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3308A - 차량의 정보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정보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3308A
KR19990003308A KR1019970027158A KR19970027158A KR19990003308A KR 19990003308 A KR19990003308 A KR 19990003308A KR 1019970027158 A KR1019970027158 A KR 1019970027158A KR 19970027158 A KR19970027158 A KR 19970027158A KR 19990003308 A KR19990003308 A KR 19990003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vehicle
signal
processing uni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7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3520B1 (ko
Inventor
박일근
Original Assignee
박일근
퍼스널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일근, 퍼스널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일근
Priority to KR1019970027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3520B1/ko
Publication of KR19990003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3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3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35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60R16/0232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for measuring vehicle parameters and indicating critical, abnormal or dangerous conditions
    • B60R16/0234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for measuring vehicle parameters and indicating critical, abnormal or dangerous conditions related to maintenance or repairing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작동상태를 검출한 신호 및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처리하는 전자제어장치을 구비한 차량의 정보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전자제어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송수신장치(10)와, 일정한 관리영역을 갖는 지역별로 설치되고, 상기 무선 송수신장치(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송수신장치(10)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원격지 처리장치(50)와, 상기 원격지 처리장치(50)와 통신하여 차량의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중앙처리장치(90)를 포함하는 차량의 정보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정보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차량에서 발생되는 다수의 상태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의 정보에 대응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시스템은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차량의 정보관리에 관한 신뢰성과 안정성이 높으며, 고장 진단, 도난 방지, 차량의 위치 추적, 원격 제어, 통행 요금 및 주차 요금 징수 등 다양한 기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정보관리 시스템
본 발명은 차량의 정보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작동 및 관리에 관한 신호를 무선으로 권역별로 설치된 원격지 처리장치에서 수신하고, 원격지 처리장치는 수집된 신호를 중앙처리장치에 송신하고, 중앙처리장치에서 해당 차량에 대한 제어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의해 차량의 고장진단, 정비, 도난방지, 주차관리 또는 주차 또는 통행 요금 관리 등을 종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차량의 정보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성능을 개선하고 관리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해 차량 제어를 전자화하는 시도가 널리 진행되고 있다. 이미 대부분의 차량에서 채용되고 있는 전자제어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는 주요 부분에 센서를 설치하고 이들 센서에서 검출된 신호를 처리하여 차량 작동을 최적화함과 동시에, 이들 검출신호를 분석하여 차량의 고장을 진단할 수 있다.
예컨대, 한국 특허공고 제 91-2804호는 ECU에 접속하여 자기진단신호를 표시하는 자기진단용 다기능 테스터를 개시한다. 이 장치를 사용하면 차량의 이상부위를 진단할 수 있으나, 개인이 고가의 테스터를 구입하기가 어렵고 단순히 차량의 진단에 그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한국 공개특허 제 96-42438호는 ECU가 결함을 감지하였을 때 이 신호를 전자제어종합 테스트 장치로 보내고 여기서 해당 차량의 정비를 위한 데이터를 정비업체로 팩스로 보내는 구성을 기재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원격점검신호를 발생하는 경우에, 단방향 통신의 특성상 제어 처리 결과에 관한 피드백 신호를 만들 수 없고, 종합적인 차량 관리에 일정한 한계가 있다.
또한, 중앙처리장치에서 차량을 관리하는 시스템에서 차량과 중앙처리장치 사이에 데이터 교환을 위하여 무선 통신을 이용하면, 특정 주파수로 광역을 커버하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따라서, 무선 통신을 위하여 고가의 장비로 높은 출력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결과적으로 코스트의 상승이 불가피하다. 더욱이, 망의 사용자가 많아지면 신호의 정확한 전달이 방해를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하차고와 같은 전파음영지역에 차량이 있으면 통신이 두절되어 필요한 정보를 적기에 보낼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차량의 도난방지 시스템으로 침입자가 있을 때 경고음을 발생하는 장치가 실용화되고 있으나, 경고음의 유효범위가 극히 한정되며 경고장치의 제거가 용이하기 때문에 차량의 도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다.
차량의 원격시동장치와 관련하여, 리모콘으로 자동차의 시동을 거는 장치가 보급되어 있으나, 리모콘의 무선 출력이 약하여 실질적으로 가시거리 이내에서만 작동이 가능한 실정이다.
차량의 주차관리나 주차요금의 정산, 유료도로의 통행료의 징수를 위한 방법으로, 차량이 요금징수창구를 지나칠 때 마이크로파를 송신하여 차량의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요금을 청구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나, 마이크로파의 송수신을 위한 장비가 고가이고 송수신을 위해 안테나의 방향이 일치하여야 하므로 신뢰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와는 달리 영상인식기술을 이용하여 차량의 번호를 인식함으로써 요금을 징수하는 방법도 제시되고 있으나, 번호판이 오염되어 있거나 고의로 왜곡시켰을 때 인식율이 저하되거나 착오가 발생된다.
