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445Y1 - 비데 - Google Patents

비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445Y1
KR200211445Y1 KR2020000022290U KR20000022290U KR200211445Y1 KR 200211445 Y1 KR200211445 Y1 KR 200211445Y1 KR 2020000022290 U KR2020000022290 U KR 2020000022290U KR 20000022290 U KR20000022290 U KR 20000022290U KR 200211445 Y1 KR200211445 Y1 KR 2002114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bidet
air
cylinder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2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노비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노비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노비타
Priority to KR20200000222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4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4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445Y1/ko

Links

Landscapes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데(Bidet)에 관한 것으로, 탈취와 건조가 하나의 몸체 내에서 이이루어지는 일체형 탈취건조장치를 갖는 비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비데는 용변중에는 일체형 탈취건조장치에 의하여 변기내 공기를 배기 및 정화하고, 용변후에는 세척을 수행한 후 일체형 탈취건조장치에 의하여 외부 공기를 소정온도로 가열하여 변기 내로 유입시켜 용변 부위를 건조시키는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종래 탈취 및 건조가 별도로 이루어질 때에 비하여 비데의 크기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단가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비데{Bidet}
본 고안은 비데(Bidet)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탈취 및 건조가 하나의 몸체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일체형 탈취건조장치를 갖는 비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데는 비데 사용자가 용변 후 물을 분사하여 용변부위를 세척하는 위생세척장치 중 하나로, 종래 비데중에는 이와 같은 단순세척기능 이외에 변기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탈취기능과, 탈취기능과 별개로 세척부위에 묻어있는 잔존물기를 건조시키는 건조기능을 갖도록 개발된 비데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탈취기능과 건조기능을 갖는 종래 비데는 용변중에 변기내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하여 탈취기능을 수행하는 탈취장치와, 용변부위 세척 후 젖은 부위를 말려주기 위한 건조기능을 수행하는 건조장치가 각각 별개로 설치됨으로써, 비데 장치가 커질뿐만 아니라 가격까지 고가가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진 탈취건조장치로 비데의 탈취기능과 건조기능을 모두 수행하여 콤팩트한 크기를 갖으면서 생산원가가 낮은 비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비데 및 변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비데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비데의 탈취건조장치 종단면도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물을 분사하여 용변 부위를 세척하는 세척장치와 변기내 공기를 정화시키고 세척부위에 남아있는 잔존물기를 건조시키며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진 탈취건조장치와 세척 및 탈취건조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장치로 구성됨에 있다.
