme Gmbh Motoranschlusskasten und Drehstrommotor
JP6188385B2 (ja) * 2013-04-08 2017-08-30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モータ
CN206533229U (zh) * 2017-01-22 2017-09-29 沈阳大明电机有限公司 一种电机内置微型电压转换器
CN107592054B (zh) * 2017-08-31 2019-10-01 广东美芝制冷设备有限公司 电机控制方法、电机控制装置及存储介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1918Y1 (ko) * 1981-03-27 1982-09-09 주식회사금성사 가전제품용 전압전환 플러그
KR101507690B1 (ko) * 2014-10-22 2015-04-07 김신호 모터 결선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819768A (zh) 2020-10-23
CN111819768B (zh) 2023-04-11
WO2019212157A1 (ko) 2019-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22478A (en) Utility structure usable as electrical wiring equipment
KR101897090B1 (ko)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KR101917212B1 (ko)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TW200410459A (en) Terminal connector of electrical device
JP2008029133A (ja) 分電盤
KR102032216B1 (ko) 공급전압 식별이 용이한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KR101949895B1 (ko) 결선 변경이 용이한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KR102032217B1 (ko) 공급전압 식별이 용이한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KR101985193B1 (ko)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결선변경부를 구비한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RU2496195C2 (ru) Розеточный блок
KR200254824Y1 (ko) 3상 유도 전동기의 결선 전환장치
JP2007288963A (ja) プラグイン分電盤
CN210469081U (zh) 三电压输出发电机组
JP4676663B2 (ja) 住宅用分電盤
JP4203552B2 (ja) 分電盤
CN216015253U (zh) 一种微型断路器手柄套结构
CN108879540A (zh) 配电系统和组装配电系统的方法
US3322919A (en) Integrated fuse and wire
ATE266896T1 (de) Gleichstrom-hochspannungs-elektrokabel mit massenimprägnierter isolierung
JP4607363B2 (ja) 分電盤の分岐ブレーカー1次送り接続構造
JP2819541B2 (ja) 分電盤用2極ブレーカの一次側接続導体
DE68908386D1 (de) Kommutator fuer elektrische maschinen.
JP2006005976A (ja) 分電盤
JPH0328392Y2 (ko)
KR960001785Y1 (ko) 2개 이상의 전원소켓을 장착한 카셋트 레코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