이들 원격시동, 도난방지, 주차관리, 요금징수 등과 같은 기능을 위해서는 각각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고 상호간에 연계성이 없어서 종합적으로 차량을 관리하기가 불편하고 코스트가 높은 점이 지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복잡하고 고가인 장비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차량의 상태 및 관리정보를 제어할 수 있는 차량의 정보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질적으로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여 제어신호에 따른 제어목적의 달성을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차량의 고장진단, 사용자에 대한 정보 제공, 차량의 위치 추적, 원격제어, 주차관리, 주차 요금 및 통행 요금의 징수와 같은 다목적 제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종합적 차량의 정보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정보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무선 송수신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원격지 처리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4는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보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따라 특정 주차구역에 차량을 주차하였을 때 차량 관리의 흐름을 설명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따라 차량의 고장 수리와 관련된 제어 흐름을 설명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따라 통행 요금의 징수에 관련된 제어 흐름을 설명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무선 송수신장치30: 차량용 안테나
40: 원격용 안테나50: 원격지 처리장치
90: 중앙처리장치100: 구역
400: 공중 통신망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작동상태를 검출한 신호 및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처리하는 전자제어장치을 구비한 차량의 정보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전자제어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송수신장치와, 일정한 관리영역을 갖는 지역별로 설치되고, 상기 무선 송수신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송수신장치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원격지 처리장치와, 상기 원격지 처리장치와 통신하여 차량의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의 정보관리 시스템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정보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먼저, 차량에 설치된 전자제어장치(도시하지 않음)는 차량의 각 주요 부분에 대한 검출신호를 수집 처리하여 송신한다. 이 전자제어장치는 사용자(운전자)가 중앙처리장치에 대하여 원하는 정보를 요구하였을 때 이 신호를 처리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제어장치에 의해 수집된 신호(S1)는 무선 송수신장치(10)로 송출되고, 차량용 안테나(30)을 통해 무선으로 송신하게 된다. 이 때 사용되는 전파는 가까운 원격처리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것이기 때문에, 원거리 도달을 위하여 높은 출력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차량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차량에 무선 송수신장치(10)가 설치된다. 이 장치는 차량의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기능 뿐만 아니라, 원격지 처리장치(50)으로부터 입력되는 전파를 수신할 수 있도록 송수신 기능을 갖는다.
차량과 무선으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일정 구역을 관할하는 원격지 처리장치(50)가 구역별(구역 1(100), 구역 2(200), …, 구역 N(300))로 설치된다. 원격지 처리장치(50)의 설치는 도시 또는 국가의 모든 구역을 관할할 수도 있으나, 비용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차량의 통행 또는 주정차가 빈번한 지점이나 요금 징수 지점과 같은 주요 지점마다 설치하여도 전체적인 차량의 종합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차량용 안테나(30)으로부터 송신된 전파는 원격용 처리장치(50)에 부속된 안테나(40)에 의해 수신되어 원격지 처리장치(50)에 의해 처리되며, 원격지 처리장치(50)는 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되어 통신함으로써 데이터를 교환한다.
원격지 처리장치(50)와 중앙처리장치(90)의 데이터 교환은 전용 통신망을 구축하여도 좋고, 공중 통신망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전용 통신망을 구축하는 경우에는 통신의 신뢰성, 안정성 및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반면 망의 포설에 많은 비용이 들고, 공중 통신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설치 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나 통신의 신뢰성 및 보안성이 저하된다. 공중 통신망(400)을 이용하는 경우에, 무선모뎀(70), 유선모뎀(71) 또는 컴퓨터 접속수단에 의해 신호(S4)를 발생하여 경우에 따라 직접 공중 통신망에 연결되거나, 무선 통신망 또는 위성 통신망을 통하여 기존의 전화망이나 무선전화망과 같은 공중 통신망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자동차에 설치된 무선 송수신장치(10)의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이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무선 송수신장치(10)의 모든 구성은 제어수단(12)에 의해 통제되며, 제어수단은 데이터의 처리, 명령의 발생 등의 역할을 한다.
차량의 전자제어장치에서 송출된 신호(S1)는 데이터 혼합수단(11)에 의해 제어수단(11)에서 입력되는 데이터화 혼합된다. 차량의 전자제어장치에서 발생되어 차량의 무선 송수신장치(10)을 통해 송신되는 신호에는 차량의 특정 식별번호, 차량의 작동 상태에 관한 데이터, 고장 및 점검에 관한 데이터, 차량의 위치 정보에 관한 데이터, 운전자가 중앙처리장치에 요구하는 정보에 관한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들 데이터는 제어수단(12)에서 제공하는 데이터와 데이터 혼합수단(11)에 의해 혼합되어 처리된다.
차량의 자체 정보 및 제어수단의 부가 정보에 관한 데이터가 상기 혼합수단(11)에 의해 혼합된 후 부호수단(14)에 의해 제 3자가 도청할 수 없게 암호화된다. 여기서는 전송 도중의 오류 발생을 대비한 부호화를 동시에 수행한다.
부호화된 신호는 변조수단(15)에서 국부발진수단(16)의 무선 주파수와 변조된다.
변조수단(15)으로부터 출력되는 변조된 무선 주파수 신호는 아직 미약한 신호이기 때문에, 이를 전송하기에 충분할 만큼 송신증폭수단(17)이 증폭을 한다. 다만, 무선 송수신장치(10)의 무선 신호는 지리적으로 인접한 원격지 처리장치(50)에서 수신되기 때문에,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여 많은 전력을 소모하면서 고출력으로 증폭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무선 송수신장치(10)에서 데이터를 혼합, 부호화, 변조 및 증폭을 한 다음 안테나(18)를 통해 송신한다. 이 때 안테나는 무선 신호를 송신함과 동시에 원격지 처리장치에서 발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하여야 하므로, 송신을 위한 모드와 수신을 위한 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안테나 절체수단에 의해 스위칭된다.
즉, 무선 송수신장치의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안테나가 송신전환되고, 원격지 처리장치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안테나가 수신전환된다. 실제로 안테나는 대부분의 경우에는 수신전환되어 원격지 처리장치의 신호를 수신하는 대기상태로 있으며, 차량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에만 송신전환되는 것이다. 따라서, 안테나 절체수단(18)은 수신전환의 경우에는 안테나(30)와 수신증폭수단(19)을 연결하고, 송신전환의 경우에는 안테나를 송신증폭수단(17)에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과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원격지 처리장치(50)에서 발신되는 무선 신호(S3)는 차량용 안테나(30)을 통해 수신되어 안테나 절체수단(18)을 경유하여 수신증폭수단(19)으로 입력된다. 여기서 무선 신호가 증폭된 후, 이 신호와 국부발진수단(16)의 출력을 입력으로 받아 복조수단(20)에서 복조를 수행한다. 따라서, 무선 주파수 신호로부터 데이터 신호가 복원된다.
