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3976Y1 - 꽃임형 분전반 - Google Patents

꽃임형 분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3976Y1
KR0113976Y1 KR2019940005346U KR19940005346U KR0113976Y1 KR 0113976 Y1 KR0113976 Y1 KR 0113976Y1 KR 2019940005346 U KR2019940005346 U KR 2019940005346U KR 19940005346 U KR19940005346 U KR 19940005346U KR 0113976 Y1 KR0113976 Y1 KR 01139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distribution panel
base plate
breaker
bu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53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8766U (ko
Inventor
안계훈
Original Assignee
안계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계훈 filed Critical 안계훈
Priority to KR20199400053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3976Y1/ko
Publication of KR9500287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87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39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39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전등 또는 동력용 분전반(Distribution Panel)을 형성함에 있어서, 꽃임형분기 과전류 차단기를 간편하게 착탈하여 배선할 수 있도록 한 분전반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 수개의 직립된 분기도체가 일체로 형성된 분기모선을 상, 선식에 적합하게 상, 하측부에 분리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분리 형성되는 단자대와 베이스판에 의해 꽃임형 누전차단기와 배선용차단기를 혼재하여 분기 과전류 차단기로 사용함으로서 분전반의 체적을 종래보다 대폭 감소시켜 그 크기를 최소화하고, 주찬단기를 차단하지 않고도 분기 과전류 차단기의 보수점검이 용이하며, 분전반을 표준화할 수가 있게 됨으로써 분전반의 설계 및 제작성은 물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꽃임형 분전반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도 2의 A-A선 단면구성도
도 4은 본 고안의 요부 확대단면도로서
(가)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나)는 도3의 C-C선 단면도
도 5의 (가) 내지 (라)는 본 고안의 분기모선을 보인 사시도로서,
(가)는 S상 분기도체를 가진 분기모선의 예시도
(나)는 N상 분기도체를 가진 분기모선 예시도
(다)는 R상 분기도체를 가진 분기모선 예시도
(라)는 T상 분기도체를 가진 분기모선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분전반에 의해 배치된 분기회로의 배선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분전반에 의해 구성된 분기회로의 예시도
* 도면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분전반 본체 10,10a,10b,10c : 분기모선
11 : 분기도체 12 : 체결공
20 : 베이스판 21 : 배선공간부
22 : 고정편 23 : 결착고정봉
24 : 관통구멍 25,31 : 결착돌기
30 : 단자대 32 : 체결홈
33 : 체결보울트 40 : 분기과전류차단기
본 고안은 전등 또는 동력용 분전반(Distribution Panel)을 형성함에 있어, 꽃임형 분기 과전류 차단기를 간편하게 착탈하여 배선할 수 있도록 한 꽃임형 분전반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교류의 상, 선식과 정격전압이 단상 2선식 110V, 220V, 단상 3선식 220V, 380V, 직류의 110V, 220V에서 꽃임형 누전차단기와 배선용차단기를 함께 분기과전류 차단기로 사용함으로써 분전반의 체적을 감소시켜 기기를 최소화하고, 주차단기를 차단하지 않고도 분기 과전류 차단기를 분전반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수점검이 용이하며, 또한 분전반을 표준화하여 분전반의 제작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통상 분전반이란 주파수 60Hz의 교류 600V이하 또는 직류 250V이하의 전동, 전기기구, 전동기, 그밖의 전로를 분기과전류 차단기에 의해 모아서 기판상에 배선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종래에는 단자구조로 된 분전반용 배선차단기와 누전차단기를 사용함으로서 모선과 분기도체가 평면상으로 분기차단기의 중앙에 설치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는 접속 및 절연을 위한 거리로 인하여 설치면적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고, 또한, 모선과 분기도체를 분리 형성하여 나사 결합에 의해 접속하는 구성임으로써 분기회로의 극수만큼 나사결합으로 접속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접속불량이 발생율이 증가할 위험이 있다.
