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8403A - 통행료 징수 시스템 및 통행료 징수 방법 - Google Patents

통행료 징수 시스템 및 통행료 징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8403A
KR20030038403A KR1020020067460A KR20020067460A KR20030038403A KR 20030038403 A KR20030038403 A KR 20030038403A KR 1020020067460 A KR1020020067460 A KR 1020020067460A KR 20020067460 A KR20020067460 A KR 20020067460A KR 20030038403 A KR20030038403 A KR 20030038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on
vehicle
information
portable telephon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7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7016B1 (ko
Inventor
고께쯔요시히로
도모나까데쯔야
시모다도모까즈
오까모또료스께
요시까와야스오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끼가이샤 엔티티 도꼬모 간사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끼가이샤 엔티티 도꼬모 간사이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38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8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7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70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07B15/063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using wireless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vehicle and a fixed s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통행료 징수 시스템은 도로측 장치, 내장 장치, 휴대용 전화기 및 징수 장치에 의해 실행된다. 도로측 장치는 차량이 징수 영역으로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고 차량에 징수 정보를 전송한다. 내장 장치 및 휴대용 전화기는 차량 내에 배치된다. 도로측 장치로부터 전송된 징수 정보는 내장 장치에 의해서 수신된다. 내장 장치는 차량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휴대용 전화기에 징수 정보 및 차량 식별 정보를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정보를 출력한다. 지시 정보에 의해서 휴대용 전화기는 징수 정보 및 차량 식별 정보를 전송한다. 징수 장치는 징수 정보 및 차량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차량 식별 정보에 의해 차량을 식별하고, 차량에 대해 징수 과정을 실행한다.

Description

통행료 징수 시스템 및 통행료 징수 방법 {TOLL CHARGING SYSTEM AND TOLL CHARGING METHOD}
본 발명은 통행료 징수 시스템 및 통행료 징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이 도로를 통과함에 따라 자동적으로 통행료를 징수하는 유료 도로 등을 위한 통행료 징수 시스템 및 통행료 징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통행료를 자동적으로 징수하기 위하여, 내장 장치가 차량에 장착되고, 신용 카드가 내장 장치에 삽입되어, 톨게이트의 도로측 시스템과의 통신에 기초하여 통행료에 대응되는 통행 요금이 신용 카드로부터 지불되는 방법이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통행료 징수 방법을 위한 전용 도로측 기본 시설이 필요하다. 또한, 운전자는 값비싼 내장 장치를 구매하여야 한다. 이런 이유들 때문에, 이 시스템은 급속히 보급되지 못한다.
내장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오직 휴대 전화만을 이용하는 통행료 징수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휴대 전화만으로는 징수측에서 차량의 정확한 위치를 측정할 수 없다. 따라서, 이 통행료 징수 시스템은 잘 작동하지 않는다. 또한 차량 형태가 특정될 수 없기 때문에, 시스템은 차량 형태에 따라 징수되는 통행료를 정확하게 징수할 수 없다.
위치 측정을 위하여, GPS 수신기가 부가될 때, 위치 정확도는 어느 정도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GPS 수신기에 의해 측정된 위치 데이터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휴대 전화만을 이용하는 이러한 통행료 징수 시스템에서, 운전자측이 휴대 전화를 사용하여 징수측을 호출할 때 징수가 행해진다. 그러나, 운전자는 당연히 스스로 운전 중에 휴대 전화를 사용하여 통화를 할 수 없다. 이를 위해, 휴대 전화를 사용하여 통화를 하기 위한 전용 장치가 요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값비싼 내장 장치를 필요로 하는 통행료 징수 시스템은 급속히 보급될 수 없다. 다른 한편으로, 휴대 전화만을 사용하는 통행료 징수 시스템은 실용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상황을 고려하여 행해졌고, 휴대 전화와 휴대 전화에 전화를 걸어 휴대 전화로부터 징수 처리측으로 필요한 정보를 자동적으로 전송하는 다이얼링 기능을 갖춘 내장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내장 장치의 비용을 줄이는 동시에 전체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행료 징수 시스템 및 통행료 징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의 수단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통행료 징수 방법을 사용한 통행료 징수 시스템은 도로측 장치, 내장 장치, 휴대 전화 및 징수 장치가 제공된다.
도로측 장치는 징수 영역에 들어오는 차량을 검지하기 위해 징수 영역의 도로측에 배치된다. 도로측 장치는 차량을 감지하기 위한 징수 처리 측의 어드레스와 적어도 통행료 정보를 포함하는 징수 정보를 전송한다.
내장 장치는 차량에 배치된다. 도로측 장치로부터 전송된 징수 정보는 내장 장치에 의해 수신된다. 내장 장치는 차량을 식별하기 위해 차량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수신된 징수 정보 내에 포함된 어드레스로 징수 정보와 차량 식별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또한 출력한다. 내장 장치는 휴대 전화보다 단거리 범위에서 통신을 수행한다.
내장 장치로부터 지시 정보 출력은 내장 장치에 연결된 휴대 전화로 입력된다. 이러한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 전화는 징수 정보와 차량 식별 정보를 그 어드레스로 보낸다. 징수 처리 결과가 징수 장치로부터 전송될 때, 징수 처리 결과는 휴대 전화에 의해 수신되고 표시되거나 또는 음성데이터로써 출력된다.
징수 장치는 휴대 전화로부터 전송된 징수 정보와 차량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차량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을 식별하고, 식별된 차량용의 징수 처리를 수행한다. 게다가, 징수 장치는 징수 처리 결과를 상응하는 차량의 휴대 전화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과 장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될 것이고,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거나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장점은 하기에 특히 지적되는 조합과 수단에 의해 얻어질 것이다.
본원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하기의 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통행료 징수 방법을 사용하는 통행료 징수 시스템의 배치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2는 징수 장치와 도로측 장치 사이의 연결예를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도시한 블록도.
도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통행료 징수 방법을 사용하는 통행료 징수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4는 내장 장치의 배치의 예를 도시한 기능 블록도.
