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5666Y1 - 페라이트 코아가 내장된 디서브 콘넥타 - Google Patents

페라이트 코아가 내장된 디서브 콘넥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5666Y1
KR200215666Y1 KR2020000025669U KR20000025669U KR200215666Y1 KR 200215666 Y1 KR200215666 Y1 KR 200215666Y1 KR 2020000025669 U KR2020000025669 U KR 2020000025669U KR 20000025669 U KR20000025669 U KR 20000025669U KR 200215666 Y1 KR200215666 Y1 KR 2002156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sub
copper plate
connector
pin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56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업
Original Assignee
혜성전자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혜성전자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혜성전자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56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56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56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5666Y1/ko
Priority to US09/946,685 priority patent/US6641439B2/en
Priority to CN01131421A priority patent/CN1347171A/zh
Priority to PCT/KR2001/001522 priority patent/WO2002021639A1/en
Priority to EP01965739A priority patent/EP1250732A4/en
Priority to AU2001286308A priority patent/AU2001286308A1/en
Priority to JP2002525948A priority patent/JP2004508688A/ja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01R13/6588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with through openings for individual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ingle component
    • H01R13/663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ingle component with inductive component, e.g. transform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9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e.g. with filters
    • H01R13/719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e.g. with filters with ferrite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computer periph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컴퓨터 본체와 모니터를 연결하는 컴퓨터 시그날 케이블에 있어서 케이블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디서브 콘넥타(D-SUB-CONNECTOR)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서브 콘넥타 내측에 다수개의 페라이트 코아를 삽치하고, 코아와 코아 사이에 비자성체 동판을 내장시킨 것이다.
본 고안의 디서브 콘넥타에 내장된 페라이트 코아는 기존의 페라이트 코아를 둘로 나눈 것으로, 기존것에 비하여 코아의 두께가 1/2로 얇고, 또한 코아와 코아 사이에 자화현상을 감쇄시키는 비자성체 동판을 삽치토록 하므로써, 크기가 큰 페라이트 코아를 1개 내장했을 때보다 더욱더 자화현상을 감쇄시킬 수가 있는 것이며, 또한 상기 동판을 이용하여 디서브 내측에서 공통(COMMON)으로 접지시키는 작업을 행 할 수가 있어 종래에 비하여 작업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중의 효과를 갖는 것이며, 또한 종래 것보다 더 해상도에 영향을 주지 않고 E.M.I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가 있는 것이며, 쇼트나 내압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어 종래에 비하여 불량율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그 효과가 아주 우수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페라이트 코아가 내장된 디서브 콘넥타{computer signal cable D-Sub connector}
본 고안은 컴퓨터 본체와 모니터를 연결하는 컴퓨터 시그날 케이블에 있어서 케이블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디서브 콘넥타(D-SUB-CONNECTOR)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서브 콘넥타 내측에 다수개의 페라이트 코아를 삽치하고, 코아와 코아 사이에 비자성체 동판을 내장시킨 것이다.
종래 사용되고 있는 컴퓨터용 케이블은 전자파 장해 대책으로 도1 및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통형 페라이트 코아(30)를 케이블 외측에 삽치하고 그 외피를 합성수지로 몰딩함으로 인하여, 코아가 주렁 주렁 매달려 있게 되어 외관상 보기가 흉하였으며, 또한 컴퓨터 본체 뒤에 설치될 경우에도 케이블에 장착된 페라이트 코아 때문에 케이블이 부드럽게 구부려지지 않아 언제나 본체 뒤로 일정한 공간을 확보하여야만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고, 해상도에 영향을 전혀 미치지 않게 함과 동시에 제작공정을 간편하게 하고자 본 출원인이 실용신안으로 선출원(출원번호 제93-28350호, 제98-4627호)한 고안들이 있는 바, 본 고안은 상기 선출원 고안들을 개량 발전시킨 것으로서 그 효과 및 제작공정이 선출원 고안에 비하여 아주 월등히 향상된 것이다.
