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2606A -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점검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점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2606A
KR20000012606A KR1019990057566A KR19990057566A KR20000012606A KR 20000012606 A KR20000012606 A KR 20000012606A KR 1019990057566 A KR1019990057566 A KR 1019990057566A KR 19990057566 A KR19990057566 A KR 19990057566A KR 20000012606 A KR20000012606 A KR 20000012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vehicle
unit
portable terminal
data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7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후
이용욱
Original Assignee
이승후
이용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후, 이용욱 filed Critical 이승후
Priority to KR1019990057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2606A/ko
Publication of KR20000012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60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08Diagnosing performance dat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차량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있는 진단포트에 휴대용 단말기가 접속되도록 하여 휴대용단말기에 차량의 고장유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신속하게 차량상태를 점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격지의 차량정비업소 또는 보험회사에 연락하여 차량상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점검받을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점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차량의 각 부품의 센서에 접속되어 있는 진단포트에는 데이터변환기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를 접속시킨다. 상기 데이터변환기는 차량의 진단포트로부터 인가되는 차량의 각 부품의 동작상태에 해당하는 데이터신호를 휴대용 단말기에 인가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차량 부품의 동작상태에 해당하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함과 동시에 액정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키거나 또는 이동 통신망의 기능(무선 데이터방식, 문자메세지, 직접호접속 등)에 따라 원격지의 차량정비업소 및 보험회사의 차량원격진단시스템에 전송한다. 상기 차량정비업소의 차량원격진단시스템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멘트를 해당 차량의 운전자에게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거나 A/S요원을 해당 차량에 보내게 되며,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고객관리를 신속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점검장치{Device for checking a vehicle state by using a wireless co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점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있는 진단포트에 휴대용 단말기가 접속되도록 하여 휴대용단말기에 차량의 고장유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신속하게 차량상태를 점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격지의 차량정비소에 연락하여 차량상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점검받을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점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대한 정비 및 상태점검에 대한 이해는 일정기간 교육을 받고 유지보수 경력을 가진 정비사들 만의 전유물이 되어 왔으며, 일반 차량 소유자나 운행자는 차량의 상태를 전적으로 그들에 의존하여야만 했다. 더욱이 자동차 운용체계의 전자화 또는 자동화로 인하여 이제 차량의 상태를 파악하는 데에는 특수 진단장치를 사용해야만 하는 어려움이 있다. 상기 특수 진단장치도 특정장소(차량정비업소)에 한정되어 사용됨으로써 자동차의 고장유무를 파악하기 위해 공간의 이동에 따른 사용자의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는 불편함이 있으며, 차량이 사고를 당할 경우 사고 당시의 차량상태를 증빙할 만한 데이터나 정황부재로 인하여 사고처리에 불편한 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을 구성하는 각 부품의 동작상태를 휴대용 단말기에 표시하여 운전자가 차량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점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을 구성하는 각 부품의 동작상태를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차량으로부터 보험회사 및 차량정비업소의 차량원격진단시스템에 전송하여 신속하게 차량상태를 점검받을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점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점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 차량 12 : 센서
14 : 진단포트 20 : 데이터변환기
22 : 데이터제어부 24 : 데이터변환부
26 : 데이터저장부 28 : 통신정합부
30 : 데이터송신부 32 : GPS수신부
40 : 휴대용 단말기 42 : 로직부
44 : 터미널정합부 46 : 메모리부
48 : 무선주파수정합부 50 : 액정화면
60 : 이동통신망 62 : 공중망교환기
64 : 무선데이터부 66 : 문자서비스부
70 : 차량원격진단시스템 72 : 호처리제어부
