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142Y1 - 펄프 성형물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펄프 성형물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142Y1
KR200210142Y1 KR2020000022471U KR20000022471U KR200210142Y1 KR 200210142 Y1 KR200210142 Y1 KR 200210142Y1 KR 2020000022471 U KR2020000022471 U KR 2020000022471U KR 20000022471 U KR20000022471 U KR 20000022471U KR 200210142 Y1 KR200210142 Y1 KR 2002101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old
pulp
heat insulating
insulat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4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한
차구익
김영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코리아리싸이트
차구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코리아리싸이트, 차구익 filed Critical 주식회사코리아리싸이트
Priority to KR20200000224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142Y1/ko
Priority to JP2000318506A priority patent/JP2001159100A/ja
Priority to US09/692,473 priority patent/US6332956B1/en
Priority to TW89122857A priority patent/TW531582B/zh
Priority to CN00133543.XA priority patent/CN1120911C/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1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142Y1/ko

Links

Landscapes

  • Pap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형들에 장착되는 금형만을 가열함으로서 열량의 손실을 방지함은 물론 상형의 승강시 진동을 방지할 수 있는 펄프 성형물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제1,2,3 상형은 실린더에 고정되는 단일상판, 단열재, 단일테이블와 단열재의 내부에 장착된 히팅부 및 히팅부에서 가열된 공기가 공급되는 금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2,3 상형의 주위에는 가이드홀들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홀들에는 프레임의 상면과 상부고정판의 하면에 상하단이 고정되는 다수의 가이드축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펄프 성형물 제조장치{A manufacturing equipment for pulp tray}
본 고안은 펄프 성형물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형들에 장착되는 금형만을 가열함으로서 열량의 손실을 방지함은 물론, 상형의 승강시 진동을 방지할 수 있는 펄프 성형물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펄프용기라 함은, 가전제품의 외관을 포장하거나, 인스탄트식품의 포장용기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장점으로는 매립시 부식이 빠르고, 식품에 유해한 성분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종래의 펄프용기 제조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종래의 펼프용기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하부에 장착되는 프레임(101)과 이 프레임(101)의 상측에 다수의 기대(103)를 통해 고정된 상부고정판(102)으로 이루어진 본체(100)와, 상기 프레임(101)의 전방에 성형탱크(104)가 구비되어 이 성형탱크(104)의 내부에서 승강되는 제1 하형(200)과, 상기 프레임(101)의 상부에 장착되어 실린더를 통해 전후로 이동되는 제2,3 하형(201,202)과, 상기 상부고정판(102)에 장착되어 실린더를 통해 승강되는 제1,2,3 상형(30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 하형(200)의 승강동작을 통해 펄프를 흡착한 후, 제1,2,3 상형(300)의 승강과 제2,3 하형(201,202)의 전,후 이동에 따라, 성형체를 단계적으로 이송시켜 가열압축하는 과정을 통해 제품을 완성하는 것이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제1,2,3 상형(300)은, 상기 상부고정판(102)에 다수로 장착된 실린더의 로드에 고정되는 단일상판(301), 이 단열상판(301)의 하부에 장착되어 히터판의 열기가 상승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재(302), 이 단열재(302)의 하부에 장착되는 히터판(303), 및 히터판(303)의 하부에 고정되어 그 하부에는 금형(400)이 장착되며 다수의 격판으로 이루어진 테이블(304)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2,3 상형(300)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는 금형(400)의 온도를 상승시킬 경우에는, 먼저, 히터판에 전원을 공급시켜 온도를 상승시킴에 따라 그 하부에 장착되어 있는 테이블로 열이 전달하고, 이때 전달된 열을 이용하여 금형(400)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형(300)은 실린더를 통해 승강되는 동작을 수행하며, 그 사방에는 상기 상부고정판(102)을 관통하여 승강되는 가이드축(500)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금형의 온도를 상승시킬 경우에는 상형의 온도를 전체적으로 높이게 되는데, 불필요한 부분까지 열이 전도됨에 따라서, 열량의 많은 손실을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히터블록 전체의 온도가 상승되게 됨으로서, 작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적정한 온도를 세팅하기 위한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 히터블록의 전체가 가열되게 됨으로서, 화상등의 안전사고를 유발시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상기 상형 구성하는 단일상판의 상측에는 상부고정판을 관통하여 승강되는 가이드축이 구비되어 상형의 승강을 안내하고 있으나, 상기 가이드축이 상형이 동시되어 승강됨으로서, 중량의 과다로 인하여 실린더에서 많은 동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형과 가이드축이 동시에 승강됨에 있어서, 가이드축이 상부고정판에만 관통되어 있음에 따라서 승강되는 상형이 심하게 유동되어 제품의 불량 원인이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상판에 장착된 금형만을 국소적으로 가열하여 열량의 손실을 막음은 물론, 작업을 준비할 경우에 예열시간을 최소로 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금형만의 온도를 상승시킴에 따라서, 금형 이외 부분의 온도상승을 막아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자 하는 목적도 갖는 것이다.
