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8056Y1 - 조리용 냄비 - Google Patents
조리용 냄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18056Y1 KR200218056Y1 KR2020000029827U KR20000029827U KR200218056Y1 KR 200218056 Y1 KR200218056 Y1 KR 200218056Y1 KR 2020000029827 U KR2020000029827 U KR 2020000029827U KR 20000029827 U KR20000029827 U KR 20000029827U KR 200218056 Y1 KR200218056 Y1 KR 20021805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t
- periphery
- outer cylinder
- cooking
- inner cylinder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로 음식물을 조리할 때 사용되는 냄비에 관한 것으로서, 조리시 발생되는 냄새를 제거하고 냄비 내부에 열을 균일하게 분포시켜 음식물을 골고루 익힐 수 있는 조리용냄비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에는 그 일부만이 개방된 열공급부가 형성된 외통과, 상단 주연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지지판이 형성되고 이 지지판에는 상기 외통의 주연부 내측으로 상,하가 통공되고 그 주연부가 단턱을 형성한 증기배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외통에 삽입,고정되는 내통과, 상기 내통의 상단에 밀착,고정되는 뚜껑이 구비된 구성을 취함으로써,
조리시 발생되는 다량의 냄새를 적절히 제거할 수 있는 것이고, 냄비의 과열로 인한 음식물의 끓어 넘침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음식물을 골고루 익혀 그 맛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공급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축적시킴으로써 에너지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주로 음식물을 조리할 때 사용되는 냄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단 주연부에 증기배출공이 형성된 내통과, 이 내통이 수용되는 외통을 구비하여 상기 증기배출공으로 배출되는 증기가 내통과 외통사이의 공간부에서 연소됨으로써, 특히 찌개류와 같은 음식물의 조리시 발생하는 냄새를 제거하는 조리용 냄비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을 조리할 때는 통상 그 음식물로 부터 다량의 증기가 발생하며, 이 증기 속에는 음식물의 독특한 향을 유발하는 각종 유기물질이 내포되어 있다.
상기 유기물질로 인해 사용자는 그 음식물의 독특한 향을 맡을 수 있지만, 이 유기물질이 주방내부에 다량 축적됨에 따라 오히려 좋지 못한 냄새를 유발시키게 되며, 다수의 음식물을 동시에 조리할 때는 개개의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독특한 향은 없어지고 이들이 상호 혼합되어 오히려 거북한 냄새를 유발할 수 있는 것이며, 특히 임산부가 각종 찌개류와 같이 다량의 냄새를 발산하는 음식물을 조리할 때는 상당한 불편함이 수반되는 것이다.
또한 냄비의 급격한 과열로 인해 내용물이 끓어 넘칠 때에는 배출된 증기와 더불어 그 내용물이 냄비 외면에 고착되어 그 외관을 더럽힐 뿐만 아니라그 위생상의 문제도 발생하였다.
이와 더불어, 통상 하부에서 공급되는 열원이 냄비 하면에 집중되어 공급된 열을 내부로 골고루 분포시키지 못하게 되며, 이로써 내용물이 국지적으로 타거나 설익을 수 있는 것이며, 이와 함께 다량의 열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냄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음식물의 조리시 발생하는 증기에 내포된 유기물질이 냄비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그 내부에서 효과적으로 연소시켜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각종 냄새를 제거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하부에서 공급된 열을 축적함과 동시에, 냄비 내부로 열을 균일하게 분포시켜 음식물을 골고루 익게하고 그 맛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의 열축적을 통해 열효율을 증대시켜 공급되는 에너지의 손실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조리용 냄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냄비의 과열로 인해 그 내부의 내용물이 끓어 넘치지 않도록 발생 되는 증기를 냄비 내부에 형성시킨 공간부로 배출, 연소되도록 하여 냄비 외면에 끓어 넘친 음식물이 고착되지 않도록 하는 찌게용 냄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그 주연부에는 내부에서 발생된 증기를 배출시키는 증기배출공이 형성된 내통과, 이 내통이 삽입,고정되며 하부가 개방된 외통을 구비하고, 내통과 외통사이에는 하부에서 공급된 열을 축적함과 동시에 배출된 증기를 연소시킬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시킨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조리용 냄비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개략적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뚜껑
11: 제2고정턱
20 : 내통
21 : 지지판 22 : 제1고정턱
23 : 증기배출공 24 : 돌출턱
30 : 외통
31 : 열공급부 32 : 절곡부
40 : 불꽃막
50 : 열챔버
60 : 증기 흐름선
70 : 공간부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조리용 냄비의 분리 사시도로서, 이하 도 1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토록 하겠다.