74 : 자동응답부 76 : TCP/IP정합부
78 : 고객정보관리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차량의 각 부품에 접속되며, 각 부품으로부터 인가되는 부품의 동작상태에 해당하는 데이터신호를 외부로 전송되도록 하는 진단포트; 상기 진단포트에 접속되며, 진단포트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저장 및 출력하는 데이터변환기; 상기 데이터변환기에 케이블을 통해 접속되며, 데이터변환기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하고, 차량의 부품상태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액정화면에 디스플레이시켜 차량의 부품상태를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데이터신호를 필요에 따라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휴대용 단말기;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이동통신망을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저장 및 운전자에게 일정한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A/S요원을 해당 차량으로 보내도록 하는 차량원격진단시스템으로 이루어지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점검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변환기에는 차량의 진단포트로부터 인가되는 아날로그 및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시키는 데이터변환부; 상기 데이터변환부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저장시키는 데이터저장부;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데이터송신부;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신호를 데이터송신부를 이용하지 않고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차량정비업체에 무선 데이터방식으로 전송되도록 하는 통신정합부; 상기 데이터변환부. 데이터저장부, 데이터송신부 및 통신정합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이터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점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변환기에는 GPS수신부가 구비되며, 상기 GPS수신부는 안테나(34)로부터 인가되는 차량의 위치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데이터변환부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와 함께 데이터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데이터변환기의 데이터송신부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저장시키는 메모리부; 상기 데이터변환기의 통신정합부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가 무선 데이터방식으로 차량정비업체에 송신되도록 정합하는 터미널정합부; 무선주파수송신부와 무선주파수수신부로 이루어져 터미널정합부 또는 메모리부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무선주파수정합부; 상기 터미널정합부, 메모리부 및 무선주파수정합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데이터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액정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로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점검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차량원격진단시스템은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이동통신망을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신호에 해당하는 멘트를 부가하는 자동응답부; 상기 이동통신망의 문자서비스장치 또는 무선데이터장치를 통해 인가되는 차량 부품의 상태에 해당하는 데이터신호를 정합하는 TCP/IP정합부; 상기 자동응답부 및 TCP/IP정합부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저장 및 고객관리터미널을 이용하여 고객정보를 관리하는 고객정보관리부; 상기 자동응답부, TCP/IP정합부 및 고객정보관리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적정 멘트를 송출 및 고객정보를 관리하고, 차량상태에 해당하는 신호를 해당 차량 운전자에게 전송되도록 하는 호처리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점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각 부품에 접속되어 있는 진단포트에는 데이터변환기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를 접속시킨다. 상기 데이터변환기는 차량의 진단포트로부터 인가되는 차량의 각 부품의 동작상태에 해당하는 데이터신호를 휴대용 단말기에 인가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차량 부품의 동작상태에 해당하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함과 동시에 액정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키거나 또는 무선 데이터방식에 따라 이동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의 차량정비업소의 차량원격진단시스템에 전송한다. 상기 차량정비업소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멘트를 해당 차량의 운전자에게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거나 A/S요원을 해당 차량에 보내게 되며,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고객관리를 신속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점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점검장치를 설명하면, 먼저, 차량(10)의 각 전장부품에는 진단포트(14)가 접속되고, 상기 진단포트(14)는 차량 정비업소에서 특수장비를 이용하여 각 전장 부품의 동작상태를 점검한다. 상기 진단포트(14)는 각 전장 부품의 센서(12)에 의해 인가되는 부품의 동작상태에 해당하는 데이터신호를 외부로 전송한다. 