그리고 분기과전류 차단기를 보수 점검하기 위하여 분전반으로부터 분리시킬 때 주차단기를 차단하여 분기과전류 차단기의 전원측 전압을 영으로 한 뒤에 분기모선과 분기 과전류 차단기의 접속나사를 해체시켜야 하므로서 모든 분기회로가 단전되는 결점이 있는 것이었다.
[실용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분기과전류 차단기에 나사 죄임형 분전반용 배선차단기와 누선차단기를 혼재하여 사용되는 분전반의 과대한 설치면적, 모선과 분기도체간의 접속불량, 분기과전류 차단기의 보수 점검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꽃임형 분전반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분기모선과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분기과전류 차단기의 하측부에 입체적으로 베치됨으로써 분기로 선상에 일체로 직립형성된 분기도체와 분기과전류 차단기를 간편하고도 신속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인 것이다.
[실용신안의 구성및 작용]
계속해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의 도 1 및 도 2에서는 본 고안의 꽃임형 분전반의 전체적인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고 있으며, 이외 도면에서 부호 100은 본 고안의 다른 본전반의 본체를 표시하고있다.
상기 분전반의 본체(100)는 꽃임 접속형의 분기과전류 차단기를 착탈할 수 있도록 하는 각 상의 분기도체를 직립되게 일체로 형성한 다수개의 분기모선(10)(10a)(10b)(10c)과 상기 분기모선들을 입체적으로 체결하도록 하는 베이스판(20)과 상기 베이스판(20)의 일측면에 체결되면서도 주회로 차단기와 분기모선을 접속하도록 하는 단자대(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분기모선(10)(10a)(10b)(10c)은 첨부된 도면의 도 5의 (가)내지 (라)에서 더욱 상세히 나타내고 있으며, 이의 분기모선(10)(10a)(10b)(10c)은 S, N, R,,T상의 분기도체(11)를 각각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 분기모선(10)(10a)(10b)(10c)은 상호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즉, 이들에 구비되는 분기도체(11)의 설치위치만 다를 뿐, 상기 베이스판(20)의 상부에 체결되는 한쌍의 상부측 분기모선(10)(10a)과 하부에 채결되는 한쌍의 하부측 분기모선(10b)(10c)로 구분된다.
이때, 상기분기모선(10)(10a)(10b)(10c)에 구비되는 분기도체(11)는 그 위치를 달리하고 있음으로써 베이스판(20)에 체결시에는 첨부된 도면의 도 4의 (가) 내지 (나)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동일선상에 일렬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분기모선(10)(10a)(10b)(10c)들은 금속편으로 철곡구비되면서 그 내부에는 베이스판(20)에 체결을 위한 체결공(12)이 등간격으로 각각 구비되어 있고 상부측 분기모선(10)(10a)은 일측면에 단자대 (30)에 체결될 수 있는 단차를 가지는 체결부가 구비되어 있음과 동시에 하부측 분기모선(10b)(10c)은 일직선을 이루는 체결부를 갖추어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판(20)은 분기모선((10)(10a)(10b)(10c)들을 절연상태로 체결하는 부재로서, 이는 절연체로 구비되면서도 상, 하부에는 배선공간부(21)를 가지면서 상부의 양측단에 분기과전류 차단기(40)의 부하단자측을 결속하도록 하는 다수개의 고정편(22)이 등간격으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20)의 상, 하측 배선공간부(21) 내에는 각각 양측으로 등간격을 이루는 다수개의 결착고정봉(23)이 구비되어 전술한 분기모선(10)(10a)(10b)(10c)의 체결공(12)이 삽입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이들 사이의 공간부에는 상,하 관통되게 관통구멍(24)이 천공되어 하부측 분기모선(10b)(10c)의 분기도체(!1)가 삽입체결되도록 구비도어 있으며, 베이스판(2)의 일측면상에 단자대(30)와 결합되는 결착돌기(25)가 갖추어져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판(20)이 다른 실시예로서 일정크기로 구성하여 이들을 상호 병렬로 연결하여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단자대(30)는 대략 사각형으로 구비되면서 그 일측면에서는 전술한 베이스판(20) 결착돌기(25)와 상호결합 체결되는 결착돌기(31)를 갖추어 구성됨과 동시에 상부측에는 분기모선(10)(10a)(10b)(10c)의 일측단 체별부가 체결되는 다수개의 체결홈(32)이 구비되며, 이의 체결홈(32)에는 결보울트(33)가 나사체결되는너트공이 구비도어 잇다.
