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8409Y1 - 인출회전형문용로크핸들장치 - Google Patents

인출회전형문용로크핸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8409Y1
KR200218409Y1 KR2019980000052U KR19980000052U KR200218409Y1 KR 200218409 Y1 KR200218409 Y1 KR 200218409Y1 KR 2019980000052 U KR2019980000052 U KR 2019980000052U KR 19980000052 U KR19980000052 U KR 19980000052U KR 200218409 Y1 KR200218409 Y1 KR 2002184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lock
push button
shaft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00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3906U (ko
Inventor
겐이치 야마다
Original Assignee
다키모토 히데아키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키모토 히데아키,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키모토 히데아키
Priority to KR20199800000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8409Y1/ko
Publication of KR199900339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39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84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8409Y1/ko

Links

Landscapes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누름버튼의 조작을 정확하게 할 수 있고, 인출회전형 문용 로크핸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핸들(8)의 선단부에 횡단피벗축(13)에 의하여 누름버튼(14)을 연결하고, 누름버튼(14)의 배면측에 돌설한 다리부(10)의 선단부에 걸어맞춤 클릭부(11)를 설치하여, 해당 걸어맞춤 클릭부(11)가 걸어맞춤하는 받이부(20)를 횡단피벗축(13)을 지나는 수평선상에 돌출형성함으로써, 핸들(8)과 자물쇠채움 축(5) 사이에 장비된 구동용 스프링(9)의 스프링 반력에 의한 작용에 의해 걸어맞춤 클릭부분(11)에 생기는 반작용의 방향은 횡단피벗축(13)을 지나는 수평방향으로 작용하고, 스프링 반력에 의한 누름버튼(14)의 회전력은 생기지 않는다.

