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3675Y1 - 연소기용 급·배기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연소기용 급·배기관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675Y1
KR200213675Y1 KR2020000026811U KR20000026811U KR200213675Y1 KR 200213675 Y1 KR200213675 Y1 KR 200213675Y1 KR 2020000026811 U KR2020000026811 U KR 2020000026811U KR 20000026811 U KR20000026811 U KR 20000026811U KR 200213675 Y1 KR200213675 Y1 KR 2002136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supply pipe
pipe
exhaust pipe
combu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68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일
Original Assignee
오승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일 filed Critical 오승일
Priority to KR20200000268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6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6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675Y1/ko

Links

Landscapes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소기용 급·배기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급기관과 배기관에 의해 이중관으로 구성된 급·배기관과, 상기 급·배기관을 상호 연결시키는 제 1,2연결부재와, 상기 배기관과 연소기에 연결된 연통과, 상기 급기관에 연결되어 연소기 내부로 외부공기가 공급되는 공기공급관으로 이루어진 급·배기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 1연결부재는 외주연에 끼움홈이 연장 형성된 끼움편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일측의 급기관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고, 상기 공기공급관은 일측 외주연에 걸림부가 돌설되어 상기 급기관의 유입공에 삽입되고, 상기 공기공급관 일단을 외측으로 절곡하여 상기 유입공 내주면에 고정시키며, 상기 급기관은 타측 영역에 돌기부가 형성되어 가이드 캡을 삽입시키고, 상기 급기관 타단 외주연을 내측으로 절곡시켜 상기 가이드 캡을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종래의 연소기용 급·배기관을 연결하기 위한 용접작업을 탈피하여 상호 끼움방식으로 조립하게 됨으로써 외관을 향상시켜 제품의 질을 향상시키게 되었고, 또한 안전성을 도모하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연소기용 급·배기관 연결구조{AIR SUPPLY PIPE AND EXHAUST PIPE CONNET STRUCTURE FOR A BURNER}
본 고안은 보일러, 온풍기 등의 연소기에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관과 외부 공기를 연소기 내부로 유입시키는 급기관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급·배기관을 상호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 1연결부재 외주연에 끼움홈이 연장 형성된 끼움편을 형성하여 일측의 급기관 외주연면 밀착 고정시키고, 연소기 내부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관에 걸림부를 형성하여 급기관의 유입공에 삽입시키고 이의 단부를 외측으로 절곡시켜 공기공급관을 고정시키게 되었으며, 급기관의 타단을 내측으로 절곡하여 내경에 삽입된 가이드캡을 고정시키는 것으로, 이는 종래에서와 같이 급·배기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스폿 용접작업을 탈피하여 끼움방식으로 조립하게 됨으로써 외관을 향상시켜 제품의 질이 향상되는 급·배기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 온풍기 등의 연소기용 급·배기관은 연소기의 배기부에 연결되는 배기관은 내부에 위치되고, 연소기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관은 배기관 외부에 위치되는 2중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소기용 급·배기관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연소기용 급·배기관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2a,2b,2c는 도 1의 A,B,C부분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배기관(100)은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설치되는 배기관(200)과 큰 직경으로 이루어져 외부에 설치되는 급기관(300)에 의하여 2중관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기관(200)은 일측과 타측 외경에 제 1,2연결부재(230)(231)의 일측이 용접 고정되고, 일측 내경에는 연소기(400)의 연통(500)이 삽입 연결된다.
상기 연통(500)은 중간 영역에 주름부가 구비되어 자유로이 구부릴 수 있게 되고, 그 일측이 연소기(400)에 연결되며, 타측 외경이 배기관(200) 일측 내경에 삽입 연결된다.
상기 급기관(300)은 배기관(200)의 일측과 타측 외경에 일측이 용접된 제 1,2연결부재(230)(231) 타측이 용접 고정되어 간격이 유지된다. 즉 제 1,2연결부재(230)(231)의 두께 만큼 배기관(200)과 간격을 유지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급기관(300)의 타측 영역에는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다수의 급기공(301)이 형성된다.