도5a는 내장 장치가 케이블을 통해 휴대용 전화기에 접속되는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5b는 내장 장치가 케이블을 통해 휴대용 전화기에 접속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5c는 내장 장치가 휴대용 전화기에 무선으로 접속되는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5d는 내장 장치가 휴대용 전화기에 무선으로 접속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5e는 내장 장치가 휴대용 전화기에 직접적으로 접속되는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6은 휴대용 전화기 기능을 가지는 보드가 내장 장치 내에 합체되는 배치의 일예를 도시한 기능 블록도.
도7은 징수 장치의 배치의 일예를 도시한 기능 블록도.
도8은 제1 실시에에 따른 통행료 징수 방법을 사용하는 통행료 징수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데이터 흐름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통행료 징수 방법을 사용하는 통행료 징수 시스템의 작동의 일예를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통행료 징수 방법을 사용하는 통행료 징수 시스템에 적용되는 내장 장치 및 휴대형 전화기의 배치의 일예를 도시한 기능 블록도.
도1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통행료 징수 방법을 사용하는 통행료 징수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데이터 흐름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12는 제2 실시예를 따른 통행료 징수 방법을 사용하는 통행료 징수 시스템의 작동의 일예를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감지 신호
b : 인식 정보
c : 징수 요구 정보
d : 차량 식별 정보
10 : 차량
12 : 내장 장치
14 : 휴대용 전화기
16 : 도로측 장치
17 : 징수 영역
18 : 징수 장치
26 : 번호판 판독 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도1 내지 도9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를 따른 통행료 징수 방법을 사용하는 통행료 징수 시스템은 차량(10) 상에 장착되는 내장 장치(12), 휴대용 전화기(14), 도로측(15)에 배치되는 도로측 장치(16) 및 징수 장치(통행료 징수 시스템)를 포함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징수 장치(통행료 징수 시스템)는 전용 라인(20)을 통해 복수의 도로측 장치(16)에 접속된다. 징수 장치(통행료 징수 시스템)는 도로측 장치(16)로의/로부터의 전송/수신 데이터에 의해 복수의 징수 영역(17) 내에서 징수 프로세스를 집합적으로 실행한다.
차량(10)을 감지하기 위한 차량 센서(24) 및 차량(10)의 번호 판(27) 상의 등록 번호를 판독하기 위한 번호판 판독 센서(26)가 유료 도로(22)의 징수영역(17) 내에 배치된다.
차량 센서(24)로서는, 예를 들면 카메라, VPD, 레이저 VPD, 디딤판 또는 루프 코일이 사용된다. 번호판 판독 센서(26)로서는, 예를 들면 카메라, 전자 번호 판(라디오 챠량 태그) 등이 사용된다.
도3에 도시된 것처럼, 차량(10)이 징수 영역(17)으로 진입할 때, 차량 센서(24)는 차량(10)을 감지하여 도로측 장치(16)로 감지 신호(a)를 출력한다. 또한, 번호판 판독 센서(26)는 차량(10)의 번호판(27)을 감지하여 도로측 장치(16)로 인식 정보(b)를 출력한다.
감지 신호(a) 및 인식 정보(b)를 수신하는 중에, 도로측 장치(16)는 인식 정보(b)에 기초하여 징수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징수 장치(18)의 어드레스(전화 번호)가 징수 정보에 부가되고, 상기 정보는 기호화되어 징수 요구 정보(c)를 생성한다. 기호화된 징수 요구 정보(c)는 단거리 통신에 의해 차량(10)의 내장장치(12)로 전송된다. 단거리 통신 방법의 일예는 DSRC(전용 단거리 통신), 광학 표지, 라디오 표지 및 블루투스(Bluetooth)이다.
도4에 도시된 것처럼, 내장 장치(12)는 단거리 범위 수신기(30), CPU(32), 메모리(34) 및 인터페이스(I/F; 36)를 포함한다.
단거리 범위 수신기(30)는 도로측 장치(16)로부터 징수 요구 정보(c)를 수신하여 CPU(32)로 수신된 징수 요구 정보(c)를 전송한다. 내장 장치(12) 및 휴대용 전화(14)에서, 도로측 장치(16)로부터 전송된 징수 요구 정보(c)는 기호화되지 않는다.
CPU(32)는 단거리 범위 수신기(30)로부터 전송된 징수 요구 정보(c)에 기초하여 도로측 장치(16)로부터의 징수 요구가 거절되어야 하는지 이에 승인되어야 하는 지를 결정한다. 상기 요구는 예를 들어, 징수액이 정확하지 않을 때(중간 크기의 자동차가 큰 자동차용의 징수액을 청구할 때) 거절된다.
만일 상기 징수 요구 정보(c)가 일정하지 않을 경우, 상기 징수 요구 정보(c)는 이를 승인하여 메모리(34)로 저장된다. 또한, 내장 장치(12)에 사전에 할당된 유일한 차량 번호는 차량 식별 정보(d)를 생성하도록 기호화된다. 상기 I/F(36)는 정착을 요구하기 위해 징수 요구 정보(c)에 수신된 어드레스(전화 번호)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징수 장치(18)를 요청하도록 생성된다.
상기 I/F(36)는 휴대용 전화(14)가 CPU(32)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징수 장치(18)의 어드레스로 전화를 걸게 한다.
상기 휴대 전화(14)는 I/F(36)에 의해 전화가 걸어진다. 징수 장치(18)의 어드레스로 전화가 걸어질 때, 징수 요구 정보(c) 및 차량 식별 정보(d)는 장거리 통신을 사용하여 징수 장치(18)로 전송된다. 차량 식별 정보(d)가 기호화되기 때문에, 30명의 관계자는 차량 번호를 인식할 수 없거나 변경할 수 없다. 징수 장치(18)로부터 전송된 징수 처리 결과(e)는 문자 데이터 또는 음성 데이터로 접수되거나 출력된다.