무선 신호는 전송과정에서 발생한 오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의 정확한 처리를 위하여 복호수단(21)에서 오류를 검출 및 복원하는 한편, 암호화된 데이터를 원래의 데이터로 환원하여 출력한다.
무선 송수신장치에서 수신하는 신호는 해당 차량에 관한 신호 뿐만 아니라, 다른 차량에 관한 제어신호를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실제로는 해당 차량 신호보다는 그 이외의 신호가 더 많을 수 있다. 따라서, 안테나(30)를 통해 수신되어 처리된 후 복호수단(21)에서 제공되는 수신된 데이터 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차량에 관한 정보인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단계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입력되는 신호가 해당 차량의 식별번호를 포함하고, 이 식별번호를 판별하여 필요한 데이터만을 선별한 후 제어수단(12)으로 보내게 된다. 식별번호는 본 시스템의 운용과 관련하여 특별히 제공되는 고유번호를 사용할 수도 있고, 그 외에 차량번호나 차량의 엔진번호 등을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해당 차량에 관한 제어신호로 판별하여 수신한 데이터는 제어수단(12)이 차량의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구동수단(23)으로 출력하고, 경우에 따라 기록수단(13)에 기록하도록 한다. 또한, 처리결과에 관한 신호 등을 출력하여 데이터 혼합수단으로 입력함으로써 피드백 신호가 원격지 처리장치(50)를 거쳐 중앙처리장치(90)로 입력되도록 한다. 따라서, 제어신호를 발한 중앙처리장치(90)가 제어 명령의 수행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명령의 수행이 불완전한 경우 다시 제어 명령의 신호를 발생하여 원하는 제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제어수단은 마이컴으로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여 장치의 제어, 필요한 제어 신호의 발생 및 데이터 처리의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수단(12)으로부터 제어 신호가 발생되면, 구동수단(23)으로 입력되어 이 신호에 따라 차량의 각 해당 부분을 구동하도록 구동 신호(S2)를 출력한다.
기록 수단(13)은 차량 식별번호 및 상태에 관한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입력된 데이터를 분석한 제어수단(12)이 차량 식별번호 및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기록한 기록수단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 및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또한 필요한 데이터를 기록수단(13)에 저장하게 된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라 구역별로 설치되어 일정한 영역을 관할(cover)할 수 있는 원격지 처리장치(50)의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이 장치(50)의 모든 구성은 제어수단(57)에 의해 통제되며, 제어수단은 데이터의 처리, 명령의 발생 등의 역할을 한다.
원격지 처리장치(50)는 앞에서 설명한 무선 송수신장치(10)와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원격지 처리장치에 장착되는 안테나는 수시로 수신 모드 또는 송신 모드로 스위칭될 수 있어야 한다. 수신전환된 경우에는 원격용 안테나(40)를 수신증폭수단(52)에 연결하며, 송신전환된 경우에는 안테나(40)를 송신증폭수단(62)에 연결하게 된다.
원격용 안테나(40)에서 수신하여 상기 안테나 절체수단(51)을 경유하여 입력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는 장치 내에서 신호 처리가 가능하도록 수신증폭수단(52)에 의해 증폭된다. 원격지 처리장치(50)는 하나의 원격용 안테나(40)를 구비할 수도 있고, 관할하는 영역의 특수성에 따라 여러 개의 안테나를 가질 수도 있는 것이다.
복조수단(53)은 수신증폭수단(52)의 출력신호 및 국부발진수단(54)의 출력을 입력으로 받아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에서 데이터를 복원해 출력한다.
차량의 무선 송수신장치에서 발신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복호수단(55)은 전송과정에서 발생한 오류를 검출하여 이를 복원하고 전송 처리과정에서 암호화된 데이터를 원래의 데이터로 복원한다.
원격용 안테나(40)에서 수신되는 신호에는 필요한 차량의 신호 이외에도 다른 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데이터 판별수단(56)은 복호수단(55)에서 출력되는 이들 데이터로부터 식별번호를 검출하여 필요한 데이터만을 선별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제어수단(57)은 마이컴 및 필요한 메모리 수단으로 구성되어 상기 데이터 판별수단(56)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및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어 명령 또는 피드백 신호를 발생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기록수단에 저장하고, 제어 명령의 신호 또는 피드백 신호를 무선 송수신장치(10) 또는 중앙처리장치(90)로 송신한다.
제어수단(57)으로부터 차량의 무선 송수신장치(10)으로 송신되는 제어 신호는 중앙처리장치의 접속수단 신호(S4)와 혼합되어 데이터 혼합수단(59)에서 혼합된다. 계속해서, 부호수단(60)은 데이터 혼합수단(59)의 출력을 입력으로 받아 제3자가 도청할 수 없게 암호화를 수행하며 전송 도중에 오류 발생을 대비한 부호화를 수행하여 출력하고, 변조수단(61)은 상기 부호수단(60)의 출력신호 및 국부발진수단(54)의 출력을 입력으로 받아 전송하고자 하는 무선 주파수로 변조한다.
변조된 무선 주파수 신호는 송신증폭수단(62)에 의해 전송하기에 충분할 만큼 증폭되어 안테나 절체수단(51)을 경유하여 원격용 안테나(40)를 통해 무선 송수신장치(10)으로 전송된다.
제어수단(57)에 의해 제어되는 기록수단(58)은 원격지 처리장치(50)의 식별번호와, 관리대상 차량들의 식별번호 및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여 상기의 원격지 처리장치(50)의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제어수단(57)은 필요에 따라 기록수단의 데이터를 읽어 수신된 데이터와 비교하거나 차이를 검출하여 필요한 제어 명령 또는 피드백 신호 등을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원격지 처리장치(50)와 차량에 장착된 무선 송수신장치(10)의 상호 작동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원격지 처리장치(50)와 중앙처리장치(90)의 통신을 위해서도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암호화 및 데이터 복원을 위한 복호 등의 단계를 거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원격지 처리장치(50)와 중앙처리장치(90)의 연결을 위하여 유선 전화망을 사용하는 경우에 무선 주파수 사용에서 필요한 변조, 복조 등의 단계가 필요 없음은 물론이다.