이하 본인이 선출원한 고안들을 살펴보는 바이다. 먼저 해상도를 좋게 하고자 선출원한 고안(도3참조)을 살펴보면, 상기 고안은 페라이트 코아(60)에 있어서 레드 홀과 레드 그라운드 홀, 그린 홀과 그린 그라운드 홀, 블루우 홀과 블루우 그라운드 홀을 일체로 서로 관통시킨 핀홀(10)을 구성시켜 페라이트 코아의 영향에 의한 임피던스 값의 변화를 없게 하므로서, 모니터의 해상도를 좌우하는 VIDEO COLOR SIGNAL의 상승시간(RISE TIME) 및 하강시간(FALL TIME)을 향상시켜 모니터의 해상도에 영향을 주지 않고 E.M.I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출원 고안은 페라이트 코아가 1개만 내장 되었으며, 또한 내장된 페라이트 코아의 두께가 약6㎜정도로, 그 두께가 두꺼워 최적의 효과를 내기에는 약간의 미비점이 있었다. 물론 상기 페라이트 코아의 경우도 도2와 같은 종래의 페라이트 코아에 비한다면 그 효과는 말할 수 없이 우수한 것이지만, 상기 페라이트 코아를 둘로 나누어 두께를 1/2로 얇게 하고 다수개 내장한 후, 코아와 코아 사이에 비자성체 동판을 삽치한 본 고안에 비하면 그 효과는 상당히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작업성을 좋게 하고자 개발된 고안(도4참조)을 살펴보면, 상기 고안은 다수개의 리드와이어 단자를 서로 공통(COMMON)으로 접지(GROUND)시킴에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접지 시키고자 전도율이 좋은 재질로 이루어진 가느다란 연결재(100)를 마련하고, 상기 연결재를 접지 시키고자 하는 핀홀과 핀홀 사이에 끼우도록 하므로서, 필요한 핀홀을 용이하게 접지시킨 것인바, 상기 고안은 3개의 리드와이어 접속단자를 직경이 0.7㎜정도 밖에 되지 아니하는 핀홀에 하나 하나 일일이 용접해야만 했던 종래 고안에 비하면 그 작업효과는 월등히 우수한 것이나, 이도 역시 핀홀과 핀홀 사이의 직경이 너무 좁아 그 틈 사이에 연결재를 끼우는 작업이 용이하지 아니하였다.
본 고안은 컴퓨터 본체와 모니터를 연결하는 컴퓨터 시그날 케이블에 있어서 케이블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디서브 콘넥타(D-SUB-CONNECTOR)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서브 콘넥타 내측에 다수개의 페라이트 코아를 삽치하고, 코아와 코아 사이에 비자성체 동판을 내장시킨 것이다.
본 고안의 디서브 콘넥타에 내장되는 다수개의 페라이트 코아는 기존 것에 비하여 코아의 두께가 1/2 이하로 얇고, 또한 코아와 코아 사이에 자화현상을 감쇄시키는 비자성체 동판을 삽치토록 하므로써, 크기가 큰 페라이트 코아를 1개 내장했을 때보다 더욱더 자화현상을 감쇄시킬 수가 있는 것이며, 또한 상기 동판을 이용하여 디서브 내측에서 공통(COMMON)으로 접지시키는 작업을 행할 수가 있어 종래에 비하여 작업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중의 효과를 갖는 것이며, 또한 종래 것보다 더 해상도에 영향을 주지 않고 E.M.I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가 있는 것이며, 쇼트나 내압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어 종래에 비하여 불량율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그 효과가 아주 우수한 고안인 것이다.
도1은 종래 페라이트 코아가 장착된 케이블의 사시도.
도2는 종래 페라이트 코아의 사시도.
도3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3-28350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8-4627호 고안에 있어서,
요부인 연결재가 부착된 디서브 콘넥타 단자의 배면도.
도5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의 디서브 콘넥타 분해사시도.
도7은 본 고안의 요부인 동판의 사시도.
도8은 본 고안의 디서브 콘넥타 단면도.
도9는 페라이트 코아에 접속핀이 통과할 때의 인덕턴스 상쇄도.
금속재 쉘(1)(2) 내측에 다수개의 접속핀(4)이 삽치되도록 다수개의 핀홀(9)이 형성된 고정판(5), 페라이트 코아, 인슈레이터(3)를 내장하되, 상기 페라이트 코아의 다수개의 핀홀중 2개의 핀홀을 서로 일체로 한 핀홀(10)을 적어도 3개이상 형성토록 한 페라이트 코아가 내장된 디서브 콘넥타에 있어서, 디서브 콘넥타 내측에는 페라이트 코아(6)(7)를 다수개 삽치하되, 상기 삽치된 페라이트 코아(6)와 코아(7) 사이에는 다수개의 핀홀이 형성된 동판(8)을 삽치하며, 상기 동판(8)의 일측에는 절곡된 접지부(8')를 마련하고 상기 접지부(8')가 금속재 쉘(2)에 접지되도록 한 디서브 콘넥타이다.
