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4921Y1 - 식탁용 바비큐 조리기 - Google Patents

식탁용 바비큐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4921Y1
KR200214921Y1 KR2020000026143U KR20000026143U KR200214921Y1 KR 200214921 Y1 KR200214921 Y1 KR 200214921Y1 KR 2020000026143 U KR2020000026143 U KR 2020000026143U KR 20000026143 U KR20000026143 U KR 20000026143U KR 200214921 Y1 KR200214921 Y1 KR 2002149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rod
support
main body
driving
driv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61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철
Original Assignee
이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철 filed Critical 이규철
Priority to KR20200000261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49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49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4921Y1/ko

Links

Landscapes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탁용 바비큐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화로를 수용할 수 있는 주공간과 그 일측에 형성된 소정크기의 여유공간으로 분할된 본체와, 바비큐할 조리물을 꿰어 상기 본체의 상부 공간에 이격시켜 안치하기 위한 회전봉과, 상기 여유공간 내에 수용되어 축 선회하면서 상기 본체의 상면에 대하여 그 내, 외측으로 출몰함과 아울러 상기 회전봉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구동지지대와, 상기 구동지지대의 위치에 따라 그 선회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조작레버와, 상기 구동지지대와 마주보는 상기 본체 타단측의 플랜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봉의 타단부를 수평상태로 지지하는 착탈지지대와, 상기 구동지지대에 장착된 회전봉을 서행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여유공간 외측의 본체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지지대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우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바비큐 조리기에 의하면, 종래의 바비큐 조리기가 갖는 통구이 전용의 한계성을 극복하여 실내, 외 환경에 관계없이 고기 등의 일반 구이용이나 통구이용으로 겸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식탁용 바비큐 조리기{Barbecue cooker for dining table}
본 고안은 식탁용 바비큐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바비큐 조리기가 갖는 통구이 전용의 한계성을 극복하여 실내, 외 환경에 관계없이 고기 등의 일반 구이용이나 통구이용으로 겸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식탁용 바비큐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일반적인 바비큐 조리기는 야외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들이 대부분이다. 가장 보편적인 바비큐 조리기의 구조는 드럼형 또는 반구형의 본체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하부 외측에 이를 지지하기 위한 다리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플랜지부를 가로질러 통구이할 조리물을 꿸 수 있는 회전봉이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장작 등과 같은 열원이 배치되며,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본체 내부 공간을 밀폐할 수 있는 덮개가 구비된 구성을 이룬다.
또한, 상기 회전봉의 일단부에는 조리물을 사용자가 직접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거나, 여기에 구동매체를 결합하여 전동식 모우터 등에 의해 자동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바비큐 조리기들은 통구이 전용의 구조를 이루고 있으므로 그 용도가 매우 제한적이라는 단점을 갖고 있다. 즉, 다양한 음식문화가 정착되어 가고 있는 최근 우리의 현실을 감안해 볼 때 다기능으로 요리할 수 있는 기구를 선호하는 사용자의 추세를 만족시키기에는 미흡한 점들이 많았다.