Description

인출회전형 문용 로크핸들장치{DOOR LOCKING HAODLE ASSEMBLY OF PULL-OUT AND ROTATION TYPE}
본 고안은, 배전반 수용 박스 등에 사용되어, 핸들을 케이싱으로부터 인출한 후, 소정각도 회전시킴으로써 멈춤쇠판이 고정프레임체의 받이부로부터 이탈하는, 인출 회전형 문용 로크핸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특개평6-257334공보에 개시된 인출회전형 문용 로크핸들장치에서는, 문에 고착되는 케이싱과 ; 케이싱의 기단부의 축통부에 회전가능하면서 축방향으로 이동불능으로 끼워 넣어, 후단부에 멈춤쇠판을 고착하는 자물쇠채움 축과 ; 케이싱의 정면오목부에 출몰이 자유롭게 수용되어, 기단부가 횡단피벗축에 의해서 자물쇠채움 축의 전단부에 피벗된 핸들과 ; 자물쇠채움 축과 핸들 사이에 장비되어, 상기피벗축을 중심으로 핸들을 돌출방향으로 회전가압하는 구동용 스프링과 ; 배면측에 다리부를 돌설하고, 다리부의 중간부에 돌출부를 설치하여, 해당 돌출부에 축 구멍을 설치하고, 돌출부의 기단부측에 물결형상의 면을 설치하여, 다리부의 선단부에 걸어맞춤클릭부분을 설치하고, 축 구멍에 횡단피벗축을 끼워통하게하여 핸들의 선단부에 피벗되는 누름버튼과 ; 핸들의 선단부의 배면측에 고착되는 물결형상의 판스프링과 ; 핸들의 선단부에 설치된 자물쇠 수용부에 매설하여 고착되고, 열쇠에 의한 로터의 회전에 연동하여 잠금 플레이트가 진퇴하여, 누름버튼의 다리부에 접촉하여 누름버튼의 회전을 구속하는 자물쇠 유니트로 이루어지고, 케이싱의 정면오목부의 선단부에 설치된 돌출부의 저면에 받이부를 설치하여, 해당 받이부에 누름버튼의 걸어맞춤클릭이 걸어맞춤하여 핸들을 몰입위치에 유지하고, 누름버튼의 물결형상면이 물결형상의 판 스프링에 걸어맞춤하여, 핸들이 몰입위치에 있을 때는, 누름버튼을 핸들의 연장상에 정렬시키고, 누름버튼을 눌렀을 때는, 누름버튼이 해당 누름 위치에 유지되도록 한다.
그렇지만, 이 종래장치에서는, 걸어맞춤용 굴절부가 누름버튼측의 정지 오목부분에 걸어맞춤하여, 누름버튼을 자물쇠 정지 위치에 유지하고 있지만, 이 걸어맞춤동작에 난점이 있어, 자물쇠 정지가 불완전해질 때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누름버튼의 조작을 정확하게 할수 있고, 인출회전형 문용 로크핸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1실시형태에 관한 인출회전형 문용 로크핸들장치의 핸들수용시에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해당 로크 핸들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로크 플레이트 후퇴시의 해당 로크핸들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누름버튼을 눌렀을 때의 해당 로크핸들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핸들돌출시의 해당 로크핸들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문 2: 케이싱 3: 축통부 4: 멈춤쇠판
5: 자물쇠채움 축 6: 정면오목부 7: 횡단피벗축
8: 핸들 9: 구동용 스프링 10: 다리부 11: 걸어맞춤 클릭
12: 축 구멍 13: 횡단피벗축 14: 누름버튼
15: 압축 코일스프링 16: 자물쇠 수용부
17: 잠금 플레이트 18: 자물쇠 유니트 19: 돌출부
20: 받이부 21: 고정프레임체 22: 받이부 23: 세로개구
24: 외주 플랜지부 25: U 자형 시트판 26: 통과구멍
27: 비스 28: 막힌구멍 29: 고리형상홈 30: 0-링
31: 벽면벽부 32: 축 구멍 33: 회전각도 규제판
34: 나사구멍 35: 볼트 36: 홈 37: 막힌구멍
38: 경사내면부