또한, 급기관(300) 일측 외주연에는 유입공(302)이 형성되고, 유입공(302)에는 공기공급관(310)이 용접 연결되어 연소기(400)에 설치된 공급관(410)에 연결됨으로써 외부 공기가 연소기(400) 내부로 공급된다.
한편, 급기관(300)의 타측 영역은 벽면(700)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공기의 유입 및 배기가스의 배출이 용이한 것이다.
그리고, 급기관(300)의 타측에는 걸림돌부(304)가 돌출 형성되어 가이드 캡(600) 내경이 삽입 용접되고, 배기관(200)을 통하여 배기가스가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되는 동시에 외부 공기의 유입이 차단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보일러 및 온풍기 등의 연소기(400)에서 발생된 배기가스는 연소기(400)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 외경이 배기관(200) 일측 내경에 삽입된 연통(500)을 통하여 배기관(200)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배기관(200) 내부로 유입된 배기가스가 벽체(700)의 외부로 노출된 급기관(300) 외경의 걸림돌부(304)에 밀착 삽입되어 용접된 가이드 캡(600)을 통하여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되는 동시에 외부 공기의 유입이 차단된다.
한편, 급기관(300)의 급기공(301)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급기관(300) 내부로 유입되어 급기관(300)의 유입공(302)에 삽입 용접된 공기공급관(310)을 통하고, 공기공급관(310)과 연결된 공급관(410)을 통하여 연소기(400) 내부로 공급된다.
그리고, 배기관(200)과 급기관(300) 일측 및 타측 외경과 내경 사이에 각각 용접된 제 1,2연결부재(230)(231)으로써 간격이 유지된 상태로 고정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연소기용 급·배기관 연결구조는 도 2a,2b,2c에서와 같이 급·배기관을 연결하는 제 1,2연결부재가 용접 고정되고, 급기관의 유입공에 연통되도록 공기공급관이 용접 고정되며, 급기관 타측 외경에 가이드 캡이 용접 고정됨으로써, 즉 연소기용 급·배기관의 연결구조를 스폿용접으로 진행하게 되어 각각의 용접부위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품질이 저하 되었으며, 또한 재질의 특성상 스폿용접부위에 충격이 가하게 되면 용접부위가 떨어지는 등의 제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급·배기관을 끼움방식으로 연결하여 조립하게 됨으로써 외관을 향상시켜 제품의 질을 향상시키게 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급기관과 배기관에 의해 이중관으로 구성된 급·배기관과, 상기 급·배기관을 상호 연결시키는 제 1,2연결부재와, 상기 배기관과 연소기에 연결된 연통과, 상기 급기관에 연결되어 연소기 내부로 외부공기가 공급되는 공기공급관으로 이루어진 급·배기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 1연결부재는 외주연에 끼움홈이 연장 형성된 끼움편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일측의 급기관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고, 상기 공기공급관은 일측 외주연에 걸림부가 돌설되어 상기 급기관의 유입공에 삽입되고, 상기 공기공급관 일단을 외측으로 절곡하여 상기 유입공 내주면에 고정시키며, 상기 급기관은 타측 영역에 돌기부가 형성되어 가이드 캡을 삽입시키고, 상기 급기관 타단 외주연을 내측으로 절곡시켜 상기 가이드 캡을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연소기용 급·배기관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2a,2b,2c는 도 1의 A,B,C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연소기용 급·배기관 연결구조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3의 C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배기관 23 : 제 1연결부재
23a : 끼움홈 23b : 끼움편
30 : 급기관 32 : 유입공
33 : 공기공급관 34 : 걸림부
35 : 돌기부 60 : 가이드 캡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연소기용 급·배기관 연결구조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B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C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급·배기관(10)은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설치되는 배기관(20)과 큰 직경으로 이루어져 외부에 설치되는 급기관(30)에 의하여 2중관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기관(20)은 일측과 타측 외경에 제 1,2연결부재(23)(24)의 일측이 고정되고, 일측 내경에는 연소기(40)의 연통(50)이 삽입 연결된다.
상기 연통(50)은 중간 영역에 주름부가 구비되어 자유롭게 구부릴 수 있게 되고, 그 일측이 연소기(40)에 연결되며, 타측 외경이 배기관(20) 일측 내경에 삽입 연결된다.
