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3746Y1 - 냉열 방지용 핸들커버 - Google Patents

냉열 방지용 핸들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746Y1
KR200213746Y1 KR2020000020018U KR20000020018U KR200213746Y1 KR 200213746 Y1 KR200213746 Y1 KR 200213746Y1 KR 2020000020018 U KR2020000020018 U KR 2020000020018U KR 20000020018 U KR20000020018 U KR 20000020018U KR 200213746 Y1 KR200213746 Y1 KR 2002137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handle cover
vehicle
cold
steering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00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기홍
Original Assignee
조기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기홍 filed Critical 조기홍
Priority to KR20200000200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7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7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746Y1/ko

Links

Landscapes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조향핸들에 사용하는 냉열 방지용 핸들 커버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핸들 커버는 손으로 파지되는 부분이 일면에 형성된 파지부재와, 상기핸들과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부분이 타면에 형성된 마찰부재 및 상기 파지부재의 일측부위와 상기 부위와 대응되는 상기 마찰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양부위가 탈부착되는 패스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재는 열전도율이 낮은 피륙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찰부재는 요철면이 형성되고 상기 패스너부재는 벨크로 테이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겨울철의 차가워진 핸들 뿐만 아니라 여름철에 뜨거워진 핸들도 운전자가 편안하게 파지하여 운전할 수 있고, 겨울철의 히팅에 의하여 차량실내가 따뜻하여 지거나, 여름에는 에어컨에 의하여 차량실내가 시원해지면 냉열 방지용 핸들 커버를 제거하여 운전할 수 있는 편리성이 증대되고, 차량에 복잡한 장치를 새롭게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품성이 증가한다.

