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295Y1 - 무선 양방향통신으로 순찰을 하는 리모콘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양방향통신으로 순찰을 하는 리모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295Y1
KR200217295Y1 KR2020000028339U KR20000028339U KR200217295Y1 KR 200217295 Y1 KR200217295 Y1 KR 200217295Y1 KR 2020000028339 U KR2020000028339 U KR 2020000028339U KR 20000028339 U KR20000028339 U KR 20000028339U KR 200217295 Y1 KR200217295 Y1 KR 2002172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rol
control
control unit
transist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83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옥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엘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엘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엘텍스
Priority to KR20200000283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2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2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295Y1/ko

Links

Landscapes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방향 무선으로 센싱장치와 통신하면서 데이터를 주고 받으므로서 순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무선 양방향통신으로 순찰을 하는 리모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수단(100)과, 상기 제어수단(100)의 제어에 의해서 순찰자가 순찰한 센싱장치(80)의 ID번호를 순찰자가 알수 있도록 외부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수단(200)과, 상기 제어수단(100)의 제어에 의해서 순찰자가 순찰한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거나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센싱장치(80)로 송신하는 무선송수신제어수단(300)과, 상기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수단(400)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양방향통신으로 순찰을 하는 리모콘장치에 관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무선 양방향통신으로 순찰을 하는 리모콘장치{REMOCON APPARATUS FOR PATROL IN DUAL COMMUNICATION BY WIRELESS}
본 고안은 무선 양방향통신으로 순찰을 하는 리모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양방향으로 무선으로 센싱장치와 통신하면서 데이터를 주고 받으므로서 순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무선 양방향통신으로 순찰을 하는 리모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리모콘장치는 순찰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별도의 장치(센싱장치라고 함.)에 리모콘장치를 접촉시켜야만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리모콘장치는 상기 센싱장치로부터 데이터를 리모콘장치에 저장할 수 있으나, 양방향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하며, 외관 규모가 커서 순찰자가 휴대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센싱장치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양방향으로 송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기 편리한 무선 양방향통신으로 순찰을 하는 리모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순찰중 발생하는 각종 데이터를 용이하게 저장할 수 있는 무선 양방향통신으로 순찰을 하는 리모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순찰직후 각 센싱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외부의 PC를 통해서 용이하게 데이터 처리할 수 있는 무선 양방향통신으로 순찰을 하는 리모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무선 양방향통신으로 순찰을 하는 리모콘장치는,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서 순찰자가 순찰한 센싱장치의 ID번호를 순찰자가 알수 있도록 외부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서 순찰자가 순찰한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거나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센싱장치로 송신하는 무선송수신제어수단과, 상기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상기 제어수단은 시스템을 제어하면서 복수개의 제어버튼이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서 순찰자가 순찰하게 되는 현재의 시각을 출력하는 시간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서 순찰자가 순찰한 시간, 이상상태 여부, 센서의 전압상태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다이오드부와, 상기 제어부에 베이스단자가 연결되고 콜렉터 단자에 상기 다이오드부에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Q1)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상기 무선송수신제어수단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서 상기 센싱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다운로드장치를 매개로 PC에 다운로드하거나 또는 순찰자가 상기 센싱장치의 순찰을 확인하기 위해서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는 무선송수신제어부와, 상기 무선송수신제어부의 제어에 의해서 다운로드 또는 무선송수신을 절체하는 스위치의 기능을 하는 절체스위치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반전하는 데이터반전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상태에 대한 관련 장치와의 관계를 도시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무선 양방향통신으로 순찰을 하는 리모콘장치에 대한 상세한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 : PC 70 : 다운로드장치
80 : 센싱장치 90 : 리모콘장치
100 : 제어수단 102 : 제어부
104 : 시간제어부 106 : 메모리부
110 : 다이오드부 200 : 디스플레이수단
202 : 디스플레이제어부
204 : 디스플레이부 300 : 무선송수신제어수단
302 : 무선송수신제어부
304 : PC연결부 306 : 다운로드연결부
308 : 데이터송신연결부
310 : 절체스위치부 320 : 데이터반전부
400 : 전원수단
