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566Y1 - 연소기용 배기관의 길이 조절구조 - Google Patents
연소기용 배기관의 길이 조절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10566Y1 KR200210566Y1 KR2020000022814U KR20000022814U KR200210566Y1 KR 200210566 Y1 KR200210566 Y1 KR 200210566Y1 KR 2020000022814 U KR2020000022814 U KR 2020000022814U KR 20000022814 U KR20000022814 U KR 20000022814U KR 200210566 Y1 KR200210566 Y1 KR 20021056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haust pipe
- exhaust
- pipe
- air supply
- pipes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소기용 배기관의 길이 조절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제 1,2배기관 및 제 1,2급기관으로 이루어져 상호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급.배기관에 있어서, 상기 제 1배기관(21)은 타측 내경에 환형 걸림홈(21a)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 2배기관(22)은 일측 외경에 길이 방향으로 안착홈(22a)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22a)에는 자체 탄성력이 구비되도록 걸림편(23)이 용착되어 상기 환형 걸림홈(21a)에 걸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보일러 및 환풍기 등의 연소기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는 배기관을 제 1,2배기관으로 분리한 다음, 제 1배기관 타측 내경에는 환형 걸림부를 형성하고, 제 1배기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 2배기관 일측 외경에는 길이 방향으로 안착홈을 형성하여 걸림편을 용착시켜 이들의 상호 결합으로써 벽면으로 노출되는 배기관의 최대 길이를 록킹시키게 되는 것으로, 이는 걸림편이 안착홈 내부에서 탄력적으로 이동됨으로써 그 변형폭이 줄어들게 되어 걸림편의 변형이 방지됨으로써 배기관의 최대 노출에 대한 록킹이 용이한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보일러, 온풍기 등의 연소기의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는 배기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기관을 제 1,2배기관으로 분리하여 제 1배기관 타측 내경에는 환형 걸림홈을 형성하고, 이 환형 걸림홈에 탄력적으로 걸리게 되는 걸림편을 제 2배기관의 일측 외경에 용착하여 이들의 상호 결합으로써 배기관의 길이를 조절하게 됨으로써 제 2배기관의 걸림편의 변형을 방지하는 연소기용 배기관의 길이 조절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 온풍기 등의 연소기용 급.배기관은 연소기의 배기부에 연결되는 배기관은 내부에 위치되고, 연소기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관은 배기관 외부에 위치되는 2중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소기용 급.배기관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배기관(100)은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설치되는 배기관(200)과 큰 직경으로 이루어져 외부에 설치되는 급기관(300)에 의하여 2중관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기관(200)은 제 1,2배기관(210)(220)으로 분리되고, 제 1배기관(210) 내경에 제 2배기관(220) 외경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제 1배기관(210)은 일측 내경에 연통(400)이 삽입 연결되고, 타측 외경에는 그 단부가 내경을 통과하여 위치되도록 이루어지고, 자체 탄성력이 구비된 걸림편(211)이 용착된다.
상기 제 2배기관(220)은 제 1배기관(210)의 내경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일측 외경에는 타측이 경사진 걸림홈(221)이 연장 형성되며, 타측 내주연 영역에는 다수의 배기공(222)이 관통된다.
또한, 제 1,2배기관(210)(220) 일측과 타측 외경에는 제 1,2밀폐판(350)(360)이 용착 고정되고, 되고, 일단 내경에는 연소기(500)에 연결되는 연통(400)이 삽입 연결된다.
상기 연통(400)은 중간 영역에 주름부가 구비되어 자유로이 구부릴 수 있게 되고, 그 일측이 연소기(500)에 연결되고, 타측이 배기관(200)의 일측에 삽입 연결된다.
상기 급기관(300)은 제 1,2급기관(310)(320)로 분리되고, 제 1급기관(310) 내경에 제 2급기관(320) 외경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제 1,2급기관(310)(320) 일측 및 타측 내경이 상기 1,2배기관(210)(220)의 제 1,2밀폐판(350)(360) 외주연에 용착 고정되어 제 1,2급기관(310)(320)과 간격이 유지된다. 즉 제 1,밀폐판(350)(360)의 두께 만큼 제 1,2배기관(210)(220)과 간격이 유지된다.