또한, 인간의 생활 패턴이 다변화되어 감에 따라 실내, 외의 환경에 관계없이 간단히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바비큐 조리기가 다수 제안된 바 있으나, 전동식의 경우에는 가격 면에서 고가이고, 또한 본체가 너무 커서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므로 일반 가정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조리물을 통구이용 또는 일반 구이용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고, 적은 설치 공간을 차지함으로써 실내, 외 환경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 단가를 절감할 수 있고, 특히 식탁 등에 설치하여 자동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반 가정용으로 적합한 식탁용 바비큐 조리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식탁용 바비큐 조리기의 개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식탁용 바비큐 조리기의 설치 및 사용 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적용된 구동지지대의 출몰작동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 3a는 본 고안을 일반 구이기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구동지지대를 본체 내부로 함몰시킨 상태의 작동도,
도 3b는 본 고안을 바비큐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구동지지대를 본체 외부로 돌출시킨 상태의 작동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식탁 2 ; 안치턱
3 ; 조리물 10 ; 본체
11 ; 플랜지부 11a ; 삽입공
12 ; 화로 13 ; 주공간
14 ; 여유공간 15 ; 분할 측벽
16 ; 재받이 17, 71 ; 손잡이
20 ; 회전봉 21 ; 주 회전봉
22 ; 보조 회전봉 22a ; 설치홈
30 ; 구동지지대 31 ; 구동수단;
31a ; 구동스프라킷 31b ; 종동스프라킷
31c ; 체인 32 ; 케이싱
33 ; 회전판 33a ; 안착공
33b, 53 ; 안착홈 40 ; 조작레버
41 ; 선회축 42 ; 멈춤돌기
50 ; 착탈지지대 51 ; 지주부
52 ; 삽입돌기부 60 ; 구동모우터
61 ; 모우터축 70 ; 덮개
72 ; 미세장공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식탁용 바비큐 조리기는, 화로를 수용할 수 있는 주공간과 그 일측에 형성된 소정크기의 여유공간으로 분할된 본체와, 바비큐할 조리물을 꿰어 상기 본체의 상부 공간에 이격시켜 안치하기 위한 회전봉과, 상기 여유공간 내에 수용되어 축 선회하면서 상기 본체의 상면에 대하여 그 내, 외측으로 출몰함과 아울러 상기 회전봉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구동지지대와, 상기 구동지지대의 위치에 따라 그 선회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조작레버와, 상기 구동지지대와 마주보는 상기 본체 타단측의 플랜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봉의 타단부를 수평상태로 지지하는 착탈지지대와, 상기 구동지지대에 장착된 회전봉을 서행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여유공간 외측의 본체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지지대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우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봉은 상기 구동지지대 및 착탈지지대에 양단이 걸림 고정되는 주 회전봉과, 상기 주 회전봉과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며 일체로 연결된 보조 회전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지지대와 인접하는 상기 보조 회전봉의 단부 내측에는 상기 구동지지대와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설치홈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지지대는, 상기 구동모우터의 모우터축에 체결되어 상기 회전봉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을 보호하는 밀폐형의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종동측 외부에 축 결합되어 상기 회전봉을 착탈 고정하기 위한 회전판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모우터축에 체결되는 구동스프라킷과, 상기 구동스프라킷과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된 종동스프라킷과, 상기 구동스프라킷과 종동스프라킷 간에 동력이 전달되도록 체결된 체인으로 구성하는 한편, 상기 회전판은, 상기 구동수단의 종동측 축에 체결되고, 그 중앙 내측에는 상기 회전봉의 일단을 삽입 수용할 수 있도록 소정크기의 내경을 유지하는 안착공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판의 외주 일측에는 상기 회전봉의 일단을 걸어서 고정할 수 있는 안착홈이 형성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작레버는, 상기 여유공간을 형성하는 분할 측벽에 돌출 형성된 선회축 상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분할 측벽에 형성된 복수의 멈춤돌기 사이를 선회하면서 상기 구동지지대를 수평 또는 소정각도로 지지할 수 있도록 그 단부가 절곡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착탈지지대는, 소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의 지주부가 형성되고, 그 하단부에는 상기 본체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삽입공 내에 삽입하여 상기 지주부를 입설할 수 있도록 축소된 크기의 직경을 유지하는 삽입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주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회전봉의 일단을 걸어서 고정할 수 있는 안착홈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의 플랜지부 상부에는 바비큐 조리시 설치된 조리물을 열 대류에 의해 신속히 익힐 수 있도록 밀폐시켜주는 덮개를 더 구비하는 구성도 가능하며, 이때, 상기 덮개의 측면부에는 밀폐시 최소한의 통기가 가능하도록 다수의 미세장공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탁용 바비큐 조리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식탁용 바비큐 조리기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고안의 개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설치 및 사용 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적용된 구동지지대(30)의 출몰작동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a는 본 고안을 일반 구이기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구동지지대(30)를 