예를 들어, 내장 장치(12)와 휴대용 전화기(14)는 다음의 방식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임의의 다른 연결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내장 장치(12)와 휴대용 전화기(14)는 도5a 또는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PDC 케이블 또는 USB 케이블과 같은 케이블(40)을 통해 연결된다. 도5a는 내장 장치(12)가 케이블(40)을 사용하여 휴대용 전화기(14)에 직접 연결된 예를 도시한다. 도5b는 내장 장치(12)와 휴대용 전화기(14)가 휴대용 전화기(14)를 케이블(40)을 통해 내장 장치(12)에 연결된 커넥터(42)로 연결함으로써 연결되는 예를 도시한다.
제2 예로서, 블루투쓰 또는 적외선 시스템과 같은 무선 시스템이 도5c 또는 도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된다. 도5c는 내장 장치(12)가 무선으로 휴대용 전화기(14)와 통신 가능한 예를 도시한다. 도5d는 내장 장치(12)가 휴대용 전화기(14)를 내장 장치(12)와 무선 통신될 수 있는 커넥터(44)에 부착함으로써 무선으로 휴대용 전화기(14)와 통신될 수 있다.
제3 예로서, 내장 장치(12)와 휴대용 전화기(14)는 도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전화기(14)를 내장 장치(12)에 직접 부착함으로써 연결된다.
이와 달리,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전화기(14)의 기능을 구비한 기판(38)이 휴대용 전화기(14)를 제거하기 위해 내장 장치(12)에 병합될 수 있다.
도7의 기능적 블록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징수 장치(18)는 수신/해독부(46), 인증부(48), 징수 처리부(50) 및 징수 처리 결과 전송부(52)를 포함한다.
수신/해독부(46)는 징수 요구 정보(c) 및 차량(10)의 휴대용 전화기(14)로부터 전송된 차량 식별 정보(d)를 수신하여 해독하고 그 해독 결과를 인증부(48)로 출력한다. 수신/해독부(46)는 또한 다수 판 판독 센서(26)에서 도로측 장치(16)로출력된 인식 정보(b)를 도로측 장치(16)로부터 습득하여 그 인식 정보(b)를 인증부(48)로 출력한다.
인증부(48)는 수신/해독부(46)로부터 출력된 해독 결과에 기초해서 차량을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를 수신/해독부(46)로부터 출력된 인식 정보(b)와 비교한다. 인식된 차량이 식별 정보(b)의 내용과 일치할 때, 인증부(48)는 그 해독 결과를 징수 처리부(50)로 출력한다.
징수 처리부(50)는 인증부(48)로부터 출력된 해독 결과에 기초해서 차량(10)에 대해 징수 처리를 실행하고 그 징수 처리 결과(e)를 징수 처리 결과 전송부(52)로 출력한다.
징수 처리 결과 전송부(52)는 징수 처리부(50)로부터 출력된 징수 처리 결과(e)를 장거리 통신을 사용하여 징수 요구 정보(c) 및 차량 식별 정보(d)의 전송원으로서 차량(10)으로 복귀한다.
상기 장치를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통행료 징수 방법을 사용하는 통행료 징수 시스템이 도8에 도시된 데이터 플로우 및 도9에 도시된 플로우 차트의 관점을 참조하여 다음에 설명될 것이다.
유료 도로(22)를 통해 진행하고 있는 차량(10)이 징수 영역(17)에 진입할 때, 차량 센서(24)는 차량(10)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a)를 도로측 장치(16)로 출력한다. 또한, 번호판 판독 센서(26)는 번호판(27)을 인식하고 인식 정보(b)를 도로측 장치(16)로 출력한다[단계(S1)].
감지 신호(a) 및 인식 정보(b)를 수신함과 동시에, 도로측 장치(16)는 인식정보(b)에 의거하여 징수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도로측 장치(16)는 징수 장치(18)의 어드레스(전화 번호)를 징수 정보에 추가하고 정보를 기호화하여, 징수 요구 정보(c)를 생성한다. 징수 요구 정보(c)는 단거리 범위 통신에 의해 차량내 내장 장치(12)로 전송된다. 또한, 인식 정보(b)는 징수 장치(18)로 출력된다[단계(S2)].
전송된 징수 요구 정보(c)는 내장 장치(12) 내의 단거리 범위 수신기(30)에 의해 수신되고 CPU(32)로 전달된다. CPU(32)는 단거리 범위 수신기(30)로부터 전달된 징수 요구 정보(c)에 의거하여 징수 요구가 거절되어야 하는지 승인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단계(S3)].
즉, 중형차가 대형차에 대한 징수액을 청구받고 징수액이 부정확할 때. 요구는 거절된다[단계(S4)에서의 아니오]. 이러한 경우에, 본 실시예에 따른 통행료 징수 방법을 사용하는 통행료 징수 시스템을 사용하는 징수 처리는 수행되지 않는다. 통상적으로, 유인 통행료 징수소 내의 통행료 징수자에게 통행료가 직접 지불됨으로써, 통행료 징수가 완료된다.
만약 징수 요구 정보(c)가 일치한다면[단계(S4)에서의 예], 징수 요구 정보(c)는 승인되고 메모리(34) 내에 저장된다. 또한, 차량 식별 정보(d)가 차량 번호를 기호화함으로써 내장 장치(12)에 대해 고유하게 생성된다.
I/F(36)는 이동식 전화기(14)로 하여금 징수 요구 정보(c) 내에 보유된 어드레스(전화 번호)로 전화를 걸게 한다[단계(S5)]. 징수 요구 정보(c) 및 차량 식별 정보(d)는 장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이동식 전화기(14)로부터 징수 장치(18)로 전송된다[단계(S6)].
휴대 전화(14)로부터 전송된 징수 요구 정보(C) 및 차량 식별 정보(d)는 징수 장치(18)에서 수신/해독부(46)에 의해 수신 및 판독된 다음 인증부(48)로 출력된다. 인증부(48)는 판독 결과에 기초하여 차량을 인식한다. 차량 인식 결과는 단계(S2)에서 도로측 장치로부터 출력된 인식 정보(b)와 비교된다[단계(S7)]. 비교 결과가 일치할 때[단계(S8)에서 예], 판독 결과는 징수 처리부(50)로 산출된다.