한편, 상기 동판(8)에 형성되는 핀홀은 그 크기가 서로 다른 바, 접지시켜야 할 핀이 통과하는 동판의 핀홀(9')은 핀(4)이 접촉될 수 있도록 핀홀의 직경을 작게 형성하며, 핀을 접지시키지 아니하고 그냥 통과시켜야 할 핀홀(9')은 핀이 닿지 않도록 그 핀홀의 직경 크기를 핀의 직경보다 크게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페라이트 코아 1개에 접속핀이 삽치될때의 작용,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도3 참조)
디서브 콘넥타에 삽치되는 페라이트 코아(60)에는 접속핀(4)이 삽치되는 다수개의 핀홀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홀은 단수핀이 통과하는 핀홀(9)과 복수핀(2핀)이 통과하는 핀홀(10)로 구성되어 있는바, 상기 복수핀이 통과하는 핀홀(10)은 신호의 비디오 칼라 시그날 신호인 R.G.B 신호가 통과하기 위한 핀홀이다. 원래 컴퓨터의 색도신호 R.G.B 신호는 동축선로로 전송되고, 상기 동축선로는 신호선로와 접지선로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선로가 각각의 핀홀에 삽치될 경우에는 발생되는 인덕턴스가 두배로 되어 그 부분에 시간의 지연이 발생한다. 이 시간 지연이 컬러용 브라운관의 경우 새도우 마스크를 통과하는 전자의 시간차가 색 엇갈림으로 되어 정확한 신호가 재현되지 않는다.
그러나 페라이트 코아에 있어, 복수핀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핀홀을 서로 관통시켜 길게 연결시키면 인덕턴스는 왕복에서 자계적으로 캔슬되어서, 인덕턴스는 제로로 되며, 시간 지연은 일어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를 도면을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페라이트 코아를 통과하는 접속핀의 인덕턴스의 캔슬효과를 표시한 것으로, 페라이트 코아의 관통된 핀홀 부위에 두개의 접속핀이 평형하게 통과하고 있다. 이 접속핀에 신호 전류를 흘리면, A의 화살표 방향으로 흐르며, 반대로 또 한 방향의 신호는 B의 화살표 방향으로 흐른다. 따라서, 이 접속핀의 주위에는 48, 49와 같이 자력선이 발생하게 된다. 48에 표시한 자력선을 우회전 방향하면 자력선 방향은 49와 같이 반대로 된다. 또한 페라이트 코아의 자성체로 포위된 거리 L부의 부분은 정(+), 부(-)의 부분에서 캔슬되어 영이 된다. 따라서 복수핀이 통과하는 핀홀(10) 내부에는 인덕턴스가 서로 지워져서 영이 된다. 이 일로 인하여 인덕턴스 성분이 없으므로 신호의 시간 지연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며, 또한 고주파 신호 노이즈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시간 늦음이 적음으로 CRT에 영상을 재현할 경우 색도의 엇갈림이 발생하지 않음으로 해상도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 선명한 화상을 CRT에 비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페라이트 코아부의 레드 홀과 레드 그라운드 홀, 그린 홀과 그린 그라운드 홀, 블루우 홀과 블루우 그라운드 홀을 일체로 서로 관통시켜 줌으로써, 페라이트 코아의 영향에 의한 인덕턴스 값의 성분이 영이 되고 모니터의 해상도를 좌우하는 Video Color Signal 의 상승시간(Rise Time) 및 하강시간(Fall Time)의 시간지연이 발생하지 아니하여 모니터의 해상도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아니함은 물론 E.M.I 효과도 큰 것이다.
그러나 상기에 있어 페라이트 코아를 둘로 나누어 기존의 페라이트 코아 두께보다 1/2두께 이하로 얇게 하여 다수개를 삽치하고, 페라이트 코아와 코아 사이에 동판을 삽치시킨후 핀을 통과시키게 하면 더욱더 자화현상을 감쇄시킬 수 있어 종래 것보다 더 해상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선명한 화상을 CRT에 비치게 할 수 있음을 알았다.