Description

냉열 방지용 핸들커버{Handle cover for preventing of hot and freezing}
본 고안은 자동차용 핸들 커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혹서기와 혹한기에 뜨겁거나 차가운 핸들을 사용자가 편안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냉열 방지용 핸들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조향 핸들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축이 끼워져 고정되는 허브(301)와, 상기 허브(301)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된 수 개의 스포크(303), 및 상기 각 스포크(303)을 원형상으로 연결하는 림(305)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포크(303)와 림(305)의 내부에는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경합금 심(芯)이 내장되어 있고, 외부는 보통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있다.
상기 자동차의 조향 핸들을 감싸는 핸들커버는 비닐, 인조가죽, 천연가죽, 고무 등을 소재로 하여 제작되고, 최근에는 핸들커버의 외주면에 돌기를 형성하여 지압 효과가 있는 핸들커버가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핸들커버는 기온이 낮은 겨울철에 운전자가 운전을 하기 위해서는 외부기온과 같은 온도로 차가워진 핸들을 잡고 운전을 해야 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열선장치 자동차 핸들커버' (출원번호 99-0022699)외 다수가 출원되어 있다. 도 8 에 도시한 종래기술에 의한 상기 열선 장치 자동차 핸들커버(101)는 열선(103)이 핸들커버의 내피(102)에 내장되고 상기 열선(103)의 전원은 차량에 장착된 배터리 혹은 시거잭(105)으로 부터 공급받아 상기 핸들커버(101)를 따뜻하게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겨울철 차가워진 핸들커버를 전기적인 열선을 이용하여 따뜻하게 해주는 종래기술들은 그 구성이 복잡하고 난방장치에 의한 차량의 실내가 난방되는 시간과 별로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즉 전열선이 내장되지 않은 일반자동차 핸들이 자동차의 난방 장치에 의해서 데워지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과 상기와 같이 전기적인 열선에 의하여 핸들이 덥혀지는 시간은 그 구성의 복잡성에 비해 효과가 별로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열선이 내장된 핸들 커버는 겨울철에만 사용할 수 있고 여름철에 뜨거워진 핸들을 운전자가 사용가능하게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혹한기인 겨울철의 차가워진 자동차 핸들커버도 사용자에게는 불편함이 있지만 혹서기인 여름철에 뜨거워진 핸들커버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더많은 불편이 따른다. 여름철 햇볕이 있는 옥외장소에 자동차를 세워놓는 경우에는 복사열이 축적되어 자동차 실내의 온도가 급격하게 올라가게 된다. 햇볕에 차량을 놓아둔지 10분 이내에 실내의 온도는 섭씨 60도 이상이 되면서 차량실내에 놓인 1회용 가스라이터 등이 자동으로 폭발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뜨거워진 차량 내부에 있는 핸들커버는 운전자가 손을 데지 못할 정도로 뜨거워 많은 불편함이 따른다.
이와 같이 혹서기에 뜨거워진 핸들을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종래의 기술은 별로 없으나, 그 중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 '자동차의 조향핸들 온도조절장치'(출원번호 96-053950)가 출원되어 있다.
도 9 에 도시한 상기 자동차의 조향핸들 온도조절장치(200)는 공조장치(201)와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토출구 사이에 연결되어 냉기나 온기가 제공되는 통로인 덕트(203)에 조향핸들(210)로 연결되는 덕트(213)가 분기 형성되고, 상기 분기 덕트(213)에 연통되는 공기 통로(215)가 조향핸들(210)의 림(217)의 전체를 따라 형성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자동차의 조향핸들 온도 조절장치(200)는 여름철에 공조장치(201) 즉 에어컨을 가동시키면 냉기가 상기 덕트(203)를 통해 이동되어 토출구에서 실내로 공급되고, 또한 분기덕트(213)를 통해서도 공기통로(215)로 공급되어, 상기 림(217)이 냉기에 의해 차갑게 되고, 또한 겨울철에 히터 유니트를 가동시키면 온기가 덕트(203)를 통해 토출구로 공급되면서 분기덕트(213)로도 공급되어 공기통로(215)를 따라 온기가 순환하여서 상기 림(217)이 온기에 의해 따뜻하게 되는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 자동차의 조향핸들 온도조절장치는 새로 제작되는 차량에 장착될 수 있으나 기존에 출고되어 운행중인 차량은 다시 차량을 개조해야 한다. 그러므로 차량개조에 따른 추가 비용이 발생하고, 또한 복잡한 구성에 비하여 기대되는 효과는 상대적으로 많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을 개조하지 않으면서, 겨울철의 차가워진 핸들 뿐만 아니라 여름철에 뜨거워진 핸들도 운전자가 편안하게 파지하여 운전할 수 있는 냉열 방지 핸들 커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냉열 방지용 핸들커버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다른 냉열 방지용 핸들커버의 사시도.
도 3 은 도 2 의 A - 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 은 도 2 에 따른 냉열 방지용 핸들커버의 정면도.
도 5 는 도 2 에 따른 냉열 방지용 핸들커버의 평면도.
도 6 은 도 2 에 따른 냉열 방지용 핸들커버의 저면도.
도 7 은 종래의 조향 핸들을 도시한 사시도.
도 8 은 종래기술에 따른 열선장치 자동차 핸들커버의 부분 절단도.
도 9 는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조향핸들 온도조절장치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냉열방지용 핸들커버, 11 : 마,
13 : 고무판, 15 : 요철면,
17 : 벨크로 테이프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의해 쉽게 달성되며, 본 고안의 일면에 따라, 자동차 핸들의 일부위만을 감싸고, 상기 핸들에서 탈부착하는 냉열 방지용 핸들커버는, 손으로 파지되는 부분이 일면에 형성된 파지부재와, 상기 핸들과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부분이 타면에 형성된 마찰부재 및 상기 파지부재의 일측부위와 상기 부위와 대응되는 상기 마찰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양부위가 탈부착되는 패스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파지부재는 열전도율이 낮은 피륙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마찰부재는 요철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패스너부재는 벨크로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냉열 방지용 핸들커버를 사용하는 사용 상태도를 나타내고, 도 2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열 방지용 핸들커버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 부호 10 으로 도시한 본 고안에 따른 냉열 방지용 핸들커버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직사각형 모양이 아니고 구부러진 원통형을 전개(展開)한 모양이다. 이러한 냉열 방지용 핸들커버(10)는 운전자가 직접 손으로 파지하는 파지부재와 핸들(70)과 밀착되어서 마찰력을 증가시키기는 마찰부재 및 상기 파지부재의 일측부위와 상기 부위와 대응되는 상기 마찰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양부위가 탈부착되는 패스너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파지부재는 겨울철의 핸들(70)을 파지한 운전자의 손이 차가움을 느끼는 것을 방지하고, 여름철의 뜨거워진 핸들(70)의 열기가 운전자에게 전달이 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열전도율이 낮은 재료를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麻)(11)를 여러겹 겹쳐서 사용하였다.
도 3 과 도 4 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마찰부재는 평면의 고무판(13)에 요철(15)이 일체로 성형되어 상기 핸들(70)과 마찰력이 증대되므로, 운전중 냉열방지용 핸들커버(10)가 상기 핸들(70)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핸들(70)을 감싸면서 부착되기 위해서 상기 마(11)의 일측 부위와 이와 대응되는 상기 고무판(13)의 타측 부위에 벨크로 테이프(17)를 부착한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겨울철의 차가워진 핸들 뿐만 아니라 여름철에 뜨거워진 핸들도 운전자가 편안하게 파지하여 운전할 수 있고, 겨울철의 히팅에 의하여 차량실내가 따뜻하여 지거나, 여름에는 에어컨에 의하여 차량실내가 시원해지면 냉열 방지용 핸들 커버를 제거하여 운전할 수 있는 편리성이 증대되고, 차량에 복잡한 장치를 새롭게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품성이 증가한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자동차 핸들의 일부위만을 감싸고, 상기 핸들에서 탈부착하는 핸들커버에 있어서,
    상기 핸들커버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일면에 열전도율이 낮은 피륙으로 형성된 파지부재;와
    상기 핸들과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부분이 타면에 형성된 마찰부재; 및 상기 파지부재의 일측부위와 상기 부위와 대응되는 상기 마찰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양부위가 탈부착되는 패스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열 방지용 핸들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요철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열 방지용 핸들커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부재는 벨크로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열 방지용 핸들커버.
KR2020000020018U 2000-07-12 2000-07-12 냉열 방지용 핸들커버 KR2002137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018U KR200213746Y1 (ko) 2000-07-12 2000-07-12 냉열 방지용 핸들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018U KR200213746Y1 (ko) 2000-07-12 2000-07-12 냉열 방지용 핸들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3746Y1 true KR200213746Y1 (ko) 2001-02-15