만약 비교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다면[단계(S8)에서 아니오], 본 실시예에 따른 통행료 징수 방법으로 통행료 징수 시스템을 사용하여 징수 처리가 수행되지 않는다. 통행료 수집은 대개 유인 통행료 징수소에서 통행료 수집기로 통행료를 직접 지불함으로써 행해진다.
징수 처리부(50)는 인증부(48)로부터 출력된 판독 결과에 기초하여 차량(10)에 대해 징수 처리를 수행하고 징수 처리 결과를 전송부(52)로 징수 처리 결과(e)를 산출한다[단계(S9)].
징수 처리 결과(e)는 징수 요구 정보(c)의 전송 공급원 및 장거리 통신을 이용하는 차량 식별 정보(d)로서 징수 처리 결과 전송부(52)로부터 차량(10)으로 복귀된다[단계(S10)].
징수 처리 결과 전송부(52)로부터 전송된 징수 처리 결과(e)는 휴대 전화(14) 및 문자 데이터로서 휴대 전화(14)의 화상 스크린 상에 출력 또는 음성 데이터로서 휴대 전화(14)의 화자로부터의 출력에 의해 수신된다[단계(S11)]. 이러한 작동에서, 차량(10)의 승객은 정확히 행해진 징수 처리를 인식한다.
징수 처리 결과(e)를 확인하기 위해서, 휴대 전화(14)로 항상 반환될 필요는 없다. 대신, 차량(10)의 승객은 징수 처리 결과(e)를 확인하기 위해 징수 장치(18)로 임의로 접근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휴대 전화(14)에 의해 수신된 징수 처리 결과(e)는 내장 장치(12)로 전환될 수 있으며 내장 장치(12) 상에 음성 데이터로 출력 또는 표시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통행료 징수 방법을 이용하는 통행료 징수 시스템에서, 도로측 장치(16)와 통신하는 내장 장치(12)가 배치되므로, 징수 장치(18)는 차량(10)의 정확한 위치를 측정할 수 있고 상기 기능에 의해 차량 모델을 상술할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한 통행료는 존재될 수 있다.
내장 장치(12)와 도로측(15)에 배치된 도로측 장치(16) 사이의 통신은 도로측 장치(16)로부터 내장 장치(12)측으로 단지 다운링크식 통신으로서만 실행된다. 또한, 통신은 단거리 범위 통신으로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내장 장치(12)는 장거리 통신 기능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저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장거리 통신에서의 통신량이 감소될 수 있다.
도로측 장치(16) 및 내장 장치(12)는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보안을 보장하도록 상호간에 인증을 필요로 한다.
내장 장치(12)는 휴대용 전화기(14)로 전화하여 도로측 장치(16)로부터 징수 장치(18)로 수납된 징수 요구 정보(c)를 전송할 수 있다. 운전자는 운전하는 동안 손수 휴대용 전화기(14)로 전화할 필요가 없으므로, 운전 안전성이 방해받지 않는다.
즉, 장거리 통신은 휴대형 전화기(14)로 행해지며, 단거리 범위 통신은 차내 장치(12)에 의해 행해진다. 이러한 장치로, 운전하는 동안 전체적인 시스템의 신뢰성 및 안전성은 향상될 수 있고, 반면에 내장 장치(12)의 비용을 감소시킨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도10 내지 도12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행료 징수 시스템은 휴대형 전화기(14)의 장치에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행료 징수 방법을 사용하는 통행료 징수 시스템과 상이하다.
이에 따라, 상이한 장치가 도10을 참조하여 설명되며, 동일한 부품의 반복적인 기술은 생략될 것이다.
도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통행료 징수 방법을 사용하는 통행료 징수 시스템이 적용되는 내장 장치(12) 및 휴대형 전화기(14)의 기능 블록도의 예이다. 휴대형 전화기(14)는 전송기/수신기(54), CPU(56) 및 IC 카드(58)로 구성된다.
전송기/수신기(54)는 정상적인 음성 통신을 수행하고, 또한 데이터를 내장 장치(12) 및 징수 장치(18)로/으로부터 전송/수신한다. 전송기/수신기(54)는 CPU(56)와 협력하여 데이터 전송/수신을 수행한다. 내장 장치(12)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자마자, 전송기/수신기(54)는 CPU(56)로 수신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반면에, 전송기/수신기(54)는 CPU(56)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징수 장치(18)로 수신된 데이터를 전송한다.
CPU(56)는 IC 카드(58)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또는 전송기/수신기(54)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IC 카드(58)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한다. 전송기/수신기(54)가 데이터를 수신할 때, CPU(56)는 전송기/수신기(54)에 필요한 데이터를 전달한다.
IC 카드(58)는 휴대용 전화기(14)에서/으로부터 부착/탈착할 수 있는 데이터 재기록가능한 저장 매체이다. 통행로(22)의 통행료에 대응하는 통행 요금이 IC 카드(58)에 기록된다. 통행료가 지불되면, 통행료에 대응하는 통행 요금을 차감함으로써 결산이 행해진다. 사용자는 통행료에 대응하는 통행 요금이 기록되는 IC 카드(58)를 가스 스테이션 또는 서비스 구역과 같은 소정의 시설에서 구입할 수 있다. 또한, 대응하는 통행 요금은 소정의 시설에서 해당 요금을 지불함으로써 추가적으로 기록될 수 있다.
I/F(36)로부터 송신기/수신기(54), CPU(56) 및 IC 카드(58)를 갖는 휴대용 전화기(14)으로 다이얼 요구가 발생될 때 수행되는 작업이 도11에 도시된 데이터 흐름도와 도12에 도시된 프로우차트를 참조하여 기술된다. 도11과 도12에 도시된 단계(S21) 내지 단계(S24)는 도8과 도9에 도시된 단계(S1) 내지 단계(S24)와 동일하다.
징수 요구 정보(c)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단계(S24)에서의 예], 다이얼 요구가 I/F(36)로부터 휴대용 전화기(14)으로 보내진다. 이러한 다이얼 요구가 송신기/수신기(54)에 의해 수신된다[단계(S25)].