그리고, 제 1급기관(310) 일측 외주연과 연소기(500) 사이에는 공기공급관(311)이 연결되어 제 2급기관(320)의 급기공(321)을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연소기(500) 내부로 공급된다.
또한, 제 2급기관(320)의 타측 영역에는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다수의 급기공(321)이 관통된다. 그리고, 제 2급기관(320)의 중앙 영역에는 제 1급기관(310)의 타단이 걸리게 되는 급기돌부(322)가 형성된다.
한편, 다수의 급기공(321)이 관통된 제 2급기관(320)의 영역과 배기공(222)이 관통된 제 2배기관(220)의 영역은 벽면(700)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공기의 유입 및 배기가스의 배출이 용이한 것이다.
그리고, 제 2급기관(320)과 제 2배기관(220)의 단부에는 가이드 캡(600)이 삽입 용착되어 배기공(222)을 통하여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되는 동시에 외부 공기의 유입이 차단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보일러 및 온풍기 등의 연소기(500)에서 발생된 배기가스는 연소기(500)에 일측이 연결되고, 배기관(200)의 제 1배기관(210) 일측 외경에 타단이 연결된 연통(400)을 통하여 배기관(200)의 제 1배기관(210)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제 1배기관(210) 내부로 유입된 배기가스가 벽체(700)의 외부로 노출된 제 2배기관(220) 타측 영역의 배기공(222)을 통하고, 제 2급기관(320)의 타단과 제 2배기관(220) 타단에 삽입된 가이드 캡(600)을 통하여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되는 동시에 외부 공기의 유입이 차단된다.
한편, 제 2급기관(320)의 급기공(321)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제 2급기관(320) 내부로 유입되어 제 2급기관(320)의 외경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제 1급기관(310)의 공기공급관(311)을 통하여 연소기(500) 내부로 신선한 공기가 공급 된다.
그리고, 제 1,2배기관(210)(220)과 제 1,2급기관(310)(320) 일측 및 타측 외경과 내경 사이에 각각 용착된 제 1,2밀폐판(350)(360)으로써 배출되는 배출가스와 외부의 유입공기가 혼합되지 않게 된다.
한편, 벽면(700)의 뚜께 및 설치장소에 따라 벽면(700)으로부터 노출되는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급기관(300)의 제 2급기관(320)을 내측으로 밀게 된다. 그러면, 제 2급기관(320)이 제 1급기관(310)의 내경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 2급기관(320) 중앙영역에 형성된 급기돌부(322)에 제 1급기관(310)의 타단이 걸리게 되면, 제 2급기관(320)의 최대 이동거리가 된다. 즉, 최대로 길이가 줄어들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 2급기관(320)과 제 2밀폐판(360)으로써 간격이 유지된 상태로 고정된 제 2배기관(220) 일측 외경이 제 1밀폐판(350)에 고정된 제 1배기관(210) 타측 내경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 1배기관(210) 타측 외경에 용착되어 그 단부가 내경을 통과하여 위치되어진 걸림편(211)이 외측으로 탄력 이동되어 제 2배기관(220) 이동시 전혀 간섭이 발생되지 않게 되나, 걸림편(211)이 제 2배기관(220) 외경의 걸림홈(221)에 위치되면, 복원력으로 내측으로 이동되어 걸림홈(221)에 탄력적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2배기관(220)을 내측으로 계속적으로 밀게 되면, 걸림홈(221) 타측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걸림편(211)이 걸림홈(221)를 타고 넘게 됨으로써 외측으로 이동되어 제 2배기관(220)이 계속적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 2배기관(220)의 최대 이동거리가 되는 데, 이동거리는 제 2급기관(320)과 동일한 것이다.