즉, 무선 송수신장치(10)에서 수집된 차량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가 원격지 처리장치(50)에 입력되었을 때 이 데이터는 다시 중앙처리장치(90)로 송신된다. 여기서 필요한 제어 명령에 관한 신호가 발생되어 해당 원격지 처리장치로 송신되고 이 신호를 받은 원격지 처리장치는 이를 해당 차량으로 송신하여 필요한 제어를 하는 것이다. 다만, 중앙처리장치에서 입력된 신호가 해당 원격지 처리장치에 관한 것인지, 또는 다른 원격지 처리장치에 관한 것인지를 판별하기 위하여 원격지 처리장치의 식별번호가 사용되고, 접속수단의 상이에 따라 이를 적합화하는 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한편, 차량의 무선 송수신장치에서 발신되는 신호를 수신한 원격지 처리장치가 그 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로 보내 제어 명령을 받을 필요는 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일정 주차 공간 내의 주차 관리를 위해서 해당 주차지역에 주차 관리 및 요금 체계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내장한 원격지 처리장치가 스스로 차량의 입출력 정보, 주차 요금, 차량의 배치 등의 제어 신호 및 출력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예컨대 통행 요금의 산출과 같이 원격지 처리장치 사이의 정보 교환이 필요한 경우에는 중앙처리장치와의 연결에 따라 중앙처리장치의 제어를 받은 것이 필요하게 된다.
도 4는 무선 데이터 송신을 위한 송신 데이터 패킷(PACKET, P1)의 구성을 예시한 것이다. 예컨대, 차량에서 상태를 전송할 필요가 발생하거나 또는 원격지 처리장치(50)에서 요구가 수신되었을 때, 차량의 송수신장치(10)의 데이터 혼합수단(11)에서는 입력된 차량의 상태 정보(S1)와 제어수단(12)에서 제공되는 신호를 혼합하여 도 4의 구조와 같은 송신 데이터 패킷(P1)을 발생하여 출력한다.
송신 데이터 패킷(P1)에서, 프리앰블(preamble)과 유니크 워드(unique word)는 유, 무선 통신 등 종래 데이터 통신용 장치에서 데이터를 전송을 위하여 필요한 것이다. 프리앰블은 수신측에서 반송파 및 클럭 복원이 용이하도록 도와주기 위한 것으로 데이터를 정확히 복원하도록 하기 위함이고, 유니크 워드는 데이터의 동기를 맞추기 위한 것으로 데이터 시작점을 알려 주는 데이터들이다.
데이터 길이(D3)는 제어수단(12)에서 삽입하는 데이터로 송신 데이터 패킷(P1)에 포함된 모든 또는 필요한 데이터의 수를 전송하는 부분으로, 송신 데이터 패킷(P1)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종류 및 상태 정보에 따라 데이터 길이가 변화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끝을 알려 주기 위함이다.
원격지 처리장치의 주소(D4)는 송신된 데이터가 전달되고자 하는 목적지인 원격지 처리장치의 고유 번호로, 만약 이동 중이거나 새로운 장소에 도착하여 원격지 처리장치의 주소를 알기가 어려울 경우에는 광범위 원격지 처리장치 주소 데이터가 전송된다. 광범위 원격지 처리장치 주소는 등록된 모든 원격지 처리장치의 공통된 주소를 뜻한다.
차량 번호 코드(D5)는 차량 번호를 나타낼 수 있는 데이터들로 차량 등록시나 처음 송수신장치(10)을 차량에 설치할 때 외부에서 기록 수단(13)으로 기록하여 놓은 데이터이다.
차량 번호 코드 다음에 연속되는 데이터들(D6)은 차량에서 제공되는 상태 정보(S1)에 관한 것으로, 제조사 코드, 모델 번호, 차대 번호 코드 등등의 고유 인식 번호가 있을 수 있고, 엔진 상태, 연료 상태, 동력 장치 상태, 문 개폐 상태, 전등 소등 상태 등등의 차량과 관련된 상태 정보들이 D6을 구성한다.
검사 비트(D7)은 데이터 패킷(P1) 내의 모든 데이터들에서 일정한 규칙에 의해 추출되는 데이터들로 수신측에서 데이터가 올바로 전송되었는지 검사할 때 사용하는 데이터들이다. 일례로 체크 썸(check sum) 방식이 있는데, 이는 전송할 데이터를 모두 더하여 그 합을 검사 비트로 전송하고, 수신측에서는 수신된 데이터들을 모두 더하여 합이 전송된 검사 비트와 같은지 비교하여, 데이터가 올바로 전송되었는지를 검사하는 방법이다.
무선 송수신장치(10)의 부호수단(14)에서는 상기의 송신 데이터 패킷(P1)을 받아 원격지 처리장치(50)과 서로 약정된 코드로 혼합하여 전혀 다른 데이터 패킷으로 변화 시킨다. 이는 타인에 의한 도청 및 방해를 막기 위함이다. 또한 전송 도중 오류가 발생하였을 때를 대비하여 이를 복원할 수 있는 오류 정정용 데이터를 추가시켜 출력한다.
변조수단(15)에서는 상기 변형된 데이터 패킷을 받아 전송하고자 하는 무선 주파수 대역으로 데이터 변조를 시킨 후, 송신증폭수단(17)에서 신호를 증폭하고, 안테나(30)을 이용하여 공중으로 전송한다. 이 때 송신되는 무선 주파수는 송수신장치(10)내에 장착된 국부발진수단(16)에 의해 결정된다.
원격용 안테나(40)에 수신된 신호는 원격용 처리장치(50)의 입력으로 전달되어 안테나 절체수단(51)을 통하여 수신증폭수단(52)에서 증폭된다. 복조 수단(53)에서는 수신된 무선 신호(S3)에서 프리앰블 및 유니크 워드를 이용하여 반송파 신호를 제거하고 데이터 신호만을 추출하여 출력한다. 이때 수신 주파수는 국부발진수단(54)에서 제공되는 주파수에 의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송신된 신호를 적절히 수신 하기 위해서는 송신 주파수와 일치하도록 설정한다.