이하, 첨부된 도 1, 2, 3 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비데(70)는 변기(80)의 상부에 안착되는 바, 전체적으로 보아 비데몸체(60)와 변좌(50)로 구성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를 참조하면, 비데몸체(60)는 케이스(40), 케이스(40) 내부에 설치된 세척장치(10) 및 탈취건조장치(30) 그리고 케이스(40)에 설치된 제어장치(20)로 구성되고, 변기(80)에 안착되는 변좌(50)에는 내부에 무게 감지센서(미도시)가 포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세척장치(10)는 다시 물공급배관(15), 물탱크(11), 노즐(14), 펌프(12), 그리고 수압조절밸브(13)로 구성되어 비데사용자의 용변 부위를 세척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물공급배관(15)은 파이프 형상으로, 그 일측 단부는 외부 수도전(미도시)으로 부터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물탱크(11)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물을 분사하는 노즐(14)과 연결된다. 이와같은 물공급배관(15)의 중간에는 물탱크(11)에서 노즐(14)쪽으로 물이 소정압력으로 펌핑되도록 하는 펌프(12) 및 펌프(12)에서 노즐(14)로 이송되는 물의 수압이 용변세척에 적합하도록 조절하는 수압조절밸브(13)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세척장치(10)와 인접한 곳에는 탈취건조장치(30)가 설치된다. 탈취건조장치(30)는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시 송풍덕트유닛, 탈취카세트(32), 히터(34), 그리고 양방향 송풍유닛(33)으로 구성되며, 용변중 변기(80) 내 공기정화 및 용변후 세척이 진행된 후 용변 부위에 묻어있는 잔존물기를 건조시키는 역할을 모두 수행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탈취건조장치(3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송풍덕트유닛은 양단부가 개구된 통체형상으로 상하 분리결합이 가능하도록 2 조각으로 구성된 송풍덕트(36) 및 송풍덕트(36)에 설치된 개폐밸브그룹(371,372,373,37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송풍덕트(36)는 개구된 일측단이 변기(80) 내부와 연통되고, 개구된 타측단은 변기(80) 외부와 연통되어 변기(80) 내 공기와 변기(80) 외 공기가 통풍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하, 송풍덕트(36) 중 변기(80) 내부와 연통된 단부를 송풍구(375)라 정의하고, 송풍덕트(36) 중 변기(80) 외부와 연결된 단부를 배출구(378)라 정의하기로 한다.
개폐밸브그룹(371,372,373,374)은 송풍밸브(371), 흡입밸브(372), 유입밸브 (373) 그리고 배출밸브(374)로 구성되며, 일실시예로 이들을 모두 일방향으로만 개폐되는 체크밸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송풍밸브(371)는 앞서 정의된 송풍구(375)에 설치되며, 송풍덕트(36) 내측으로는 열리지 않으며 송풍덕트(36) 외측으로만 열리게 설치된다. 배출밸브(374)는 앞서 정의된 배출구(378)에 설치되며, 송풍덕트(36) 외측으로만 열리고 송풍덕트(36) 내측으로는 열리지 않는다.
또한, 흡입밸브(372)는 변기(80) 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에어 홀(Air Hole) 형상으로 송풍밸브(371)와 근접한 송풍덕트(36)상에 설치되어 송풍덕트(36) 내측으로만 열리고, 송풍덕트(36) 외측으로는 열리지 않는 구성을 갖는다. 유입밸브(373)는 변기(80) 외부의 공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에어 홀(Air Hole) 형상으로 배출밸브(374)와 근접한 송풍덕트(36)에 설치되되, 송풍덕트(36) 내측으로는 열리며 송풍덕트(36) 외측으로는 열리지 않는다.
이하, 흡입밸브(372)에 의해 개폐되며 변기(8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설치된 에어 홀(Air Hole)을 흡입구(376)라 정의하고, 유입밸브(373)에 의해 개폐되며 변기(80)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설치된 에어 홀(Air Hole)을 유입구(377)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한편, 탈취카세트(32)는 용변자가 용변 중 변기(80)의 공기를 탈취시키는 역할을 하는 바, 송풍덕트(36) 중 배출밸브(374)와 유입밸브(373) 사이에 해당하는 내측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히터(34)는 송풍밸브(371)와 흡입밸브(372) 사이의 위치하며 변기(80)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소정 온도로 히팅(Heating)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용변 중, 용변 후 변기(80)로부터 외부로, 외부에서 변기(80)로 공기 흐름이 발생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양방향 송풍유닛(33)을 필요로 하는 바, 양방향 송풍유닛(33)은 송풍날개(334)와 송풍몸체(336)로 구성된다.