한편, 반대로 제 2급기관(320)을 외측으로 당기게 된다. 그러면, 제 2급기관(320)이 제 1급기관(310)의 내경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된다. 이와 동시에 제 2배기관(220)이 제 1배기관(210)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되고, 제 1배기관(210)의 걸림편(211)의 단부가 걸림홈(221)에 탄력적으로 걸리게 됨으로써 제 1배기관(210)이 더 이상 이동되지 않게 되어 최대로 길이가 늘어난 상태가 된다. 즉, 배기관(200) 및 흡기관(300)이 벽면(70)으로 노출되는 최대 길이가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연소기의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는 제 1,2배기관의 길이, 즉 벽면으로 노출되는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제 2배기관 외경의 걸림홈과 제 1배기관 타측의 걸림편의 결합으로써 이루어지는 데, 이는 걸림편의 단부가 제 1배기관의 내경으로 돌출되어 있어 반복 사용시, 즉 걸림편의 단부가 제 2배기관의 걸림홈에 탄력적으로 걸리거나 제 2배기관의 외경에 밀착되는 일련의 반복 동작으로 걸림편 자체가 휘거나 부러지는 등 변형이 발생되어 배기관의 최대 노출 길이에 대한 록킹이 용이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연소기에 연결되는 배기관의 최대 노출 길이를 안전하게 록킹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연소기용 급.배기관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2은 도 1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연소기용 배기관의 길이 조절구조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5은 도 4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6a,6b는 본 고안의 동작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배기관 21,22 : 제 1,2배기관
21a : 환형 걸림홈 22a : 안착홈
23 : 걸림편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제 1,2배기관 및 제 1,2급기관으로 이루어져 상호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급.배기관에 있어서, 상기 제 1배기관은 타측 내경에 환형 걸림홈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 2배기관은 일측 외경에 길이 방향으로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에는 자체 탄성력이 구비되도록 걸림편이 용착되어 상기 환형 걸림홈에 걸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급.배기관(10)은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설치되는 배기관(20)과 큰 직경으로 이루어져 외부에 설치되는 급기관(30)에 의하여 2중관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기관(20)은 제 1,2배기관(21)(22)으로 분리되고, 제 1배기관(21) 내경에 제 2배기관(22) 외경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제 1배기관(21)은 일측 내경에 연통(40)이 삽입 연결되고, 타측 내경에는 환형 걸림홈(21a)이 연장 형성되며, 환형 걸림홈(21a)의 내측으로 패킹부재(25)가 삽입된다.
상기 제 2배기관(22)는 일측 외경에 길이 방향으로 안착홈(22a)이 형성되고, 안착홈(22a)에는 자체 탄성력이 구비되도록 걸림편(23)이 용착된다.
그리고, 제 2배기관(22) 타측 내주연 영역에는 다수의 배기공(22b)이 관통된다. 또한, 제 1,2배기관(21)(22) 일측과 타측 외경에는 제 1,2밀폐판(35)(36)이 용착 고정되고, 일단 내경에는 연소기(50)에 연결되는 연통(40)이 삽입 연결된다.
상기 연통(40)은 중간 영역에 주름부가 구비되어 자유로이 구부릴 수 있게 되고, 그 일측이 연소기(50)에 연결되고, 타측이 배기관(20)의 제 1배기관(21)의 일측에 삽입 연결된다.
상기 급기관(30)은 제 1,2급기관(31)(32)로 분리되고, 제 1급기관(31) 내경에 제 2급기관(32) 외경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제 1,2급기관(31)(32) 일측 및 타측 내경이 상기 1,2배기관(21)(22)의 제 1,2밀폐판(35)(36) 외주연에 용착 고정되어 제 1,2급기관(31)(32)과 간격이 유지된다. 즉 제 1,밀폐판(35)(36)의 두께 만큼 제 1,2배기관(21)(22)과 간격이 유지된다.
그리고, 제 1급기관(31) 일측 외주연과 연소기(50) 사이에는 외부공기가 연소기(5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공급관(31a)이 연결된다.
또한, 제 2급기관(32)의 타측 영역에는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다수의 급기공(32a)이 관통된다.
그리고, 제 2급기관(32)의 중앙 영역에는 제 1급기관(31)의 타단이 걸리게 되는 급기돌부(32b)가 형성된다.
한편, 다수의 급기공(32a)이 관통된 제 2급기관(32)의 영역과 배기공(22b)이 관통된 제 2배기관(22)의 영역은 벽면(70)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공기의 유입 및 배기가스의 배출이 용이한 것이다.