송신기/수신기(54)가 다이얼 요구를 수신할 때, CPU(56)는 IC 카드(58)의 잔여 통행 요금을 확인하고 확인된 결과를 송신기/수신기(54)로 출력한다. 송신기/수신기(54)는 징수 장치(18)를 호출하여, 징수 요구 정보(c)와 IC 카드(58)의 잔여 통행 요금 정보(g)를 광범위 통신을 사용하여 징수 장치(18)로 전달한다[단계(S26)].
휴대용 전화기(14)의 의해 전달된 잔여 통행 요금 정보(g)와 징수 요구 정보(c)는 징수 장치(18)의 수신/해독부(46)에 의해 수신 및 판독되어 인증부(48)으로 출력한다. 인증부(48)은 판독의 결과에 기초하여 차량을 인식한다. 차량 인식 결과는 단계(S22)의 도로측 장치(16)로부터 출력된 인식 정보(b)와 비교된다[단계(S27)]. 만일 일치하지 않을 경우[단계(S28)에서의 예], 통행료는 IC 카드(58)의 잔여 통행 요금으로부터 징수되고[단계(S29)에서의 예], 지불 처리 정보(h)가 통행료에 대응하는 통행 요금을 회수하기 위해 전송원으로서의 휴대용 전화기(14)의 송신기/수신기(54)로 전송된다[단계(S30)].
단계(S27)에서의 비교 결과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단계(S28)에서의 아니오], 본 실시예에 따른 통행료 지불 방법을 사용하는 통행료 지불 시스템을 사용하는 지불 처리가 수행되지 않는다. 통행료 징수는 통상적으로 사람이 있는 통행료부스 내의 통행료 징수기로 통행료를 직접 지불하여 행해진다.
단계(S27)에서의 비교 결과가 불일치성을 포함하지 않고[단계(S28)에서 예], 통행료가 IC 카드(58)의 잔여 통행 요금로부터 수집될 수 없다면[단계(S29)에서 아니오], 전송원으로서의 차량(10)에 대한 징수 처리는 제1 실시예의 단계(S9)에서 설명된 방식으로 행해진다[단계(S34)]. 제1 실시예의 단계(S10)에 설명된 바와 같이, 징수 처리 결과(e)는 광범위 통신을 사용하는 전송원으로서의 차량(10)의 휴대용 전화기(14)로 복귀된다[단계(S35)].
단계(S30)에서 징수 장치(18)로부터 복귀된 징수 처리 정보(h)는 전송기/수신기(54)에 의해 수신된다. CPU(56)는 징수 처리 정보(h)에 기초하여 IC 카드(58)의 잔여하는 통행 요금로부터의 통행료에 대응하는 통행 요금을 감소시키고 IC 카드(58)의 잔여 통행 요금을 갱신한다[단계(S31)]. 또한, 징수 장치(18)에는 전송기/수신기(54)에 의해 인출 결과 정보(j)와 같은 갱신된 통행 요금이 통지된다[단계(S32)].
전송기/수신기(54)로부터 전송된 인출 결과 정보(j)를 수신할 때, 징수 장치(18)는 결산이 완료된 것을 인식한다[단계(S33)].
전술된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통행료 징수 방법을 사용하는 통행료 징수 시스템이 전술된 구성을 갖기 때문에, 제1 실시예에서 얻어진 효과와 기능은 IC 카드(58)를 사용하여도 얻어질 수 있다.
추가의 장점 및 수정이 이 분야의 숙련자에게는 용이하게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광범위한 태양에서 본 발명은 특정 세부 사항과 여기에 도시되고 설명된 대표적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와 이들의 동등물에 의해 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의 범위 또는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수정이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내장 장치의 비용을 줄이는 동시에 전체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2)

  1. 통행료 징수 시스템이며,
    도로측 장치와,
    차량 내에 배치될 수 있는 내장 장치와,
    휴대용 전화기와,
    징수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도로측 장치는 징수 영역에 진입한 차량을 감지하여 징수 장치와 적어도 통행료 정보를 포함하는 징수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내장 장치는 상기 도로측 장치로부터 전송된 징수 정보를 수신하고 차량을 식별하도록 차량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징수 정보와 차량 식별 정보를 수신된 징수 정보가 포함된 어드레스로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상기 휴대용 전화기로 출력하고,
    상기 휴대용 전화기는 상기 내장 장치로부터 출력된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징수 정보와 차량 식별 정보를 상기 어드레스로 전송하고,
    상기 징수 장치는 상기 휴대용 전화기로부터 전송된 징수 정보와 차량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차량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을 식별하고 식별된 차량의 징수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징수 장치는 차량 식별 정보와 징수 정보의 전송원으로서의 상기 휴대용 전화기로 징수 처리 결과를 전송하고, 상기 휴대용 전화기는 상기 징수 장치로부터 전송된 징수 처리 결과를 수신하여 징수 처리 결과를 표시하거나 음성 데이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장치는 상기 휴대용 전화기보다 단거리 범위에서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차량에 배치된 내장 장치와 휴대용 전화기를 사용하는 통행료 징수 시스템이며,
    도로측 장치와,
    수신 장치와,
    차량 식별 장치와,
    징수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도로측 장치는 징수 영역에 진입한 차량을 감지하여 징수 장치와 적어도 통행료 정보를 포함하는 징수 정보를 감지된 차량에 전송하고,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도로측 장치로부터 전송된 징수 정보의 수신시 내장 장치에 의해 생성된 차량의 차량 식별 정보와, 내장 장치에 의해 휴대용 전화기로부터 상기 어드레스로 전송된 징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 식별 장치는 상기 수신 장치에 의해 수신된 차량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식별 정보와 징수 정보의 전송원으로서 차량을 식별하고,
    상기 징수 장치는 상기 수신 장치에 의해 수신된 징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식별 장치에 의해 식별된 차량에 대한 징수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징수 장치는 차량 식별 정보와 징수 정보의 전송원으로서의 휴대용 전화기로 징수 처리 결과를 전송하고, 상기 휴대용 전화기는 징수 장치로부터 전송된 징수 처리 결과를 수신하고 징수 처리 결과를 표시하거나 음성 데이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장치는 휴대용 전화기보다 단거리 범위에서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도로측 장치, 징수 장치 및 차량에 배치된 휴대용 전화기와 내장 장치를 사용하는 통행료 징수 시스템이며,
    상기 내장 장치는
    징수 장치와 적어도 통행료 정보를 포함하는 도로측 장치로부터 전송된 징수 정수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차량의 차량 식별 정보와 함께 징수 정보를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징수 정보 내에 포함된 어드레스로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상기 휴대용 전화기로 출력하는 지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전화기는 상기 지시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식별 정보와 함께 징수 정보를 상기 어드레스로 전송하고, 전송된 징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징수 장치에 의해 처리되고 징수 장치로부터 복귀된 징수 처리 결과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화기는 수신된 징수 처리 결과를 표시하거나 음성 데이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장치는 휴대용 전화기보다 단거리 범위에서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장치는 휴대용 전화기보다 단거리 범위에서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통행료 징수 방법이며,