즉, 본인이 선출원한 디서브 콘넥타에 내장되는 페라이트 코아 두께는 통상적으로 약 6㎜정도 되는 바, 본 고안에서는 2㎜ 내지 3㎜ 정도의 두께로 페라이트 코아를 다수개 중첩하되, 그 사이에 비자성체 동판을 내장토록 한 것으로, 자화현상을 감쇄시키는 효과가 더욱더 우수하여져서 종래에 비하여 더욱더 해상도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되는 것이다. 원래 페라이트 코아가 크면 클수록 자화력은 커지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페라이트 코아보다 그 크기를 절반 이하로 작게 하므로써 자화현상의 발생을 더욱 작게 하였으며, 특히, 페라이트는 소성당시 고열로 인하여 분자가 균열되어 자화력이 완전히 없어짐으로 인하여 색도신호가 100% 전송되어지는 것이며, 더욱이 자화현상을 감쇄 시킬 수 있는 동판이 코아와 코아사이에 삽치되어 있어 더욱더 자화현상을 없앨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동판은 자화현상을 약화시킴과 동시에 디서브 내측에서 리드와이어 단자를 공통(COMMON)으로 접지시킬수 있는 획기적인 방법인바, 원래 리드와이어 단자를 공통(COMMON)으로 접지시키기 위한 개선된 방법으로 선출원고안에서는 그라운드 시켜야 할 핀홀만을 전도율이 좋은 선재를 이용하여 핀홀과 핀홀사이에 접지 시켰으나, 이는 핀홀과 핀홀 사이의 틈이 너무 좁아 그 작업성이 아주 어려웠다.
그러나, 본 고안에 있어서는 핀이 모두 통과될 수 있도록 다수개(통상적으로는 15개)의 핀홀이 뚫린 얇은 비자성체 동판을 페라이트 코아와 코아 사이에 삽치하되, 접지시켜야 할 핀이 통과하는 핀홀(9')은 핀이 접촉될 수 있도록 핀홀의 직경을 작게 형성하며, 핀을 접지시키지 아니하고 그냥 통과시켜야 할 핀홀(9')은 핀이 닿지 않도록 그 핀홀의 크기를 핀의 직경보다 크게 하여 전체적으로 볼 때 접지 시키고자 하는 핀들만을 아주 쉽게 동판에 접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동판을 이용하여 공통(COMMON)으로 접지시키는 작업을 아주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그 전체적 작업성을 극대화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며, 또한 디서브 내에서 리드와이어 단자를 공통(COMMON)으로 접지 시킬 수 있으므로 쇼트나 내압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어 종래에 비하여 불량율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동판의 핀홀에 핀을 접촉시킬 때에는 보다 완벽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접촉부위를 용접하게 된다. 상기에 있어 동판의 두께는 0.3㎜ 내지 0.4㎜ 정도가 적당하며, 그 재질에 있어서도 전도율이 좋은 재질이면 어떠한 재질이라도 상관없으므로 은, 알루미늄 등을 사용해도 무관하다. 한편 동판을 삽치하는 목적은 자화현상을 감쇄시킴과 동시에 그라운드 홀을 용이하게 접지 시키고자 하는 것이므로 동판 일측 어느 곳에 접지부(8')를 마련하고 상기 접지부(8')를 절곡시켜 금속재 쉘에 접지시키면 아주 간단하게 접지시킬수 있게 되는 것이다.
종래의 케이블은 페라이트 코아가 주렁주렁 매달려 있는 형상이므로 외관이 아주 보기 흉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처럼 페라이트 코아를 디서브 콘넥타 안에 내장시키면 그 모양이 아주 심플하게 되어 모든 모니터에 사용될 수가 있는 것이며, 특히 시대적 감각에 맞추어 요즘 급성장하고 있는 LCD 모니터에 아주 적합하게 사용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특히 디서브 콘넥타 내측에 다수개의 페라이트 코아를 삽치하고, 코아와 코아사이에 비자성체 동판을 내장시킨 것으로, 본 고안의 디서브 콘넥타에 내장된 페라이트 코아는 기존의 페라이트 코아를 둘로 나눈 것으로, 기존것에 비하여 코아의 두께가 1/2로 얇고, 또한 코아와 코아 사이에 자화현상을 감쇄시키는 비자성체 동판을 삽치토록 하므로써, 크기가 큰 페라이트 코아를 1개 내장했을 때보다 더욱더 자화현상을 약화시킬 수가 있는 것이며, 또한 페라이트 코아를 제작하려면 소성단계를 거쳐야 하고 이와 같이 소성단계를 거치게 되면 코아의 표면 조직에 균열이 생겨 자화력이 완전히 없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동판은 자화현상을 약화시킴과 동시에 디서브 내측에서 공통(COMMON)으로 접지시키는 작업을 행 할 수가 있어 종래에 비하여 작업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이중의 효과를 갖는 것이며, 또한 해상도에 영향을 주지않고 E.M.I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가 있는 것이며, 쇼트나 내압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어 종래에 비하여 불량율을 획기적으로 줄일수 있는 그 효과가 아주 우수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금속재 쉘(1)(2) 내측에 다수개의 접속핀(4)이 삽치되도록 다수개의 핀홀(9)이 형성된 고정판(5), 페라이트 코아, 인슈레이터(3)를 내장하되, 상기 페라이트 코아의 다수개의 핀홀중 2개의 핀홀을 서로 일체로 한 핀홀(10)을 적어도 3개이상 형성토록 한 페라이트 코아가 내장된 디서브 콘넥타에 있어서, 디서브 콘넥타 내측에는 페라이트 코아(6)(7)를 다수개 삽치하되, 상기 삽치된 페라이트 코아(6)와 코아(7) 사이에는 다수개의 핀홀이 형성된 동판(8)을 삽치하며, 상기 동판(8)의 일측에는 절곡된 접지부(8')를 마련하고 상기 접지부(8')가 금속재 쉘(2)에 접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디서브 콘넥타.