원격용 처리장치(50)의 복호수단(55)에서는 수신된 데이터를 차량의 송수신장치(10)과 미리 약정했던 코드를 이용하여 비화의 목적으로 추가된 데이터를 제거한다. 이 때 만일 수신된 데이터가 약정된 코드로 혼합된 신호가 아니었다면, 데이터는 전혀 다른 데이터가 되거나 없어져 버리게 된다. 또한 오류 정정용 부가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전송 과정의 오류가 발생 하였다면 이를 제거한다.
데이터 판별수단(56)에서는 자신의 주소와 수신된 데이터에서 지정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원격지 처리장치(50) 자신에게 전송된 데이터이면 이를 제어수단(57)로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데이터를 버린다.
원격지 처리장치(50)의 제어수단(57)에서는 수신된 데이터에서 필요한 일부 또는 모든 데이터들을 기록 수단(58)에 기록하고, 필요시 무선 모뎀(70), 또는 유선 모뎀(71) 수단을 이용하여 공중 통신망(400) 또는 무선 통신망(500)을 통하여 중앙처리장치(90)으로 전송한다. 또는 연결된 컴퓨터 수단(80)으로 전송한다.
이 때 원격지 처리장치(50)가 중앙처리장치(90) 또는 컴퓨터 수단(80)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패킷의 구조는 도 4의 P2와 같이 구성된다. 여기서 데이터 길이(D3), 원격지 처리장치 주소(D4) 데이터들은 상기 송수신장치(10)의 송신 데이터 패킷(P1)의 목적과 동일하며, 원격지 처리장치들은 다수의 차량을 관리하므로 각 차량에 대한 데이터들(D9)이 추가되어 전송된다. 또한(D8)은 원격지 처리장치 자신의 상태 데이터들을 전송한다.
한편, 중앙처리장치(90)에서 차량에 관련된 정보를 알고 싶거나 원격제어의 필요가 발생하면, 이를 공중 통신망(400) 또는 무선 통신망(500)을 통하여 해당 원격지 처리장치(50)에 명령을 전송한다. 이때 중앙처리장치(90)에서 원격지 처리장치(50)으로 전송하는 데이터들의 집합은 도 4의 P3과 같이 구성된다.
P3에서 데이터 길이, 원격지 처리장치 주소 데이터들은 상기 송수신장치(10)의 송신 데이터 패킷(P1)의 것과 내용은 다를 수도 있지만 목적은 동일하며, 중앙처리장치(90)은 다수의 원격지 처리장치들을 관리하므로 각 원격지에 대한 데이터들이 추가되어 전송된다. 한 개의 원격지 처리장치에 전송하는 데이터들로는 데이터의 길이 정보 및 명령 데이터와 부가의 데이터들이 있다. 명령 데이터(D10)은 해당 원격지 제어장치(50) 또는 차량에 제어를 하기 위한 명령어를 전송하는 데이터 영역이고, 부가의 데이터(D11)은 도난 차량 목록, 동작에 필요한 기초 데이터 등등의 정보 데이터들을 전송하는 영역이다.
공중 통신망(400)을 통하여 전달된 중앙처리장치(90)의 데이터 신호는 원격지 처리장치(50)의 데이터 혼합수단(59)의 입력으로 전달된다. 데이터 혼합수단(59)에서는 입력된 데이터들을 제어수단(57)에서 제공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자신의 주소로 전달된 데이터만을 추출한 후 제어수단(57)에 공급한다.
원격지 처리장치(50)의 제어수단(57)은 수신된 명령을 분석하여 해당 동작을 한다. 즉, 현재 원격지 처리장치(50)의 상태 또는 기록되어 있는 차량의 정보들을 요구하는 명령을 수신하였을 경우 해당 데이터를 다시 모뎀 수단(70, 71)들을 통하여 중앙제어장치(90)으로 데이터 패킷(P2)을 전송한다.
만약 원격지 처리장치(50)의 관할 영역에 있는 특정 또는 모든 차량의 정보를 요구하는 명령을 수신하였다면, 데이터 혼합수단(59)에서는 수신된 명령어와 제어 데이터를 혼합하여 도 4의 구조와 같은 데이터 패킷(P4)을 발생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프리앰블(D1), 유니크 워드(D2), 데이터 길이(D3), 원격지 처리장치 주소(D4), 검사 비트(D7) 데이터들은 상기 송수신장치(10)의 송신 데이터 패킷(P1)의 것과 내용은 다를 수도 있지만 목적은 동일하며, 차량 번호 영역은 목적의 차량 주소 이고, 명령 데이터는 차량의 제어를 위한 데이터들이다.
원격지 처리장치(50)의 부호수단(60)에서는 상기의 데이터 패킷(P4)을 받아 차량의 송수신장치(10)과 서로 약정된 코드로 혼합하여 코드를 모르는 다른 장치는 수신 불가능 하도록 전혀 다른 데이터 패킷으로 변화시킨다. 변조 수단(61)에서는 상기 변형된 데이터 패킷을 받아 전송하고자 하는 무선 주파수 대역으로 데이터 변조를 시킨 후, 송신증폭수단(62)에서 신호를 증폭하고, 안테나 절체수단(51)을 경유하여 안테나(40)으로 전달하며, 안테나(40)에서는 공중으로 전송한다. 이때 송신 되는 무선 주파수는 송수신장치(10)의 수신 주파수와 동일하도록 한다.
차량용 안테나(30)에 수신된 신호는 안테나 절체수단(18)을 통하여 수신 증폭수단(19)에서 증폭된다. 복조수단(20)에서는 수신된 무선 신호에서 프리앰블 및 유니크 워드를 이용하여 반송파 신호를 제거하고 데이터 신호만을 추출하여 출력한다.