본 고안의 무선 양방향통신으로 순찰을 하는 리모콘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첨부도면을 통하여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과 관련된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리모콘장치(90)는 본 고안의 무선 양방향통신으로 순찰을 하는 리모콘장치에 대한 장치이고, 상기 리모콘장치(90)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양방향으로 송수신하도록 순찰코스에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센싱장치(80)와, 상기 센싱장치(8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있는 리모콘장치(90)에 통상의 컴퓨터인 PC(60)로 다운로드 하거나 상기 PC(6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다운로드장치(7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다운로드장치(70)는 순찰자가 순찰 한 후 상기 리모콘장치(90)를 상기 다운로드장치(70)에 연결하게 되면, 상기 다운로드장치(70)에 연결된 전원으로부터 상기 리모콘장치(90)의 전원을 충전하거나 또는 상기 다운로드장치(70)에 연결된 PC(60)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무선 양방향통신으로 순찰을 하는 리모콘장치에 대한 회로도로서,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수단(100)과, 상기 제어수단(100)의 제어에 의해서 순찰자가 순찰한 센싱장치(80)의 ID번호를 순찰자가 알수 있도록 외부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수단(200)과, 상기 제어수단(100)의 제어에 의해서 순찰자가 순찰한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거나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센싱장치로 송신하는 무선송수신제어수단(300)과, 상기 시스템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수단(400)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100)은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102)와, 상기 제어부(102)의 제어에 의해서 순찰자가 순찰하게 되는 현재의 시각을 출력하는 시간제어부(104)와, 상기 제어부(102)의 제어에 의해서 순찰자가 순찰한 시간, 이상상태 여부, 센서의 전압상태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부(106)와, 상기 제어부(102)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다이오드부(110)와, 상기 제어부(102)에 베이스단자가 연결되고 콜렉터 단자에 상기 다이오드부(110)에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Q1)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2)에 연결되어 있는 ABN버튼은 순찰중 이상상태가 있는 경우 사용하는 버튼이고, ID버튼은 리모콘장치 마다 각각 상이한 ID번호를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하는 버튼이며, PAT버튼은 순찰자가 순찰을 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하는 버튼이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수단(200)은 상기 제어수단(100)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부(204)에 필요한 내용을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제어부(202)와,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202)의 제어에 따라 순찰자가 센싱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센싱장치의 ID번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204)와, 순찰자가 순찰버튼(PAT)를 누른 경우 순찰자에게 알려주도록 울리는 부저부재(20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4)는 순찰자가 순찰중에 특정의 센싱장치(80)에 이상이 없는 경우에는 ABN 스위치를 누르지 않으므로서 오프되나, 그렇지 않고 이상이 있다고 생각되어 상기 ABN 스위치를 누른 경우, 예를 들어 창문이 열려 있거나, 물건이 파괴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102)에서는 이러한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102)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메모리부(106)에 저장한다.
그리고 이러한 이상상태시에는 상기 제어부(10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은 상기 무선송수신제어수단(300)에서 전원을 차단하고, 다시 순찰자가 순찰버튼을 누른 경우 순찰이 이전과 같이 정상적으로 다시 진행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무선송수신제어수단(300)은 상기 제어부(102)의 제어에 의해서 상기 센싱장치(8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다운로드장치(70)를 매개로 PC(60)에 다운로드하거나 또는 순찰자가 상기 센싱장치(80)의 순찰을 확인하기 위해서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는 무선송수신제어부(302)와, 상기 무선송수신제어부(302)의 제어에 의해서 다운로드 또는 무선송수신을 절체하는 스위치의 기능을 하는 절체스위치부(310)와, 상기 제어부(102)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반전하는 데이터반전부(3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절체스위치부(310)는 상기 제어부(10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베이스단자에서 입력받는 트랜지스터(Q4)와 상기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단자에 베이스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Q5)와, 상기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단자에 이미터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Q6)와, 상기 트랜지스터(Q6)에 연결되어 상기 PC(60)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PC연결부(30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반전부(320)는 상기 제어부(102)에 베이스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Q2)와, 상기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자에 베이스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Q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수단(400)은 일정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전원제어부재(404)와, 상기 전원제어부재(404)에 연결되어 있는 배터리(40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Q3)에 연결되어 상기 메모리부(106)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상기 PC(60)로 출력하도록 연결하는 데이터송신연결부(308)와, 상기 리모콘장치(90)를 상기 다운로드장치(70)에 연결하는 다운로드연결부(306)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모콘장치(90)의 메모리부(106)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자가 상기 PC(60)로 불러들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즉, 다운로드시에는 상기 다운로드장치(70)에 상기 리모콘장치(90)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이며, 이때에는 상기 다운로드연결부(306)의 단자를 통해서 출력되는 로우신호가 상기 다운로드연결부(306)에 연결된 상기 제어부(102)의 7번핀을 통해 로우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02)의 제어에 의해서 상기 제어부(102)의 6번핀의 RD단자에서는 하이신호가 출력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02)의 6번핀에서 하이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무선송수신제어부(302)에 연결된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단자를 통해서 하이 신호가 인가되므로서 상기 트랜지스터(Q4)가 온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4)에 연결된 트랜지스터(Q5)는 오프된다.