그리고, 제 2급기관(32)과 제 2배기관(22)의 타단에는 가이드 캡(60)이 삽입 용착되어 배기공(22b)을 통하여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되는 동시에 외부 공기의 유입이 차단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보일러 및 온풍기 등의 연소기(50)에서 발생된 배기가스는 연소기(50)에 일측이 연결되고, 배기관(20)의 제 1배기관(21) 일측 외경에 타단이 연결된 연통(40)을 통하여 제 1배기관(21)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제 1배기관(21) 내부로 유입된 배기가스가 벽체(70)의 외부로 노출된 제 2배기관(22) 타측 영역의 배기공(22b)을 통하고, 제 2급기관(32)의 타단과 제 2배기관(22) 타단에 삽입된 가이드 캡(60)을 통하여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되는 동시에 외부 공기의 유입이 차단된다.
한편, 제 2급기관(32)의 급기공(32a)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제 2급기관(32) 내부로 유입되어 제 2급기관(32) 외경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제 1급기관(31)의 공기공급관(31a)을 통하여 연소기(50) 내부로 신선한 공기가 공급 된다.
그리고 제 1,2배기관(21)(22)과 제 1,2급기관(31)(32) 일측 및 타측 외경과 내경 사이에 각각 용착된 제 1,2밀폐판(35)(36)으로써 배출되는 배출가스와 외부의 유입공기가 혼합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6a에서와 같이 벽면(70)의 두께 및 설치장소에 따라 벽면(70)으로부터 노출되는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급기관(30)의 제 2급기관(32)을 내측으로 밀게 된다. 그러면, 제 2급기관(32)이 제 1급기관(31)의 내경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 2급기관(32) 중앙영역 외경에 형성된 급기돌부(32b)에 제 1급기관(31)의 타단이 걸리게 되면, 제 2급기관(32)의 최대 이동거리가 된다. 즉, 벽면(70)으로 노출되는 최소 길이가 된다.
이와 동시에 제 2급기관(32)과 제 2밀폐판(36)으로써 간격이 유지된 상태로 고정된 제 2배기관(22) 일측 외경이 제 1밀폐판(35)로써 고정된 제 1배기관(21)이 타측 내경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 2배기관(22) 일측 외경의 안착홈(22a)에 용착된 걸림편(23)이 제 1배기관(21) 내경에 밀착되어 내측, 즉 안착홈(22a) 측으로 탄력 이동됨으로써 제 2배기관(22) 이동시 전혀 간섭이 발생되지 않게 되나, 걸림편(23)의 일단이 제 1배기관(21) 내경의 환형 걸림홈(21a)에 위치되면, 복원력으로 외측으로 이동되어 환형 걸림홈(21a)에 탄력적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2배기관(22)을 내측으로 계속적으로 밀게 되면, 걸림편(23)이 환형 걸림홈(21a)을 타고 넘게 되어 제 2배기관(22)이 계속적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 2배기관(22)의 최대 이동거리가 되는 데, 이동거리는 제 2급기관(32)과 동일한 것이다.
그리고, 도 6b에서와 같이 반대로 제 2급기관(32)을 외측으로 당기게 된다. 그러면, 제 2급기관(32)이 제 1급기관(31)의 내경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된다. 이와 동시에 제 2배기관(22)이 제 1배기관(21)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되고, 제 2배기관(21)의 걸림편(23)이 환형 걸림홈(21a)에 탄력적으로 걸려 록킹됨으로써 제 1배기관(21)이 더 이상 이동되지 않게 되어 벽면(70)으로 노출되는 최대 길이가 된다.