    차량 센서에 의해 징수 영역에 진입한 차량을 감지하고 징수 장치와 적어도 통행료 정보를 포함하는 징수 정보를 도로측 장치로부터 감지된 차량에 전송하는 단계와,
    차량에 배치된 내장 장치가 전송된 징수 정보를 수신하게 하는 단계와,
    차량을 내장 장치로부터 식별하기 위한 차량 식별 정보와 징수 정보를 내장장치로부터 내장 장치와 통신 가능한 휴대용 전화기로 출력하는 단계와,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내장 장치로부터 휴대용 전화기로, 휴대용 전화기로부터 출력된 징수 정보와 차량 식별 정보를 징수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징수 장치가 차량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을 식별하게 하고 징수 정보에 기해 식별된 차량에 대해 징수 처리를 수행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징수 장치는 차량 식별 정보와 징수 정보의 전송원으로서의 휴대용 전화기로 징수 처리 결과를 전송하고, 상기 휴대용 전화기는 징수 장치로부터 전송된 징수 처리 결과를 수신하여 징수 처리 결과를 표시하거나 음성 데이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내장 장치는 휴대용 전화기보다 단거리 범위에서 통신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통행료 징수 방법이며,
    차량 센서에 의해 징수 영역에 진입한 차량을 감지하고 적어도 통행료 정보와 징수 장치의 어드레스를 포함한 징수 정보를 도로측 장치로부터 감지된 차량에 전송하는 단계와,
    차량에 배치된 내장 장치가 전송된 징수 정보를 수신하게 하는 차량을 식별하도록 차량 식별 정보를 생성하게 하는 단계와,
    내장 장치와 통신 가능한 휴대용 전화기가 내장 장치에 의해 수신된 징수 정보와 내장 장치에 의해 생성된 차량 식별 정보를 어드레스로 전송하게 하는 단계와,
    징수 장치가 휴대용 전화기로부터 전송된 차량 식별 정보와 징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차량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차량을 식별하고, 식별된 차량에 대한 징수 처리를 실행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징수 장치는 차량 식별 정보와 징수 정보의 전송원으로서의 휴대용 전화기로 징수 처리 결과를 전송하고, 상기 휴대용 전화기는 징수 장치로부터 전송된 징수 처리 결과를 수신하여 징수 처리 결과를 표시하거나 음성 데이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장치는 휴대용 전화기보다 단거리 범위에서 통신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통행료 징수 방법이며,
    차량 센서가 징수 영역에 진입한 차량을 감지했을 때, 차량에 배치된 내장 장치가 징수 장치의 어드레스와 적어도 통행료 정보를 포함한 징수 정보를 감지된 차량에 전송하는 도로측 장치로부터 전송된 징수 정보를 수신하고 내장 장치가 차량을 식별하도록 차량 식별 정보를 생성하게 하는 단계와,
    내장 장치로 하여금 차량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을 식별하고 식별된 차량에 대한 징수 처리를 수행하는 징수 장치에 징수 정보와 차량 식별 정보를 전송하도록 내장 장치와 통신 가능한 휴대용 전화기가 징수 정보와 차량 식별 정보를 어드레스로 전송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징수 장치는 차량 식별 정보와 징수 정보의 전송원으로서의 상기 휴대용 전화기로 징수 처리 결과를 전송하고, 상기 휴대용 전화기는 상기 징수 장치로부터 전송된 징수 처리 결과를 수신하여 징수 처리 결과를 표시하거나 음성 데이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장치는 휴대용 전화기보다 단거리 범위에서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도로측 장치, 징수 장치 및 차량 내에 배치된 휴대용 전화기와 내장 장치를 사용하는 통행료 징수 방법이며,
    휴대용 전화기로 하여금, 차량 센서가 차량이 징수 영역에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면 징수 장치의 어드레스와 적어도 통행료 정보를 포함하는 징수 정보를 전송하는 도로측 장치로부터 전송된 징수 정보를 수신하고, 차량을 식별하도록 차량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수신된 징수 정보와 함께 생성된 차량 식별 정보를 휴대용 전화기에 출력하는 내장 장치로부터 출력된 차량 식별 정보와 함께 징수 정보를, 차량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을 식별하고 징수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차량에 대해 징수 처리를 수행하는 징수 장치로 전송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징수 장치는 차량 식별 정보와 징수 정보의 전송원으로서의 상기 휴대용 전화기로 징수 처리 결과를 전송하고, 상기 휴대용 전화기는 상기 징수 장치로부터 전송된 징수 처리 결과를 수신하여 징수 처리 결과를 표시하거나 음성 데이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장치는 휴대용 전화기보다 단거리 범위에서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2-0067460A 2001-11-08 2002-11-01 통행료 징수 시스템 및 통행료 징수 방법 KR1005270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43190 2001-11-08
JPJP-P-2001-00343190 2001-1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8403A true KR20030038403A (ko) 2003-05-16
KR100527016B1 KR100527016B1 (ko) 2005-11-09

Family

ID=19156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7460A KR100527016B1 (ko) 2001-11-08 2002-11-01 통행료 징수 시스템 및 통행료 징수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23879B2 (ko)
KR (1) KR100527016B1 (ko)
CN (1) CN1287548C (ko)
SG (1) SG103889A1 (ko)
TW (1) TWI22676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06795A (zh) * 2013-01-16 2013-05-15 苏州正华电子电器成套设备厂 一种基于ic卡的车辆管理系统
KR20200060439A (ko) * 2017-10-31 2020-05-29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정보 중계 장치, 요금 수수기, 미디어, 차량 탑재 기기, 및 노측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414280B (de) * 2002-09-12 2006-11-15 Siemens Ag Oesterreich Verfahren zur identifikation eines mautpflichtigen strassenabschnittes
US11257094B2 (en) 2002-10-23 2022-02-22 Catalina Marketing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a media delivery services platform for targeting consumers in real time
US9811836B2 (en) 2002-10-23 2017-11-07 Modiv Media, Inc System and method of a media delivery services platform for targeting consumers in real time
US10657561B1 (en) 2008-08-20 2020-05-19 Modiv Media, Inc. Zone tracking system and method
US10430798B2 (en) 2002-10-23 2019-10-01 Matthew Volpi System and method of a media delivery services platform for targeting consumers in real time
US8783561B2 (en) 2006-07-14 2014-07-22 Modiv Media, Inc. System and method for administering a loyalty program and processing payments