  2. 제1항에 있어서, 동판(8)에 형성된 핀홀중 접지시켜야 할 핀이 통과하는 핀홀(9')은 핀이 접촉될 수 있도록 핀홀의 직경을 작게 형성하며, 핀을 접지시키지 아니하고 그냥 통과시켜야 할 핀홀(9')은 핀이 닿지 않도록 그 핀홀의 크기를 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디서브 콘넥타.
KR2020000025669U 2000-09-08 2000-09-08 페라이트 코아가 내장된 디서브 콘넥타 KR2002156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669U KR200215666Y1 (ko) 2000-09-08 2000-09-08 페라이트 코아가 내장된 디서브 콘넥타
US09/946,685 US6641439B2 (en) 2000-09-08 2001-09-06 D-subconnector provided with ferrite cores
CN01131421A CN1347171A (zh) 2000-09-08 2001-09-07 带有铁氧体磁芯的d型辅助连接器
PCT/KR2001/001522 WO2002021639A1 (en) 2000-09-08 2001-09-08 D-subconnector provided with ferrite cores
EP01965739A EP1250732A4 (en) 2000-09-08 2001-09-08 D-SHAPED SUB-CONNECTOR WITH MAGNETIC TORES
AU2001286308A AU2001286308A1 (en) 2000-09-08 2001-09-08 D-subconnector provided with ferrite cores
JP2002525948A JP2004508688A (ja) 2000-09-08 2001-09-08 フェライトコアを有するdサブコネク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669U KR200215666Y1 (ko) 2000-09-08 2000-09-08 페라이트 코아가 내장된 디서브 콘넥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5666Y1 true KR200215666Y1 (ko) 2001-03-15

Family

ID=19668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5669U KR200215666Y1 (ko) 2000-09-08 2000-09-08 페라이트 코아가 내장된 디서브 콘넥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641439B2 (ko)
EP (1) EP1250732A4 (ko)
JP (1) JP2004508688A (ko)
KR (1) KR200215666Y1 (ko)
CN (1) CN1347171A (ko)
AU (1) AU2001286308A1 (ko)
WO (1) WO200202163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443B1 (ko) * 2002-06-08 2005-07-05 주식회사 릭슨코리아 암형 콘넥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37732B2 (en) 2002-06-28 2005-01-04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Filtered electrical connector with ferrite block combinations and filter assembly therefor
US6799983B2 (en) 2002-06-28 2004-10-05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Electrical connector with static discharge feature
US6767240B2 (en) 2002-06-28 2004-07-27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Electrical connector with cable insulation strain relief feature
WO2004004071A2 (en) * 2002-06-28 2004-01-08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Electrical connector
CN101151775B (zh) * 2005-01-31 2010-06-09 泛达公司 以太网连接器
US7913345B2 (en) 2006-08-15 2011-03-29 Umagination Labs, L.P. Systems and methods of a power tool system with interchangeable functional attachments
US7926141B2 (en) * 2006-08-15 2011-04-19 Umagination Labs, L.P. Systems and methods of a gutter cleaning system
US7743683B2 (en) * 2006-08-15 2010-06-29 Umagination Labs, L.P. Systems and methods of a power tool system with interchangeable functional attachments powered by a direct rotational drive
US7979945B2 (en) * 2006-08-15 2011-07-19 Umagination Labs, L.P. Systems and methods for robotic gutter cleaning
US7886399B2 (en) 2006-08-15 2011-02-15 Umagination Labs, L.P. Systems and methods for robotic gutter cleaning along an axis of rotation
US7588464B2 (en) * 2007-02-23 2009-09-15 Kim Yong-Up Signal cable of electronic machine
US20090215297A1 (en) * 2008-02-27 2009-08-27 Faoro James E Internally-sealed electrical connector
US8243469B2 (en) 2010-03-31 2012-08-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errite inductors integrated within input/output cable port assembly of an electronics rack
