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용차 운전석의 머리받침대 틸팅 구조
본 고안은 승용차 운전석등받이 상단부에 운전석등받이와 별도로 제작되어 운전석 등받이 상단부에 연결시켜서 운전자가 목을 뒤로 젖혀 휴식을 취하고자 할 때 일정한 각도로 틸팅되는 운전석의 머리받침대(SEAT HEAD REST)(S)에 대한 것으로서 종래에도 상기와 같은 용도로 머리받침대가 장착된 승용차운전석의 머리받침대가 제공되고 있으나, 그 틸팅장치구조가 복잡하여 제작공수가 많이 들고 따라서 제작비용이 많아지는 폐단이 있었으므로 당출원인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제 98-15156 호 ″승용차운전석의 머리받침대 틸팅구조″라는 명칭으로 출원을 하였던 바, 상기 당출원인의 선출원번호 제 98-15156 호의 권리등록청구의 범위는
″승용차 운전석에 설치되는 머리받침대(HEAD REST)의 틸팅동작을 하기 위한 틸팅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평면적으로 ″ㄷ″형 벽체(50)(50a)의 일측벽체(50) 내면에 대략 ″ㄱ″형 레칫(51)을 힌지(53)결합하되 레칫(51)의 타단은 잇발(51a) 길이를 다소 길게 하여 잇발(51a) 상부 선단을 경사단(52)을 형성하고 레칫(51) 선단 양측으로 돌간(52)(52a)을 돌설하되 벽체(50)측으로 돌설된 돌간(52)은 벽체(50)에 상하로 천설된 안내장공(54)에 관통되게 하여 상하운동이 자유롭게 하고 벽체(50)측의 반대측에 돌설된 돌간(52a)에는 돌간(52a)과 뒷측벽체(50b) 사이에 압축코일스프링(55)을 개재연결시키며 레칫(51) 하측에는 대략 상면 중도부에 다수개의 레칫잇발(51b)을 원주상으로 형성하고 레칫잇발(51b)의 외측면에는 선단부를 돌출시켜 돌출간(56)을 돌설하고 그 상부선단을 절곡하여 절곡돌기(57a)를 형성하여 레칫(51)의 상부선단에 형성된 경사단(51c) 요입모서리에 괘지되게 구성되는 레칫기어(57) 중도부에 지지돌기(60)를 돌설하고 이 돌기(60)는 ″ㄷ″형 벽면(50)에 천설된 안내장공(59)에 자유이동될 수 있게 삽입하며 고정지지간(58)의 ″ㄷ″형 벽체(50)(50a) 내측에 위치되는 고정지지간(58) 외주면에 코일스프링(61)을 권회개재하되 스프링(61) 일측 선단은 레칫기어(57) 중도부의 함입부(62)에 탄지고정되게 하고 스프링(61)의 타측선단은 벽체(50a) 상부중도부에 고정공(63)을 천설하여 이 고정공(63)에 삽입절곡하여 고정시키도록 장치가 구성된 승용차 운전석의 머리받침대(SEAT HEAD REST) 틸팅 구조″ 로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조구성으로 된 당출원인의 선출원고안은 일정한 길이의 ″ㄱ″형 레칫(51)의 일측선단은 힌지(53)로 회전자재하게 축설되고 타측선단은 그 좌우에 각각 돌간(52)(52a)을 돌설하여 돌간(52)은 ″ㄷ″형 경사작동구(R)의 일측 ″ㄷ″형 벽체(50) 상단에 천설된 안내장공(54) 내측에 수용되어 ″ㄱ″형 레칫(51)을 일정한 높이로 상하운동하게 하고 ″ㄱ″형 레칫(51) 타측선단의 다른 돌간(52a)은 압축코일스프링(55)이 항상 ″ㄱ″형 레칫(51)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탄지력이 작용되게 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사용시간이 지남에 따라 ″ㄱ″형 레칫(51)의 힌지부가 마모되어 헐거워지게 되어 코일스프링(55)의 탄지력에 의하여 ″ㄱ″형 레칫(51)의 잇발(51a)과 레칫기어(57)에 형성된 레칫잇발(51b)이 치합되지 못하고 이격되어 틸팅구조가 제구실을 하지 못하여 틸팅장치 자체의 신뢰성에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도 1 은 승용차 운전석의 머리받침대와 운전석상단의 일부절결단면개략도
도 2 는 종래 당출원인이 출원한 머리받침대의 일부절결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상으로 실시되는 머리받침대 틸팅구조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상으로 실시되는 머리받침대의 동작상태도로서
도 4a 는 틸팅이 되기 전의 초기상태를 나타낸 일부절결측면도
도 4b 는 머리받침대가 일정각도로 틸팅되어 있다가 틸팅상태에서 원위치로 복귀하기 위하여 머리받침대를 최대 틸팅각도까지 기울인 상태측면도
도 4c 는 도 4b 상태에서 머리받침대가 레칫잇발로 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최초의 상태로 복귀하고 있는 상태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R : ″ㄷ″형 경사작동구 1,1a : ″ㄷ″형 벽체
2,2a : 지지돌기 3 : 안내장공
5 : 절곡돌기 7,7a : 레칫잇발