Family

ID=73086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0018U KR200213746Y1 (ko) 2000-07-12 2000-07-12 냉열 방지용 핸들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74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4775A (en) Thermostatically controlled electrically heated steering wheel cover assembly
KR200213746Y1 (ko) 냉열 방지용 핸들커버
KR20140131055A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의 히팅 및 쿨링 장치
WO2008116377A1 (fr) Volant chauffable et véhicule comportant un tel volant chauffable
KR200289418Y1 (ko) 자동차 핸들의 히팅장치
KR200258306Y1 (ko) 모터 사이클용 핸들 히팅 장치
KR200190995Y1 (ko) 열선장치 자동차 핸들커버
KR200404972Y1 (ko) 발열기능을 갖는 핸들커버
KR101660178B1 (ko) 이륜차용 발열 장갑
KR200209529Y1 (ko) 차량용 조향핸들히팅장치
JPS6129568Y2 (ko)
JPS6181273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ル
JPS6132411Y2 (ko)
KR200169313Y1 (ko) 자동차용핸들의히타장치
KR100492327B1 (ko) 오토바이용 핸들 히터장치
KR20030006307A (ko) 혹한기 오토바이 운전시 손의 보온유지 기구
KR200195891Y1 (ko) 차량용 조향핸들커버
JPH0478612A (ja) 車両用採暖具
KR200243677Y1 (ko) 혹한기 오토바이 운전시 손의 보온유지 기구
JPS6131913Y2 (ko)
JPH083999Y2 (ja) タイヤ保温カバー
JPH0556781U (ja) ハンドルカバー
KR19980040869U (ko) 자동차의 조향핸들 온도조절장치
KR200198202Y1 (ko) 자동차의 핸들 히팅구조
KR200208649Y1 (ko) 발열 장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