상기 진단포트(14)에는 데이터변환기(20)가 접속되며, 상기 데이터변환기(20)는 진단포트(14)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저장 및 출력하게 된다. 즉, 차량의 진단포트(14)로부터 인가되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탈 데이터신호는 데이터변환기(20)의 데이터변환부(24)에 인가되어 디지탈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데이터변환부(24)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는 데이터저장부(26)에 저장된다. 상기 데이터저장부(26)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는 데이터송신부(30)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40)에 전송된다. 상기 데이터저장부(26)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신호는 데이터송신부(30)를 이용하지 않고 전송할 경우에는 데이터저장부(26)의 데이터를 통신정합부(28)에 인가시키고, 상기 통신정합부(28)는 휴대용 단말기(40) 및 이동통신망(60)을 통해 차량정비업소의 차량원격진단시스템(70)에 무선 데이터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변환부(24), 데이터저장부(26), 데이터송신부(30) 및 통신정합부(28)는 데이터제어부(22)의 제어에 의해 동작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변환기(20)에는 GPS수신부(32)가 구비되며, 상기 GPS수신부(32)는 안테나(34)로부터 인가되는 차량의 위치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변환부(24)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와 함께 데이터저장부(26)에 저장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변환기(20)에는 휴대용 단말기(40)가 케이블을 통해 접속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40)는 데이터변환기(20)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하고, 차량의 부품상태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액정화면(50)에 디스플레이시켜 차량의 부품상태를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 데이터신호를 차량원격진단시스템(70)에 전송하기 위해서 이동통신망(60)으로 전송한다. 즉, 데이터변환기(20)의 데이터송신부(30)에는 휴대용 단말기(40)의 메모리부(46)가 접속되며, 상기 메모리부(46)는 데이터변환기(20)의 데이터송신부(30)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하게 된다. 또한, 데이터신호를 무선 데이터방식으로 데이터변환기(20)로부터 휴대용 단말기(40)를 통해 차량정비업소에 전송할 경우에는 데이터변환기(20)의 통신정합부(28)에 접속되는 휴대용 단말기(40)의 터미널정합부(44)를 이용한다. 상기 터미널정합부(44)는 데이터변환기(20)의 통신정합부(28)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가 무선 데이터방식으로 차량정비업소의 차량원격진단시스템(70)에 송신되도록 정합한다. 상기 터미널정합부(44)와 메모리부(46)에는 무선주파수송신부와 무선주파수수신부로 이루어지는 무선주파수정합부(48)가 접속된다. 상기 무선주파수정합부(48)는 터미널정합부(44) 또는 메모리부(46)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안테나(도시 안됨)를 통해 이동통신망(60)으로 전송한다. 상기 터미널정합부(44), 메모리부(46) 및 무선주파수정합부(48)에는 로직부(42)가 접속되며, 상기 로직부(42)는 터미널정합부(44), 메모리부(46) 및 무선주파수정합부(48)의 동작을 제어하여 데이터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액정화면(5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상기 데이터변환기(20)는 차량의 시동키이(도시 안됨)가 온절환됨과 동시에 차량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시가잭(도시 안됨)이나 또는 자체 충전용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변환기(20)에는 휴대용 단말기(40)의 전원공급단자(도시 안됨)에 접속되는 전원접속단자(도시 안됨)가 구비되어 있어 휴대용 단말기(4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40)의 무선주파수정합부(48)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신호는 이동통신망(60)에 인가되고, 상기 이동통신망(60)에서는 케이블로 접속되는 차량원격진단시스템(70)에 데이터를 인가한다. 상기 차량원격진단시스템(70)은 휴대용 단말기(40)로부터 이동통신망(60)을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하고, 운전자에게 일정한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A/S요원을 해당 차량으로 보내도록 한다. 즉, 차량원격진단시스템(70)에는 휴대용 단말기(40)로부터 이동통신망(60)을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수신하여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이동통신망의 교환기와 직접 접속되어 일반 호를 처리하며, 해당 멘트를 부가하는 자동응답부(74)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통신망(60)의 문자서비스부(66) 또는 무선데이터부(64)를 통해 인가되는 차량 부품의 상태에 해당하는 데이터신호를 정합하는 TCP/IP정합부(76)가 구비된다. 상기 자동응답부(74) 및 TCP/IP정합부(76)에는 고객정보관리부(78)가 접속되며, 상기 고객정보관리부(78)는 자동응답부(74)또는 TCP/IP정합부(76)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하거나 고객관리터미널(78)을 이용하여 고객정보를 관리하게 된다. 상기 자동응답부(74), TCP/IP정합부(76) 및 고객정보관리부(78)에는 호처리제어부(72)가 접속되며, 상기 호처리제어부(72)는 자동응답부(74), TCP/IP정합부(76) 및 고객정보관리부(78)의 동작을 제어하여 적정 멘트를 송출 및 고객정보를 관리하고, 차량상태에 해당하는 신호를 해당 차량 운전자에게 전송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호처리제어부는 자동응답부 또는 TCP/IP정합부를 통해 들어오는 호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발신번호를 검출하고, 이를 이용한 DB(Data Base)관리를 한다.