본 고안은 내통(20)과, 이 내통(20)이 내부에 수용되는 외통(30)과, 상기 내통(20)의 상단에 씌워지는 뚜껑(10)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통(30)은 상단이 개방되고 그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내통(20)을 수용하는 것이며, 하단에는 그 일부만이 개방된 열공급부(31: 도2참조)가 형성된다.
상기 내통(20)은 그 주연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지지판(21)과 상부로 돌출된 제1고정턱(22)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21)에는 상,하가 통공되고 이 통공의 주연부가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외통(30)의 주연부 내측에 위치하는 증기배출공(23)이 형성된다.
상기 뚜껑(10)은 그 하단 주연부에 상기 내통(20)의 제1고정턱(22)의 내측으로 맞물려 밀착되는 제2고정턱(11)이 형성되어 내통(20)의 상단에 밀착,고정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리용 냄비의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로서, 이하 도 2와 도 3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토록 하겠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통(30)의 상단은 내통(20)의 지지판(21)의 하부에 형성된 돌출턱(24)에 밀착,고정되어 상기 내통(20)을 그 내부에 수용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뚜껑(10)의 주연부 하단에 형성된 제2고정턱(11)은 상기 내통(20)의 제1고정턱(22)에 밀착,삽입되어 내통(20)에서 발생된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그 상부을 밀폐시키는 것이다.
상기 증기배출공(23)은 내통(20)의 외측 주연부와 외통(30)의 내측 주연부 사이에 위치토록 형성되며, 이 내통(20)과 외통(30) 사이에는 공간부(70)가 형성되어 상기 증기배출공(23)에서 유출된 증기를 수용함과 동시에 하부에서 유입된 열을 축적시켜 에너지의 손실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공간부(70)에서 그 하부폭(L2)은 상부폭(L1)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하부에서 공급된 열이 상부로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외통(30)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굴곡을 형성한 절곡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열공급부(31)의 직경(L3)은 상기 내통(20) 주연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도록 하여, 이로써 유입된 증기속에 포함된 유기물질이 공간부(70)에서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상기 절곡부(32)에서 완전 연소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은 상기 내통(20)과 외통(30)사이의 공간부(70)에서 증기에 포함된 유기물질을 연소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음식물의 유기성분을 포함하여 상승한 습증기는 밀폐된 뚜껑(10)에 의해 그 주연부로 유도되어 상기 공간부(70)로 유입되고, 상기 도 2의 공간부(70)의 종방향 높이(L4)를 상기 내통(2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하여 유입된 습증기를 도시된 증기흐름선(60)을 따라 A부분을 통과하면서 하부에서 공급된 열에 의해 건조공기로 바뀌게 하며, 유기물질을 포함한 채로 변환된 상기의 건조공기는 계속하여 이 공간부(70)의 B지점으로 유입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도 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열공급부(31)의 직경(L3)이 내통(20) 주연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됨으로, 그 주연부에서는 불꽃막(40)이 형성되어 상기 증기흐름선(60)을 따라 유입된 건조공기가 외부로 유출됨을 막는 것이다.