이와 같이, 상기 트랜지스터(Q5)가 오프되면 상기 PC연결부(304)에 연결되어 있는 PC(60)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가 입력되어 상기 제어부(102)에 입력된다.
그런다음 상기 제어부(102)에서는 상기 메모리부(106)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리드하여 상기 트랜지스터(Q3)에서 반전한 후 상기 데이터송신연결부(308)를 통해서 상기 PC(60)로 출력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메모리부(106)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을 다운로드 받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PC(60)를 통해서 다운로드받기 위해서 특정의 리모콘장치(9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출력하게 되면, 상기 PC연결부(304)를 통해서 상기 제어부(102)로 입력되고, 이와 같이 상기 PC(6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판단하여 상기 메모리부(106)에서 데이터를 리드한 후 상기 데이터송신연결부(308)를 통해서 상기 PC(60)로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순찰자가 순찰을 수행하기 위해서 순찰버튼을 눌러서 상기 센싱장치(80)로 데이터를 송신한 경우에는, 상기 다운로드장치(70)에 상기 리모콘장치(90)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아니므로, 상기의 경우와 반대로, 상기 제어부(102)의 6번핀에서 로우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무선송수신제어부(302)에 연결된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단자를 통해서 로우신호가 인가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4)가 오프되고, 이어서 상기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Q5)는 온되므로서, 상기 PC연결부(304)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PC(60)로부터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PC(60)로부터 데이터가 상기 제어부(102)에 입력되지 않게 되면, 상기 제어부(102)에서는 상기의 내용을 감지하여 상기 메모리부(106)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리드하지 않는다.
즉, 순찰자가 상기 제어부(102)에 연결되어 있는 순찰버튼을 누를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02)의 3번핀으로부터 신호가 출력되어 트랜지스터(Q2)에서 반전된 후 상기 무선송수신제어부(302)의 10번 핀으로 입력된다.
이와 같이 상기 무선송수신제어부(302)의 10번 핀으로 입력된 신호는 상기 무선송수신제어부(302)에서 고전력으로 증폭된 후 안테나를 통해서 무선으로 상기 센싱장치(80)로 출력된다.
즉, 순찰자가 순찰을 하기 위해서 상기 제어부(102)에 연결되어 있는 순찰버튼을 누른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부(106)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다운로드 되지 않는 것이고, 순찰자가 상기 메모리부(106)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기 위해서 상기 다운로드연결부(306)에 연결한 경우에만 상기 제어부(102)에서 이러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부(106)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리드하여 트랜지스터(Q3)를 통해서 데이터송신연결부(308)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PC(60)로 출력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순찰자가 순찰을 수행하기 위해서 순찰버튼(PAT)를 눌러서 상기 센싱장치(80)로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다운로드장치(70)에 상기 리모콘장치(90)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아니므로, 상기 제어부(102)의 6번핀에서 로우신호가 출력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02)의 6번핀에서 로우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무선송수신제어부(302)에 연결된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단자를 통해서 로우신호가 인가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4)가 오프되고, 이어서 상기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Q5)는 온되므로서, 상기 PC연결부(304)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PC(60)로부터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PC(60)로부터 데이터가 상기 제어부(102)에 입력되지 않게 되면, 상기 제어부(102)에서는 상기의 내용을 감지하여 상기 메모리부(106)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리드하지 않는다.