이하, 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 운전자는 주행하기 전에 차량 상태를 점검하고자 할 경우에는 데이터변환기(20)의 일측단을 차량의 진단포트(14)에 접속시키고, 상기 데이터변환기(20)의 다른 측단에는 휴대용 단말기(40)를 접속시킨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40)를 데이터변환기(20)에 접속시킨 후 데이터변환기(20)의 일측부에 구비되어 있는 점검단자(도시 안됨)를 누르게 되면 진단포트(14)와 데이터변환기(20)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40)에 차량 부품의 동작상태에 해당하는 데이터신호가 인가된다. 상기 데이터변환기(20)는 진단포트(14)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데이터저장부(26)에 저장하게 되며, 상기 데이터저장부(26)는 데이터변환기(20)가 진단포트(14)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원이 온절환되면 데이터제어부(22)의 제어에 의해 일정한 설정된 시간 간격(예 : 1시간 간격)으로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변환기(20)의 데이터저장부(26)에 저장된 데이터는 휴대용 단말기(40)를 통해 차량정비업소 및 보험회사 등의 차량원격진단시스템(70)에 데이터를 송신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40)에 인가된 데이터신호는 휴대용 단말기(40)의 메모리부(46)에 저장된다. 이때 운전자가 휴대용 단말기(40)의 액정화면(50)에 차량의 상태를 디스플레이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휴대용 단말기(40)의 버튼부(도시 안됨)의 설정된 버튼을 조작하여 메모리부(46)에 저장된 데이터가 액정화면(5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40)의 액정화면(50)에 디스플레이된 데이터를 확인한 후 운전자가 원거리의 차량정비업체에 연락하고자 할 경우에는 휴대용 단말기(40)의 버튼부의 설정된 버튼을 조작하여 메모리부(46)에 저장된 데이터를 무선주파수정합부(48)를 통해 이동통신망(60)에 전송시킨다. 상기 이동통신망(60)에 전송된 데이터는 공중망교환기(62)를 통해 차량원격진단시스템(70)의 자동응답부(74)에 인가된다. 상기 차량원격진단시스템(70)의 자동응답부(74)에 데이터신호가 인가되면 호처리제어부(72)의 제어에 의해 설정된 멘트를 휴대용 단말기(40)측으로 전송하면서 고객정보관리부(78)에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고객정보관리부(78)에 데이터를 저장한 후 고객관리터미널(도시 안됨)을 이용하여 고객의 데이터를 검색, 변경, 추가 및 삭제를 할 수 있으며, 상기 고객정보관리부(78)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에 차량의 위치를 표시하는 지피에스데이터가 함께 저장되어 있으면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여 A/S요원을 보내게 된다.
또한, 운전자가 차량 부품의 동작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직접 차량원격진단시스템(70)에 전송할 경우에는 데이터변환기(20)에 구비된 전송단자(도시 안됨)를 누른다. 상기 전송단자를 누르면 데이터변환기(20)의 데이터저장부(26)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신호는 통신정합부(28)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40)의 터미널정합부(44)에 인가된다. 상기 터미널정합부(44)는 데이터변환기(20)의 통신정합부(28)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즉시 무선주파수정합부(48)를 통해 이동통신망(60)의 무선데이터부(64)에 인가된다. 상기 이동통신망(60)의 무선데이터부(64)는 차량원격진단시스템(70)의 TCP/IP정합부(76)에 인가하고, 상기 TCP/IP정합부(76)는 이동통신망(60)의 무선데이터부(64)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를 고객정보관리부(78)에 인가하여 데이터를 저장시킨다. 상기 고객정보관리부(78)에 저장된 데이터에 따라 호처리제어부(72)는 TCP/IP정합부(76)를 제어하여 운전자에게 문자서비스기능에 의해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A/S요원을 보내게 된다. 또한, 상기 보험회사에서는 데이터변환기(20)의 데이터저장부(26)에 실시간으로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고난 차량의 사고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각 부품에 접속되어 있는 진단포트에는 데이터변환기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를 접속시킨다. 상기 데이터변환기는 차량의 진단포트로부터 인가되는 차량의 각 부품의 동작상태에 해당하는 데이터신호를 휴대용 단말기에 인가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차량 부품의 동작상태에 해당하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함과 동시에 액정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키거나 또는 무선 데이터방식에 따라 이동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의 차량정비업소에 전송한다. 상기 차량정비업소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멘트를 해당 차량의 운전자에게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거나 A/S요원을 해당 차량에 보내게 되며,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고객관리를 신속하게 할 수 있다.