상기 외통(30)의 절곡부(32)가 형성된 B지점에서는 하부에서 유입된 불꽃막(40)과 상부에서 유입된 건조공기가 상호 접하게 되며, 상기 절곡부(32)에 의해 하부로 유입되는 건조공기의 경로가 1차로 차단되는 것이며, 또한 하부의 불꽃막(40)에 의해 뜨거운 열이 B지점으로 유입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열챔버(50)를 형성하게 되고, 이로써 정체상태에 있는 상기 건조공기에 포함된 유기물질은 B지점에서 적체된 열에 의해 완전 연소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사상을 구비한 본 고안은,
냄비에서 유출되는 증기에 내포된 유기물질을 내통과 외통에 형성된 공간부에서 효과적으로 연소시켜 음식물의 조리시 상기 유기물질에 의해 발생되는 냄새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내부에서 발생되는 습증기를 상기 공간부를 통해 효과적으로 처리함으로써 냄비의 과열로 인한 음식물의 끓어 넘침을 방지하고, 이와 더불어 냄비의 외면이 더럽혀짐을 방지할 수 있고,
하부에서 공급된 열을 상기 공간부를 통해 축적시키고 그 열을 내통의 음식물에 골고루 분포시킬 수 있어, 조리시 음식물을 골고루 익게하고 그 맛을 증대시킬수 있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공급된 열을 상기 공간부에 효과적으로 축적시킴으로써 그 열의 손실을 줄일 수 있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 상단이 개방되고,하단에는 그 일부만이 개방된 열공급부(31)가 형성된 외통(30)과;상단 주연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지지판(21)이 형성되며, 이 지지판(21)에는 상기 외통(30)의 주연부 내측으로 상,하가 통공되고 그 주연부가 단턱을 형성한 증기배출공(23)이 형성되어 상기 외통(30)에 삽입,고정되는 내통(20)과;상기 내통(20)의 상단에 밀착,고정되는 뚜껑(1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찌개용 냄비.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20)의 외측 주연부와 외통(30)의 내측 주연부 사이의 공간부는 그 하부폭(L2)이 상부폭(L1)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찌게용 냄비.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30)의 하측 주연부에는 내측으로 굴곡된 절곡부(32)가 형성되며, 상기 열공급부(31)의 직경(L3)은 상기 내통(20) 주연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찌개용 냄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29827U KR200218056Y1 (ko) | 2000-10-25 | 2000-10-25 | 조리용 냄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29827U KR200218056Y1 (ko) | 2000-10-25 | 2000-10-25 | 조리용 냄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18056Y1 true KR200218056Y1 (ko) | 2001-03-15 |
Family
ID=73090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29827U KR200218056Y1 (ko) | 2000-10-25 | 2000-10-25 | 조리용 냄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18056Y1 (ko) |
-
2000
- 2000-10-25 KR KR2020000029827U patent/KR20021805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54184B1 (ko) | 증기 조리기기 | |
US5653161A (en) | Food steamer with pressure venting | |
KR200196696Y1 (ko) | 고기 구이팬 | |
KR200218056Y1 (ko) | 조리용 냄비 | |
KR200323694Y1 (ko) | 넘침 방지 냄비뚜껑 손잡이 | |
KR200388274Y1 (ko) | 수막 제거수단을 구비한 조리용기 | |
KR200408188Y1 (ko) | 조리장치 | |
KR20050094730A (ko) | 넘침 방지 냄비뚜껑 손잡이 | |
KR20110000512U (ko) | 직화형 후라이팬 | |
KR100433315B1 (ko) | 조리기 | |
KR20100050688A (ko) | 배기공을 구비한 주방용품 | |
KR960002359Y1 (ko) | 구이판 | |
KR200305018Y1 (ko) | 넘침방지 기능을 구비한 전골냄비겸용 찜솥 | |
KR200307738Y1 (ko) | 압력식 조리용기 | |
KR200339705Y1 (ko) | 찜용기 | |
KR100580564B1 (ko) | 구이장치 | |
KR200255004Y1 (ko) | 직화가열팬 | |
KR20020034030A (ko) | 음식물 조리기 | |
KR100818778B1 (ko) | 가열통 | |
KR100330623B1 (ko) | 가열식 남비뚜껑 | |
CN208524602U (zh) | 盖板、烹饪厨具上盖和烹饪厨具 | |
KR810002443Y1 (ko) | 중첩식 밥솥 | |
KR200355849Y1 (ko) | 구이장치 | |
KR200150632Y1 (ko) | 조리용 남비 | |
KR200353428Y1 (ko) | 빨래 삶는 용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0113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