이하, 첨부도면중의 참조번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면, 케이싱(2)을 문(1)에 고착하여, 후단부에 멈춤쇠판을 고착한 자물쇠채움 축(5)을 케이싱(2)의 기단부에 설치한 축통부(3)에 회전가능하면서 축방향으로 이동불능으로 끼워 넣어, 핸들(8)을 자물쇠채움 축(5)의 전단부에 횡단 피벗축(7)에 의해서 피벗하여, 케이싱(2)의 정면 오목부(6)에 출몰이 자유롭게 수용한다.
자물쇠채움 축(5)과 핸들(8) 사이에는, 상기 피벗축(7)을 중심으로 핸들(8)을 돌출방향으로 회전가압하는 구동용 스프링(9)을 설치하고, 배면측에 다리부(10)를 돌설하여, 다리부(10)의 선단부에 걸어맞춤 클릭부분(11)을 설치한 누름버튼(14)을 축 구멍(12)으로 횡단피벗축(13)을 밀고 나가 핸들(8)의 선단부에 피벗하고, 압축 코일스프링(15)을 핸들(8)의 선단부의 배면측에 고착한다.
핸들(8)의 선단부에 설치한 자물쇠 수용부(16)에는, 누름버튼(14)의 다리부(10)에 접촉하여 누름버튼(14)의 회전을 구속하는 잠금 플레이트(17)를 구비한 자물쇠 유니트(18)를 구비하고, 케이싱(2)의 정면 오목부(6)의 선단부에 설치된 돌출부(19)의 저면에 받이부(20)를 설치하여, 해당 받이부(20)에 누름버튼(14)의 걸어맞춤클릭(11)이 걸어맞춤하여 핸들(8)을 몰입위치에 유지하고, 누름버튼(14)의 다리부(10)가 압축 코일스프링(15)에 걸어맞춤하여, 핸들(8)이 몰입위치에 있을 때는, 누름버튼(14)을 핸들(8)의 연장상에 정렬시키고, 누름버튼(14)을 눌렀을 때는, 누름버튼(14)이 해당 누름 위치에 유지되도록 한다.
자물쇠 유니트(18)의 로터가 자물쇠 채움위치에 있을 때에는, 잠금 플레이트(17)는 최대한으로 전진한 위치에 있고, 잠금 플레이트(17)의 선단부는 누름버튼(14)의 다리부(10)에 걸어맞춤하고 있다. 그 때문에, 핸들(8)은 케이싱(2)의 정면 오목부(6)에 몰입한 위치에 유지되어, 자물쇠채움 축(5)에 고착한 멈춤쇠판(4)은, 고정프레임체(21)측의 받이부(22)와 걸어맞춤한 위치에 유지되어, 문(1)은 고정 프레임체(21)에 대하여 자물쇠 정지되어 있다.
이 장치에서는 핸들(8)을 케이싱(2)으로부터 돌출회전시키기 위한 조작은 2단계 층조작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단계에서의 조작에서는, 자물쇠 유니트(18)에 열쇠를 삽입하여 로터를 해정방향으로 돌리면, 로터에 연동한 잠금 플레이트(17)가 후퇴 가압하여, 잠금 플레이트(17)의 선단부가 다리부(10)로부터 이탈한다. 이 단계에서는, 다리부(10)의 선단부에 설치한 걸어맞춤클릭(11)이 정면 오목부(6)의 선단부의 돌출부(19)에 설치한 받이부(20)에 걸어맞춤하고 있기 때문에, 여전히 핸들(8)은 케이싱(2)의 정면 오목부(6)에 몰입한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제2단계의 조작에서,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자가 누름버튼(14)을 손끝으로 눌러, 압축코일 스프링(15)의 가압에 저항하여 누름버튼(14)을 횡단피벗축(13)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다리부(10)가 기단부측에 회전이동하기 때문에, 걸어맞춤클릭(11)과 받이부(20)의 선단부와의 걸어맞춤이 풀린다.
누름버튼(14)의 가압이 풀리면, 핸들(8)과 자물쇠채움 축(5) 사이에 장비된 구동용 스프링(9)의 회전가압력이, 핸들(8)과 누름버튼(11) 사이에 장비된 압축 코일스프링(15)의 유지력보다도 강하기 때문에, 핸들(8)은 순간에 횡단피벗축(7)을 중심으로 급속회전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2)의 정면 오목부(6)로부터 돌출한다. 핸들(8)이 돌출했을 때는, 누름버튼(14)은 압축 코일스프링(15)의 유지력에 의해서 역회전하여, 핸들(8)의 연장상에 정렬한 위치로 복귀하고 있다.
이 돌출한 핸들(8)을 쥐고 소정방향으로 돌리면, 횡단피벗축(7)으로 핸들(8)에 연결된 자물쇠채움 축(5)이 축통부에 지지되어 일체회전하여, 멈춤쇠판(4)이 고정프레임체(21)의 받이부(22)로부터 이탈한다. 그 때문에 고정프레임체(21)에 대한 자물쇠채움이 해제된 문(1)은, 핸들(8)을 앞으로 뺌으로써 개방된다.