그리고, 제 1배기관(21) 내경의 패킹부재(25)에 의해 배기가스가 새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상 술한 본 고안에 의하면, 보일러 및 환풍기 등의 연소기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는 배기관을 제 1,2배기관으로 분리한 다음, 제 1배기관 타측 내경에는 환형 걸림부를 형성하고, 제 1배기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 2배기관 일측 외경에는 길이 방향으로 안착홈을 형성하여 걸림편을 용착시켜 이들의 상호 결합으로써 벽면으로 노출되는 길이를 록킹시키는 것으로, 이는 걸림편이 안착홈 내부에서 탄력적으로 이동됨으로써 그 변형폭이 줄어들게 되어 걸림편의 변형이 방지됨으로써 배기관의 최대 노출 길이에 대한 록킹이 용이한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1)
- 제 1,2배기관 및 제 1,2급기관으로 이루어져 상호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급.배기관에 있어서,상기 제 1배기관(21)은 타측 내경에 환형 걸림홈(21a)이 연장 형성되고,상기 제 2배기관(22)은 일측 외경에 길이 방향으로 안착홈(22a)이 형성되며,상기 안착홈(22a)에는 자체 탄성력이 구비되도록 걸림편(23)이 용착되어 상기 환형 걸림홈(21a)에 걸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용 배기관의 길이 조절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22814U KR200210566Y1 (ko) | 2000-08-10 | 2000-08-10 | 연소기용 배기관의 길이 조절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22814U KR200210566Y1 (ko) | 2000-08-10 | 2000-08-10 | 연소기용 배기관의 길이 조절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10566Y1 true KR200210566Y1 (ko) | 2001-01-15 |
Family
ID=73053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22814U KR200210566Y1 (ko) | 2000-08-10 | 2000-08-10 | 연소기용 배기관의 길이 조절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10566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59051B1 (ko) | 2013-12-24 | 2015-10-08 | 김연중 | 배기부 구조가 개선된 화목보일러 |
KR101910795B1 (ko) * | 2016-10-04 | 2018-10-23 | 주식회사 빅스코 | 보일러의 급배기관 연결구조 |
KR102631607B1 (ko) * | 2023-07-19 | 2024-01-31 | 공필주 | 원터치 체결식 분리형 연통 |
-
2000
- 2000-08-10 KR KR2020000022814U patent/KR20021056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59051B1 (ko) | 2013-12-24 | 2015-10-08 | 김연중 | 배기부 구조가 개선된 화목보일러 |
KR101910795B1 (ko) * | 2016-10-04 | 2018-10-23 | 주식회사 빅스코 | 보일러의 급배기관 연결구조 |
KR102631607B1 (ko) * | 2023-07-19 | 2024-01-31 | 공필주 | 원터치 체결식 분리형 연통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34882B1 (ko) | 패널 연료 분사기를 갖는 연소 시스템 | |
JP3694337B2 (ja) | タービン燃焼器 | |
JP5960969B2 (ja) | 燃焼器を点火燃焼させ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 |
EP0899511B1 (en) | Gas turbine combustor | |
JP4851674B2 (ja) | エネルギーシステムと併用する環状燃焼器 | |
JP5657794B2 (ja) | ガスタービン燃焼室 | |
JP2008202817A (ja) | ガスバーナ | |
KR200210566Y1 (ko) | 연소기용 배기관의 길이 조절구조 | |
CN111336517A (zh) | 燃烧器的喷头组件、燃烧器和干衣机 | |
TWI452237B (zh) | 主副燃燒器 | |
KR200421616Y1 (ko) | 저녹스 가스버어너 | |
JP4400921B2 (ja) | 多管式貫流ボイラ | |
JP2005188844A (ja) | 管状火炎バーナ | |
JPH11325402A (ja) | 貫流ボイラ | |
JP4148656B2 (ja) | 燃焼装置 | |
KR200213675Y1 (ko) | 연소기용 급·배기관 연결구조 | |
KR100260226B1 (ko) | 고열량 버너 | |
JP2019211095A (ja) | 油焚きバーナおよび多管式貫流ボイラ | |
KR101990767B1 (ko) | 이중 원추형 가스터빈용 버너 및 이 버너에 공기를 공급하는 방법 | |
JP3957186B2 (ja) | 燃焼装置のウインドボックス構造 | |
JP4123120B2 (ja) | ガスタービン燃焼器 | |
SU1334019A1 (ru) | Теплогенератор | |
JP3891075B2 (ja) | 二段燃焼装置 | |
JPH0547935Y2 (ko) | ||
JP2008145069A (ja) | 燃焼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1106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