US8626130B2 (en) * 2005-08-23 2014-01-07 Modiv Media, Inc. System and method for user controlled log-in; interacting and log-out
JP4158894B2 (ja) * 2002-10-28 2008-10-01 三菱電機株式会社 路車間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US7382277B2 (en) 2003-02-12 2008-06-03 Edward D. Ioli Trust System for tracking suspicious vehicular activity
JP2005108153A (ja) * 2003-10-02 2005-04-21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情報サービスシステム
AU2005242715B2 (en) 2004-05-10 2009-12-03 American Traffic Solutions Consolidated, L.L.C. Toll fee system and method
US20060069609A1 (en) * 2004-09-16 2006-03-30 Chiou Ta-Gang Automatic handset toll collection mechanis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768753B2 (en) 2005-09-07 2014-07-01 Rent A Toll, Ltd.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billing tolls
WO2007030445A2 (en) * 2005-09-07 2007-03-15 Rent-A-Toll, Ltd.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billing
GB2430065A (en) * 2005-09-09 2007-03-14 Kelem Ashley Iregbulem Device for alerting a driver that they have entered a specific area, storing details about the entry with follow up warnings based on the stored data
WO2007044960A2 (en) * 2005-10-13 2007-04-19 Rent-A-Toll, Ltd. Method and system for billing based on duration of a service period
US8768754B2 (en) * 2006-01-09 2014-07-01 Rent-A-Toll, Ltd. Billing a rented third party transport including an on-board unit
WO2007081833A2 (en) 2006-01-09 2007-07-19 Rent A Toll, Ltd. Billing a rented third party transport including an on-board unit
CA2652141C (en) * 2006-05-18 2015-11-03 Rent A Toll, Ltd. Determining a toll amount
US20070285280A1 (en) * 2006-06-07 2007-12-13 Rent-A-Toll, Ltd. Providing toll services utilizing a cellular device
DE102006029383A1 (de) * 2006-06-27 2008-01-03 Deutsche Telekom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Gewährleistung des Datenschutzes bei der Offboard Mauterfassung
JP4366382B2 (ja) * 2006-08-02 2009-11-1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充電システム
US7774228B2 (en) * 2006-12-18 2010-08-10 Rent A Toll, Ltd Transferring toll data from a third party operated transport to a user account
JP4375415B2 (ja) * 2007-02-28 2009-12-02 株式会社デンソー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車載装置及び端末
DE08740854T1 (de) * 2007-04-27 2010-08-26 Kabushiki Kaisha Kenwood, Hachioji Einrichtung im fahrzeug und kommunikationsverfahren
WO2010042923A1 (en) * 2008-10-10 2010-04-15 Rent A Toll,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vehicular violations
US9396462B2 (en) 2008-12-22 2016-07-19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roaming billing for electric vehicles
US8315930B2 (en) 2008-12-22 2012-11-20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using broadband over powerlines
US8583551B2 (en) * 2008-12-22 2013-11-12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prepaid electric metering for vehicles
US20100161518A1 (en) * 2008-12-22 2010-06-24 Nathan Bowman Littrell Electricity storage controller with integrated electricity meter and methods for using same
US9030153B2 (en) 2008-12-22 2015-05-12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energy to an electric vehicle with parking fee collection
US9505317B2 (en) 2008-12-22 2016-11-29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billing using a wireless vehicle communication service
US20100161517A1 (en) * 2008-12-22 2010-06-24 Nathan Bowman Littrell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icity metering for vehicular applications
CN102280032B (zh) * 2010-06-13 2014-01-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通行管理系统、方法及装置
TWI427559B (zh) 2010-09-06 2014-02-21 Ind Tech Res Inst 多車道自由車流電子收費系統及其車機
CN102456234B (zh) * 2010-10-14 2014-12-31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多车道自由车流电子收费系统及其车机
US20120295592A1 (en) * 2011-05-17 2012-11-22 General Motors Llc Vehicle Component Identification and Configuration Registry Reporting System
US9348381B2 (en) 2011-10-19 2016-05-24 Zeco Systems Pte Lt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JP6086651B2 (ja) * 2012-03-26 2017-03-01 三菱重工メカトロシステムズ株式会社 車両番号データ処理システム、車両番号データ処理方法、車両番号データ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140002652A1 (en) * 2012-05-21 2014-01-02 Amtech Systems, LLC System and method for in vehicle lane determination using cmos image sensor
US20140310074A1 (en) * 2013-04-12 2014-10-16 Amtech Systems, LLC Apparatus for infrastructure-free roadway tolling
CN103400423B (zh) * 2013-08-01 2016-07-06 广州华工信息软件有限公司 基于分布式计算的高速公路逃费稽查系统及方法
PL2927879T3 (pl) * 2014-04-03 2021-08-23 Scheidt & Bachmann Gmbh Sposób wykrywania użytkowania pojazdów, zależnego od odległości
US10031582B2 (en) * 2014-06-05 2018-07-24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induced electrostatic haptic effects