본체 내부로 함몰시킨 상태의 작동도, 도 3b는 본 고안을 바비큐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구동지지대(30)를 본체 외부로 돌출시킨 상태의 작동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식탁용 바비큐 조리기는, 화로(12)를 수용할 수 있는 주공간(13)과 그 일측에 형성된 소정크기의 여유공간(14)으로 분할된 본체(10)와, 바비큐할 조리물(3)을 꿰어 상기 본체(10)의 상부 공간에 이격시켜 안치하기 위한 회전봉(20)과, 상기 여유공간(14) 내에 수용되어 축 선회하면서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대하여 그 내, 외측으로 출몰함과 아울러 상기 회전봉(20)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구동지지대(30)와, 상기 구동지지대(30)의 위치에 따라 그 선회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조작레버(40)와, 상기 구동지지대(30)와 마주보는 상기 본체(10) 타단측의 플랜지부(11)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봉(20)의 타단부를 수평상태로 지지하는 착탈지지대(50)와, 상기 구동지지대(30)에 장착된 회전봉(20)을 서행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여유공간(14) 외측의 본체(10)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지지대(30)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우터(6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본체(10)는, 일반 음식점 등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중앙부에 사각 구멍이 형성되고 그 둘레에 안치턱(2)이 형성된 식탁(1)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다단으로 형성된 플랜지부(11)를 갖는 것이고, 상기 본체(10)의 내측 공간을 가로질러 주공간(13) 및 여유공간(14)을 분할 형성할 수 있도록 분할 측벽(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0)의 하부에는 화로(12)로부터 발생하는 재를 받아내기 위한 재받이(16)가 서랍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재받이(16)의 외측에는 손잡이(17)가 형성되어 밀고 당길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구동모우터(60)는 상기 구동지지대(30)의 내부에 구비된 구동수단(31)을 전달 매체로 하여 상기 회전봉(20)을 회전시켜주기 위한 구동원으로서, 상기 회전봉(20)이 서서히 회전하여야 하므로 감속기가 부착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회전봉(20)은 상기 구동지지대(30) 및 착탈지지대(50)에 양단이 걸림 고정되는 주 회전봉(21)과, 상기 주 회전봉(21)과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며 일체로 연결된 보조 회전봉(2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지지대(30)와 인접하는 상기 보조 회전봉(22)의 단부 내측에는 상기 구동지지대(30)와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소정 깊이의 설치홈(22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지지대(30)는, 상기 구동모우터(60)의 모우터축(61)에 체결되어 상기 회전봉(20)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수단(31)과, 상기 구동수단(31)을 보호하는 밀폐형의 케이싱(32)과, 상기 케이싱(32)의 종동측 외부에 축 결합되어 상기 회전봉(20)을 착탈 고정하기 위한 회전판(33)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31)은, 상기 모우터축(61)에 체결되는 구동스프라킷(31a)과, 상기 구동스프라킷(31a)과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된 종동스프라킷(31b)과, 상기 구동스프라킷(31a)과 종동스프라킷(31b) 간에 동력이 전달되도록 체결된 체인(31c)으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회전판(33)은, 상기 구동수단(31)의 종동측 축에 체결되고, 그 중앙 내측에는 상기 회전봉(20)의 일단을 삽입 수용할 수 있도록 소정크기의 내경을 유지하는 안착공(33a)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판(33)의 외주 일측에는 상기 회전봉(20)의 일단을 걸어서 고정할 수 있는 안착홈(33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작레버(40)는, 상기 본체(10)의 분할 측벽(15)에 돌출 형성된 선회축(41) 상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분할 측벽(15)에 형성된 복수의 멈춤돌기(42) 사이를 선회하면서 상기 구동지지대(30)를 수평 또는 소정각도로 지지할 수 있도록 그 단부가 절곡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지지대(30)와 대응되는 높이를 갖는 상기 착탈지지대(50)는, 소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의 지주부(51)가 형성되고, 그 하단부에는 상기 본체(10)의 플랜지부(11)에 형성된 삽입공(11a) 내에 삽입하여 상기 지주부(51)를 입설할 수 있도록 축소된 크기의 직경을 유지하는 삽입돌기부(52)가 형성되며, 상기 지주부(51)의 상단부에는 상기 회전봉(20)의 일단을 걸어서 고정할 수 있는 안착홈(53)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플랜지부(11) 상부에는 바비큐 조리시 설치된 조리물(3)을 열 대류에 의해 신속히 익힐 수 있도록 밀폐시켜주는 별도의 덮개(70)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덮개(70)는 반원통형의 형태를 이루고, 그 상부 외측에는 손잡이(7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70)의 측면부에는 밀폐시 최소한의 통기가 가능하도록 다수의 미세장공(72)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동 및 사용방법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실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고 있으므로 식탁(1)에 안착시킨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일반적인 구이용 로스터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구동지지대(30)를 본체(10) 내측에 수평으로 함몰시킴과 아울러 착탈지지대(50)를 분리 제거한 상태에서 사용한다. 즉, 상기 구동지지대(3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레버(40)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덮개(70)를 개방한 후 별도의 석쇠판, 그릴 등의 구이판(미도시)을 상기 본체(10)의 단턱진 플랜지부(11)에 걸쳐 놓고 그 위에 조리물(3)을 올려 놓은 후 가열하여 조리하면 된다.