이때, 송풍날개(334)는 송풍몸체(336)에 장착되어 정역회전 하면서 정역 송풍이 발생되도록 하고, 송풍몸체(336)는 송풍날개(334)가 정역회전 하도록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는 일실시예로 정역회전 모터(339)에 의하여 구현되는 바, 그 자세한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역회전 모터(339)는 모터케이스(337), 회전체(338), 회전축(331), 제 1 유도전류코일(332), 제 2 유도전류코일(333), 유도전류차단판(335)으로 구성된다.
모터케이스(337)는 송풍몸체(336)에 장착되어지는 원통형상으로, 정역회전 모터(339)의 구성요소를 감싸는 역할을 하며, 회전체(338)는 모터케이스(337)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회전축(331)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회전축(331)은 모터케이스(337)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정역회전 할 수 있게 설치된다. 또, 송풍날개(334)와 회전체(338) 사이는 전후로 두부분으로 나누어지며, 앞부분에는 정방향으로 회전을 유도하는 제 1 유도전류코일(332)이 설치되고, 뒷부분에는 역방향으로 회전을 유도하는 제 2 유도전류코일 (333)이 설치되며, 이 두 코일 사이에는 서로 다른 2 개의 유도전류를 절연시키는 유도전류차단판(335)이 설치된다.
이때, 일실시예로 제 1 유도전류코일(332)은 정방향으로 저속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제 2 유도전류코일(333)은 역방향으로 고속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한편, 제어장치(20)는 세정스위치(21)와 제어유닛(24)으로 구성된다. 다시 세정스위치(21)는 비데의 세척장치(10)를 온(On)/오프(Off) 시키는 역할을 하며, 제어유닛(24)은 탈취건조장치(30)의 작동과 세척장치(10)의 세척시간과 전반적인 비데(70)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른 작용은 다음과 같다.
비데(70)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해 비데(70)의 변좌(50)에 앉으면, 변좌(50)내 설치되어 있는 무게감지센서(미도시)는 무게를 감지하여 제어유닛(24)에 소정 신호값을 보내게 된다.
이에 제어유닛(24)은 정역회전모터(339)를 정의된 정방향으로 저속회전 시키고, 이에 따라 송풍덕트(36)의 내부 압력이 낮아지게 되어 흡입밸브(372) 및 배출밸브(374)는 오픈(Open)되며, 변기(80)내 공기는 송풍덕트(36)를 관통하면서 흡입구(376)와 탈취카세트(32)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배출구(378)를 통하여 배기된다.
또한, 비데(70) 사용자가 용변을 보고 나면, 비데사용자는 세정스위치(21)를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물탱크(11)에 저장된 물은 펌프(12)에 의해 소정압력으로 펌핑하여, 물공급배관(15)을 통해 수압조절밸브(13)의 적절한 조절에 의하여 노즐(14)로 공급되고, 노즐(14)은 공급된 물을 비데사용자의 용변 부위에 적절한 수압으로 기 설정된 시간동안 분사하여 세척한다.
이때, 제어유닛(24)은 세척이 진행되는 시간을 제어하여, 세척이 완료되는 시간에 펌프(12)의 작동을 중지시켜 노즐(14)로 부터 분사를 멈추게 하고, 동시에 탈취기능도 멈추게 한 후, 또 건조작용을 시작하게 한다.
건조작용은 정역회전 모터(339)가 역회전됨으로써 개시된다. 이에 따라 송풍덕트(36)내 설치되어 있는 배출밸브(374)와 흡입밸브(372)는 닫히게 되고, 동시에 유입밸브(373)와 송풍밸브(371)는 열리게 된다.
따라서, 공기는 변기(80) 내부와 연통된 송풍 덕트(36)내 공기의 흐름을 따라 유입구(377)를 통하여 변기(80)외부에서 유입되어, 히터(34)를 지나 송풍구(375)를 통해 비데(70) 사용자의 세척 부위에 도달한다.
이때, 정역회전모터(339)는 고속으로 역방향 회전됨으로서 풍부한 풍량이 비데사용자의 세척부위에 송풍되게 하여, 비데사용자의 용변 부위를 빠른 시간내 건조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비데의 탈취기능을 하는 탈취장치와 건조기능을 하는 건조장치를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진 일체형 탈취건조장치로 통합하여, 탈취와 건조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종래 탈취, 건조가 별도로 이루어질 때에 비하여 비데의 크기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단가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다.