상기 급기관(30)은 배기관(20)의 일측과 타측 외경에 일측이 고정된 제 1,2연결부재(23)(24) 타측이 고정되어 간격이 유지된다. 즉 제 1,2연결부재(23)(24)의 두께 만큼 배기관(20)과 간격을 유지하여 고정된다.
이때, 제 1연결부재(23)의 외주연에는 끼움홈(23a)이 연장 형성된 끼움편(23b)이 일체로 형성되어 일측 급기관(30)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된다.
그리고, 급기관(30)의 타측 영역에는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다수의 급기공(31)이 형성된다.
또한, 급기관(30) 일측 외주연에는 유입공(32)이 형성되고, 유입공(32)에는 공기공급관(33)이 삽입 연결되며, 공기공급관(33)은 연소기(40)의 공급관(41)에 연결되어 외부 공기가 연소기(40) 내부로 공급된다.
이때, 공기공급관(33) 일측 외주연에는 걸림부(34)가 돌설되고, 걸림부(34) 일측 외주연, 즉 공기공급관(30)의 일단을 외측으로 절곡시켜 유입공(32)의 내주면에 밀착시키게 됨으로써 공기공급관(33)이 급기관(30)의 유입공(32)에 고정된다.
한편, 급기관(30)의 타측 영역은 벽면(70)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공기의 유입 및 배기가스의 배출이 용이한 것이다.
그리고, 급기관(30)의 타측 내경에는 가이드 캡(60) 외경이 삽입되어 배기관(20)을 통하여 배기가스가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되는 동시에 외부 공기의 유입이 차단된다.
이때, 급기관(30) 타측 영역에 내주연으로 돌출되게 다수의 돌기부(35)를 형성하여 가이드 캡(60)을 삽입시켜 가이드 캡(60)의 삽입을 지지하게 되고, 급기관(30) 타단의 외주연을 내측으로 절곡시켜 가이드 캡(60)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설명하면, 도 3에서와 같이 배기관(20)과 급기관(30)을 제 1,2연결부재(23)(24)로써 간격을 유지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즉, 급기관(30) 내경에 배기관(20)을 삽입시켜 제 1,2연결부재(23)(24)로써 간격이 유지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때, 제 1연결부재(23) 외주연에 일체로 연장 형성된 끼움편(23b)의 끼움홈(23a)을 일측 급기관(30) 외주면에 밀착 삽입시켜 제 1연결부재(23)를 고정시키게 된다.(도 4참조)
그 다음으로 급기관(30)의 유입공(32) 내경에 공기공급관(33)의 일단을 삽입시키게 되면, 공기공급관(33)의 일단 외경이 유입공(32) 내경에 삽입되고 공기공급관(33) 일측 외경의 걸림부(34)가 유입공(32)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유입공(32) 내부에 삽입된 공기공급관(31) 일단을 외측으로 절곡시켜 유입공(32)의 내주면에 밀착시키게 됨으로써 공기공급관(31)이 급기관(30)의 유입공(32)에 삽입 고정된다.(도 5참조)
그 다음으로 급기관(30)의 타측 내경에 가이드 캡(60)을 삽입시키면, 급기관(30) 타측 영역에 내주연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돌기부(34)에 가이드 캡(60)이 걸리게 되어 더 이상 삽입되지 않게 된다. 이때, 급기관(30) 타단의 외주연을 내측으로 절곡시켜 가이드 캡(60)을 고정시키게 된다.(도 6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연소기(40)에 일측이 연결된 연통(50)의 타측 외경을 배기관(20)의 내경에 삽입시키게 되고, 공기급기관(31) 타측을 연소기(40)에 연결시키게 된다. 그러면, 급·배기관(1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본 고안의 동작상태를 살며보면, 보일러 및 온풍기 등의 연소기(40)에서 발생된 배기가스는 연소기(40)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 외경이 배기관(20) 일측 내경에 삽입된 연통(50)을 통하여 배기관(20)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배기관(20) 내부로 유입된 배기가스가 벽체(70)의 외부로 노출된 급기관(30) 내경에 삽입 고정된 가이드 캡(60)을 통하여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되는 동시에 외부 공기의 유입이 차단된다.