또 상형의 구성품을 단순화시켜 부피를 최소화하고자 하는 목적도 갖는 것이다.
한편, 상형의 주위에는 프레임의 상면과 상부고정판의 하면에 상,하단이 고정되는 다수의 가이드축을 구비함으로서, 상형의 승강시 진동을 방지함은 물론, 승강되는 상형의 무게를 줄여 실린더의 사용동력을 최소화 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축을 통해 상부고정판을 프레임에 지지함으로서, 별도의 기대들을 필요없게 하여 본체의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는 목적도 갖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제1,2,3 상형은 실린더에 고정되는 단일상판, 단열재, 단일테이블와 단열재의 내부에 장착된 히팅부 및 히팅부에서 가열된 공기가 공급되는 금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2,3 상형의 주위에는 가이드홀들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홀들에는 프레임의 상면과 상부고정판의 하면에 상하단이 고정되는 다수의 가이드축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히터부를 구성하는 히터박스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3a은 전단면도 이고,
도 3b는 도 3a의 B-B선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D-D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11 : 프레임
12 : 상부고정판
13 : 성형탱크
2 : 제1 하형
3 : 제2 하형
4 : 제3 하형
5 : 상형
51 : 실린더
52 : 단일상판
53 : 단열재
54 : 단일테이블
6 : 히터부
61 : 외부공기 인입라인
62 : 유량조절밸브
63 : 히터박스
631 : 내부카트리지, 631a : 히터, 631b : 공기순환홀,
632 : 인입 카트리지커버, 633 : 배출 카트리지커버,
G : 공기이동홈부, H : 공기통과홀, 634 : 인입커버,
635 : 배출커버, 636 : 단열커버
64 : 가열공기 배출라인
7 : 금형
71 : 공기통과홀
72 : 공기배출홀
73 : 써머스터
8 : 가이드홀
81 : 베어링
9 : 가이드축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로서,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부에 장착되는 프레임(11)과 이 프레임(11)의 상측에 고정된 상부고정판(12)으로 이루어진 본체(1), 상기 프레임(11)의 전방에 성형탱크(13)가 구비되어 이 성형탱크(13)의 내부에서 펄프를 수취하여 승강되는 제 1하형(2), 상기 프레임(11)의 상부에 장착되어 실린더를 통해 전후로 이동되는 제2,3 하형(3,4), 및 상기 상부고정판(12)에 장착되어 실린더(51)를 통해 승강되는 제1,2,3 상형(5)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성형물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2,3 상형(5)은, 실린더(51)에 고정되는 단일상판(52), 이 단일상판(52)의 하부에 장착되는 단열재(53), 이 단열재(53)의 하부에 장착된 단일테이블(54), 상기 단열재(53)의 내부에 장착되어 외부에서 들어오는 공기를 가열하는 다수의 히팅부(6), 및 히팅부(6)에서 가열된 공기가 내부로 순환되어 온도가 상승되며 상기 단일테이블(54)의 하부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금형(7)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2,3 상형(5)의 주위에는 가이드홀(8)들이 형성되어 이 가이드홀(8)들에는 상기 프레임(11)의 상면과 상기 상부고정판(12)의 하면에 상하단이 고정되는 다수의 가이드축(9)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팅부(6)는,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며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62)가 장착된 외부공기 인입라인(61)과, 이 외부공기 인입라인(61)이 연결되며 상기 단열재(53)의 내부에 장착된 히터박스(63), 및 히터박스(63)에서 인출되는 공기를 금형에 공급하는 가열공기 배출라인(6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박스(63)는, 내부중앙에 위치되어 다수의 히터(631a)가 등간격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이 히터(631a)들의 사이에는 다수의 공기순환홀(631b)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카트리지(631)와, 이 내부카트리지(631)의 양측에 장착되어 내측에는 공기가 이동될 수 있도록 공기이동홈부(G)가 형성되고 다수의 공기통과홀(H)이 형성된 인입,배출 카트리지커버(632,633)와, 상기 내부카트리지(631)의 양측을 감싸며 상기 외부공기 인입라인(61)과 가열공기 배출라인(64)이 각각 장착되어 있는 인입,밸출커버(634,635), 및 이 인입,배출커버(634,635)의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내부 카트리지(631)에서 발생되는 열의 방출을 막는 단열재(636)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금형(7)의 내부에는 더워진 공기가 유입되어 순환 될 수 있는 상기 가열공기 배출라인(64)과 연결되어 관통되는 공기통과홀(71)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 상기 금형(7)에 형성된 공기통과홀(71)에는 성형물에 더운공기를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금형(7)의 외부와 관통되는 다수의 공기배출홀(72)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 상기 금형(7)의 내부에는 금형의 온도를 감지하여 히터부(6)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써머스터(73)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제1,2,3 상형(5)의 주위 사방에 