한편, 이러한 상태에서 조리물(3)을 통구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이판을 들어낸 후, 도 3b에서와 같이 조작레버(40)를 회전시켜 상기 구동지지대(30)가 소정각도로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본체(10)의 외측으로 돌출시킴과 아울러, 상기 플랜지부(11)의 삽입공(11a) 내에 착탈지지대(50)를 삽입 설치하여 회전봉(20)의 양단을 각각 거치할 수 있는 상태로 변환한다.
그 다음에는 상기 회전봉(20)에 조리물(3)을 꿴 상태에서 그 보조 회전봉(22) 및 주 회전봉(21)의 각 일단을 상기 구동지지대(30)의 회전판(33)에 형성된 안착홈(33b) 및 안착공(33a) 내에, 그리고 상기 주 회전봉(21)의 나머지 일단을 상기 착탈지지대(50)의 안착홈(53) 내에 각각 안착시켜 거치한다.
이때, 상기 회전봉(20)은 도 2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회전봉(22)의 설치홈(22a)과 회전판(33)의 안착홈(33b)이 상호 맞물리도록 걸어준 후 이 안착홈(33b)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봉(20)을 선회시켜 상기 회전판(33)의 안착공(33a) 내에 주 회전봉(21)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주 회전봉(21)의 타단부가 상기 착탈지지대(50)의 안착홈(53) 내에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회전봉(20)을 거치하게 되며, 상기 본체(10)의 주공간(13) 내부에는 불에 달궈진 참숯 등을 수용한 화로(12)를 설치한 후 덮개(70)를 덮어 씌워 밀폐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준비 작업을 완료한 후에 전원을 공급하여 구동모우터(60)를 기동하면, 모우터축(61)에 체결된 구동스프라킷(31a)이 회전하면서 체인(31c)에 의해 연동되는 종동스프라킷(31b)을 회전시키게 되고, 계속해서 상기 종동스프라킷(31b)과 일체로 결합된 회전판(33)이 회전함으로써 회전봉(20)이 회전되면서 조리물(3)을 고르게 익혀주게 된다. 이때, 상기 덮개(70)의 내측으로 밀폐된 공간이 형성되므로 그 덮개(70)의 원주면을 따라 열 대류가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그 측벽부의 미세장공(72)을 통해 최소한의 공기가 유, 출입됨으로써 조리물(3)을 원활하게 익힐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비큐 조리기는 실내, 외 환경에 관계없이 평탄한 곳이면 어디든지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본 고안의 바비큐 조리기를 실내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중앙에 사각 구멍이 형성된 식탁(1)의 안치턱(2)에 걸리도록 안착시켜 설치한 후 로스터 또는 바비큐용으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식탁용 바비큐 조리기에 의하면, 회전봉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본체로부터 출몰 조작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됨으로써 조리물을 통구이용 또는 일반 구이용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고, 그 자체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적은 설치 공간을 차지함으로써 실내, 외 환경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 단가도 현저히 절감할 수 있으며, 특히 식탁 등에 설치하여 자동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반 가정용으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화로를 수용할 수 있는 주공간과 그 일측에 형성된 소정크기의 여유공간으로 분할된 본체;
    바비큐할 조리물을 꿰어 상기 본체의 상부 공간에 이격시켜 안치하기 위한 회전봉;
    상기 여유공간 내에 수용되어 축 선회하면서 상기 본체의 상면에 대하여 그 내, 외측으로 출몰함과 아울러 상기 회전봉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구동지지대;
    상기 구동지지대의 위치에 따라 그 선회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조작레버;
    상기 구동지지대와 마주보는 상기 본체 타단측의 플랜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봉의 타단부를 수평상태로 지지하는 착탈지지대; 및
    상기 구동지지대에 장착된 회전봉을 서행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여유공간 외측의 본체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지지대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우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식탁용 바비큐 조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은 상기 구동지지대 및 착탈지지대에 양단이 걸림 고정되는 주 회전봉과, 상기 주 회전봉과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며 일체로 연결된 보조 회전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지지대와 인접하는 상기 보조 회전봉의 단부 내측에는 상기 구동지지대와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설치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탁용 바비큐 조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지지대는,