이때 상기 체결홈(32)은 상, 하 한쌍씩 단차를 갖도록 구비되어 상부의 체결홈(32)에는 상부측 분기모선(10)(10a)이 체결됨과 아울러 하부의 체결홈(32)에는 하부측 분기모선(10b)(10c)이 각각 체결되어 질 것이다.
그리고, 부호 40으로 표시되는 분기과전류 차단기는 통상에서와 같은 차단기로서, 이는 대략 함체형상으로 구비되면서도 하부와 일측면에는 분기모선의 분기도체(11)에 삽입체결될 수 있는 체결홈과 베이스판(20)의 고정편(22)에 체결되는 체결홈이 각각 구비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부측에는 온/오프 스위치를 갖추어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개로 구비되는 분기모선 (10)(10a)(10b)(10c)과 베이스판(20) 단자대(30)그리고 분기과전류 차단기(40)로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이들을 조립시에는 상기베이스판(20)의 일측면에 단자대(30)을 조립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판(20)과 단자대 (30)의 상.하부에는 각각 분기모선(10)(10a)(10b)(10c)을 입체적으로 조립하게 된다.
즉, 상기 베이스판(20)과 단자대(30)는 베이스판(20)의 일측면상에 구비되는 결착돌기(25)와 단자대(30) 일측면에 구비되는 결착돌기(31)를 상호 결합함으로써 조립이 되는 것이고, 또한 상기 베이스판(20)이 상,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결착고정봉(23)에 분기모선(10)(10a)(10b)(10c)의 체결공(12)을 삽입함과 동시에 이들의 일측단부를 단자대(30)의 체결홈(32)에 각각 삽입하여 체결보울트(33)로서 나사조립함으로써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분기모선(10)(10a)(10b)(10c)은 베이스판(20)의 상하부측 배선공간부(21)내에 각각 삽입체결도는 것이고, 이들중 하부측의 분기모선(10b)(10c)은 그 분기도체(!1)가 베이스판(20)의 관통구멍(24)을 통하여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관통되어 분기도체(11)마이 상부측으로 노출되게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베이스판(20)에 조립이 완료되는 각 분기모선(10)(10a)(10b)(10c)의 분기도체(11)들을 등간격을 유지하면서 동일선상에 일렬로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분기모선(10)(10a)(10b)(10c)들을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베이스판(20)의 상,하부에 각각 이격되는 형태로 체결되면서도 분기모선(10)(10a)(10b)(10c)에 각각 구비되는 분기도체(11)들은 2차단자의 상에 따라 S상, N상, R상, T상을 접속배선할 수 있도록 직립되게 구비되어 베이스판(20) 및 이의 관통구멍(24)들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다.