US8243470B2 (en) 2010-03-31 2012-08-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errite inductors integrated within top-mounted input/output cable port assembly of an electronics rack
WO2014031851A1 (en) * 2012-08-22 2014-02-27 Amphenol Corporation High-frequency electrical connector
US9437977B1 (en) * 2015-03-06 2016-09-0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Grounding and retention membe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9664A (en) * 1983-02-16 1985-05-28 Elco Corporation Multipin connector and method of reducing EMI by use thereof
US4992060A (en) * 1989-06-28 1991-02-12 Greentree Technologies, Inc. Apparataus and method for reducing radio frequency noise
JP2546590Y2 (ja) * 1991-05-31 1997-09-03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フィルタコネクタ及びフィルタコネクタ用遮蔽板
JP2592561Y2 (ja) * 1992-05-11 1999-03-24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フィルタコネクタ
US5340334A (en) * 1993-07-19 1994-08-23 The Whitaker Corporation Filtered electrical connector
JPH07282906A (ja) * 1994-02-10 1995-10-27 Keisei Denshi Kogyo Kk コネクタ
KR970006128B1 (ko) 1994-08-31 1997-04-2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난분해성 산업 폐수의 물리 화학적 정화 방법
US5605477A (en) * 1995-01-13 1997-02-25 The Whitaker Corporation Flexible etched circuit assembly
US6142829A (en) * 1997-08-12 2000-11-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errite block in a cable connector premold
KR19990038544A (ko) 1997-11-06 1999-06-05 윤종용 데이터 저장 방법 및 그 장치
US6125044A (en) * 1999-03-23 2000-09-26 Hewlett-Packard Company Suppressing EMI with PCB mounted ferrite attenu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443B1 (ko) * 2002-06-08 2005-07-05 주식회사 릭슨코리아 암형 콘넥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50732A4 (en) 2003-09-03
JP2004508688A (ja) 2004-03-18
EP1250732A1 (en) 2002-10-23
US20020031946A1 (en) 2002-03-14
CN1347171A (zh) 2002-05-01
WO2002021639A1 (en) 2002-03-14
US6641439B2 (en) 2003-11-04
AU2001286308A1 (en) 200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15666Y1 (ko) 페라이트 코아가 내장된 디서브 콘넥타
US4290663A (en) In high frequency screening of electrical systems
US8038482B2 (en) High speed data communications connector with reduced modal conversion
US8425260B2 (en) High speed data communications cable having reduced susceptibility to modal alien crosstalk
EP1193812B1 (en) A connector provided with contacts mounted in an adapted insulator
JP7138709B2 (ja) Rfコネクタ組立体
WO2004036601B1 (en) Highly insulated inductive data couplers
JP4270782B2 (ja) 同軸ケーブル用シールド端子
TWM400672U (en) Toroid element and circuit element and modular jack with the same toroid element
JP7488740B2 (ja) コネクタ
TWI433181B (zh) 具經改良磁性元件之模組化插口及其製造方法
TW201330414A (zh) 連接器
KR200225117Y1 (ko) 페라이트 코아가 내장된 디서브 콘넥타
AU668211B2 (en) Connector for high-speed networks of the voice and data transmission (CDDI connector)
CN1967947B (zh) 线缆连接器组件及其组装方法
KR200198503Y1 (ko) 페라이트 코아가 내장된 디서브 콘넥타
JPH0775180B2 (ja) データ・コネクタ及びそのシールド・オーバーコート
JP2019036538A (ja) コネクタ装置
JP2900860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取り付け構造
JPH06140262A (ja) コネクタ
CN204706669U (zh) 高频连接器用绝缘体
RU2807669C1 (ru) Полевой кабель парной скрутки
CN216487660U (zh) 一种5g速率的以太网变压器
WO2021177275A1 (ja) 丸型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602414Y2 (ja) 空心リアクト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