Claims (7)

  1. 차량의 각 부품에 접속되며, 각 부품으로부터 인가되는 부품의 동작상태에 해당하는 데이터신호를 외부로 전송되도록 하는 진단포트; 상기 진단포트에 접속되며, 진단포트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저장 및 출력하는 데이터변환기; 상기 데이터변환기에 케이블을 통해 접속되며, 데이터변환기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하고, 차량의 부품상태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액정화면에 디스플레이시켜 차량의 부품상태를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데이터신호를 필요에 따라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휴대용 단말기;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이동통신망을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저장 및 운전자에게 일정한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A/S요원을 해당 차량으로 보내도록 하는 차량원격진단시스템으로 이루어지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점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변환기에는 차량의 진단포트로부터 인가되는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시키는 데이터변환부; 상기 데이터변환부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저장시키는 데이터저장부;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데이터송신부;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신호를 데이터송신부를 이용하지 않고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차량정비업체에 무선 데이터방식으로 전송되도록 하는 통신정합부; 상기 데이터변환부. 데이터저장부, 데이터송신부 및 통신정합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이터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점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변환기에는 GPS수신부가 구비되며, 상기 GPS수신부는 안테나로부터 인가되는 차량의 위치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데이터변환부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와 함께 데이터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점검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변환기는 차량의 시동키이가 온절환됨과 동시에 차량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시가잭이나 또는 자체 충전용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변환기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공급단자에 접속되는 전원접속단자가 구비되어 있어 휴대용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점검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변환기의 데이터제어부는 데이터변환기가 진단포트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일정한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진단포트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를 데이터저장부에 저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점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데이터변환기의 데이터송신부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저장시키는 메모리부; 상기 데이터변환기의 통신정합부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가 무선 데이터방식으로 차량정비업체에 송신되도록 정합하는 터미널정합부; 무선주파수송신부와 무선주파수수신부로 이루어져 터미널정합부 또는 메모리부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무선주파수정합부; 상기 터미널정합부, 메모리부 및 무선주파수정합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데이터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액정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로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점검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원격진단시스템은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이동통신망을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수신하여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이동통신망의 교환기와 직접 접속되어 일반 호를 처리하며, 해당 멘트를 부가하는 자동응답부; 상기 이동통신망의 문자서비스장치 또는 무선데이터장치를 통해 인가되는 차량 부품의 상태에 해당하는 데이터신호를 정합하는 TCP/IP정합부; 상기 자동응답부 및 TCP/IP정합부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저장 및 고객관리터미널을 이용하여 고객정보를 관리하는 고객정보관리부; 상기 자동응답부, TCP/IP정합부 및 고객정보관리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적정 멘트를 송출 및 고객정보를 관리하고, 차량상태에 해당하는 신호를 해당 차량 운전자에게 전송되도록 하는 호처리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점검장치.
KR1019990057566A 1999-12-14 1999-12-14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점검장치 KR200000126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7566A KR20000012606A (ko) 1999-12-14 1999-12-14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점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7566A KR20000012606A (ko) 1999-12-14 1999-12-14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점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606A true KR20000012606A (ko) 2000-03-06

Family

ID=19625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7566A KR20000012606A (ko) 1999-12-14 1999-12-14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점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2606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469A (ko) * 2000-07-14 2000-11-06 김성진 차량의 원격 점검 시스템