[실용신안의 효과]
이상 상세히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분기과전류차단기와 접속되면서도 각 상 즉 S상, N상, T상, R상으로 이루어지는 분기도체를 가지는 분기모선을 베이스판 및 단자대의 상.하부에 입체적으로 설치 가능토록 구비함으로써 상기 분기모선의 설치면적을 줄이게 되고 이에따라 전체적인 분전반의 크기를 최소화 할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분기과전류 차단시의 보수 점검시 주차단기를 차단하지 않고도 해당 분기과전류 차단기만을분기도체에서 분리할 수가 있게 됨으로써 이를 용이하게 보수 및 점검할 수가 있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분전반을 표준화할 수가 있게 됨으로써 분전반의 설계 및 제작성은 물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되는 장점도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꽃임 접속형 분기과전류 차단기를 착탈가능케 접속하도록 복수의 분기도체(11)를 일체로 형성한 다수개의 분기모선(10)(10a)(10b)(10c)과;
    상기 분기모선(10)(10a)(10b)(10c)를 각각 상, 하부측에 각각 입체적으로 분리 설치하면서도 양측단부에는 분기과전류 차단기(40)의 부하측 고정구를 결속하도록 하는 다수개의 고정편(22)을형성한 베이스판(20);
    상기 분기모선(10)(10a)(10b)(10c)을 주회로차단기와 접속 가능토록 체결홈(32)을 단차지게 형성한 단자대(30) ; 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임형 분전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모선(10)(10a)(10b)(10c)은 R, T, S, N을 접속배선할 수 있도록 각각 복수의 분기도체(11)를 상부로 직립되게 일체로 형성하고, 이들에는 베이스판(20)과 결합될 수 있는 체결공(12)을 등간격으로 각각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임형 분전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20)은 절연체로 이루어지면서도 상, 하부측에는 분기모선(10)(10a)(10b)(10c)이 체결되는 배선공간부(21)을 각각 형성함과 동시에 이의 상,하면에는 각각 결착고정봉(23) 및 관통구멍(24)를 등간격으로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임형 분전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20)의 일측면과 단자대(30)의 일측면상에 각각 결착돌기(25)(31)을 갖추어 상호 결합되도록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꽃임형 분전반.
KR2019940005346U 1994-03-17 1994-03-17 꽃임형 분전반 KR01139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5346U KR0113976Y1 (ko) 1994-03-17 1994-03-17 꽃임형 분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5346U KR0113976Y1 (ko) 1994-03-17 1994-03-17 꽃임형 분전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8766U KR950028766U (ko) 1995-10-20
KR0113976Y1 true KR0113976Y1 (ko) 1998-04-13

Family

ID=19379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5346U KR0113976Y1 (ko) 1994-03-17 1994-03-17 꽃임형 분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39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842B1 (ko) * 2007-08-31 2009-12-15 새턴정보통신(주) 배전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983B1 (ko) * 2002-01-25 2004-07-03 엘지산전 주식회사 철재 분전반의 분기회로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842B1 (ko) * 2007-08-31 2009-12-15 새턴정보통신(주) 배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8766U (ko) 199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5378A (en) Loop-feed wiring arrangement for electric circuit breakers and switches
KR100309322B1 (ko) 배전반
US4136374A (en) Electrical switchboard apparatus including double-flanged vertical riser conductors
US3211960A (en) Insulating mounting block and circuit interrupting device
KR100712245B1 (ko) 분전반
GB1447292A (en) Plug-on circuit breaker mounting device
KR0113976Y1 (ko) 꽃임형 분전반
KR200331163Y1 (ko) 배전반
US4868981A (en) Method of making loop-feed wiring arrangement for electric circuit breakers and switches
KR20090100706A (ko) 산업용 분전반용 분기 접속자 키트 및 이를 구비하는산업용 분전반
EP0878816A3 (de) Metallgekapselter, gasisolierter Leistungsschalter
KR870001618A (ko) 가스절연 개폐장치(switch-gear)
US4176243A (en) Bus connector for welded electrical switchboard bus structure
KR19980012056U (ko) 철재 분전반의 절연장치
US2997628A (en) Sequence bus panelboard
CA1081837A (en) Electrical switchboard apparatus including welded bus connector
EP3375059B1 (en) Modular distribution back support for circuit breakers
KR920001588Y1 (ko) 분전반 구조
JPH055765Y2 (ko)
CN219892627U (zh) 一种具有防护功能的垂直通道结构及进线插件
RU2754922C1 (ru) Система токопроводящих шин, используемая в электрическом шкафу
CN211265985U (zh) 主母排末端保护装置
CN207719638U (zh) 一种动力配电柜
KR100974483B1 (ko) 클립 부재, 배선용 차단기 유닛 및 배전반
JP2002142314A (ja) 分電盤の接続導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