문(1)을 폐쇄하여, 핸들(8)을 역회전하여 멈춤쇠판(4)을 고정프레임체(21)측의 받이부(22)에 다시 걸어맞춤시킨후, 핸들(8)을 케이싱(2)의 정면 오목부(6)에 밀어넣으면, 누름버튼(14)의 걸어맞춤클릭(11)이 돌출부(19)의 선단경사면(19a)을 누른다. 이 가압에 의하여 누름버튼(14)은 압축 코일스프링(15)의 가압에 저항하여 일단 후퇴미끄럼운동한다.
핸들(8)의 밀어넣음이 진행하여 걸어맞춤클릭(11)이 받이부(20)의 선단부의 배면측을 넘었을 때, 누름버튼(14)은 압축 코일스프링(15)의 가압에 의해서 순간에 전신(全身)미끄럼운동하여, 걸어맞춤클릭(11)과 받이부(20)의 선단부가 걸어맞춤한다. 이때, 걸어맞춤 클릭부분(11)은 횡단피벗축(13)을 지나는 수평선상에 위치하고 있기때문에, 핸들(8)과 자물쇠채움 축(5) 사이에 장비된 구동용 스프링(9)에 의해서 생기는 해당 걸어맞춤 클릭부분(11)에 관련되는 반작용의 방향은 횡단피벗축(13)을 지나는 수평방향으로 작용한다. 그 때문에, 스프링반력에 의한 누름버튼(14)의 회전력은 생기지 않고, 핸들(8)은 케이싱(2)의 정면 오목부(6)내의 몰입위치에 정확하게 자물쇠 채움된다.
(고안의 실시 형태)
도시의 실시형태에서는, 문(1)의 세로 개구(23)에 정면측으로부터 끼워 넣은 가늘고 긴 케이싱(2)은, 외주 플랜지부(24)를 문(1)의 정면측에 닿아, 축통부(3)와 자물쇠 수용부(16) 사이의 중간부에 걸친 U자형 시트판(25)을 문(1)의 배면측에 돌출하여 닿고, 해당 시트판(25)의 통과구멍(26)으로부터 비스(27)를 해당 중간부의 배면벽의 막힌구멍(28)에 나사 박음으로써, 문(1)에 조여 고정되어 있다.
자물쇠채움 축(5)의 중간부의 고리형상 홈(29)에는 방수용의 0-링(30)이 삽입되고, 축통부(3)의 배면벽부(31)의 축 구멍(32)에는 자물쇠채움 축(5)의 직경축소축부(5a)가 끼워 넣어, 직경축소축부(5a)에 연접된 각축부(5b)에는, 회전각도 규제판(33)과 멈춤쇠판(4)이 각축부(5b)에 대하여 회전불능으로 끼워맞춤되어 있다. 이 회전각도 규제판(33)과 멈춤쇠판(4)을 각축부(5b)의 나사 구멍(34)에 나사 넣은 볼트(35)로 고정함으로써, 자물쇠채움 축(5)은 축통부(3)로부터 이탈불능으로 부착되어있다. 상기 배면벽부(31)에는 회전각도 규제용돌기(31a)를 설치하고 있다.
핸들(8)의 기단부(8a)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자물쇠채움 축(5)에 접촉하여, 핸들(8)의 케이싱(2)에 대한 돌출각도를 결정한다. 구동용 스프링(9)은 비틀림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코일부분이 횡단피벗축(7)에 끼워맞춤되어 있다.
자세유지용의 압축 코일스프링(15)은, 핸들(8)의 선단부에 설치한 홈(36)의 막힌구멍(37)에, 압축 코일스프링(15)의 일단부를 삽입하고, 타단부는 누름버튼(14)의 다리부(10)의 붙어있는 부분에 접촉하고 있다. 구동용 스프링(9)의 스프링반력은, 자세유지용 스프링의 스프링 반력보다도 강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인출회전형 문용 로크핸들장치에서는, 핸들(8)의 선단부에 횡단피벗축(13)에 의하여 누름버튼(14)을 연결하여, 누름버튼(14)의 배면측에 돌설한 다리부(10)의 선단부에 걸어맞춤 클릭부분(11)을 설치하여, 해당 걸어맞춤클릭(11)이 걸어맞춤하는 받이부(20)를 횡단피벗축(13)을 지나는 수평선(LH)상에돌출형성함으로써, 핸들(8)과 자물쇠채움 축(5)의 사이에 장비된 구동용 스프링(9)의 스프링 반력에 의한 작용에 의해 걸어맞춤클릭(11)에 생기는 반작용의 방향은 횡단피벗축(13)을 지나는 수평방향으로 작용한다. 그 때문에, 스프링 반력에 의한 누름버튼(14)의 회전력은 생기지 않고, 핸들(8)은 케이싱(2)의 정면 오목부(6)내의 몰입위치에 정확하게 자물쇠 정지된다.