KR20010096883A (ko) * 2000-04-15 2001-11-08 진조철 차량 운행 기록 및 차량 상태 진단 장치
KR20010110947A (ko) * 2000-06-09 2001-12-15 정보영 인터넷을 이용한 차량의 원격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14313A (ko) * 2000-08-17 2002-02-25 이계안 자동차의 자기진단장치
KR20020045186A (ko) * 2000-12-08 2002-06-19 오성준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차량 보험 이벤트 관리 시스템및 이를 이용한 차량 보험 이벤트 관리 방법
KR20030063561A (ko) * 2002-01-22 2003-07-31 주식회사 아크로만 무선 멧세지를 이용한 고객차량관리 프로그램
KR20040032221A (ko) * 2002-10-08 2004-04-17 조규철 이메일을 이용한 차량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49709A (ko) * 2002-12-07 2004-06-12 학교법인 선문학원 무선을 이용한 자동차 정보 저장 시스템
KR100485124B1 (ko) * 2002-04-20 2005-04-20 김영애 차량 관리 시스템
KR100620058B1 (ko) * 2004-07-09 2006-09-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휴대가능한 철도차량의 주행성능 측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45114B1 (ko) * 2010-10-04 2011-06-30 권혁 자가진단 기능이 구비된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차량 고장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1372548B1 (ko) * 2008-04-02 2014-03-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 자가진단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3605B1 (ko) * 1995-10-13 1998-11-16 김광호 차량원격관리시스템
KR19990003308A (ko) * 1997-06-25 1999-01-15 박일근 차량의 정보관리 시스템
KR20000018594A (ko) * 1998-09-03 2000-04-06 홍종만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한 자동차의 원격 자가진단 시스템 및그 운용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3605B1 (ko) * 1995-10-13 1998-11-16 김광호 차량원격관리시스템
KR19990003308A (ko) * 1997-06-25 1999-01-15 박일근 차량의 정보관리 시스템
KR20000018594A (ko) * 1998-09-03 2000-04-06 홍종만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한 자동차의 원격 자가진단 시스템 및그 운용 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883A (ko) * 2000-04-15 2001-11-08 진조철 차량 운행 기록 및 차량 상태 진단 장치
KR20010110947A (ko) * 2000-06-09 2001-12-15 정보영 인터넷을 이용한 차량의 원격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00063469A (ko) * 2000-07-14 2000-11-06 김성진 차량의 원격 점검 시스템
KR20020014313A (ko) * 2000-08-17 2002-02-25 이계안 자동차의 자기진단장치
KR20020045186A (ko) * 2000-12-08 2002-06-19 오성준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차량 보험 이벤트 관리 시스템및 이를 이용한 차량 보험 이벤트 관리 방법
KR20030063561A (ko) * 2002-01-22 2003-07-31 주식회사 아크로만 무선 멧세지를 이용한 고객차량관리 프로그램
KR100485124B1 (ko) * 2002-04-20 2005-04-20 김영애 차량 관리 시스템
KR20040032221A (ko) * 2002-10-08 2004-04-17 조규철 이메일을 이용한 차량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49709A (ko) * 2002-12-07 2004-06-12 학교법인 선문학원 무선을 이용한 자동차 정보 저장 시스템
KR100620058B1 (ko) * 2004-07-09 2006-09-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휴대가능한 철도차량의 주행성능 측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72548B1 (ko) * 2008-04-02 2014-03-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 자가진단 장치
KR101045114B1 (ko) * 2010-10-04 2011-06-30 권혁 자가진단 기능이 구비된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차량 고장 진단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71858A1 (en) Bluetooth-based system for automatically matching vehicle-mounted device with mobile phone terminal
KR20000012606A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점검장치
US20010044302A1 (en) Portable telephone terminal device and portable telephone system using the same
KR20010034969A (ko) 인터넷 차량관리시스템
US20010012761A1 (en)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a call signal arrival indicating function and a response function without any trouble to circumstance
JP3672397B2 (ja) 移動体通信端末とドッキング可能なガス検知装置
CN101600009A (zh) 无线控制装置及具有该控制装置的无线通信装置
JPH08286992A (ja) デジタル携帯電話機データ通信用データ変換装置
US20070002790A1 (en) Vehicular data collection and remote control module and method
US20020186164A1 (en) Searching apparatus
KR100395387B1 (ko) 긴급 통보 장치 및 긴급 통보 시스템
KR20010081669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
JPH11272974A (ja) 緊急通報装置
KR200205599Y1 (ko)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JPWO2008041392A1 (ja) 坑内無線システム
KR100292226B1 (ko) 무선 긴급전화 접수 및 유지보수 시스템
JP2006050188A (ja) 遠隔管理システム
US20070004342A1 (en) Data collection and remote control module and method
JP3314557B2 (ja) 通信端末システム
KR100369090B1 (ko) 비상 호출 시스템
KR100872049B1 (ko) 발신번호표시장치
JPH10340064A (ja) 表示装置
JPH1021439A (ja) 車両の動態把握システム
KR100470417B1 (ko) 확장가능한짧은메시지서비스를갖는휴대용통신시스템
JPH09198594A (ja) 計量器の無線検針用親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