즉, 순찰자가 상기 제어부(102)에 연결되어 있는 순찰버튼을 누를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02)의 3번핀으로부터 순찰자가 순찰버튼을 누른 경우라는 신호가 출력되어 트랜지스터(Q2)에서 반전된 후 상기 무선송수신제어부(302)의 10번 핀으로 입력된다.
이와 같이 상기 무선송수신제어부(302)의 10번 핀으로 입력된 신호는 상기 무선송수신제어부(302)에서 고전력으로 증폭된 후 안테나를 통해서 무선으로 상기 센싱장치(80)로 출력된다.
이와 같이 상기 리모콘장치(90)의 무선송수신제어부(302)를 통해서 출력된 신호는 상기 리모콘장치(90)에 연결된 센싱장치(80)에 입력되므로서 상기 센싱장치(80)에서 자신에 대한 고유의 ID와 전압상태 등을 포함한 데이터를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무선송수신제어부(302)에서는 상기 센싱장치(8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02)에 인가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102)에 연결되어 있는 메모리부(106)에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2)에 연결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제어부(202)에서는 상기 제어부(10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디스플레이부(204)에 상기 센싱장치(80)의 고유의 ID번호를 출력하므로서 순찰자는 특정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센싱장치(80)를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순찰자가 순찰중에 상기 센싱장치(80)에 이상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02)에 연결되어 있는 이상버튼(ABN)를 누르지 않으므로서 오프되나, 그렇지 않고 이상이 있다고 생각되어 상기 이상버튼 스위치를 누른 경우에는, 예를 들어 창문이 열려 있거나, 물건이 파괴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102)에서는 이러한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202)에 연결되어 있는 부저부재(206)을 통해서 외부로 부저음을 출력하는 한편, 상기 제어부(102)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메모리부(106)에 이상상태를 저장한다.
그리고 이러한 이상상태시에는 상기 제어부(10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은 상기 무선송수신제어수단(300)에서 전원을 차단하고, 다시 순찰자가 순찰을 하기 위해서 순찰버튼을 누른 경우 순찰이 이전과 같이 정상적으로 진행되는 것이다.
한편, 순찰자가 순찰을 마치고 상기 리모콘장치(90)의 메모리부(106)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PC(60)로 다운로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다운로드장치(70)에 상기 리모콘장치(90)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이며, 이때에는 상기 다운로드연결부(306)의 단자를 통해서 출력되는 로우신호가 상기 다운로드연결부(306)에 연결된 상기 제어부(102)의 7번핀을 통해 로우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제어부(102)의 제어에 의해서 상기 제어부(102)의 6번핀의 RD단자에서는 하이신호가 출력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02)의 6번핀에서 하이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무선송수신제어부(302)에 연결된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단자를 통해서 하이 신호가 인가되므로서 상기 트랜지스터(Q4)가 온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4)에 연결된 트랜지스터(Q5)는 오프된다.
이와 같이, 상기 트랜지스터(Q5)가 오프되면 상기 PC연결부(304)에 연결되어 있는 PC(60)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가 입력되어 상기 제어부(102)에 입력된다.
그런다음 상기 제어부(102)에서는 상기 메모리부(106)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리드하여 상기 트랜지스터(Q3)에서 반전한 후 상기 데이터송신연결부(308)를 통해서 상기 PC(60)로 출력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무선 양방향통신으로 순찰을 하는 리모콘장치는, 센싱장치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양방향으로 송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기 편리하고, 순찰중 발생하는 각종 이상상태에 대한 관련 데이터를 용이하게 저장할 수 있으며, 순찰직후 각 센싱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외부의 PC를 통해서 용이하게 데이터 처리할 수 있는 고안이다.