차량의 송수신장치(10)의 복호수단(21)에서는 수신된 데이터를 원격지 처리장치(50)과 미리 약정 했던 코드를 이용하여 비화의 목적으로 추가된 데이터를 제거한다. 또한 오류 정정용 부가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전송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였다면 이를 제거한다.
데이터 판별수단(22)에서는 자신의 주소와 수신된 데이터에서 지정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자신에게 전송된 데이터이면 이를 제어수단(22)로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데이터를 버린다.
차량의 송수신장치(10)의 제어수단(12)에서는 수신된 데이터에서 필요한 일부 또는 모든 데이터들을 기록 수단(13)에 기록하고, 전송된 명령을 해독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
즉, 만일 명령이 차량의 상태 데이터 또는 기록 되어 있는 차량의 정보들을 요구하는 명령을 수신하였을 경우 해당 데이터를 다시 데이터 혼합수단(11)을 경유하여 상기 동작에 의거 원격지 처리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는 차량의 제어 명령이 수신 되었다면 제어수단(12)는 명령을 구동수단(23)에 전달하고, 구동수단(23)에서는 해당 구동 장치를 구동하도록 동작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정보관리 시스템을 설명하였으나,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주차장과 같이 다수의 차량을 정차할 수 있는 공간에 다수의 원격용 안테나(40)를 설치하여 한 개의 원격지 처리장치(50)이 이들을 관리하는 경우로 가정한다.
차량이 주차장에 정차하면 송수신장치(10)는 차량의 번호 데이터를 상기 패킷(P1)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원격지 처리장치(50)은 패킷(P1)을 받아 처리한 후 자신의 기록 장치에 도착 시간 등과 함께 필요한 차량 정보를 기록한다. 아울러 원격지 처리장치(50)은 자신의 관할 영역에 정차한 차량들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정기적으로 공중 통신망을 통하여 중앙처리장치(90)로 전송한다.
만일 경찰서 및 권한을 가진 사용자 등에서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고 싶을 때 중앙처리장치(90)에 연락하면 어느 원격지에 있는가의 정보가 파악될 수 있다. 만일 중앙 처리장치에 등록된 차량 정보가 부족하거나 없으면, 중앙 처리장치는 각 원격지 처리장치에 패킷(P3)을 전송하여 해당 차량이 존재하는가의 여부를 묻는다. 원격지 처리장치(50)은 상기 신호를 수신하면 우선 자신의 기록 장치에 중앙처리장치(90)에서 원하는 차량 정보가 있는가 조사하여 중앙처리장치(90)으로 응답한다. 만일 원격지 처리장치(50) 자신의 영역에 해당 차량이 있는데 추가의 정보가 필요하거나 또는 있는지를 검사하기 위하여서는 패킷(P4)을 차량들에게 전송하여 데이터 요구를 명한다.
상기의 주차 공간에 차를 세워 둔 사용자가 차량 상태 조회 또는 원격제어를 원할 때는 중앙처리장치(90)으로 전화를 건다. 중앙 처리장치에서는 사용자의 요구를 해당 차량이 정차하고 있는 영역의 원격지 처리장치에 명령을 내려 사용자가 원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하고, 결과를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자동 응답 장치 등을 이용하여 알려 준다.
외부에서 차량에 충격이 가해져 이를 검지하는 장치로부터 충격이 가해졌다는 상태 신호(S1)이 송수신장치(10)에 입력되거나 비정규적인 방법으로 차량이 이동하기 시작하였을 경우, 차량의 송수신장치(10)는 신호를 보내어 원격지 처리장치(50)에 이러한 사실을 보고한다. 이 상황은 다시 중앙처리장치(90)에 보고 되고, 중앙 처리장치에서는 차량 주인에게 이 사실을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통보한다.
차량이 정차하였던 공간을 떠나면 원격지 처리장치는 출발 사항 및 시간 등의 정보를 중앙처리장치에 보고한다. 이 정보들은 차량의 행선지 파악 또는 주차 요금 징수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차량을 자택과 같은 자신 소유의 주차장에 정차하였을 때 차량 관리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주차장 바닥에 루프(LOOP) 안테나가 설치되어 있고, 옥내 또는 옥외에 자신의 차량을 위한 원격지 처리장치(50)가 설치되어 있고, 간단한 제어판(81)이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또한 선택 사항으로 유선 모뎀(71)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의 시스템이 작동하는 경우에, 차량 정보를 원격지 처리장치에 미리 등록하여 놓으면 차량이 주차 공간에 도달할 때마다 등록 동작을 할 필요가 없다.
사용자가 차량의 상태나 원격제어의 필요가 발생하면 제어판을 이용하여 원격지 처리장치(50)에 명령한다. 원격처리장치는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을 원격용 안테나(40)을 통하여 차량 송수신장치(10)에 전송하고, 차량의 송수신 장치는 상기의 명령 신호를 받아 분석한 후 명령을 수행한다.
만약 사용자가 특수한 차량 정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고, 그 서비스 회사(91)에서 현재 차량의 상태를 파악하고 싶으면 유선 모뎀(71)을 통하여 원격지 처리장치(50)에 차량의 상태를 요구한다. 따라서 원격지 처리장치(50)은 상기의 요구 사항을 분석하여 차량에게 다시 상태를 요구한 후, 데이터를 받아 서비스 회사(91)로 전송하여 원격 차량 관리 시스템이 가능하게 하여 준다.
또한, 도 6은 차량 서비스 센터와 연계하여 차량의 고장 수리를 목적으로 정차 하였을 경우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건물 벽에 원격용 안테나(40)가 설치되어 있고, 옥내 또는 옥외에 차량을 위한 원격지 처리장치(50)이 설치되어 있으며, 고장 진단을 위한 컴퓨터(80)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차량을 건물 근처에 위치에 세워 놓기만 하면 원격처리장치(50)의 명령에 의해 차량은 자신의 상태 데이터(S1)를 송수신장치(10)을 통하여 원격지 처리장치(50)에 전송한다. 원격지 처리장치는 사이의 데이터를 컴퓨터(80) 수단에 전송하고 상기의 상태 분석하여 고장 부위를 알아내어 수리자에게 부품 및 작업 지시를 함으로써, 특수한 차량 연결용 커넥터 등이 필요 없이 무선으로 차량 고장 서비스 시스템이 가능하게 하여 준다.