형성되는 가이드홀(8)은, 상형(5)을 구성하는 단일상판(52)과 단일테이블(54)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홀(9)의 내부에는 가이드축(9)과의 마찰을 막는 베어링(81)이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장치를 동작시킴에 앞서서 제1,2,3 상형(5)에 장착된 금형(7)을 예열 할 경우에는, 먼저, 히터박스(63)의 내부에 다수로 장착되어 있는 히터(631a)에 전원을 공급하여 내부카트리지(631)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그후, 상기 외부공기 인입라인(61)의 중간에 장착되어 있는 유량조절밸브(62)를 개방시켜 히터박스(63)의 내부로 외부공기를 유입하여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킨 다음, 온도가 상승된 공기를 가열공기 배출라인(64)을 통해 금형으로 공급함으로서, 금형을 예열하는 것이다.
즉, 상기 외부공기가 상기 히터박스(63)로 유입되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된 공기는 인입 카트리지커버(632)와 인입커버(634)를 통과하여 내부카트리지(631)에 다수로 형성된 공기순환홀(631b)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타측에 형성된 배출커버(635)와 배출 카트리지커버(633)를 통과한 다음, 온도가 상승된 공기는 가열공기 배출라인을 통해 금형(7)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금형(7)으로 공급된 더운공기는 금형(7)의 내부에 형성된 공기통과홀(71)로 유입되면서 금형(7)의 온도를 상승시킨후, 공기배출홀(7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펄프의 표면에 더운공기를 분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금형(7)에는 금형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써머스터(73)가 장착됨으로서, 히터부(6)의 작동을 수시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3 상형(5)의 주위 사방에는 가이드홀(8)이 형성되어 프레임(11)과 상부고정판(12)에 상하단이 고정된 가이드축(9)이 삽입됨으로서, 승강되는 제1,2,3 상형(5)의 승강정밀도를 높일수 있고, 아울러, 별도의 기대설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판에 장착된 금형만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금형의 예열시간을 최소화함으로서, 전력의 낭비와 생산성의 저하를 막을 수 있 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금형 이외 부분의 온도상승을 막음으로서, 화상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또 상형의 구성품을 단순화시켜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서, 수리 또는 장착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형의 승강시 진동을 방지함은 물론, 히터블록의 무게를 줄여 실린더의 사용동력을 최소화 함으로서, 제품의 불량률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같이 가이드축을 통해 상부고정판을 프레임에 지지함으로서, 별도의 기대들을 필요없게 함으로서, 본체의 제작비용을 줄여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7)

  1. 하부에 장착되는 프레임(11)과 이 프레임(11)의 상측에 고정된 상부고정판(12)으로 이루어진 본체(1), 상기 프레임(11)의 전방에 성형탱크(13)가 구비되어 이 성형탱크(13)의 내부에서 펄프를 수취하여 승강되는 제 1하형(2), 상기 프레임(11)의 상부에 장착되어 실린더를 통해 전후로 이동되는 제2,3 하형(3,4), 및 상기 상부고정판(12)에 장착되어 실린더(51)를 통해 승강되는 제1,2,3 상형(5)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성형물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2,3 상형(5)은, 실린더(51)에 고정되는 단일상판(52), 이 단일상판(52)의 하부에 장착되는 단열재(53), 이 단열재(53)의 하부에 장착된 단일테이블(54), 상기 단열재(53)의 내부에 장착되어 외부에서 들어오는 공기를 가열하는 다수의 히팅부(6), 및 히팅부(6)에서 가열된 공기가 내부로 순환되어 온도가 상승되며 상기 단일테이블(54)의 하부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금형(7)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2,3 상형(5)의 주위에는 가이드홀(8)들이 형성되어 이 가이드홀(8)에는 상기 프레임(11)의 상면과 상기 상부고정판(12)의 하면에 상하단이 고정되는 다수의 가이드축(9)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성형물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6)는,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며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62)가 장착된 외부공기 인입라인(61)과, 이 외부공기 인입라인(61)이 연결되며 상기 단열재(53)의 내부에 장착된 히터박스(63), 및 히터박스(63)에서 인출되는 공기를 금형에 공급하는 가열공기 배출라인(6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펼프성형물 제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박스(63)는, 내부중앙에 위치되어 다수의 히터(631a)가 등간격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이 히터(631a)들의 사이에는 다수의 공기순환홀(631b)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 카트리지(631)와, 이 내부 카트리지(631)의 양측에 장착되어 내측에는 공기가 이동될 수 있도록 