Claims (6)

  1.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수단(100)과, 상기 제어수단(100)의 제어에 의해서 순찰자가 순찰한 센싱장치(80)의 ID번호를 순찰자가 알수 있도록 외부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수단(200)과, 상기 제어수단(100)의 제어에 의해서 순찰자가 순찰한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거나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센싱장치(80)로 송신하는 무선송수신제어수단(300)과, 상기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수단(400)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양방향통신으로 순찰을 하는 리모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100)은 시스템을 제어하면서 복수개의 제어버튼이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102)와, 상기 제어부(102)의 제어에 의해서 순찰자가 순찰하게 되는 현재의 시각을 출력하는 시간제어부(104)와, 상기 제어부(102)의 제어에 의해서 순찰자가 순찰한 시간, 이상상태 여부, 센서의 전압상태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부(106)와, 상기 제어부(102)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다이오드부(110)와, 상기 제어부(102)에 베이스단자가 연결되고 콜렉터 단자에 상기 다이오드부(110)에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Q1)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양방향통신으로 순찰을 하는 리모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수단(200)은 순찰자가 순찰중에 특정의 센싱장치(80)에 이상이 있다고 생각되어 ABN 스위치를 누른 경우 상기 제어부(102)의 제어에 따라 이상상태를 상기 메모리부(106)에 저장하고 상기 전원수단(400)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양방향통신으로 순찰을 하는 리모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송수신제어수단(300)은 상기 제어부(102)의 제어에 의해서 상기 센싱장치(8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다운로드장치(70)를 매개로 PC(60)에 다운로드하거나 또는 순찰자가 상기 센싱장치(80)의 순찰을 확인하기 위해서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는 무선송수신제어부(302)와, 상기 무선송수신제어부(302)의 제어에 의해서 다운로드 또는 무선송수신을 절체하는 스위치의 기능을 하는 절체스위치부(310)와, 상기 제어부(102)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반전하는 데이터반전부(32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양방향통신으로 순찰을 하는 리모콘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절체스위치부(310)는 상기 제어부(10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베이스단자에서 입력받는 트랜지스터(Q4)와 상기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단자에 베이스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Q5)와, 상기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단자에 이미터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Q6)와, 상기 트랜지스터(Q6)에 연결되어 상기 PC(60)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PC연결부(304)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양방향통신으로 순찰을 하는 리모콘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반전부(320)는 상기 제어부(102)에 베이스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Q2)와, 상기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자에 베이스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Q3)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양방향통신으로 순찰을 하는 리모콘장치.
KR2020000028339U 2000-10-11 2000-10-11 무선 양방향통신으로 순찰을 하는 리모콘장치 KR2002172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339U KR200217295Y1 (ko) 2000-10-11 2000-10-11 무선 양방향통신으로 순찰을 하는 리모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339U KR200217295Y1 (ko) 2000-10-11 2000-10-11 무선 양방향통신으로 순찰을 하는 리모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7295Y1 true KR200217295Y1 (ko) 2001-03-15

Family

ID=73089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8339U KR200217295Y1 (ko) 2000-10-11 2000-10-11 무선 양방향통신으로 순찰을 하는 리모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29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3200B1 (ko) 작동 명령을 화면에 표시하는 통신 수신기
EP0790034A3 (en) Portable vital signs monitor
DE60003219D1 (de) Tragbare videoanzeige und fernsteuerungsvorrichtung
AU223799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on of accidental activation of key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200217295Y1 (ko) 무선 양방향통신으로 순찰을 하는 리모콘장치
KR20000012606A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점검장치
WO2001024401A1 (en) Computer pager device
JP4514883B2 (ja) 双方向無線通信可能な情報機器
KR200218458Y1 (ko)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센싱장치
KR900007196A (ko) Id-코드 전송기능을 갖는 페이징 시스템
KR950011486B1 (ko) 홈오토메이션 무선 원격제어 송.수신장치
KR200308254Y1 (ko) 무선 양방향 컨트롤러
JP2838453B2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H06348986A (ja) 計量器用無線送受信装置
KR100377200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저전력소비장치
JPH066305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2003151061A (ja) ポータブル型自動メール送信装置
JPS6447157A (en) Absence incoming call processing unit
KR20040054038A (ko) 무선 양방향 컨트롤러
KR200360919Y1 (ko) 버튼기능을갖는휴대무선기기의안테나장치
JP2544219Y2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2791633B2 (ja) 無線端末装置
JPH04128483U (ja) 遠隔制御装置
JPH04207892A (ja) 双方向リモコン装置
KR20000007536U (ko) 순찰중발생하는데이터를무선으로수신하는리모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