Claims (6)

  1. 변기의 변좌에 안착되어 사용자의 용변부위에 세정액을 분사하여 세척을 수행하는 세척수단이 설치된 비데 몸체를 포함하는 비데에 있어서,
    사용자가 변기에 앉은 상태에서 변기의 내부와 상기 변기의 외부가 연통되도록 상기 비데 몸체에 설치된 통체와;
    상기 통체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가 용변 중일 때에는 상기 변기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오염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 배출 수단과;
    용변 후, 상기 세척수단이 작동된 후에는 상기 공기 배출 수단의 작동이 중지된 상태에서 상기 변기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신선한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도록 하는 외기 유입 수단과;
    상기 통체 내부에서 강제적으로 공기 흐름이 발생되도록 하는 송풍 수단과;
    상기 통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 수단 및 상기 공기 배출 수단에 의하여 배출되는 상기 오염된 공기가 상기 통체를 빠져나가기 전에 탈취시키는 탈취수단을 포함하는 비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 수단은
    상기 변기 내부로부터 상기 통체 내부로 오염원이 유입되도록 상기 변기 내부에 위치한 통체 부위에 설치된 제 1 체크 밸브, 상기 제 1 체크 밸브를 통하여 상기 오염원이 유입되면 연동되어 개방되도록 상기 통체에 형성된 제 2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비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유입수단은
    상기 변기 외부로 부터 상기 변기 내부로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변기 외측에 해당하는 상기 통체에 형성된 제 3 체크 밸브, 상기 제 3 체크 밸브를 통하여 상기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면 연동되어 개방되도록 상기 변기 내부에 해당하는 상기 통체에 형성된 제 4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비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체 내부에는 상기 외기 유입수단에 의하여 상기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었을 때, 상기 신선한 공기를 소정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수단이 형성된 비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발열하는 열선인 비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수단은
    회전축을 정역회전시켜 상기 통체 내부에서 양방향 송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정역회전 모터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된 회전날개인 비데.
KR2020000022290U 2000-08-04 2000-08-04 비데 KR2002114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290U KR200211445Y1 (ko) 2000-08-04 2000-08-04 비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290U KR200211445Y1 (ko) 2000-08-04 2000-08-04 비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1445Y1 true KR200211445Y1 (ko) 2001-01-15

Family

ID=73057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290U KR200211445Y1 (ko) 2000-08-04 2000-08-04 비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44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6309A (ko) * 2002-06-03 2002-08-14 허감석 H.k.s 양변기.
KR101057467B1 (ko) 2009-10-28 2011-08-17 주식회사 노비타 비데의 제균기 제어방법
KR101338495B1 (ko) 2012-10-23 2013-12-10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온수세정기의 건조 및 탈취장치의 구조
KR101361102B1 (ko) * 2012-10-23 2014-02-13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온수세정기의 건조 및 탈취장치의 구동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6309A (ko) * 2002-06-03 2002-08-14 허감석 H.k.s 양변기.
KR101057467B1 (ko) 2009-10-28 2011-08-17 주식회사 노비타 비데의 제균기 제어방법
KR101338495B1 (ko) 2012-10-23 2013-12-10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온수세정기의 건조 및 탈취장치의 구조
KR101361102B1 (ko) * 2012-10-23 2014-02-13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온수세정기의 건조 및 탈취장치의 구동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0953B1 (en) Auto cleaning toilet seat with anal cleaning device and blow dry
US8776278B1 (en) Auto cleaning toilet seat and drying system
JP3859153B2 (ja) 便器用の身体洗浄ユニット
KR101576826B1 (ko) 비데 장치
KR200211445Y1 (ko) 비데
KR100821680B1 (ko) 인출식 건조노즐이 장착된 비데
JP3147086B2 (ja) 室内暖房機能を備えるトイレ装置
JP2556295Y2 (ja) 脱臭装置
KR100737776B1 (ko) 변기시트 및 비데 송풍장치 장착구조
JPS6022143B2 (ja) 乾燥脱臭機能付衛生洗浄装置
KR20070066151A (ko) 변기시트와 이를 이용한 비데
JP3074783B2 (ja) 室内暖房機能と脱臭機能とを有する多機能便座
JP7205140B2 (ja) 衛生洗浄装置
JP3074820B2 (ja) 多機能便座
KR19980058436U (ko) 비데의 건조기 구조
JPH0720230Y2 (ja) 脱臭便座ボックス
JP6900827B2 (ja) 衛生洗浄装置およびトイレ装置
JP4882149B2 (ja) 人体乾燥装置
JP2597019Y2 (ja) 脱臭装置
JP3151863B2 (ja) 空気加熱手段を有する水洗便器
JP3930781B2 (ja) 人体洗浄・乾燥装置
JPH11181867A (ja) 便器設備
JP2754421B2 (ja) 脱臭装置およびこの脱臭装置を搭載したトイレ装置
JPH0137021Y2 (ko)
JP2541073Y2 (ja) 温水洗浄装置の温風吹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