CN105631946A (zh) * 2015-11-24 2016-06-01 东莞酷派软件技术有限公司 停车场收费的方法、停车场收费的系统和终端
US9928696B2 (en) 2015-12-30 2018-03-27 Immersion Corporation Externally-activated haptic devices and systems
CN106127868A (zh) * 2016-06-17 2016-11-16 河北优思智能交通设备科技有限公司 基于车牌识别技术的高速收费站不停车收费系统
CN107301684A (zh) * 2017-07-26 2017-10-27 广东兴达顺科技有限公司 一种收费处理方法及服务器
TWI679598B (zh) * 2018-08-09 2019-12-11 中國信託商業銀行股份有限公司 行動支付系統及其支付方法
US10984303B2 (en) * 2019-09-03 2021-04-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creased security f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ransactions
CN112132987A (zh) * 2020-09-27 2020-12-25 安徽达尔智能控制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车路协同技术的智慧高速控制系统
CN112950928A (zh) * 2020-12-30 2021-06-11 北京中科神探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高速公路倒卡逃费行为的数据分析方法
CN114863692B (zh) * 2022-04-18 2023-10-27 广州天长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局部特征对齐的车纹识别逃费稽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9801A (ja) * 1993-11-08 1995-05-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料金自動支払装置
GB9401924D0 (en) 1994-02-01 1994-03-30 Jonhig Ltd System for road toll payment
JP3552171B2 (ja) 1994-06-21 2004-08-11 富士通株式会社 料金自動精算システム並びに同システム用無線通信機能付き記憶媒体,同システム用周波数変換装置,同システム用書込装置,同システム用決済装置,同システム用入金装置および同システム用照会装置
JPH09190554A (ja) 1996-01-11 1997-07-22 Nec Corp 有料道路料金徴収方式
US6140941A (en) * 1997-01-17 2000-10-31 Raytheon Company Open road cashless toll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ransponders and cameras to track vehicles
JPH117562A (ja) * 1997-06-18 1999-01-12 Nec Corp 有料道路の携帯電話システム
DE19837488A1 (de) * 1998-08-12 2000-02-17 Mannesmann Ag Abbuchungsgerät zur Abrechnung von Nutzungsgebühren
JP3782242B2 (ja) * 1998-08-28 2006-06-07 株式会社東芝 料金収受システム、車載装置および料金収受方法
IT1306768B1 (it) 1999-01-27 2001-10-02 Marcello Federici Sistema di addebito automatico per mezzi di trasporto.
JP2001052218A (ja) 1999-08-11 2001-02-23 Hitachi Ltd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用車載器
JP3509664B2 (ja) * 1999-11-04 2004-03-22 株式会社デンソー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及びそのシステム用の車載器
AT412033B (de) 2000-02-08 2004-08-26 Efkon Entwicklung Forschung & Konstruktion Von Sondermaschinen Gmbh System zum automatischen verrechnen von gebühren
KR20010092381A (ko) * 2000-03-21 2001-10-24 니시무로 타이죠 요금 징수 시스템, 온-보드 유닛 및 요금 징수 방법
JP2002024885A (ja) * 2000-07-03 2002-01-25 Nec Corp 通行料金決済システム、運行管理システム、方法、および記録媒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06795A (zh) * 2013-01-16 2013-05-15 苏州正华电子电器成套设备厂 一种基于ic卡的车辆管理系统
KR20200060439A (ko) * 2017-10-31 2020-05-29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정보 중계 장치, 요금 수수기, 미디어, 차량 탑재 기기, 및 노측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03889A1 (en) 2004-05-26
TWI226768B (en) 2005-01-11
CN1427577A (zh) 2003-07-02
US20030105662A1 (en) 2003-06-05
CN1287548C (zh) 2006-11-29
US7123879B2 (en) 2006-10-17
KR100527016B1 (ko) 2005-11-09
TW200302005A (en) 2003-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7016B1 (ko) 통행료 징수 시스템 및 통행료 징수 방법
EP1477936A2 (en) Vehicle-installed terminal apparatus, communication payment method and payment management system thereof
US8138949B2 (en)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on-board unit, and terminal unit
US20020198767A1 (en) Fee collecting system and method for motor vehicle
JPH09190554A (ja) 有料道路料金徴収方式
WO2005093370A1 (en) Automatic toll pay system
JP3616050B2 (ja) 駐車場料金課金システム
KR20070103829A (ko) 위성항법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도로통행료 징수 방법/시스템과, 이 방법에 적용 가능한이동통신단말기 및 차량용 통행료 정산단말기
CN110766814A (zh) 车辆支付方法、装置及车辆钥匙
JP3509664B2 (ja)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及びそのシステム用の車載器
JP4747246B2 (ja) 通行料課金システム、車載器、及びホスト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KR101555993B1 (ko) 차량탑재 단말을 이용한 차량의 주차 요금 정산 시스템
KR20070080364A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택시 요금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40236685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charging for an electronic pre-paid car with positional determination (gps pre-paid card) for a dual gps based toll system
KR100820133B1 (ko) 휴대전화를 이용한 도로 통행료 후불제 징수시스템
JP4031676B2 (ja) 通行料課金システム、車載器、及び携帯電話
JPH08221622A (ja) 無線icカードシステム
KR20160049768A (ko) 차량용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하이패스 시스템 및 그 결제 방법
JP2001312754A (ja) Etc車載器
JP2002074432A (ja) 有料道路における自動料金課金システム及び料金所に設置される路側通信装置
KR20020038646A (ko) 모바일폰을 이용한 고속도로 통행료 징수 방법
KR20040078730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방식 통행료 처리장치
KR20050100298A (ko) 교통 시스템의 무선 데이터 통신 장치
KR100689329B1 (ko) 교통 시스템의 무선 데이터 통신 장치
KR100788192B1 (ko) 카드 충전 기능을 갖는 통행료 자동 징수 시스템용 온 보드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