    상기 구동모우터의 모우터축에 체결되어 상기 회전봉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수단;
    상기 구동수단을 보호하는 밀폐형의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종동측 외부에 축 결합되어 상기 회전봉을 착탈 고정하기 위한 회전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식탁용 바비큐 조리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모우터축에 체결되는 구동스프라킷;
    상기 구동스프라킷과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된 종동스프라킷; 및
    상기 구동스프라킷과 종동스프라킷 간에 동력이 전달되도록 체결된 체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탁용 바비큐 조리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상기 구동수단의 종동측 축에 체결되고, 그 중앙 내측에는 상기 회전봉의 일단을 삽입 수용할 수 있도록 소정크기의 내경을 유지하는 안착공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판의 외주 일측에는 상기 회전봉의 일단을 걸어서 고정할 수 있는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탁용 바비큐 조리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는, 상기 여유공간을 형성하는 분할 측벽에 돌출 형성된 선회축 상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분할 측벽에 형성된 복수의 멈춤돌기 사이를 선회하면서 상기 구동지지대를 수평 또는 소정각도로 지지할 수 있도록 그 단부가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탁용 바비큐 조리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지지대는, 소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의 지주부가 형성되고, 그 하단부에는 상기 본체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삽입공 내에 삽입하여 상기 지주부를 입설할 수 있도록 축소된 크기의 직경을 유지하는 삽입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주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회전봉의 일단을 걸어서 고정할 수 있는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탁용 바비큐 조리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플랜지부 상부에는 바비큐 조리시 설치된 조리물을 열 대류에 의해 신속히 익힐 수 있도록 밀폐시켜주는 덮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탁용 바비큐 조리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측면부에는 밀폐시 최소한의 통기가 가능하도록 다수의 미세장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탁용 바비큐 조리기.
KR2020000026143U 2000-09-18 2000-09-18 식탁용 바비큐 조리기 KR2002149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143U KR200214921Y1 (ko) 2000-09-18 2000-09-18 식탁용 바비큐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143U KR200214921Y1 (ko) 2000-09-18 2000-09-18 식탁용 바비큐 조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4921Y1 true KR200214921Y1 (ko) 2001-02-15

Family

ID=73058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6143U KR200214921Y1 (ko) 2000-09-18 2000-09-18 식탁용 바비큐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492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13774A (en) Cooking pot enclosing rotatable spherical chamber
KR100493601B1 (ko) 바비큐 그릴 스핏 어셈블리
CN209863355U (zh) 一种多功能组合锅
KR101192741B1 (ko) 회전식 탈지 구이장치
CN214017065U (zh) 一种自动炒锅
CN213551282U (zh) 锅盖组件及烹饪器具
KR102310942B1 (ko) 회전식 조리기
KR200214921Y1 (ko) 식탁용 바비큐 조리기
CN210169696U (zh) 一种炒菜器具及集成自动炒菜灶
CN213129204U (zh) 一种盛物空间扩大的食物电烤器具
KR100900839B1 (ko) 전기밥솥겸용 제빵기
CN211022267U (zh) 多功能自动炒锅
KR20200056594A (ko) 다기능 전기 구이기
KR200375308Y1 (ko) 고기구이기
CN209932369U (zh) 一种翻炒烹饪装置
CN219720495U (zh) 一种空气炸锅
CN209915760U (zh) 一种旋转式气炸锅
CA2992697A1 (en) Multi-purpose frying pan
CN213129205U (zh) 一种无风叶式食物电烤器具
CN217524573U (zh) 烹饪器具
KR20060041053A (ko) 고기구이기
CN111317348B (zh) 一种炒菜器具及集成炒菜灶
CN220494842U (zh) 一种运行平稳的食物处理机
CN218355808U (zh) 一种煎烤机
KR200249190Y1 (ko) 석쇠구이 겸용 꼬치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