공기이동홈부(G)가 형성되고 다수의 공기통과홀(H)이 형성된 인입,배출 카트리지커버(632,633)와, 상기 내부카트리지(631)의 양측을 감싸며 상기 외부공기 인입라인(61)과 가열공기 배출라인(64)이 각각 장착되어 있는 인입,밸출커버(634,635), 및 이 인입,배출커버(634,635)의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내부 카트리지(631)에서 발생되는 열의 방출을 막는 단열재(63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성형물 제조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7)의 내부에는 상기 가열공기 배출라인(64)과 연결되어 관통되는 공기순환홀(71)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성형물 제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7)에 형성된 공기통과홀(71)에는 성형물에 더운공기를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금형(7)의 외부와 관통되는 다수의 공기배출 홀(7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설형물 제조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7)의 내부에는 금형의 온도를 감지하여 히터부(6)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써머스터(73)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성형물 제조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 상형(5)의 주위 사방에 형성되는 가이드홀(8)은 상형(5)을 구성하는 단일상판(52)과 단일테이블(54)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홀(9)의 내부에는 가이드축(9)과의 마찰을 막는 베어링(81)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성형물 제조장치.
KR2020000022471U 1999-11-30 2000-08-07 펄프 성형물 제조장치 KR2002101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471U KR200210142Y1 (ko) 2000-08-07 2000-08-07 펄프 성형물 제조장치
JP2000318506A JP2001159100A (ja) 1999-11-30 2000-10-18 パルプ成形物の製造装置
US09/692,473 US6332956B1 (en) 1999-11-30 2000-10-20 Pulp product manufacturing apparatus
TW89122857A TW531582B (en) 2000-04-24 2000-10-31 A manufacturing equipment for pulp tray
CN00133543.XA CN1120911C (zh) 1999-11-30 2000-11-09 纸浆模制品的制造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471U KR200210142Y1 (ko) 2000-08-07 2000-08-07 펄프 성형물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0142Y1 true KR200210142Y1 (ko) 2001-01-15

Family

ID=73086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471U KR200210142Y1 (ko) 1999-11-30 2000-08-07 펄프 성형물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1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904B1 (ko) 2007-10-09 2009-09-23 박정식 펄프 성형물 제조장치의 지지칼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904B1 (ko) 2007-10-09 2009-09-23 박정식 펄프 성형물 제조장치의 지지칼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3011550A3 (en) Method for molding a product and a mold used therein
US6332956B1 (en) Pulp product manufacturing apparatus
JPH03211025A (ja) 粘稠材料の射出装置
KR200210142Y1 (ko) 펄프 성형물 제조장치
US4325688A (en) Mold equipment
ITBO940417A1 (it) Metodo ed impianto per portare allo stato semisolido o semiliquido masselli in lega metallica quali lingotti, billette e simili, da sot-
US10195803B2 (en) Device for preheating at least one mold
US2882647A (en) Oil cooled glass forming tools
CN213033566U (zh) 一种余热循环再利用的覆膜砂生产设备
CN212386043U (zh) 热压机
CN210705892U (zh) 一种塑胶模具用的高效冷却装置
CN208323962U (zh) 一种蜡饼制造设备
JP4044876B2 (ja) 樹脂シートの成形方法と装置
US20070052127A1 (en) Method of making silicon rubber product
CN215743001U (zh) 一种带温控系统的fdy纺丝油剂生产装置
CN211807418U (zh) 一种汽车装饰板模具
JPH0729290B2 (ja) コンクリート二次製品の養生方法
JPS6186061A (ja) 鋳造用金型
JPH08127021A (ja) セメントモルタル原料の計量供給装置
RU235786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резиновых изделий
KR102598965B1 (ko) 무기점결제를 이용한 코어 제조장치
CN211892007U (zh) 一种光固化3d打印机光敏树脂加热装置
EP0813950B1 (en) Single-station thermoforming apparatus and method
JPH1015966A (ja) スラッシュ成形金型の加熱装置
CN205878913U (zh) 树脂磨轮烧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