8 : 힌지 9 : ″ㄱ″형 작동구
9a : ″ㄱ″형 작동구의 미단부 10 : 판스프링
10a : 절곡모서리 11 : 레칫기어
11a : 상승기어 12 : 고정지지간
13 : 경사단 L : 의자등받이
S : 머리받침대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당출원인의 선출원고안인 출원번호 제 98-15156 호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해결하고 구조를 보다 단순하게 하므로서 고장을 극소화시킨 개량고안으로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술하면 일정한 높이와 폭으로 된 ″ㄷ″형 경사작동구(R)에 있어서 ″ㄷ″형 벽체(1)(1a)의 하단부를 관통축설되는 고정지지간(12)이 축삽되고 ″ㄷ″형 벽체(1) 내면에 이 고정지지간(12)과 일체로 축설되는 레칫기어(11)를 연설하고 레칫기어(11) 상면주연부에는 다수개의 레칫잇발(7)을 삭설하며 레칫기어(11) 선단은 절곡돌기(5)가 절곡된 돌출간(6)을 형성하고 레칫기어(11) 타단은 레칫잇발(7a) 높이보다 현저히 높은 상승모서리(11a)를 형성하며 이 레칫잇발(7)과 치접되는 레칫잇발(7a)이 하향돌설된 ″ㄱ″형 작동구(9) 대략 중도부에 힌지(8)를 돌설하여 ″ㄷ″형 경사작동구(R)의 ″ㄷ″형 벽체에 회전자재하게 연통축설하고 ″ㄱ″형 작동구(9) 선단모서리측에 지지돌기(2)를 돌설하여 ″ㄷ″형 벽체에 천설한 안내장공(3)에 삽설되게 하되 이 ″ㄱ″형 작동구(9) 타측상부선단모서리는 그 각이 90°보다 현저히 작은 각이 될 수 있게 미단부(9a)를 상향형성하고 이 미단부(9a)와 대접되어 ″ㄱ″형 작동구(9)를 항상 압지하는 탄성력을 가진 판스프링(10)을 착설하여서 된다. 도면의 미설명부분은 당출원인의 선출원 고안내용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원고안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첨부한 도면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지지간(12)은 운전석의자등받이(C)에 내장고정되고 ″ㄷ″형 경사작동구(R)는 머리받침대(S) 내부에 장설되되 틸팅이 되기전 초기의 상태는 도면 도 4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ㄱ″형 작동구(9)의 레칫잇발(7a)이 레칫기어(11)의 레칫잇발(7)의 선단돌출간(6)에 치접되어 있고 ″ㄱ″형 작동구(9) 선단에 형성된 경사단(13)에 레칫기어(11) 돌출간(6) 선단의 절곡돌기(5)가 괘지되어 있으며 ″ㄱ″형 작동구(9)의 지지돌기(2a)는 ″ㄷ″형 경사작동구(R)의 ″ㄷ″형 벽체(1)에 천설된 안내장공(3)의 하단부에 개재,위치되고 판스프링(10)이 ″ㄱ″형 작동구(9)의 미단부(9a)를 탄지하고 있는 상태로서 머리받침대(S)를 필요한 각도로 후측으로 기울이므로서 틸팅되고 이때 고정지지간(12)과 고정적으로 축설된 레칫기어(11) 상면에 형성된 레칫잇발(7)에 ″ㄱ″형 작동구(9) 전방절곡부에 치접된 레칫잇발(7a)이 기울어진 적당한 각도의 레칫잇발(7)에 치접되어 적당한 기울기로 틸팅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운전자가 머리받침대(S)를 원위치시키고자 할 때 머리받침대(S)를 후방으로 최대한 기울이면 도면 도 4c 와 같이 ″ㄷ″형 경사작동구(R)가 고정지지간(12)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틸팅되고 이때 ″ㄷ″형 경사작동구(R)의 ″ㄷ″형 벽체(1)에 힌지(8)로 회전자재하게 축설된 ″ㄱ″형 작동구의 내측레칫잇발(7a) 선단면과 레칫기어(11) 상면 내측에 형성된 상승모서리(11a)가 대접하면서 ″ㄱ″형 작동구(9) 하단을 힌지(8)를 축으로 상측으로 밀어올리게 되고 ″ㄱ″형 작동구(9)에 천설된 안내장공(3) 상부선단까지 상승하며 ″ㄱ″형 작동구(9) 타측미단부(9a)는 판스프링(10)의 절곡모서리(10a)를 하향으로 이동하면서 탄지되게 된다. 이렇게 레칫잇발(7)과 잇발(7a)이 이격된 상태에서 ″ㄷ″형 경사작동구(R)를 원위치시키면 ″ㄱ″형 작동구(9) 또한 잇발(7)과 잇발(7a)이 이격된 상태로 원위치되다가 ″ㄱ″형 작동구(9)의 레칫잇발(7a) 선단면이 레칫기어(11) 상부선단에 형성된 절곡돌기(5)에 괘지되면서 힌지(8)를 축으로 하방으로 위치이동하고 이때 판스프링(10)의 모서리를 탄력적으로 상측으로 순간적으로 벋어나면서 도 4a 상태로 원위치되어 본원고안상의 틸팅동작을 하게 되므로 당출원인의 선출원고안에 비하여 현저히 간단한 구조로서 틸팅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보다 단순한 구조로 되면서도 고장이 없고 동작이 확실한 자동차운전석의 머리받침대 틸팅구조를 저렴한 제작비로 제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