한편, 급기관(30)의 급기공(31)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급기관(30) 내부로 유입되어 급기관(30)의 유입공(32)에 삽입 고정된 공기공급관(33)을 통하고, 공기공급관(33)에 삽입 연결된 공급관(41)을 통하여 연소기(40) 내부로 공급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고안은 급·배기관을 상호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 1연결부재 외주연에 끼움홈이 연장 형성된 끼움편을 형성하여 일측의 급기관 외주연면 밀착 고정시키고, 연소기 내부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관에 걸림부를 형성하여 급기관의 유입공에 삽입시키고 이의 단부를 외측으로 절곡시켜 공기공급관을 고정시키게 되었으며, 급기관의 타단을 내측으로 절곡하여 내경에 삽입된 가이드캡을 고정시키는 것으로, 이는 종래에서와 같이 급·배기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스폿 용접작업을 하지 않고 상호 끼움방식으로 조립하게 됨으로써 외관을 향상시켜 제품의 질을 향상시키게 되었고, 또한 안전성을 도모하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1)

  1. 급기관과 배기관에 의해 이중관으로 구성된 급·배기관과, 상기 급·배기관을 상호 연결시키는 제 1,2연결부재와, 상기 배기관과 연소기에 연결된 연통과, 상기 급기관에 연결되어 연소기 내부로 외부공기가 공급되는 공기공급관으로 이루어진 급·배기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 1연결부재(23)는 외주연에 끼움홈(23a)이 연장 형성된 끼움편(23b)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일측의 급기관(30)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고,
    상기 공기공급관(33)은 일측 외주연에 걸림부(34)가 돌설되어 상기 급기관(30)의 유입공(32)에 삽입되고, 상기 공기공급관(33) 일단을 외측으로 절곡하여 상기 유입공(32) 내주면에 고정시키며,
    상기 급기관(30)은 타측 영역에 돌기부(35)가 형성되어 가이드 캡(60)을 삽입시키고, 상기 급기관(30) 타단 외주연을 내측으로 절곡시켜 상기 가이드 캡(60)을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용 급·배기관 연결구조.
KR2020000026811U 2000-09-25 2000-09-25 연소기용 급·배기관 연결구조 KR2002136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811U KR200213675Y1 (ko) 2000-09-25 2000-09-25 연소기용 급·배기관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811U KR200213675Y1 (ko) 2000-09-25 2000-09-25 연소기용 급·배기관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3675Y1 true KR200213675Y1 (ko) 2001-02-15

Family

ID=73089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6811U KR200213675Y1 (ko) 2000-09-25 2000-09-25 연소기용 급·배기관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67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6405B1 (ko) 소구경 파이프의 접속용 커넥터
EP1840460A1 (en) Gas burner
JPH0341289A (ja) 細径配管接続用コネクター
KR200213675Y1 (ko) 연소기용 급·배기관 연결구조
JPH08338577A (ja) リング付き管の締結用管継手
KR200210566Y1 (ko) 연소기용 배기관의 길이 조절구조
KR200210565Y1 (ko) 연소기용 배기관 연결구조
KR200251830Y1 (ko) 연소기용 급·배기관
KR200414297Y1 (ko) 이중연통관
KR20010090284A (ko) 가스버너 구조
JP2000320748A (ja) パイプの継手構造
JP2000320745A (ja) ガス器具の種火管
KR200180568Y1 (ko) 연소기용 배기관
CN210241574U (zh) 一种燃烧器外火盖
KR20000016489U (ko) 보일러용 연통구조
JPH09112779A (ja) 出入口パイプの熱交換器のタンクへの組付方法
JP2533715B2 (ja) 消音器
JPS643945Y2 (ko)
KR0134969Y1 (ko) Ff식 보일러용 연도
AU2014250702B2 (en) Tubular burner
KR200358327Y1 (ko) 보일러의 연도 조립구조
KR19990034742U (ko) 버너용노즐구조
JP5400376B2 (ja) 圧力噴霧式バーナのノズル取付用の底壁部材
KR100213173B1 (ko) 열교환기
KR20040045739A (ko) 보일러용 배플 플레이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