도 7은 유료도로를 사용하는 차량이 톨 게이트(toll gate)와 같이 통행 요금을 징수하는 곳을 통과하는 경우를 상정한 것이다. 도로 바닥을 따라 원격용 안테나(40)를 누설 케이블 형태로 설치한 것으로, 톨 게이트 건물에 원격지 처리장치(50)가 설치되어 있으며, 무선 모뎀(71)을 사용하여 무선 망을 통해 중앙처리장치(90)으로 연결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원격지 처리장치(50)는 상시 차량의 번호 코드 정보를 요구하는 명령 신호를 누설 케이블인 안테나 수단(40)에 전송한다. 근처에 도달하여 상기의 명령 신호를 받은 차량은 차량 코드 데이터를 송수신장치(10)을 통하여 원격지 처리장치(50)에 전송한다. 원격지 처리장치는 상기의 데이터를 무선 모뎀(70)으로 전송하고, 무선 모뎀은 공중 통신망을 통하여 중앙처리장치(90)에 통과된 차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무인 통과 요금 징수 시스템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의하면, 차량에서 발생되는 다수의 상태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의 정보들을 특정 유선 연결구, 무선 통신망 혹은 음향 수단 등의 장치들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차량의 상태 정보를 감지함으로써 이에 따라 필요한 대응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주파수를 사용하지만 원거리에 있는 기지국과의 통신이 아닌 근처에 위치하는 원격용 안테나와 통신을 실시하므로, 미약한 출력의 무선 전송장치를 사용하여도 되므로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아울러 소비 전력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에서 뿐만 아니라 관리용 원격 장치에서 제어 및 상태 신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양방향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구현한다. 따라서, 필요한 경우에만 선택된 차량 상태 정보를 선별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전송한 제어 신호가 제대로 수행되고 있는가 확인하는 피드백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어, 차량 관리의 신뢰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하여, 필요한 프로그램의 설정에 의해 차량의 고장 진단, 도난 방지, 차량의 위치 추적, 원격 제어, 통행 요금 및 주차 요금 징수 등등 다양한 기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차량의 작동상태를 검출한 신호 및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처리하는 전자제어장치을 구비한 차량의 정보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전자제어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송수신장치(10)와,
    일정한 관리영역을 갖는 지역별로 설치되고, 상기 무선 송수신장치(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송수신장치(10)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원격지 처리장치(50)와,
    상기 원격지 처리장치(50)와 통신하여 차량의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중앙처리장치(90)를 포함하는 차량의 정보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수신장치(10)가 입력되는 차량 정보 신호(S1)와 제어수단(12)으로부터 제공되는 부가의 신호들을 혼합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혼합수단(11)과,
    상기 데이터 혼합수단(11)의 출력을 입력으로 받아 제 3자가 도청할 수 없게 암호화를 수행하며 전송 도중의 오류 발생을 대비한 부호화를 수행하여 출력하는 부호수단(14)과,
    상기 부호수단(14)의 출력 및 국부발진수단(16)의 출력을 입력으로 받아 전송하고자 하는 무선 주파수로 변조를 수행하여 출력하는 변조수단(15)와,
    상기 변조수단(15)으로부터 출력되는 변조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전송하기에 충분할 만큼 증폭하여 출력하는 송신증폭수단(17)과,
    상기 송신증폭수단(17)과 상기 수신증폭수단(19)의 출력을 안테나(30)를 통하여 송신하는 경우에는 송신전환하고, 상기 원격지 처리장치(50)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안테나(30)를 통하여 수신하는 경우에는 수신전환하는 안테나 절체수단(18)과,
    상기 안테나(30)에서 수신하여 상기 안테나 절체수단(18)을 경유하여 입력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는 수신증폭수단(19)과,
    상기 수신증폭수단(19)의 출력신호 및 상기 국부발진수단(16)의 출력을 받아, 수신된 무선 주파수신호에서 데이터를 복원해 출력하는 복조수단(20)과,
    상기 복조수단(20)에서 제공되는 데이터에서 전송과정에서 발생한 오류를 검출 및 복원하고 암호화된 데이터를 원래의 데이터로 환원하여 출력하는 복호수단(21)과,
    상기 복호수단(21)에서 제공되는 수신된 데이터 신호에서 식별번호를 검출하여 필요한 데이터만을 출력하는 데이터 판별 수단 22와,
    상기 데이터 판별수단(22)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여 차량의 제어신호를 구동수단(23)으로 출력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기록수단(13)에 저장하며, 처리 결과에 관한 신호를 포함하여 피드백 신호를 원격지 처리장치(50)로 송신하도록 데이터 혼합수단(11)으로 출력하는 제어수단(12)과,
    상기 제어수단(12)의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 각 해당 부분을 구동하도록 구동 신호(S2)를 출력하는 구동수단(23)과,
    차량 식별번호 및 상태에 관한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기록수단(13)과,
    전송 및 수신하고자 하는 무선 주파수를 발생하는 국부발진수단(16)을 포함하는 차량의 정보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수신장치(10)의 안테나(30)로부터 출력되는 무선 신호를 원격용 안테나(40)를 통하여 수신하는 경우에는 수신전환하여 수신증폭수단(52)와 연결하고, 상기 원격지 처리장치(50)의 출력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송신전환하여 송신증폭수단(62)에 연결하는 안테나 절체수단(51)과,
    상기 원격용 안테나(40)에서 수신하여 상기 안테나 절체수단(51)을 경유하여 입력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수신증폭수단(52)과,
    상기 수신증폭수단(52)의 출력신호 및 국부발진수단(54)의 출력을 입력으로 받아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에서 데이터를 복원해 출력하는 복조수단(53)과,
    상기 복조수단(53)에서 제공되는 데이터에서 전송 도중에 발생한 오류를 검출 및 복원하고 암호화된 데이터를 원래의 데이터로 환원하여 출력하는 복호수단(55)과,
    상기 복호수단(55)에서 제공되는 수신된 데이터 신호에서 식별번호를 검출하여 필요한 데이터만을 출력하는 데이터 판별 수단(56)과,