Claims (1)

  1. 문(1)에 고착되는 케이싱(2)과; 케이싱(2)의 기단부의 축통부(3)에 회전가능하면서 축방향으로 이동불능으로 끼워 넣어, 후단부에 멈춤쇠판(4)을 고착하는 자물쇠채움 축(5)과; 케이싱(2)의 정면 오목부(6)에 출몰이 자유롭게 수용되어, 기단부가 횡단피벗축(7)에 의해서 자물쇠채움 축(5)의 전단부에 피벗된 핸들(8)과; 자물쇠채움 축(5)과 핸들(8)의 사이에 장비되고, 상기 피벗축(7)을 중심으로 핸들(8)을 돌출방향으로 회전가압하는 구동용 스프링(9)과; 배면측에 다리부(10)를 돌설하여, 다리부(10)의 선단부에 걸어맞춤 클릭부(11)를 설치하고, 축 구멍(12)에 횡단피벗축(13)을 끼워통하게하여 핸들(8)의 선단부에 피벗되는 누름 버튼(14)과; 핸들(8)의 선단부의 배면측에 고착되는 압축코일 스프링(15)과; 핸들(8)의 선단부에 설치된 자물쇠 수용부(16)에 매설하여 고착되고, 열쇠에 의한 로터의 회전에 연동하여 로크 플레이트(17)가 진퇴하고, 누름버튼(14)의 다리부(10)에 접촉하여 누름버튼(14)의 회전을 구속하는 자물쇠 유니트(18)로 이루어지고, 케이싱(2)의 정면 오목부(6)의 선단부에 설치된 돌출부(19)의 저면에 받이부(20)를 설치하여, 이 받이부(20)를 누름버튼(14)의 횡단피벗축(13)을 통과하는 수평선(LH)상에 배치하고, 해당 받이부(20)에 누름 버튼(14)의 걸어맞춤 클릭부(11)가 걸어맞춤하여 핸들(8)을 몰입위치에 유지하고, 누름버튼(14)의 다리부(10)가 압축 코일스프링(15)에 걸어맞춤하여, 핸들(8)이 몰입위치에 있을 때는, 누름버튼(14)을 핸들(8)의 연장상에정렬시켜, 누름버튼(14)을 눌렀을 때는, 누름버튼(14)이 해당 누름 위치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회전형 문용 로크핸들장치.
KR2019980000052U 1998-01-07 1998-01-07 인출회전형문용로크핸들장치 KR2002184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052U KR200218409Y1 (ko) 1998-01-07 1998-01-07 인출회전형문용로크핸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052U KR200218409Y1 (ko) 1998-01-07 1998-01-07 인출회전형문용로크핸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906U KR19990033906U (ko) 1999-08-16
KR200218409Y1 true KR200218409Y1 (ko) 2001-09-25

Family

ID=69710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0052U KR200218409Y1 (ko) 1998-01-07 1998-01-07 인출회전형문용로크핸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8409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1869A (ko) * 1993-03-05 1994-10-19 다키모토 헤데아키 인출회전형 문용 록핸들 장치
JPH0932385A (ja) * 1995-07-21 1997-02-04 Takigen Mfg Co Ltd 扉用ロックハンドルの掛金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1869A (ko) * 1993-03-05 1994-10-19 다키모토 헤데아키 인출회전형 문용 록핸들 장치
JPH0932385A (ja) * 1995-07-21 1997-02-04 Takigen Mfg Co Ltd 扉用ロックハンドルの掛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906U (ko) 199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5339B1 (ko) 인출회전형 문용 록핸들 장치
KR960005340B1 (ko) 인출회전형 문용 록핸들장치
KR960003351Y1 (ko) 인출회전형 문짝용 로크핸들장치
JPH06264655A (ja) 引出し回転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US6679532B2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JPH0762416B2 (ja) 引出し回転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JP2524952B2 (ja) 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JP2640637B2 (ja) 引出し回転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KR200218409Y1 (ko) 인출회전형문용로크핸들장치
KR0119085Y1 (ko) 인출회전형 문짝용 록핸들장치
JPH108808A (ja) スライド式ラッチ錠
JP2863138B2 (ja) 裏側解錠機能付き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JP2571548B2 (ja) 引出し回転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JP2898588B2 (ja) 引出し回転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KR200182206Y1 (ko) 자물쇠 부착 누름버튼식 평면핸들장치
KR0122079Y1 (ko) 인출회전형 도어용 록핸들장치
JP3032362U (ja) 引出し回転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JP3032360U (ja) 引出し回転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JP2797275B2 (ja) 確認スイッチ付き平面ハンドル装置
JP3583950B2 (ja) 扉開閉用ハンドル装置
JP2751040B2 (ja) マンホール蓋用錠装置
JPH1096346A (ja) 自動販売機等の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KR0119083Y1 (ko) 인출회전형 문짝용 록 핸들장치
JP3032361U (ja) 引出し回転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JP2868741B2 (ja) 非擦り合い係合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4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