    상기 데이터 판별수단(56)의 출력을 입력으로 받아 상기 중앙처리장치 또는 차량의 무선 송수신장치(10)에서 전송된 신호를 분석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기록수단(13)에 저장하고, 제어신호 또는 측정 데이터 신호를 무선 송수신장치(10) 또는 중앙처리장치로 전송할 수 있도록 데이터 혼합수단(59)로 출력하는 제어수단(57)과,
    상기 접속수단 신호(S4)와 제어수단(57)으로부터 제공되는 부가의 신호들을 혼합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혼합수단(59)와,
    상기 데이터 혼합수단(59)의 출력을 입력으로 받아 제3자가 도청할 수 없게 암호화를 수행하며 전송 도중에 오류 발생을 대비한 부호화를 수행하여 출력하는 부호수단(60)과,
    상기 부호수단(60)의 출력신호 및 국부발진수단(54)의 출력을 입력으로 받아 전송하고자 하는 무선 주파수로 변조를 수행하여 출력하는 변조수단(61)과,
    상기 변조수단(61)으로부터 출력된 변조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전송하기에 충분할 만큼 증폭하여 출력하는 송신증폭수단(62)과,
    상기 원격지 처리장치(50)의 식별번호 및 관리대상 차량들의 식별번호 및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여 상기의 원격지 처리장치(50)의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기록수단(58)과,
    전송 및 수신하고자 하는 무선 주파수를 발생하는 국부발진수단(54)을 포함하는 차량의 정보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지 처리장치(50)와 중앙처리장치(90)의 통신이 공중 통신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정보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90)가 해당 차량의 고장 진단, 정비 확인, 차량의 위치파악, 주차관리, 주차요금징수, 통행요금징수 또는 도난방지에 관한 제어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정보관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지 처리장치가 일정한 제어명령을 기록수단에 저장하고 이에 해당되는 경우에 중앙처리장치를 경유하지 아니하고 직접 상기 무선 송수신장치에 차량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정보관리 시스템.
KR1019970027158A 1997-06-25 1997-06-25 차량의 정보관리 시스템 KR100223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7158A KR100223520B1 (ko) 1997-06-25 1997-06-25 차량의 정보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7158A KR100223520B1 (ko) 1997-06-25 1997-06-25 차량의 정보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308A true KR19990003308A (ko) 1999-01-15
KR100223520B1 KR100223520B1 (ko) 1999-10-15

Family

ID=19511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7158A KR100223520B1 (ko) 1997-06-25 1997-06-25 차량의 정보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352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606A (ko) * 1999-12-14 2000-03-06 이승후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점검장치
KR20000054404A (ko) * 2000-06-05 2000-09-05 박종헌 차량상태 관리 시스템
KR20010096883A (ko) * 2000-04-15 2001-11-08 진조철 차량 운행 기록 및 차량 상태 진단 장치
KR100901443B1 (ko) * 2007-03-20 2009-06-08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자동차 번호를 이용한 무선결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271B1 (ko) * 2002-06-27 2005-09-02 현대디지텍 주식회사 홈오토 단말기에서의 방문자 영상 녹화/재생 장치 및 그제어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606A (ko) * 1999-12-14 2000-03-06 이승후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점검장치
KR20010096883A (ko) * 2000-04-15 2001-11-08 진조철 차량 운행 기록 및 차량 상태 진단 장치
KR20000054404A (ko) * 2000-06-05 2000-09-05 박종헌 차량상태 관리 시스템
KR100901443B1 (ko) * 2007-03-20 2009-06-08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자동차 번호를 이용한 무선결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3520B1 (ko) 199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67490B2 (ja) 道路通行料徴収システム
US8253549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acting with a vehicle over a mobile radiotelephone network
KR101291496B1 (ko) 자동 감시 시스템
KR19990064019A (ko) 자동차 주차 시스템
KR101376650B1 (ko) 기결정된 영역 내에서 이동 차량을 탐지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02190043A (ja) Dsrc方式を利用した駐車料金の精算装置及びその方法
KR20030038403A (ko) 통행료 징수 시스템 및 통행료 징수 방법
US2009004251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CN109451463B (zh) 一种基于5g网络的电动自行车防盗系统
US20020038172A1 (en) System for controlling operating information of construction machine and construction machine therefor
KR19990003308A (ko) 차량의 정보관리 시스템
JP2009116480A (ja) 不正通行車両の監視装置
JP2007034902A (ja) 車両異常通知装置、車両異常通知システム、車両異常通知方法、駐車場管理装置、駐車場管理システム、および駐車場管理方法
JP4147738B2 (ja) 車載情報通信システム
JP2001312755A (ja) 料金徴収システム及びその管理局及びその無線通信端末
KR100400102B1 (ko) Vin을 이용한 차량제어방법
CN112738768A (zh) 车载系统及其通信方法
JP3851834B2 (ja) 列車制御システム、及び情報収集方法
JP4112322B2 (ja) 駐車場の車両管理システム、駐車場の管理サーバ
EP1758066B1 (en) Arrangement of an vehicle unit OBU with an identification protection unit to prevent unauthorized use
JPH11177443A (ja) 無線通信監視装置及び情報通信システム
JP2002251641A (ja) 交通量管理・自動課金システム
KR101568611B1 (ko) 도로 통행료 회피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78730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방식 통행료 처리장치
KR19990050652A (ko) 교통정보 수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